KR101208680B1 -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680B1
KR101208680B1 KR1020060026296A KR20060026296A KR101208680B1 KR 101208680 B1 KR101208680 B1 KR 101208680B1 KR 1020060026296 A KR1020060026296 A KR 1020060026296A KR 20060026296 A KR20060026296 A KR 20060026296A KR 101208680 B1 KR101208680 B1 KR 10120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m
pixel
average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726A (ko
Inventor
박보건
이미연
양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680B1/ko
Priority to PCT/KR2006/003968 priority patent/WO2007108582A1/en
Priority to US12/293,899 priority patent/US8218896B2/en
Publication of KR2007009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Abstract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이 개시된다. 본 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 및 입력영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면, 블럭의 컬러왜곡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입력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디코딩정보 및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의 검출이 가능하고,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경우 블럭 내 화소값의 조정 및 저역통과 필터링(LPF)을 수행함으로써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컬러왜곡 보상, 디스플레이장치, 인터레이시브 스캔

Description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on chroma wrink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화소값을 이용한 컬러왜곡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DCT계수를 이용한 컬러왜곡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컬러왜곡 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디코더 120 : 검출부
121 : 계산부 123 : 비교부
125 : 판단부 130 : 보정부
본 발명은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을 검출하여 블럭 내 화소값을 조정함으로써 컬러왜곡을 보정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디스플레이장치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로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압축방법은 일반적으로 이산여현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 DCT) 기반의 표준 압축방식인 MPEG, H.263 등이 사용된다. 이산여현변환(이하, 'DCT'라 칭함)이란 휘도와 색차로 표현되는 영상신호를 공간상의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이를 역변환시키는 방법이다.
DCT 연산은 블럭(block)이라고 불리우는 nxn개의 화소(pixel)를 하나의 단위로 해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화면을 여러 개의 블럭으로 쪼개고 각각의 블럭에 대해 DCT 연산을 반복 수행하여 DCT계수를 얻게 된다. 디코더에서는 인코더로부터 받은 DCT계수를 원래의 픽셀값으로 복원한다.
한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스캔방식 중의 하나인 인터레이스 스캔(interlace scan)방식은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때,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두개의 필드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두개의 필드는 탑(top) 필드와 바텀(bottom) 필드, 상(upper) 필드와 하(lower) 필드, 홀수(odd) 필드와 짝수(even) 필드 등으로 불리운다.
이러한, 인터레이스 스캔방식의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두 필드 사이에 조명이 급격히 변하거나 움직임이 큰 경우, 압축영상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컬러왜곡이 발생하게 되된다. 여기서, 컬러왜곡은 재생된 영상에 국부적으로 원영상의 색상 과 다르거나, 화면에 반복적으로 줄이 가는 현상이다.
그런데, 종래의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컬러왜곡이 발생한 경우에 보정없이 바로 영상 후처리(Image Post-processing)를 함으로써 원영상의 복원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정보 및 화소값을 이용하여 컬러왜곡을 검출하고, 블럭 내 화소값을 조정함으로써 컬러왜곡을 보정하는 영상디스플레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 및 상기 입력영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면, 상기 블럭의 컬러왜곡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블럭의 DCT에너지를 계산하고, 화소값을 이용하여 화소합을 계산하고, 화소합을 이용하여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이용하여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보정부는 검출부에서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부에서 계산된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부에서 계산된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계산부는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라인별 화소값들을 합하여 화소합들을 계산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을 제외한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으로 제1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인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제1평균화소합과 제2평균화소합의 차인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계산부에서 계산된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보정부는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부에서 계산된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부에서 계산된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보정부는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1평균화소합이 제2평균화 소합을 초과하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한다.
또한, 보정부는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1평균화소합이 제2평균화소합 미만이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비교부에서 비교된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비교부에서 비교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정부는 비교부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 사이에 존재하고, 블럭의 양자화계수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사이에 존재하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최종 판단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을 각각 계산부에서 계산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정부는 비교부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2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이상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블럭을 저역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하고, 비교부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1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1기준 양자화계수 이하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입력영상을 디코딩하여 필드가 포함하는 화소값을 복원하고,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를 검출부로 출력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코딩정보는 블럭의 움직임 벡터, 양자화계수, 및 DCT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컬러왜곡 보상방법은,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 및 입력영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면, 블럭의 컬러왜곡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단계는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단계는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블럭의 DCT에너지를 계산하고, 화소값을 이용하여 화소합을 계산하고, 화소합을 이용하여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이용하여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보정단계는 검출단계에서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계산단계는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라인별 화소값들을 합하여 화소합들을 계산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을 제외한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으로 제1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인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제1평균화소합과 제2평균화소합의 차인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단계는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보정단계는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단계에 서 계산된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보정단계는,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1평균화소합이 상기 제2평균화소합을 초과하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한다.
또한, 보정단계는 제1평균화소합이 제2평균화소합 미만이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단계는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정단계는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가 기설정된 상기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 사이에 존재하고, 블럭의 양자화계수가 기설정된 상기 제1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사이에 존재하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최종 판단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을 각각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2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이상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블럭을 저역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하고,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1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1기준 양자화계수 이하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입력영상을 디코딩하여 필드가 포함하는 화소값을 복원하고,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컬러왜곡 검출장치는, 입력영상을 디코딩하여 필드가 포함하는 화소값을 복원하고,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를 출력하는 디코더, 및 디코딩정보 및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블럭의 DCT에너지를 계산하고, 화소값을 이용하여 화소합을 구하고, 화소합을 이용하여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이용하여 입력영상을 구성하는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계산부, 계산부에서 계산된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판단부는 비교부에서 비교된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비교부에서 비교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화소값을 이용한 컬러왜곡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DCT계수를 이용한 컬러왜곡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면 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디코더(110), 검출부(120), 및 보정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8x8 블럭기반 압축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을 상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디코더(110)는 입력영상을 디코딩하여 필드를 구성하는 화소값으로 복원하고,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디코딩정보는 움직임벡터(Motion vector),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계수, 블럭모드(Inter/Intra/Skip), 및 양자화 계수인 Q(Quantization)값 등을 포함한다. 이때, DCT계수는 2차원 DCT계수이며, 블럭단위로 출력된다.
검출부(120)는 디코더(110)로부터 수신된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DCT에너지를 계산하고, 각 필드의 라인별 화소합을 계산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검출부(120)는 계산부(121), 비교부(123), 및 판단부(125)를 포함한다.
계산부(121)는 디코더(110)로부터 수신된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DCT에너지를 계산한다. 여기서, DCT에너지는 디코딩정보에 포함된 DCT계수를 제곱한 값이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계산부(121)는 8x8개의 DCT에너지를 구한다.
또한, 계산부(121)는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라인별 화소값을 모두 더한 화소합을 계산하고, 라인 각각의 화소합(S0 내지 S7)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즉, 도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계산부(121)는 0라인의 화소값들을 모두 더하여 0라인의 화소합(S0)을 계산하고, 계산부(121)는 1 내지 7라인까지 반복하여 각 라인들의 화소합들(S1 내지 S7)을 계산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계산부(121)는 화소합들을 이용하여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한다.
즉, 계산부(121)는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처음 라인과 마지막 라인을 제외한 라인들의 화소합(짝수필드:S2,S4, 홀수필드:S3,S5)을 모두 더한 값의 평균인 제1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1
을 계산하고,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처음 라인과 마지막 라인들의 화소합(짝수필드:S0,S6, 홀수필드:S1,S7)을 모두 더한 값의 평균인 제2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2
을 계산한다.
또한, 계산부(121)는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에 대해서, 제1평균화소합과 제2평균화소합의 차인 평균화소차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3
를 계산한다.
비교부(123)는 계산부(121)에서 계산한 블럭 내 각각의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부(123)는 블럭의 움직임벡터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4
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5
를 비교하고, 블럭의 양자화계수(|Q|)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Qth1|, |Qth2|)를 비교한다.
또한, 비교부(123)는 계산부(121)에서 계산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한다.
판단부(125)는 비교부(123)의 비교결과 블럭의 2차원 DCT계수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E0 ,0>Eth, E7 ,0>Eth),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가까운 근사값이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6
, 블럭에 컬러왜곡(chroma wrinkle)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DCT에너지가 도 3과 같은 패턴을 가지면, 판단부(125)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25)는 비교부(121)에서 비교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의 비교결과를 기초로 블럭의 컬러왜곡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비교부(123)의 비교결과,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7
,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8
, 판단부(125)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보정부(130)는 판단부(125)에서 판단된 블럭의 컬러왜곡 존재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부(125)에서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정부(130)는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을 검출한다. 그리고, 보정부(130)는 계산부(121)에서 계산된 화소합을 조정하여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을 보정한다.
상세하게는, 비교부(123)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 사이에 존재하고
Figure 112006020129228-pat00009
, 블럭의 양자화계수가 기설정 된 제1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사이에 존재하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0
, 보정부(130)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보정부(130)는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 라인들의 화소합들(S0 내지 S7)을 각 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1
에 가까운 근사값으로 조정한다.
또한, 비교부(123)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2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이상이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2
, 보정부(130)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블럭을 저역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 한다.
또한, 비교부(123)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1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1기준 양자화계수 이하이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3
, 보정부(130)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컬러왜곡에 대한 보정을 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 컬러왜곡 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디코더(110)는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된 디코딩정보 및 필드를 구성하는 화소값을 복원하여 출력한다(S210). 여기서, 디코딩정보는 움직임벡터(Motion vector),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계수, 블럭모드(Inter/Intra/Skip), 및 양자화 계수인 Q(Quantization)값 등을 포함한다. 이때, DCT계수는 2차원 DCT계수이며, 블럭단위로 출력된다.
이어, 계산부(121)는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DCT에너지를 계산한다(S220). 이때, DCT에너지는 DCT계수의 제곱이고, 도3과 같이 8x8개의 DCT에너지가 계산된다.
그리고, 계산부(121)는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라인들의 화소값을 모두 더한 화소합들(S0 내지 S7)을 계산하고, 계산된 화소합들을 이용하여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한다(S230). 이때, 계산부(121)는 계산된 화소합들을 이용하여 라인 각각의 화소합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계산부(121)는 도2a에서 짝수필드의 0,2,4,6 라인 각각의 화소값을 더하여 라인 각각의 화소합(S0,S2,S4,S6)을 계산하고, 홀수필드의 1,3,5,7 라인 각각의 화소값을 더하여 라인 각각의 화소합(S1,S3,S5,S7)을 계산한다.
또한, 계산부는(121)는 짝수필드의 처음 라인과 마지막 라인을 제외한 라인들의 화소합들(S2,S4)을 더한 값의 평균인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4
을 계산하고, 계산부는(121)는 짝수필드의 처음 라인과 마지막 라인들의 화소합들(S0,S6)을 더한 값의 평균인 짝수필드의 제2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5
을 계산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부(121)는 홀수필드의 처음 라인과 마지막 라인 을 제외한 라인들의 화소합(S3,S5)을 모두 더한 값의 평균인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6
을 계산하고, 계산부는(121)는 홀수필드의 처음 라인과 마지막 라인들의 화소합들(S1,S7)을 더한 값의 평균인 홀수필드의 제2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7
을 계산한다.
이어, 계산부(121)는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 각각의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이용하여 두 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를 계산한다(S240).
상세하게는, 계산부(121)는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과 짝수필드의 제2평균화소합의 차를 계산하여 짝수필드의 평균화소차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8
를 구하고,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과 홀수필드의 제2평균화소합의 차를 계산하여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
Figure 112006020129228-pat00019
를 구한다.
그리고, 판단부(125)는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의 비교결과에 따라 블럭의 컬러왜곡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250).
즉, 도 3과 같이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는 0에 가까운 근사값을 갖고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0
,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준에너지를 초과하면(E0 ,0>Eth, E7 ,0>Eth), 판단부(125)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25)는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의 비교결과에 따라 블럭의 컬러왜곡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260).
상세하게는, 비교부(123)의 비교결과 S230단계에서 계산된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1
,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2
, 판단부(125)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판단부(125)는 도 2b와 같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S0,S2,S4,S6)과 홀수필드의 화소합들(S1,S3,S5,S7)의 히스토그램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다시 줄어드는 볼록한 포물선 모양이거나, 짝수필드 및 홀수필드의 각 라인에 대한 화소합들의 히스토그램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오목한 포물선 모양이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 비교부(123)는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한다(S270).
그리고, 보정부(130)는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블럭의 컬러왜곡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을 보정한다(S280). 즉, S230단계에서 판단된 블럭의 컬러왜곡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S230단계에서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정부(130)는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를 이용하여 한번 더 블럭의 컬러왜곡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S270단계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 사이에 존재하고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3
, 블럭의 양자화계수가 기설정된 제1 및 제2양자화계수 사이에 존재하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4
, 보정부(130)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도2b를 참조하면, 보정부(130)는 짝수필드의 각 라인들의 화소합들(S0,S2,S4,S6)을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5
에 가까운 근사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각 라인들의 화소합들(S1,S3,S5,S7)은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6
에 가까운 근사값으로 조정한다.
또한, S270단계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2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이상이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7
, 보정부(130)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블럭을 저역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 한다.
반면, S270단계에서 비교된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1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1기준 양자화계수 이하이면
Figure 112006020129228-pat00028
, 보정부(130)는 블럭에 컬러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컬러왜곡에 대한 보정을 하지 않는다.
즉, 보정부(130)는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제1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1기준 양자화계수 이하이면, 압축전 화소의 컬러가 컬러왜곡과 유사한 특성을 가질 뿐, 블럭에 컬러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평균화소합이 제2평균화소합을 초과하여 화소합들의 히스토그램이 도2b와 같이 볼록한 포물선 모양이면, 보정부(130)는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가까운 근사값으로 조정한다. 그리고, 보정부(130)는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한다. 이에 의해,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의 보정이 가능하다.
반면, 제1평균화소합이 제2평균화소합 미만으로 화소합들의 히스토그램이 오목한 포물선 모양이면, 보정부(130)는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가까운 근사값으로 조정한다. 그리고, 보정부(130)는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제1평균화소합에 가까운 근사값을 갖도록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정방법에 있어서, 4x4 블럭기반 압축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에서 컬러왜곡 검출 및 보정 시, 검출부(120)는 짝수필드의 각 화소합들의 차 및 홀수필드의 각 화소합들의 차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보정부(130)는 짝수필드의 각 화소합들을 더한 값의 평균인 짝수필드의 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은 짝수필드의 평균화소합에 가까운 근사값으로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각 화소합들을 더한 값의 평균인 홀수필드의 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은 홀수필드의 평균화소합에 가까운 근사값으로 조정함으로써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의 검출 및 보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실시 예에서는 화소값을 이용하여 영상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의 검출 및 보정을 설명하였다. 컬러왜곡의 검출 및 보정에 이용되는 화소값으로는 영상의 컬러성분(Cb, Cr)을 상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디코딩정보 및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의 검출이 가능하고,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경우 블럭 내 화소값의 조정 및 저역통과 필터링(LPF)을 수행함으로써 블럭에 존재하는 컬러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7)

  1.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 및 상기 입력영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면, 상기 블럭의 컬러왜곡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럭의 DCT에너지를 계산하고, 상기 화소값을 이용하여 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화소합을 이용하여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이용하여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의 라인별 화소값들을 합하여 상기 화소합들을 계산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을 제외한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으로 상기 제1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인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제1평균화소합과 상기 제2평균화소합의 차인 상기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1평균화소합이 상기 제2평균화소합을 초과하면, 상기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1평균화소합이 상기 제2평균화소합 미만이면, 상기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가 기설정된 상기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가 기설정된 상기 제1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사이에 존재하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최종 판단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을 각각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 정된 상기 제2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이상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블럭을 저역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하고,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상기 제1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1기준 양자화계수 이하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을 디코딩하여 필드가 포함하는 화소값을 복원하고, 상기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를 상기 검출부로 출력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정보는 상기 블럭의 움직임 벡터, 양자화계수, 및 DCT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13.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 및 상기 입력영상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면, 상기 블럭의 컬러왜곡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럭의 DCT에너지를 계산하고, 상기 화소값을 이용하여 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화소합을 이용하여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이용하여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검출단계에서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고,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단계는,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의 라인별 화소값들을 합하여 상기 화소합들을 계산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을 제외한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으로 상기 제1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처음 라인 및 마지막 라인들의 화소합들을 합한 값의 평균인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제1평균화소합과 상기 제2평균화소합의 차인 상기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짝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은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1평균화소합이 상기 제2평균화소합을 초과하면, 상기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1평균화소합이 상기 제2평균화소합 미만이면, 상기 짝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짝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을 초과하는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 중 상기 홀수필드의 제1평균화소합 미만인 화소합들을 상기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가 기설정된 상기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가 기설정된 상기 제1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사이에 존재하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최종 판단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의 화소합들을 각각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제1평균화소합에 근사한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상기 제2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2기준 양자화계수 이상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블럭을 저역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하고,
    상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 및 양자화계수가 각각 기설정된 상기 제1기준 움직임벡터 및 제1기준 양자화계수 이하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을 디코딩하여 필드가 포함하는 화소값을 복원하고, 상기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보상방법.
  24. 입력영상을 디코딩하여 필드가 포함하는 화소값을 복원하고, 상기 입력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디코딩정보를 출력하는 디코더; 및
    상기 디코딩정보 및 상기 화소값을 이용하여 블럭에 컬러왜곡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검출장치.
  25. 삭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디코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럭의 DCT에너지를 계산하고, 상기 화소값을 이용하여 화소합을 구하고, 상기 화소합을 이용하여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계산하고, 상기 제1평균화소합 및 제2평균화소합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영상을 구성하는 짝수필드와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DCT에너지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움직임벡터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기준 움직임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블럭의 양자화계수와 기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 양자화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 각각의 평균화소차와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검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의 DCT에너지가 기설정된 기준에너지를 초과하고, 상기 블럭의 처음 행과 마지막 행의 첫 번째 열을 제외한 DCT에너지가 0에 근사한 값이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짝수필드 및 상기 홀수필드의 평균화소차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화소차를 초과하면, 상기 블럭에 컬러왜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왜곡 검출장치.
KR1020060026296A 2006-03-22 2006-03-22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 KR10120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296A KR101208680B1 (ko) 2006-03-22 2006-03-22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
PCT/KR2006/003968 WO2007108582A1 (en) 2006-03-22 2006-10-02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on chroma wrinkle
US12/293,899 US8218896B2 (en) 2006-03-22 2006-10-02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on chroma wrin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296A KR101208680B1 (ko) 2006-03-22 2006-03-22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726A KR20070095726A (ko) 2007-10-01
KR101208680B1 true KR101208680B1 (ko) 2012-12-10

Family

ID=3852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296A KR101208680B1 (ko) 2006-03-22 2006-03-22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18896B2 (ko)
KR (1) KR101208680B1 (ko)
WO (1) WO2007108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1871B2 (en) * 2009-04-30 2012-09-18 Xerox Corporation Automated method for alignment of document objects
JP5202749B1 (ja) * 2012-09-03 2013-06-05 正浩 小林 画像処理方法
US10554967B2 (en) * 2014-03-21 2020-0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compensation (IC) refinement based on positional pairings among pixels
US9600713B2 (en) * 2015-04-27 2017-03-21 AprilAge Inc. Identification and processing of facial wrinkles in a digital image
US10510233B2 (en) * 2017-05-26 2019-12-17 Jemez Technology LLC Reducing and eliminating the effects of bright lights in a field-of-view of a camera
CN112492249B (zh) * 2019-09-11 2024-04-09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电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628B1 (ko) * 1996-09-30 1999-06-15 윤종용 화질 개선 회로 및 그 방법
US6018588A (en) * 1996-10-09 2000-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enhancement circuit and method using mean matching/quantized mean matching histogram equalization and color compensation
US6009192A (en) * 1996-12-19 1999-12-28 Xerox Corporation Color correction of a compressed image
US7227895B1 (en) * 2000-12-12 2007-06-0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ecoded digital video imag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726A (ko) 2007-10-01
US20090034859A1 (en) 2009-02-05
US8218896B2 (en) 2012-07-10
WO2007108582A1 (en) 200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9960B2 (ja) ブロック化現象除去のための後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4529919B2 (ja) 適応量子化装置及び適応量子化プログラム
US20200314429A1 (en) Quantization matrix design for hevc standard
KR1006725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KR101405913B1 (ko) 블록 매칭 모션 평가에서 모션 벡터를 수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92472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compensated picture rate up-conversion of digital video using picture boundary processing
JP419447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1208680B1 (ko)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컬러왜곡 보상방법
JP2008533937A (ja) Dctコード化されたビデオの品質を、オリジナルビデオシーケンスを用いて、もしくは用いずに客観評価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90080517A1 (en)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Reducing Blocking Artifacts in Video Streams
JP2007081474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
JP2012034225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525014A (ja) 符号化されたデジタルビデオのためのシャープネスエンハンスメント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792837B2 (ja) デ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
US807799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locking effect and Gibbs effect
JP2012104969A (ja) 動きベクトル生成装置、動きベクトル生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01018B2 (ja) 画像復号装置
KR101069712B1 (ko) 에지 방향성의 가중치를 이용한 필드내 주사선 보간 방법 및 그 장치
JP2001346208A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KR100213287B1 (ko) 영상복호기의 에러보상장치
JP5488168B2 (ja) 画像符号化装置
US20210409744A1 (en) Image decoding device, image decoding method, and program
JP2012124851A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動き補償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196848B1 (ko) 영상복호기에서의 에러보상장치
KR100761475B1 (ko)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화질개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