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622B1 -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622B1
KR101208622B1 KR1020110103254A KR20110103254A KR101208622B1 KR 101208622 B1 KR101208622 B1 KR 101208622B1 KR 1020110103254 A KR1020110103254 A KR 1020110103254A KR 20110103254 A KR20110103254 A KR 20110103254A KR 101208622 B1 KR101208622 B1 KR 10120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formation
mobile terminal
external for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종
첸코안
Original Assignee
첸코안
김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첸코안, 김현종 filed Critical 첸코안
Priority to KR102011010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밴드 형상을 가지며, 휴대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곧게 펴진 밀착상태와, 임의의 일측에 외력을 받는 경우 구부러져 말리면서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 띠 형상의 지지상태로 변형이 가능한 변형지지부와; 외력이 설정된 외력작용점에 작용될 경우에만 상기 변형지지부가 상기 밀착상태에서 상기 지지상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변형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외력작용점에 외력 작용시 상기 변형지지부가 상기 지지상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소정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변형지지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외력작용점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이동 단말기를 경사지지할 수는 있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그 작동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변형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외력작용점 이외에 다른 부분에의 외력작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착상태에서는 변형지지부가 판면방향으로 이동 단말기 또는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므로 경사지지를 위한 구성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TILT SUPPORT STRUCTURE FOR PRTABLE DEVIC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소정의 외력작용점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이동 단말기를 경사지지할 수는 있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여 그 작동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경사지지를 위한 구성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는 종래 통화만 가능하던 휴대폰과 달리, 이동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인터넷 검색이나, 동영상 감상 등 장시간 이동 단말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거치가 가능한 다양한 거치대 또는 케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거치 가능한 케이스는, 대부분 케이스를 2 이상의 판형으로 구분하여 어느 하나의 케이스판을 다른 하나의 케이스 판에 대하여 회동 및 고정시켜 거치하거나, 복수의 케이스 판을 접철하는 방법으로 경사지지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경사지지를 위한 케이스의 구성이 복잡하여 케이스의 부피가 증가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복잡한 접철 방법을 수행하여야 경사지지가 가능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오작동이나,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변형지지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외력작용점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이동 단말기를 경사지지할 수는 있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한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외력작용점 이외에 다른 부분에의 외력작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착상태에서는 변형지지부가 판면방향으로 이동 단말기 또는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므로 경사지지를 위한 구성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밴드 형상을 가지며, 휴대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되되, 길이방향으로 곧게 펴진 밀착상태와, 임의의 일측에 외력을 받는 경우 구부러져 말리면서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 띠 형상의 지지상태로 변형이 가능한 변형지지부와; 외력이 설정된 외력작용점에 작용될 경우에만 상기 변형지지부가 상기 밀착상태에서 상기 지지상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변형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외력작용점에 외력 작용시 상기 변형지지부가 상기 지지상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소정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 상태로 지지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또는 아이폰(iPhone)과 같은 스마트폰 또는 아이패드(iPad)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태블릿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지지부는 대략 직사각형 판 모양의 밴드형상으로 마련되는 데, 평상시에는 일자형으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며 판면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 또는 이동 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보호부에 밀착되어 있다(상기 밀착상태).
한편, 상기 변형지지부는 임의의 일측에 외력을 받으면 구부러져 말리면서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 띠 형상으로 변형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변형지지부는 다양한 형상이나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측 단면이 만곡된 호 형상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볼록한 일측으로 외력이 작용되면(이하, 상기 외력이 작용되는 부분을 상기 '외력작용점'이라 함) 이 부분이 눌려지면서 변형이 이루어져 양측으로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의 띠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변형지지부의 단면형상은 전술한 변형을 발생하는 한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호 형상에서는 그 곡률을 달리하여 원호, 타원호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변형가이드는 상기 외력작용점을 제외한 상기 변형지지부의 오목한 타측에 마련되어 외력이 작용될 경우 상기 변형가이드가 눌려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 중 또는 거치 중에 상기 변형지지부는 다양한 위치에서 외력을 받을 수 있는 데(즉, 의도되지 않은 외력 작용), 이러한 모든 외력에 대하여 상기 변형지지부가 상기 밀착상태에서 상기 변형상태로 변화하면 오히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의도된 외력 작용 즉, 원하는 특정 외력작용점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변형지지부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변형가이드는 상기 변형지지부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변형가이드가 만곡된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밴드형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상기 변형가이드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오목한 단부 측에 마련되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변형지지부의 변형이 발생하는 발생하는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가이드는 동일한 상기 변형지지부의 형상에 대하여도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변형가이드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변형가이드는 설정된 상기 외력작용점의 위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상기 변형지지부 중에서 상기 변형가이드가 설치된 부분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변형지지부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상기 변형지지부의 변형을 일으키기 위한 상기 외력작용점에는 상기 변형가이드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력작용점을 상기 변형지지부의 중앙부에 위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상기 변형가이드를 설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 외력작용점은 상기 변형지지부의 변형(또는 변형된 모습 즉, 지지상태에서의 모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 상기 외력작용점이 상기 변형지지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형지지부는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말려 올라가 구부러지게 되며, 상기 외력작용점이 상기 변형지지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타단부(즉, 자유단)만이 말려 올라가 구부러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변형지지부의 변형 동작 즉, 상기 지지상태의 모양은 동일한 규격의 변형지지부를 이용한 경우라도 경사각도의 차이 또는 지지가능한 사용상태가 모두 달리 나타나므로, 상기 외력작용점의 위치 변화 즉, 상기 변형가이드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변형지지부는 평면 형상 또한 직사각형 모양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가령, 상기 지지상태에서의 상태유지력 즉 경사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외력작용점이 위치하는 부분의 폭의 다른 부분보다 더 넓게 마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상기 변형지지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 또는 이동 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보호부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변형지지부는 상기 외력작용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변형지지부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일측 단부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형지지부는 케이스로부터 인출이 되면서 변형되어 구부러질 수 있는 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변형가이드를 상기 케이스의 지지부수용홈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수용홈의 외부로 인출입하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판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고정결합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지지부의 양단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변형지지부의 변형시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변형지지부를 둘러싸는 직물 재질의 지지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변형지지부는 예를 들어, 얇은 금속판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날카로운 단면 형상 또는 부식이나 파손 우려 때문에 상기 변형지지부를 내부에 감싸는 지지부커버가 필요하다. 상기 지지부커버는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로 마련하여 내부에 상기 변형지지부를 포함한 채로 금형을 이용하여 실링을 하거나, 기타의 재료로 도금(또는 코팅)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변형지지부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만들어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해 변형 자체를 방해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반복적인 변형에 의해서 커버부재가 벗겨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직물재질로 할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변형지지부 전체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반복적인 변형에 의해서도 벗겨지거나 이탈될 염려가 없다. 또한, 직물에 다양한 문양이나 색깔들을 적용시켜 외관적으로도 더욱 유리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경사지지부는, 사용자가 변형지지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외력작용점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이동 단말기를 경사지지할 수는 있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그 작동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변형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외력작용점 이외에 다른 부분에의 외력작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착상태에서는 변형지지부가 판면방향으로 이동 단말기 또는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므로 경사지지를 위한 구성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커버를 직물재질로 마련함으로써, 실링에 필요한 장비 또는 금형 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변형지지부(10) 전체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반복적인 변형에 의해서도 벗겨지거나 이탈될 염려가 없다. 또한, 직물에 다양한 문양이나 색깔들을 적용시켜 외관적으로도 더욱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밀착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지지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다양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8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작동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는, 밴드 형상으로 마련되어 밀착상태와 지지상태로 변형이 가능한 변형지지부(10)와, 변형지지부(10)의 외력작용점(P)에만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형되도록 하는 변형가이드(20)를 포함하여, 상기 외력작용점(P) 외력 작용시 변형지지부(10)가 지지상태로 변형되면서 이동 단말기(100)(도 10 참조)가 소정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는, 직접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용 케이스(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변형지지부(10)를 지지부고정부재(13)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변형지지부(10)의 하부에는 변형가이드(20)를 설치한다. 여기서, 지지부고정부재(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또는 케이스(50)의 배면보호부(52a)에 접착 또는 스크류체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의 배면보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5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케이스(52)와, 하부케이스(5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51)로 마련될 수 잇다.
상부케이스(51)에는 지지부고정부재(13)를 제외한 변형지지부(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외력작용점(P)은 변형지지부(10)의 중앙부에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력작용점(P)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만 변형가이드(20)가 마련된다.
변형지지부(10)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단면이 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외력작용점(P)에 외력이 가해지면 즉, 외력작용점(P)이 눌려지면 변형지지부(10)가 눌려져 변형되면서 변형이 외력작용점(P)의 양측으로 전달되어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원형의 띠 형상을 갖게된다.
반대로, 지지상태(도 4참조)에서 도 1의 밀착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변형지지부(10)의 양단부를 잡고 힘을 가하여 펴는 것으로 전환이 마무리된다.
변형가이드(20)는 변형지지부(1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변형지지부(10)가 상기 지지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변형가이드(20)의 단면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지지부(10)에의 외력작용시 눌려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경사지지부는, 사용자가 변형지지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외력작용점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이동 단말기를 경사지지할 수는 있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그 작동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변형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외력작용점 이외에 다른 부분에의 외력작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착상태에서는 변형지지부가 판면방향으로 이동 단말기 또는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므로 경사지지를 위한 구성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가이드(20)는 지지부커버(11)의 내부에 마련된다.
지지부커버(11)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천과 같은 직물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고,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로 실링할 수도 있으며, 기타의 재료로 도금 또는 코팅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커버(11)를 직물재질로 할 경우에는, 실링에 필요한 장비 또는 금형 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변형지지부(10) 전체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반복적인 변형에 의해서도 벗겨지거나 이탈될 염려가 없다. 또한, 직물에 다양한 문양이나 색깔들을 적용시켜 외관적으로도 더욱 유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외력작용점(P)은 변형지지부(1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력작용점(P)을 제외한 위치에 변형가이드(20)가 설치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상기 외력작용점(P)에 외력을 가하면, 변형지지부(10)가 도 3의 밀착상태에서 도 4의 지지상태로 변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에서 변형지지부(10)가 지지상태로 변형된 후에 소정 지지면(E)에 대하여 가로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은 도 5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가 소정 지지면(E)에 대하여 세로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와 달리 도 6과 같이 세로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외력작용점(P)의 위치를 중앙이 아니라 어느 일측 단부 쪽에 위치시키면 외력작용점(P)을 중심으로 양쪽의 변형길이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지가 가능하다.
또는, 도 7과 같이,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손목에 찰 수도 있다. 이는, 변형지지부(10)가 지지상태에서는 원형 띠 즉, 팔찌와 같은 형상이 되므로 팔목 등에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변형지지부(10)는 그 평면모양이 직사각형 이외에 다양한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을 양 단부보다 그 폭이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변형지지부(10)가 지지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변형지지부(10)가 지지상태에서는 케이스(50)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중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변형지지부(10)의 지지력이 약한 경우에는 적절히 그 경사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변형지지부(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폭을 향상시키면 변형지지부(10)를 변형시키기 위한 외력의 크기 또한 동일하게 증가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도 8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를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변형지지부(10)의 외력작용점(P)에 회전지지부(40)를 마련함으로써 변형지지부(10)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동일한 구성의 변형지지부(10)로도 2 이상의 경사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9의 (b) 및(c)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는 케이스(50)에 지지부수용홈(55)을 설치함으로써, 변형지지부(10)가 일측 단부 방향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변형가이드(20)는 지지부수용홈(55)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변형지지부(10)가 지지부수용홈(55)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지지상태로의 변형이 불가하므로 이 경우, 변형가이드(2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든, 변형지지부(10)가 지지부수용홈(55)으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지지상태로 변형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도 인출과 동시에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곧게 펴진 상태로 인출이 된 후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을 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는 인출시키는 변형지지부(10)의 길이에 따라 그 변형길이가 달라지므로,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의 (c) 상태로 모니터의 상단부와 같은 수직 구조물에 거는 방식으로 지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9의 (d)는 변형지지부(10)의 인출 단부에 절곡부(15)를 추가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절곡부(15)의 길이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에 대응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절곡부(15)가 이동 단말기(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절곡부(15)를 형성하면, 도 9의 (d)에 도시된 방향과 거꾸로(상하대칭) 지지할 경우에 변형지지부(10)의 단부에서 지지면(E)에 접촉되므로 이동 단말기(100)가 곡선의 변형지지부(10)를 따라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e)와 (f)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가이드(20)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변형지지부(10)의 외력작용점(P)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각 변형지지부(10)의 변형 방향 및 변형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 또는 다양한 각도로의 경사지지가 가능하다.
여기서, 전술한 변형지지부(10)의 회전구조나, 변형지지부(10)를 복수 개로 마련하거나, 인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 등은 어느 하나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2 이상의 상호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변형지지부(10)를 복수 개로 구성하되, 일부는 인출입 식으로 하는 반면 다른 것은 고정식으로 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도 복수의 고정식 중 어느 일부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50)를 이동 단말기(100)에 고정된 제1케이스(53)와, 이동 단말기(100)에서 분리가능하게 마련된 제2케이스(54)로 분리 구성한다.
여기서, 제1케이스(53)가 이동 단말기(100)에 고정결합된다는 의미는, 제1케이스(53)가 이동 단말기(100)에 영구히 고정된다는 의미가 아니고, 제1케이스(53)와 이동 단말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2케이스(54)와 달리 변형지지부(10)의 변형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2케이스(54)는 평상시에는 도 10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53)와 함께 결합되어 이동 단말기(100)를 보호한다.
그러나, 변형지지부(10)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을 일으키면, 제2케이스(54)는 변형지지부(10)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 10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스(54)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2케이스(54)가 변형지지부(10)에 의해 이탈된 상태에서는 그 상태로 이동 단말기(100)를 경사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2케이스(54)가 이탈되면서 제2케이스(54) 측의 이동 단말기(100)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부 접속단자와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는, 최근 스마트폰 케이스의 경우, 스마트폰을 케이스의 단부에서부터 슬라이딩시켜 결합하는 방식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 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를 제1케이스(53)의 하단부로부터 밀어 넣어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변형지지부(10)는 지지상태가 되어 제2케이스(54)는 도 10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임), 마지막으로 변형지지부(10)를 손으로 외력을 가하여 밀착상태로 변형하면서 제2케이스(54)가 제1케이스(53)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지지부(10)의 양단에 고정되는 플렉시블 밴드(60)를 더 포함한다. 이에, 플렉시블 밴드(60)는 상기 밀착상태에서는 도 11과 같이, 양단이 인장되어 상기 변형지지부(10)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기 변형지지부(10)로부터 멀어져 전체적으로 상기 변형지지부(10)와 함께 폐곡선의 띠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1)를 변형지지부(10)가 지지상태에서 팔목에 차는 경우, 팔찌와 같이 착용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렉시블 밴드(6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10 : 변형지지부 11 : 지지부커버
13 : 지지부고정부재 15 ; 절곡부
20 : 변형가이드 40 : 회전지지부
50 : 케이스 51 : 상부케이스
51a : 홈 52 : 하부케이스
52a : 배면보호부 53 : 제1케이스
54 ; 제2케이스 55 : 지지부수용홈
100 : 이동 단말기 P : 외력작용점
E : 지지면

Claims (12)

  1. 길이방향 측 단면이 만곡된 호 형상을 갖는 띠로 마련되며, 오목한 방향이 이동 단말기의 배면을 향하도록 외력작용점 일측이 상기 이동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곧게 펴져 밀착된 밀착상태와, 상기 외력작용점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양측으로 구부러져 말리면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지지상태 사이에서 변형이 가능한 변형지지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에 상기 외력작용점을 제외한 상기 변형지지부의 오목한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력작용점을 제외한 상기 변형지지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변형지지부가 눌려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외력작용점 이외의 부분에 외력이 작용될 때에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변형의 방지하고, 상기 외력작용점에 외력이 작용될 경우에만 상기 변형지지부를 상기 지지상태로 변형시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 상태로 거치가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이드는 상기 외력작용점이 상기 변형지지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형지지부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측에 걸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지지부는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보다 넓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지지부 및 변형가이드는 각각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작용점에는 상기 변형지지부가 상기 외력작용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지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한 배면보호부를 갖는 이동 단말기용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형지지부 및 변형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배면보호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보호부에 마련되며, 상기 변형지지부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지지부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수용홈의 외부로 인출입하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변형지지부의 판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고정결합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지지부의 양단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변형지지부의 변형시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지지부를 둘러싸는 직물 재질의 지지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12. 제1항에 있어서,
    양단이 각각 상기 변형지지부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밀착상태에서는 양단이 인장되어 상기 변형지지부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상태에서는 중앙부가 상기 변형지지부로부터 멀어져 전체적으로 상기 변형지지부와 함께 폐곡선의 띠를 이루는 플렉시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KR1020110103254A 2011-10-10 2011-10-10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KR10120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54A KR101208622B1 (ko) 2011-10-10 2011-10-10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54A KR101208622B1 (ko) 2011-10-10 2011-10-10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622B1 true KR101208622B1 (ko) 2012-12-06

Family

ID=4790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254A KR101208622B1 (ko) 2011-10-10 2011-10-10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6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071A (ko) * 2013-05-13 2014-11-21 이수연 점착식 물품거치대
KR200477622Y1 (ko) * 2014-07-31 2015-07-03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 스탠딩 장치
EP3018889B1 (en) * 2014-10-30 2020-04-29 BlackBerry Limited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KR102200869B1 (ko) * 2019-09-04 2021-01-11 이동근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218A (ja) * 2000-08-03 2002-02-12 Seiko Instruments Inc 腕装着用バン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218A (ja) * 2000-08-03 2002-02-12 Seiko Instruments Inc 腕装着用バン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071A (ko) * 2013-05-13 2014-11-21 이수연 점착식 물품거치대
KR101661686B1 (ko) 2013-05-13 2016-10-04 이수연 점착식 물품거치대
KR200477622Y1 (ko) * 2014-07-31 2015-07-03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 스탠딩 장치
EP3018889B1 (en) * 2014-10-30 2020-04-29 BlackBerry Limited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KR102200869B1 (ko) * 2019-09-04 2021-01-11 이동근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622B1 (ko) 이동 단말기 경사지지부
US8522965B1 (en) Supportive protective cover for a handheld device
CN107426930B (zh) 保护壳
US9318906B2 (en) Universal dock for portable phone
US20120074291A1 (en) Support structure
KR101125325B1 (ko)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US96651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part
KR101534488B1 (ko)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200001539U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TWM514711U (zh) 保護套
TWM565934U (zh) 保護套
US20130108037A1 (en) Supporting device and telephone device
US10455067B1 (en) Holder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60308571A1 (en) Protective case
US7722264B2 (en)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KR101401550B1 (ko) 플렉서블 전자소자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TWI548328B (zh) 支撐結構
US6796819B2 (en) Portable apparatus with inward-pushing triggered mechanism for ejecting add-on device
CN209046747U (zh) 一种防水组件以及电子设备
CN104994200A (zh) 一种移动终端的支撑方法
KR20130142307A (ko) 모바일폰 케이스
KR20220124852A (ko) 롤러블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
KR20120002185U (ko) 거치대 기능을 갖는 태블릿 컴퓨터 보호케이스
KR101963660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