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331B1 - 다기능 건강베개 - Google Patents

다기능 건강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331B1
KR101208331B1 KR1020120019444A KR20120019444A KR101208331B1 KR 101208331 B1 KR101208331 B1 KR 101208331B1 KR 1020120019444 A KR1020120019444 A KR 1020120019444A KR 20120019444 A KR20120019444 A KR 20120019444A KR 101208331 B1 KR101208331 B1 KR 10120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grooves
support
dele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일
Original Assignee
민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일 filed Critical 민경일
Priority to KR102012001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4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건강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높이 및 일정너비로 이루어진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저면부 양쪽에는 일정너비만큼 바닥지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지지부 사이에는 일정높이만큼 상부쪽으로 패인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정자세로 누웠을 때는 낮게 베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어깨의 압박 없이 상대적으로 높이 벨 수 있게 되어 결국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기능 건강베개{Multi-function pillow}
본 발명은 다기능 건강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자세로 누웠을 때는 낮게 베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상대적으로 높이 벨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건강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편안한 수면을 위하여 머리에 괴는 도구로서, 적당 높이로 받쳐주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적당한 쿠션기능을 갖는 것이 기본이다.
종래의 베개는 통상적으로 적당한 크기의 베개 속과, 이 베개 속 위에 씌워지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개 속에 따라 베개 전체의 크기나 높이가 결정되는데, 베개 속으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메밀껍데기 또는 왕겨와 같은 곡물이나 건조된 약초, 세라믹을 함유한 합성수지 입자나 발포수지 입자, 동물의 털, 솜 등을 베개 속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면을 취하는 사람의 머리와 경추를 지지하면서도 일정한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라텍스 계열의 합성고무를 이용한 베개도 많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베개들 중,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베개를 선택하여 장기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한 가지 자세로만 수면을 취하기는 어렵다. 즉, 수면 중 정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양쪽을 번갈아가면서 옆방향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도 하며, 때로는 엎드려서 수면을 취하기도 한다.
여기서, 일정 높이를 갖는 베개를 정자세로 베는 경우, 인체의 뒷머리와 경추 및 등부위가 대략 일직선을 이룸으로써, 비교적 높지 않은 베개를 베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나, 동일 높이의 베개를 옆으로 베는 경우, 인체의 한쪽 어깨와 한쪽 얼굴면의 간격차로 인해 경추부위가 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수면 자세에 따라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하고, 반대로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한다.
예컨대, 수면 중 정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고, 수면 중 옆으로 누운 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게 된다.
일례로,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자세에서는 뒷머리 면과, 경추 및 등부위가 일직선 상태를 이룸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옆방향으로 눕게 되면 한쪽 어깨가 바닥(방바닥, 이불면, 매트리스면 등)에 밀착됨에 따라 머리가 상대적으로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낮은 베개가 머리를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하여 경추가 옆으로 휘게 되고, 더욱이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부위에 압박이 가해져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는 상태에서는,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진 머리부위를 제대로 지지해줌에 따라 경추가 옆으로 휨에 따른 압박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이에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상대적으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정자세로 눕게 되면, 머리가 위로 들려져서 경추부위에 압박이 심해져 결국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자세로 누웠을 때는 낮게 베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상대적으로 높이 벨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건강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옆으로 누웠을 때 베개에 대한 어깨의 압박을 최대한 줄여주어 더욱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건강베개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베개 내에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성체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뇌의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와 더욱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건강베개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건강베개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는, 일정높이 및 일정너비로 이루어진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저면부 양쪽에는 일정너비만큼 바닥지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지지부 사이에는 일정높이만큼 상부쪽으로 패인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깊이의 요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자기장을 띠는 자성체가 인입,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의 전면부에는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패인 어깨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요홈에 자성체가 인입,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을 막음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요홈에 자성체가 인입,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을 막음하는 끼움돌기가 일면에 형성되되, 일정두께를 갖는 보조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는, 일정높이 및 일정너비로 이루어진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저면부와 상면부 사이의 중앙부위에는 중공홈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깊이의 요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자기장을 띠는 자성체가 인입,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면부와 상면부 사이의 전면부 양쪽에는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패인 어깨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요홈에 자성체가 인입,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을 막음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홈에 자성체가 인입,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을 막음하는 끼움돌기가 일면에 형성되되, 일정두께를 갖는 보조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 베개의 상면부 전방측은, 사용자의 경추부위를 받치기 위하여 일정높이만큼 라운드지게 제1상향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개의 상면부 좌우측은, 사용자의 머리가 옆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높이만큼 라운드지게 제2상향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개의 저면부에는 일정깊이의 절개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간부의 내면에는 일정깊이의 요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들에는 자성체 또는 숙면보제가 인입되되, 상기 절개공간부는 덮개에 의해 덮이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공간부의 양쪽 대향면은 일정각도만큼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서 상기 절개공간부의 양쪽 경사면과 대응되는 양쪽 대향면 또한 일정각도만큼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는 일정두께의 보조받침대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전체적인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에 의하면, 정자세로 누웠을 때는 낮게 베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상대적으로 높이 벨 수 있게 되어 결국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즉, 옆으로 누웠을 때 베개에 대한 어깨의 압박이 최대한 줄어들어 더욱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개 내에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성체가 다수 설치됨으로써, 뇌의 원활한 혈액순환으로 더욱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는, 일정높이와 일정너비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면부와 저면부, 양 측면부, 정면부와 저면부를 갖는다.
여기서, 저면부는 양쪽에 일정너비만큼 바닥(방바닥, 이불, 매트리트 등)에 밀착지지되는 바닥지지부(20)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바닥지지부(20) 사이에는 바닥지지부(2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상부쪽으로 패인 절개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면부로부터 양쪽 바닥지지부(20) 저면까지의 높이가 H일 경우, 상면부로부터 절개홈(22)의 내면까지의 높이는 H-α(여기서 α=절개홈의 높이)가 되는바, 전체적으로 양쪽부위는 두껍고, 가운데 부위는 얇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지지부(20)의 저면으로부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깊이의 요홈(24)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24)들에는 자기장을 띠는 자성체(30)들이 인입,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자성체(30)들은 1000가우스 내외의 자기장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자성체(30)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은, 수면을 취하는 사람의 뇌 혈관을 흐르는 혈액의 순환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혈액에 쌓이게 되는 노폐물을 제거하여 결국 건강증진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 요홈(24)들에 자성체(30)들이 인입,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덮개(32)들에 의해 요홈(24)을 막음으로써, 상기 자성체(30)들이 요홈(24)들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지지부(20)의 전면부에는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패인 어깨 인입홈(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작용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에서 상면부 전방측은, 사용자의 경추부위를 받치기 위하여 일정높이만큼 라운드지게 제1상향돌출부(12)로 형성되고, 상기 베개(10)의 상면부 좌우측은, 사용자의 머리가 옆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높이만큼 라운드지게 제2상향돌출부(1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건강베개(10)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를 정자세로 누워 벨 경우, 사용자의 뒷머리는 상면부의 가운데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바, 머리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는 아래쪽으로 처짐이 발생된다.
즉, 상면부의 가운데부위는 그 저면부의 절개홈(22)에 의해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있는바, 사용자의 머리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짐으로써, 결국 낮은 높이의 베개(10)를 베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정자세로 누울 경우, 뒷머리면과 경추 및 등부위는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베개(10)가 낮은 높이를 유지하더라도 큰 불편함 없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세를 바꾸어 옆으로 누우면, 한쪽 어깨면이 바닥에 지지되고, 옆머리(또는 옆얼굴)는 바닥에 지지된 어깨에 비하여 일정간격만큼 뜨게 되는데, 이때 옆머리(또는 옆얼굴)가 베개(10)의 상면부 가운데부위에 위치하게 되면 머리가 아래로 처짐에 따라 경추가 옆으로 휘게 되어 목부위가 압박을 받게 되고, 이와 더불어 바닥에 지지되는 어깨에도 압박이 가해지게 되어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세를 바꾸어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는 옆머리를 상면부의 좌우측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베개(10)를 벤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는 중, 자세가 불편하면 본능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편한자세로 바꾸게 된다. 예컨대, 정자세에서 옆방향으로 누울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머리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베개(10)를 턱부근까지 최대한 가까이 당김으로써, 베개(10)가 목부위를 받치도록 하여 불편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정자세에서 자세를 바꾸어 옆으로 누울 경우, 옆머리는 베개(10)의 상면부 양쪽면 위에 올려놓게 되며, 따라서 머리부위가 바닥지지부(20)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높은 베개(10)를 베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 어깨에 가해지는 압박이 머리쪽으로도 분산되어 어깨로의 집중하중이 감소되는바, 보다 편안한 숙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닥에 밀착되는 한쪽 어깨는 바닥지지부(20)의 전면부에 일정깊이로 패인 어깨 인입홈(40)에 인입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베개(10)를 턱쪽으로 당김에 따라 베개(10)에 의한 어깨부위의 압박 또한 줄어들어 역시 편안한 숙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에 인입,설치된 다수의 자성체(30)들로부터 방출되는 자기장에 의해, 수면 중 뇌혈관의 혈액의 순환이 빠르게 진행되어 노폐물이 제거되는 기능도 발휘됨으로써, 건강증진에도 효과가 제공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에서 상면부 전방측에는 일정높이만큼 라운드지게 제1상향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는바, 사용자의 경추부위를 받쳐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베개(10)의 상면부 좌우측에는, 역시 일정높이만큼 라운드지게 제2상향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는바, 잠버릇이 비교적 험한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옆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 2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는, 일정두께를 갖는 보조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베개(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따라 비교적 높은 베개(10)를 선호할 수 있고, 반대로 비교적 낮은 베개(10)를 선호할 수 있는바, 본 제 2실시 예에서는 보조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베개(10)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조받침대(50)는 일정두께로 이루어지며, 그 일면에는 바닥지지부(20)의 요홈(24)에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기(5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앞선 제 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를 사용하던 중, 높이를 조금 높인 베개(10)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요홈(24)을 막음하는 덮개(32)를 제거하고, 이 요홈(24)에 보조받침대(50)의 끼움돌기(52)를 끼워맞춤으로써, 베개(10)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이면 된다.
본 제 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는 앞선 제 1실시 예에서 보조받침대(50)가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고, 그 외의 다른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서는, 앞선 제 1실시 예에서 절개홈을 대신하여 그 중앙부위에 일정간격의 중공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실시 예에서는 저면부의 중앙부위로부터 일정높이만큼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본 제 3실시 예에서는 저면부와 상면부 사이에 일정간격의 중공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면부와 저면부 사이의 중앙부위에 중공홈(22-1)이 형성된 경우,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와 같이, 정자세로 누우면 낮게 베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상대적으로 높이 벨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는, 앞선 제 1실시 예에서 절개홈 대신 중공홈(22-1)이 형성된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모두 동일하므로,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제 3실시 예에서는, 저면부와 상면부 사이에 중공홈(22-1)이 형성됨으로써, 저면부 전체면이 바닥에 밀착되는바, 저면부 전체에 걸쳐 요홈(24) 및 자성체(30)의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 4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는, 앞선 제 3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 더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보조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베개(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받침대(50)는 제 2실시 예에서와 같이, 일정두께로 이루어지며, 그 일면에는 바닥지지부(20)의 요홈(24)에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기(5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앞선 제 3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를 사용하던 중, 높이를 조금 높인 베개(10)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요홈(24)을 막음하는 덮개(32)를 제거하고, 이 요홈(24)에 보조받침대(50)의 끼움돌기(52)를 끼워맞춤으로써, 베개(10)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이면 된다.
본 제 4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는 앞선 제 3실시 예에서 보조받침대(50)가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고, 그 외의 다른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5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서는, 앞선 제 3실시 예에서 저면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자성체가 인입된 것을 대신하여, 저면부 중앙부위 즉 중공홈(22-1)의 아래쪽에 일정공간의 절개공간부(60)를 형성하고, 이 절개공간부(60) 안쪽에 복수의 요홈(64,66)들을 형성한 후, 이 요홈(64,66)들에 자성체(70) 및 숙면보조제(72)를 인입한 다음 덮개(80)로서 덮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상면부와 저면부 사이의 중앙부위에 중공홈(22-1)이 형성된 경우,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와 같이, 정자세로 누우면 낮게 베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상대적으로 높이 벨 수 있게 된다.
특히, 숙면에 도움을 주는 자성체(70) 및 숙면보조제(72)(국화향 등을 발산하는 향기제품 등)가 앞선 실시 예들보다 깊숙이 내재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부위와 더 근접하게 되는바, 보다 향상된 숙면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성체(70) 및 숙면보조제(72)가 덮개(80)에 의해 덮힌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도 외관상 더욱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공간부(60)의 양쪽 대향면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만큼 경사면(62)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덮개(80)의 양쪽 대향면 또한 일정각도만큼 경사면(82)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개공간부(60)에 덮개(80)가 덮여진 상태에서 덮개(80)가 절개공간부(6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는, 앞선 제 3실시 예에서와 상기한 구성 외의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모두 동일한바,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제 5실시 예에서는, 절개공간부(60)를 저면의 중앙부위에만 형성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저면 전체부위에 절개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절개공간부에 자성체 및 숙면보조제 인입을 위한 요홈을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의 변형 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는, 앞선 제 5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 더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보조받침대(84)를 더 포함하여 베개(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절개공간부(60)를 덮는 덮개(80)의 저부에 일정두께의 보조받침대(84)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두꺼운 덮개를 적용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베개(10)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선 제 5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를 사용하던 중, 높이를 조금 높인 베개(10)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받침대(84)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80)를 이용하여 절개공간부(60)를 덮도록 함으로써, 베개(10)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이면 된다.
제 5실시 예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건강베개(10)는 앞선 제 5실시 예에서 덮개(80)에 보조받침대(84)가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고, 그 외의 다른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다기능 건강베개 12 : 제1상향돌출부
14 : 제2상향돌출부 20 : 바닥지지부
22 : 절개홈 22-1 : 중공홈
24 : 요홈 30 : 자성체
32 : 덮개 40 : 어깨 인입홈
50 : 보조받침대 52 : 끼움돌기
60 : 절개공간부 62 : 경사면
64,66 : 요홈 70 : 자성체
72 : 숙면보조제 80 : 덮개
82 : 경사면 84 : 보조받침대

Claims (14)

  1.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저면부 양쪽에는 일정너비만큼 바닥지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지지부 사이에는 상부쪽으로 패인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들에는 자기장을 띠는 자성체가 인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요홈들을 막음하는 끼움돌기들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들이 복수의 요홈들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바닥지지부와 밀착되어 지지되는 보조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강베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의 전면부에는 안쪽으로 패인 어깨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강베개.
  4. 삭제
  5. 삭제
  6.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저면부와 상면부 사이의 중앙부위에는 중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로부터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들에는 자기장을 띠는 자성체가 인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요홈들을 막음하는 끼움돌기들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들이 복수의 요홈들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바닥지지부와 밀착되어 지지되는 보조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강베개.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상면부 사이의 전면부 양쪽에는 안쪽으로 패인 어깨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강베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 제 3항, 제 6항,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상면부 전방측은, 사용자의 경추부위를 받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제1상향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개의 상면부 좌우측은, 사용자의 머리가 옆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라운드지게 제2상향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강베개.
  12.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저면부와 상면부 사이의 중앙부위에는 중공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개의 저면부 중앙부위에는 안쪽으로 절개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공간부의 내면에는 복수의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들에는 자성체 또는 숙면보조제가 인입되며, 상기 절개공간부는 덮개에 의해 덮이되,
    상기 절개공간부의 양쪽 대향면에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서 상기 절개공간부의 양쪽 경사면과 대응되는 양쪽 대향면 또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강베개.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베개의 저면부와 밀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보조받침대가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강베개.
KR1020120019444A 2012-02-27 2012-02-27 다기능 건강베개 KR10120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444A KR101208331B1 (ko) 2012-02-27 2012-02-27 다기능 건강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444A KR101208331B1 (ko) 2012-02-27 2012-02-27 다기능 건강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331B1 true KR101208331B1 (ko) 2012-12-05

Family

ID=4790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444A KR101208331B1 (ko) 2012-02-27 2012-02-27 다기능 건강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5743A (zh) * 2022-04-11 2022-07-29 郑州市中心医院 一种神经内科护理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245B1 (ko) * 1998-02-06 2001-11-22 허진강 인체공학베개
JP2002262976A (ja) * 2001-03-08 2002-09-17 Masazumi Ishida 変形防止赤ちゃんまくら
KR200308945Y1 (ko) * 2002-11-26 2003-03-31 김수병 건강베개
KR200413871Y1 (ko) * 2006-01-27 2006-04-11 임영신 안락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245B1 (ko) * 1998-02-06 2001-11-22 허진강 인체공학베개
JP2002262976A (ja) * 2001-03-08 2002-09-17 Masazumi Ishida 変形防止赤ちゃんまくら
KR200308945Y1 (ko) * 2002-11-26 2003-03-31 김수병 건강베개
KR200413871Y1 (ko) * 2006-01-27 2006-04-11 임영신 안락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5743A (zh) * 2022-04-11 2022-07-29 郑州市中心医院 一种神经内科护理枕
CN114795743B (zh) * 2022-04-11 2024-03-12 郑州市中心医院 一种神经内科护理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686B2 (en) Pillow
US6513179B1 (en) Pillow
US10080450B2 (en) Functional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6581229B2 (en) Modular maternity mattress system
US20120102654A1 (en) Pillow
KR100978285B1 (ko) 숙면용 베개
CN206275477U (zh) 一种舒压海绵床垫
KR101930643B1 (ko) 베개
KR101922599B1 (ko) 메모리 폼 베개
KR101208331B1 (ko) 다기능 건강베개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US20120084923A1 (en) Neck and head support pillow
KR101843338B1 (ko) 에어 공급수단이 구비된 통풍 베개
KR20210031175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풍 베개
JP3640210B2 (ja)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KR200480002Y1 (ko) 숙면베개
KR100939081B1 (ko) 베개
KR102416037B1 (ko) 목과 머리받침이 편안함을 제공하는 목베개
KR101053093B1 (ko) 높이 조절 베개
KR101488605B1 (ko)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100867651B1 (ko) 베개
JP2007082746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