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894B1 -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 Google Patents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894B1
KR101207894B1 KR1020120036104A KR20120036104A KR101207894B1 KR 101207894 B1 KR101207894 B1 KR 101207894B1 KR 1020120036104 A KR1020120036104 A KR 1020120036104A KR 20120036104 A KR20120036104 A KR 20120036104A KR 101207894 B1 KR101207894 B1 KR 10120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lip
expansion
insulat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박우정
주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영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영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영기업
Priority to KR102012003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65D88/08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with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및 오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수직와이어;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직와이어 및 수평와이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신축 및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평면형 신축 조인트; 상기 저장탱크의 보온을 위해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며,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복수개의 보온패널; 상기 수평와이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보온패널을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고정시키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 및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 사이에는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을 2차 연결하는 조인트형 성형 클립을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불필요한 부자재의 사용 없이 저장탱크를 용이하게 보온할 수 있고, 유지, 관리, 보수작업에 따라 보온 구조물의 해체와 재사용 및 재설치가 용이하여 전반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저장탱크의 신축과 팽창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평면형 신축 조인트를 설치하여 저장탱크 둘레에 설치된 와이어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저장탱크의 신축과 팽창 시 와이어의 신축과 팽창 및 보온 패널의 신축과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을 설치하여 보온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각각의 보온패널을 연결하는 패널 플랜지 조인트 성형 클립을 설치하여 보온패널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보온패널의 해체와 재설치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Heat insulation structure of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저장된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저장탱크 내부의 유체를 보온하도록 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오일(Oil) 등을 저장하는 탱크 유형은 온도 변화에 따른 피해의 감소와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탱크(Storage Tank) 외부에 보온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저장탱크의 보온 방법은 US 4,534,490(이하, 특허문헌 1)과 US 4,122,640(이하, 특허문헌 2)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과 2는 저장탱크를 보온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Insulating Board)를 금속시트의 내층(Inner Layer)에 접착시켜 저장탱크를 보온하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보온시스템은 저장탱크 외부에 와이어 케이블을 수평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 케이블에 고정클립밴드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클립밴드에 단열재와 금속시트가 접착된 보온 패널을 체결하는 보온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보온시스템은 저장탱크 외부에 와이어 케이블을 수평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 케이블에 연결 화스너(Fastener)를 체결하고 상기 연결 화스너에 단열재와 금속시트가 접착된 보온 패널을 체결하는 보온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과 2에 개시된 보온시스템은 저장 탱크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저장 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과 오일을 외부 온도변화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보온 패널들을 연결하는 고정클립밴드는 계절 간 온도변화에 따른 저장탱크의 반복적인 신축과 팽창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보온 패널 플랜지와 플랜지의 압착식에 의한 체결 방법을 채택하고 있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저장탱크의 유지, 관리, 보수작업 시 보온 패널의 재사용이 어려워, 유지, 관리, 보수작업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보온 패널들을 연결하는 연결 화스너의 설치가 복잡하고 계절 간 온도변화에 따른 저장탱크의 반복적인 신축과 팽창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신축 및 팽창으로 인해 발생되는 보온 패널의 구조적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보온 패널 설치구조의 복잡함과 유지, 관리, 보수작업으로 인한 비용상승과 공사기간 증가를 방지하도록 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온 패널의 설치구조를 단순화하고 저장탱크의 신축 및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보온 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 및 오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수직와이어;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직와이어 및 수평와이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신축 및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평면형 신축 조인트; 상기 저장탱크의 보온을 위해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며,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복수개의 보온패널; 상기 수평와이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보온패널을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고정시키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 및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 사이에는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을 2차 연결하는 조인트형 성형 클립을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의 상기 평면형 신축 조인트는 대응되는 위치에 제1공간과 제2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1공간과 제2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변위를 유도하며, 일측에는 수직 및 수평 와이어와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형성된 L형 가이드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L형 가이드가 상기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되는 상부 및 하부덮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일단에는 상기 L형 가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리프 타입 스프링(Leaf type sprin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형 가이드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수직 및 수평 와이어와의 체결 인장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체결선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은 상기 보온패널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판넬 고정 클립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와이어에 끼워지는 훅 철물과, 상기 판넬 고정 클립과 상기 훅 철물을 연결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장착되며,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와이어의 팽창에 탄력적으로 적응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훅 철물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에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넬 고정 클립은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양단에는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볼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볼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 성형 클립은 "ㅜ"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양단에는 상기 보온패널과 접지하는 접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압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불필요한 부자재의 사용 없이 저장탱크를 용이하게 보온할 수 있고, 유지, 관리, 보수작업에 따라 보온 구조물의 해체와 재사용 및 재설치가 용이하여 전반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저장탱크의 신축과 팽창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평면형 신축 조인트를 설치하여 저장탱크 둘레에 설치된 와이어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저장탱크의 신축과 팽창 시 와이어의 신축과 팽창 및 보온 패널의 신축과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을 설치하여 보온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각각의 보온패널을 연결하는 조인트 성형 클립을 설치하여 보온패널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보온패널의 해체와 재설치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이 저장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에 외측면에 수직와이어와 수평와이어 및 평면형 신축 조인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면형 신축 조인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평면형 신축 조인트의 몸체에 탄성부재와 L형 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저장탱크가 팽창하였을 때 평면형 신축 조인트가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수평와이어에 스프링형 신축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스프링형 신축 클립에 의해 보온패널이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에 의해 보온패널을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장착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이 저장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에 외측면에 수직와이어와 수평와이어 및 평면형 신축 조인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면형 신축 조인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평면형 신축 조인트의 몸체에 탄성부재와 L형 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저장탱크가 팽창하였을 때 평면형 신축 조인트가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수평와이어에 스프링형 신축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스프링형 신축 클립에 의해 보온패널이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에 의해 보온패널을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장착한 상태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100)은 저장탱크(110)와, 수직와이어(120)와, 수평와이어(130)와, 평면형 신축 조인트(140)와, 보온패널(150)과, 스프링형 신축 클립(16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110)에는 물 및 오일이 저장되며, 상기 저장탱크(110)에는 수직와이어(120)와 수평와이어(130)가 장착된다. 상기 저장탱크(110)는 원통형 및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110)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는 수직와이어(120)가 장착되고, 수평방향으로는 수평와이어(130)가 장착된다.
상기 저장탱크(110)의 외측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수직와이어(120)와 수평와이어(130)에는 평면형 신축 조인트(140)가 구비된다. 상기 평면형 신축 조인트(140)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신축 및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저장탱크(110)의 외측면에 장착된 수직와이어(120)와 수평와이어(130)가 상기 저장탱크의 신축 및 팽창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탱크(110)의 신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수직와이어(120)와 수평와이어(130)가 끊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수직와이어(120)와 수평와이어(130)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110)가 파손될 수도 있다.
상기 평면형 신축 조인트(140)는 몸체(142)와, 탄성부재(144)와, L형 가이드(146)와, 상부덮개(148a) 및 하부덮개(148b)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42)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제1공간(142a)과 제2공간(142b)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제2공간(142b)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44)는 리프 타입 스프링(Leaf type spring)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적인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제2공간(142b)의 일단에는 각각 삽입부(142c)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42a)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142c)와 상기 제2공간(142b)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142c)는 대응되게 상기 몸체(14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142c)를 통해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상기 제2공간(142b)로는 상기 L형 가이드(146)가 삽입된다. 상기 L형 가이드(146)는 상기 탄성부재(144)의 변위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일측에는 상기 수직와이어(120) 및 상기 수평와이어(130)와 체결되는 체결고리(146a)가 형성되고, 상기 L형 가이드(146)에는 상기 탄성부재(144)와 상기 수직와이어(120) 및 상기 수평와이어(130)와의 체결 인장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체결선(146b)이 표시된다.
상기 L형 가이드(146)은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상기 제2공간(142b)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142c)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해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상기 제2공간(142b)으로 삽입되며, 상기 L형 가이드(146)가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상기 제2공간(142b)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체결선(146b)을 확인함으로 인하여 상기 수직와이어(120) 및 상기 수평와이어(130)의 인장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상기 제2공간(142b) 내부로 삽입된 상기 L형 가이드(146)와 상기 탄성부재(14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142)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덮개(148a)와 하부덮개(148b)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덮개(148a)와 하부덮개(148b)는 상기 몸체(142)에 체결수단(B)를 통해 장착되며, 상기 상부덮개(148a)와 상기 하부덮개(148b)의 면적은 상기 상부덮개(148a)와 상기 하부덮개(148b)가 상기 몸체(142)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몸체(142)의 제1공간(142a)과 상기 제2공간(142b) 내부로 삽입된 상기 L형 가이드(146)에 표시된 상기 체결선(146)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제1공간(142a)과 상기 제2공간(142b) 내부로 삽입된 상기 L형 가이드(146)와 상기 탄성부재(144)의 이탈을 방지할 정도로 상기 몸체(142)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탱크(110)의 외측에는 보온패널(150)이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 보온패널(150)의 양단에는 플랜지(162)가 형성된다. 상기 보온패널(150)은물과 오일(Oil) 등을 저장하는 탱크 유형은 온도 변화에 따른 피해의 감소와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탱크(Storage Tank) 외부를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보온패널(150)을 상기 저장탱크(110)의 외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프링형 신축 클립(160)은 상기 수평와이어(130)에 부착된다.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160)은 판넬 고정 클립(162)과, 훅 철물(164)와, 볼트(166)와, 압축스프링(168)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넬 고정 클립(162)은 상기 보온패널(150)의 양단에 구비되는 플랜지(152)와 체결되며, 상기 판넬 고정 클립(162)는 "T"자 형상을 가지고, 상부 양단에는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부(162a)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볼트(166)가 구비되며, 상기 볼트(166)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162b)이 형성된다.
상기 훅 철물(164)는 수직와이어(120)와 수평와이어(130)에 끼워지며, 상기 훅 철물(164)은 "ㄷ"자 형상을 가지고, 상부에는 상기 볼트(166)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164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볼트(166)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64b)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166)는 상기 판넬 고정 클립(162)와 상기 훅 철물(16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볼트(166)에는 상기 보온패널(150)과 상기 수직와이어(120) 및 상기 수평와이어(130)의 팽창에 탄력적으로 적응하는 압축스프링(168)이 장착된다.
상기 판넬 고정 클립(162)의 절곡부(162a)가 상기 보온패널(150)의 플랜지(152)에 끼워지고, 상기 판넬 고정 클립(162)이 상기 볼트(166)에 의해 상기 수직와이어(120) 또는 상기 수평와이어(130)에 장착된 훅 철물(164)과 연결되어 상기 보온패널(150)이 저장탱크(110)의 외측면에 복수개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보온패널(150)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160) 사이에는 상기 보온패널(150)과의 2차 연결하는 조인트 성형 클립(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성형 클립(170)은 "T"자 형상을 가지고, 상부 양단에는 상기 보온패널(150)과 접지하는 접지부(17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안착홈(174)가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 성형 클립(170)을 이용함으로 인하여 상기 보온패널(150)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160)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트 성형 클립(170)은 상기 보온패널(1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장탱크(110)의 보온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불필요한 부자재의 사용 없이 저장탱크(110)를 용이하게 보온할 수 있고, 유지, 관리, 보수작업에 따라 보온 구조물의 해체와 재사용 및 재설치가 용이하여 전반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저장탱크(110)의 신축과 팽창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평면형 신축 조인트(140)를 설치하여 저장탱크 둘레에 설치된 와이어(120, 13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저장탱크(110)의 신축과 팽창 시 와이어(120, 130)의 신축과 팽창 및 보온패널(150)의 신축과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160)을 설치하여 보온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각각의 보온패널(150)을 연결하는 조인트 성형 클립(170)을 설치하여 보온패널(150)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보온패널(150)의 해체와 재설치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110 : 저장탱크
120 : 수직와이어 130 : 수평와이어
140 : 평면형 신축 조인트 150 : 보온패널
160 : 스프링형 신축 클립 170 : 조인트 성형 클립

Claims (10)

  1. 물 및 오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수직와이어;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직와이어 및 수평와이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신축 및 팽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평면형 신축 조인트;
    상기 저장탱크의 보온을 위해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며,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복수개의 보온패널;
    상기 수평와이어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보온패널을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면에 고정시키는 스프링형 신축 클립; 및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 사이에는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을 2차 연결하는 조인트형 성형 클립을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신축 조인트는,
    대응되는 위치에 제1공간과 제2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1공간과 제2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변위를 유도하며, 일측에는 수직 및 수평 와이어와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형성된 L형 가이드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L형 가이드가 상기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되는 상부 및 하부덮개로 구성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일단에는 상기 L형 가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보온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리프 타입 스프링(Leaf type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보온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L형 가이드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수직 및 수평 와이어와의 체결 인장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체결선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형 신축 클립은,
    상기 보온패널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판넬 고정 클립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와이어에 끼워지는 훅 철물과,
    상기 판넬 고정 클립과 상기 훅 철물을 연결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장착되며, 상기 보온패널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와이어의 팽창에 탄력적으로 적응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훅 철물은 "ㄷ"자 형상을 가지고, 상부에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넬 고정 클립은 "T"자 형상을 가지고, 상부 양단에는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볼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성형 클립은 "ㅜ"자 형상을 가지고, 상부 양단에는 상기 보온패널과 접지하는 접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압착홈이 형성되는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KR1020120036104A 2012-04-06 2012-04-06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KR10120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04A KR101207894B1 (ko) 2012-04-06 2012-04-06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04A KR101207894B1 (ko) 2012-04-06 2012-04-06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894B1 true KR101207894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04A KR101207894B1 (ko) 2012-04-06 2012-04-06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8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32B1 (ko) * 2014-07-04 2014-10-30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선박용 탱크의 단열재받침대
KR101647444B1 (ko) * 2015-04-01 2016-08-10 강림인슈 주식회사 저온 액화 가스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탱크용 단열 시스템
US10072435B2 (en) 2014-03-28 2018-09-11 Public-Joint Stock Company “Transneft” Method for thermally insulating reservoirs
US10279992B2 (en) 2014-03-28 2019-05-07 Public Joint Stock Company “Transneft” Thermally insulated reservoi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2435B2 (en) 2014-03-28 2018-09-11 Public-Joint Stock Company “Transneft” Method for thermally insulating reservoirs
US10279992B2 (en) 2014-03-28 2019-05-07 Public Joint Stock Company “Transneft” Thermally insulated reservoir
KR101440532B1 (ko) * 2014-07-04 2014-10-30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선박용 탱크의 단열재받침대
KR101647444B1 (ko) * 2015-04-01 2016-08-10 강림인슈 주식회사 저온 액화 가스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탱크용 단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894B1 (ko) 저장탱크의 보온 구조물
US9252310B2 (en) Wear reduction system for rooftop mounts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US8984843B2 (en) Dome cover supporter
CA3019251A1 (en) Mount interace for light fixtures
KR101422505B1 (ko) 펌프타워 파이프구조물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US20150135608A1 (en) Mounting for solar cell panel
KR101337638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고정 스트립
RU1339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тиц от пораж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м током на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варианты)
KR100889578B1 (ko) 배관설치구
JP6012274B2 (ja) バスダクト支持構造
CN105507478A (zh) 一种吊顶安装组件
KR101367429B1 (ko) 직접접촉방식의 유류증발방지용 커버구조
KR101620513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70126229A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JP2006520523A (ja) 少なくとも一つの導体を支持片に対して電気的に接続しかつ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782789B1 (ko) 초고압 송전용 선로덕트
CN205377210U (zh) 一种组合式电缆桥架
KR200492659Y1 (ko)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TWM617911U (zh) 複合板及以複合板建構的帷幕牆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KR20120005948U (ko) 케이블 지지대
CN202252362U (zh) 一种防漏电锁扣式电缆桥架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