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785B1 -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 Google Patents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785B1
KR101207785B1 KR1020110083850A KR20110083850A KR101207785B1 KR 101207785 B1 KR101207785 B1 KR 101207785B1 KR 1020110083850 A KR1020110083850 A KR 1020110083850A KR 20110083850 A KR20110083850 A KR 20110083850A KR 101207785 B1 KR101207785 B1 KR 10120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ection
plate
fastening
band
suppor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8679A (en
Inventor
한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빌드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빌드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빌드윈
Publication of KR2012006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E04G13/025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with stiff clamping means bracing the back-side of the form without penetrating the form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가 제공되는데, 상기 구조체는 양측면이 개방된 수용 섹션과 양측면에 복수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갖는 길이 조절 섹션을 구비하는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밴드 플레이트의 수용 섹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섹션에 삽입된 다른 밴드 플레이트에 대해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그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체결용 가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에는 상기 수용 섹션에 삽입되는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위치 설정용 구멍에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돌기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the structure comprising: a band plate having a receiving section having open sides and a length adjusting section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in both sides; A fastening movable unit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band plate and configured to retreat with respect to another band plate inserted in the receiving sec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other band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 members are formed to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positioning hole of the other band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ection.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본 발명은 건물의 기둥 또는 칼럼 등의 주요 구조체를 콘크리트로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 콘크리트 거푸집을 외부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a concrete formwork for pouring concrete and solidly supporting the concrete formwork during curing in order to construct the main structure, such as pillars or columns of the building to concrete.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시 주요 골격 중 기둥이나 칼럼 등을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방식은 시공 구조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배근된 철근의 가장자리에 시공 설계에 맞는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후 거푸집 분리를 행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method of constructing columns or columns among the main skeletons in concrete dur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 on the upper part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install the formwork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design on the edge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n pour and cure the concrete. After that, the formwork is separated.

상기 거푸집은 통상 양측 가장자리에 체결공을 구비하며, 인접하는 거푸집을 서로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열한 후 그 체결공을 통해 핀홈이 형성된 체결핀을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핀의 핀홈에 소정의 체결핀을 삽입 및 고정하는 것으로 설치된다.The formwork is usually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on both sides of the edge, the adjacent formwork is arranged so that the fastening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nd then join the fastening pins formed with pin groov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nd the respective fastening holes It is installed by inserting and fixing a predetermined fastening pin in the pin groove of the fastening pin exposed through.

그러나, 이러한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시 특히 거푸집의 하부가 강한 압력을 받아 체결핀으로 결합된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formwork has a problem that a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formwork coupled to the fastening pins under the strong pressure of the formwork, especially when the concrete is poured.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거푸집 둘레에 장착되어 거푸집을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밴드 조립체가 제안된 바 있다.In an attempt to solve this, a support band assembly has been proposed that is mounted around the formwork to support the formwork in a fixed state.

이들 지지 밴드 조립체는 긴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 밴드 구조체를 사각형으로 배열하고, 거푸집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한 후 고정 핀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의 구성을 가진다.These support band assemblies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long plate-like support band structure is arranged in a rectangle, length-adjusted to form size, and then fastened using fastening members such as fixing pins.

그러나, 이들 종래의 지지 밴드 조립체는 지지 밴드 구조체를 상하로 적층 배열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support band assemblies have a problem in that assembly is difficult because the support band structures must be stacked up and down.

또한, 이들 지지 밴드 조립체를 서로 연결할 때 거푸집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 후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체결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 부재는 지지 밴드 조립체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끈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체에 연결하지만, 상기 끈 형태의 부내가 쉽게 끊어지고 따라서 분실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비용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band assembly is connected to each other, it should be fastened by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fter adjusting the length to formwork size. However, this fastening member is a member separate from the support band assembly, but is generally connected to the assembly by using a member in the form of a string, but the strap-shaped part is easily broken and thus lost, and thus the cost loss.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greatly.

또한, 지지 밴드 조립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조립체 외부로 크게 돌출된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시공이 종료된 후, 상기 조립체를 하방으로 던져서 조립체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돌출 부분이 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조립체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이에 따른 비용 손실이 크게 발생한다.In additio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band assembly protrudes largely out of the assembly. In general,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assembly is often thrown downward to disconnect the assembly. In this cas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is frequently bent or broken, so that the assembly itself Can not be used, resulting in a large cost los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의 주요 골격을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거푸집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stably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concrete formwork when placing concrete to construct the main skeleton of the building,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별도의 체결 기구를 이용하여 밴드 조립체를 체결할 수 있고 길이 조절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rm,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band assembly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chanism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for stable fastening and detachment itself. It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험한 건축 환경하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길이 조절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which can prevent damage to the length adjusting member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harsh building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가 제공되는데, 상기 구조체는 양측면이 개방된 수용 섹션과 양측면에 복수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갖는 길이 조절 섹션을 구비하는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밴드 플레이트의 수용 섹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섹션에 삽입된 다른 밴드 플레이트에 대해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그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체결용 가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에는 상기 수용 섹션에 삽입되는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위치 설정용 구멍에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돌기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the structure comprising a band plate having a receiving section open on both sides and a length adjusting section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on both sides; ; A fastening movable unit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band plate and configured to retreat with respect to another band plate inserted in the receiving sec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other band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 members are formed to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positioning hole of the other band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ection.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은 상기 수용 섹션의 단부에 고정 배치되고 나사 구멍을 갖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왕복 이동되는 로드 부재, 상기 로드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 부재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movable unit is a rotary part fixed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receiving section and having a screw hole, a rod member screwed into the screw hole of the rotating part and recipr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the And a movable plate fixed to the rod member and reciprocally mov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member,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 members may be formed on the movable plate.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위치 설정용 구멍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ding members can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the positioning holes.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수용 섹션에 수용되는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일측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통과하여 타특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통과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passing through the positioning hole on one side of the other band pla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ection and passing through the other specific positioning hole.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원주 림을 구비하며, 상기 원주 림은 상기 수용 섹션 내에 제공된 고정판에 접촉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part has a circumferential rim, which can be rotatably disposed in contact with a fixed plate provided in the receiving section.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 및 그 조립체는 건물의 주요 골격을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거푸집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upport band structure and the assembly for the concret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ably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concrete formwork when placing concrete to construct the main skeleton of the building,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It is easy.

또한, 거푸집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별도의 체결 기구에 의한 체결 과정을 요하지 않고 길이 조절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rm, and it is possible to fasten and detach itself at the same time to adjust the length without requiring a fastening process by a separate fastening mechanism.

또한, 험한 건축 환경하에서 외력를 받더라도 내부 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inner member even when subjected to external force in a harsh building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구조체에서 체결용 가동 유닛의 체결 동작에 따른 조립 상태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지지 밴드 구조체 간의 조립을 통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조립체를 실제 콘트리트 거푸집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구조체에서 체결용 가동 유닛의 체결 동작에 따른 조립 상태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구조체에서 체결용 가동 유닛의 체결 동작에 따른 조립 상태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구조체에서 체결용 가동 유닛의 체결 동작에 따른 조립 상태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ar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according to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movable unit in the support for concrete formwork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and assembly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nfigured through assembly between the support band structures of the embodiments of FIGS.
5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and assembly for concrete formwork of FIG. 4 is applied to an actual concrete formwork.
Figure 6 is a plan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according to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movable unit in the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ar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according to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movable unit in the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ar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according to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movable unit in the form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 및 그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nd an assembly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조립체는 물론, 그 조립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 밴드 구조체를 주요 주제로 한다.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a support band assembly for concrete formwork, as well as a support band structure in the form of a cuboid plate a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구조체에서 체결용 가동 유닛의 체결 동작에 따른 조립 상태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2 is a planar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according to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movable unit in the support for concrete formwork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100)는 크게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밴드 플레이트의 일단측에 구성된 체결용 가동 유닛(130)과, 상기 밴드 플레이트 내에서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130)에 대향 배치된 고정 플레이트(138)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band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band plate, a fastening movable unit 130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band plate, and the band plate And a fixing plate 138 disposed opposite the fastening movable unit 130 therein.

상기 밴드 플레이트는 소정의 형상, 예컨대 긴 중공의 원통형 또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다른 밴드 플레이트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수용 섹션(120)과,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수용 섹션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될 수 있는 길이 조절 섹션(110)을 포함한다.
The band plate has a predetermined shape, such as a long hollow cylindrical or hexahedral shape, and includes a receiving section 120 into which another band plate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ection of another band plate. It includes a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that can be adjusted to fit the size.

상기 수용 섹션(120)은 다른 밴드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상부면과 하부면(121)에 의해 수용 공간(120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121)에는 후술하는 길이방향 슬롯(123)이 형성되어 있다.
The receiving section 120 is open to both sides so that the other band plate can be inserted horizontally, and forms a receiving space (120a) b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21,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longitudinal slot 123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121.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121)은 길이 조절 섹션(110)의 단부(110a) 측으로의 고정을 위한 연장부(121a)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장부 없이 바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121 is shown as having an extension portion 121a for fixing to the end portion 110a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but without such extension portion by a method such as welding directly It is also possible to be fixed.

상기 길이 조절 섹션(110)은 양측면에 복수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115)은 추후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수용 섹션 내의 수용 공간에 해당 길이 조절 섹션(110)이 삽입된 후 후술하는 체결용 가동 유닛(130)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115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These holes 115 are parts where the fastening is performed by the fastening movable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in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other band plate.

상기 수용 섹션(120)의 내부에는 해당 수용 섹션(120)의 수용 공간(120a)에 삽입된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길이 조절 섹션(110)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삽입 체결되도록 진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그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체결용 가동 유닛(130)이 제공된다.
The receiving section 120 is configured to be retractable to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positioning hole 115 of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of the other band pl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0a o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ection 120. Thus, a fastening movable unit 130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other band plate is provided.

또한, 상기 길이 조절 섹션(110)의 단부(110a)에는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130)에 대향하여 고정되고, 상기 수용 섹션(120)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138a)를 구비하는 고정 플레이트(138)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end plate 110a of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is fixed to the fastening movable unit 130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having a fixing protrusion 138a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ection 120 ( 138 is provided.

상기 고정 플레이트(138)의 고정 돌기(138a)는, 후술하는 체결용 가동 유닛(130)의 가동 플레이트(137)의 체결 돌기와 함께, 상기 수용 섹션(120)에 삽입되는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fixing protrusion 138a of the fixing plate 138 is for positioning the other band pl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ection 120 together wit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movable plate 137 of the movable unit 130 for fastening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115 and fastened.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130)은 크게 회전부(131), 로드 부재(136), 가동 플레이트(137)를 포함한다.
The fastening movable unit 130 includes a rotating part 131, a rod member 136, and a movable plate 137.

상기 회전부(131)는 상기 수용 섹션(120)의 단부에 고정 배치되고 나사 구멍(135)을 가진다. 상기 회전부(131)는 원주 림(rim)(133)을 갖는 생크부(132)와 생크 단부(1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원주 림(133)은 수용 섹션(120)의 단부 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판(125, 12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생크부(132) 및 생크 단부(134)는 상기 고정판(125, 127)의 중심 구멍(125a, 127a)을 통해 삽입 연장된다.
The rotating part 131 is fixed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receiving section 120 and has a screw hole 135. The rotating portion 131 may have a shank portion 132 having a circumferential rim 133 and a shank end 134, in which case the circumferential rim 133 is an end of the receiving section 120. The shank portion 132 and the shank end portion 134 are rotatably disposed between two fixing plates 125 and 127 formed on the side, and the center holes 125a and 127a of the fixing plates 125 and 127 are disposed. Insertion extends through.

상기 원주 림(133)은 상기 고정판(125, 127) 사이에서 고정판(125)에 접촉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추후 체결용 가동 유닛(130)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밴드 구조체(100)를 상호 조립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거푸집을 지지할 때, 가동 플레이트(137)와 로드 부재(136)를 통해 회전부(131) 측으로 전해지는 부하를 고정판(125)에 대한 지지를 통해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ircumferential rim 133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125 between the fixing plates 125 and 127, thereby mutually supporting the supporting band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astening movable unit 130. When assembling to support the formwork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t serves to buffer the load transmitted to the rotating part 131 side through the movable plate 137 and the rod member 136 through the support for the fixing plate 125.

이러한 완충 기능의 확대를 위해 상기 원주 림(133)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판(125, 127) 사이에서 고정판(125)에 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원주 림(133) 외에, 수용 공간(120a)을 향하는 고정판(127)의 후면에 접촉 상태로 회전부(131)에 의한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추가의 원주 림(도시 생략)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ircumferential rim 133 may be further formed to expand such a cushioning function. That is, in addition to the circumferential rim 133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125 between the fixing plates 125 and 127, the rotary part 131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27 facing the receiving space 120a. It is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circumferential rims (not shown) which are rotatable upon rotation.

상기 로드 부재(136)는 나선부(136a)와 단부(136b)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131)의 나사 구멍(135)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131)의 회전에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다.
The rod member 136 includes a spiral portion 136a and an end portion 136b and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135 of the rotating portion 131 to be recipr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131.

상기 가동 플레이트(137)는 상기 로드 부재(136)의 단부(136b)가 관통구(137a)를 통해 관통 돌출되도록 상기 단부(136b) 근처에 예컨대 용접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된다.
The movable plate 137 is fixed by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for example, near the end 136b such that the end 136b of the rod member 136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hole 137a.

이때, 상기 가동 플레이트(137)는 상기 로드 부재(136)의 단부(136b)에 고정되고, 별도의 체결 돌기(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부(136b)와 동일시하여 설명한다)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At this time, the movable plate 137 is fixed to the end portion 136b of the rod member 136, and may constitute a separate fastening protrusion (described below in the same manner as the end portion 136b). .

따라서, 로드 부재(136)에 고정된 가동 플레이트(137)는 회전부(131)의 회전에 의해 로드 부재(136)가 왕복 이동 가능하므로, 밴드 구조체(100) 사이의 조립시,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길이 조절 섹션(110)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체결 돌기(또는 단부(136b))가 삽입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able plate 137 fixed to the rod member 136 is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rod member 136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131, so that when the assembly between the band structure 100, the length of the other band plate A fastening protrusion (or end 136b)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positioning hole 115 of the adjusting section 110.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137)는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수용 섹션(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121)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슬롯(123)에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13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vable plate 137 has guide protrusions inserted into and guided in the longitudinal slots 123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21 of the receiving section 12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137b) may be further included.

이러한 가이드 돌기(137b) 및 길이 방향 슬롯(123)은 가동 플레이트(137)의 왕복 이동시 이동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가혹한 건축 현장에서 밴드 플레이트에 외부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가이드 돌기(137b)가 일차적으로 그 응력을 받아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밴드 플레이트가 험하게 다루어지더라도, 일차적으로 가이드 돌기가 그 힘을 받게 되므로, 로드 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로드 부재가 휘어져 전체적으로 밴드 구조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37b) 및 길이 방향 슬롯(123)은 가동 플레이트(137)와 수용 섹션(12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These guide protrusions 137b and the longitudinal slots 123 ensure movement stability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137. In addition, even when an external stress is applied to the band plate in a severe building site, the guide protrusion 137b is primarily supported by the stress. Therefore, even if the band plate is roughly handled, since the guide protrusion is subjected to the force primari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ess applied to the rod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rod member from bending and preventing the band structure from being used as a whole. have. Only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137b and the longitudinal slots 123 may be formed at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plate 137 and the receiving section 120, and may be formed at both sides as shown.

상기 고정 플레이트(138)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137)에 대향하여 상기 길이 조절 섹션(110)의 단부(110a)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체결 돌기(또는 단부(136b))에 대향하는 고정 돌기(138a)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xing plate 138 is fixed to the end portion 110a of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by welding or the like opposite to the movable plate 137,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or end portion 136b) of the movable plate 137 is fixed. )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138a opposite to it.

상기 고정 돌기(138a)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37)의 체결 돌기(또는 단부(136b))와 함께, 밴드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시 회전부(131)의 회전에 의한 가동 플레이트(137)의 이동에 의해 일 밴드 플레이트의 수용 섹션(120)에 수용된 타 밴드 플레이트의 길이 조절 섹션(110)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되어 밴드 플레이트 사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하고 체결 해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도 2 및 도 3 참조).
The fixing protrusions 138a work together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s (or end portions 136b) of the fixing plate 137 b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137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131 during assembly between the band plates. Inserted or un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115 of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of the other band pla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ection 120 of the band plate to allow more stable fastening and unfastening between the band plates ( 2 and 3).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밴드 플레이트의 구조체를 조립 형성하여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조립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 band assembly for concrete formwork to assemble and form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band plate to support the concrete formwork.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지지 밴드 구조체 간의 조립을 통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and assembly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nfigured through assembly between the support band structures of the embodiments of FIGS.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조립체는 일 구조체의 일단부측이 타 구조체의 타단부측에 삽입 배열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사각형으로 서로 평행 배열된 지지 밴드 구조체(100A)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support band assembly for concrete formwork includes a support band structure 100A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square shape in such a manner that one end side of one structur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other structure.

상기 지지 밴드 구조체(100A) 각각은 양측면이 개방된 수용 섹션(120)과 양측면에 복수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을 갖는 길이 조절 섹션(110)을 구비하는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밴드 플레이트의 수용 섹션(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섹션에 삽입된 다른 밴드 플레이트에 대해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그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체결용 가동 유닛(130)과,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130)에 대향하여 상기 길이 조절 섹션(110)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 섹션(120)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138a)를 구비하는 고정 플레이트(138)를 포함한다.Each of the support band structures 100A includes a band plate having a receiving section 120 having open sides and a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115 at both sides, and receiving the band plate. A fastening movable unit 130 installed inside the section 120 and configured to retreat with respect to another band pl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ec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other band plate, and the fastening movable unit ( And a fixing plate 138 fixed to an end of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opposite the 130, and having a fixing protrusion 138a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ection 120.

상기 지지 밴드 구조체(100A)의 각 구성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each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band structure 100A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described abov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이러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조립체의 구성에 따른 조립 동작을 설명하면, 하나의 지지 밴드 구조체(100A)의 일단부 측에 형성된 수용 섹션(120) 내에 다른 지지 밴드 구조체(100A)의 길이 조절 섹션(110)을 그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138)의 고정 돌기(138a)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거푸집 크기에 맞게 삽입하는 한편, 체결용 가동 유닛(130)의 회전부(131)를 회전시켜 가동 플레이트(137)의 체결 돌기(또는 단부(136b))가 삽입된 길이 조절 섹션(110)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삽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3차례 반복함으로써 4개의 지지 밴드 구조체(100A)를 사각형 배열로 조립 완료한다. 즉 지지 밴드 구조체를 상호 체결할 때,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두 구조체를 상호 연결할 수 있어, 별도의 체결 부재와 관련한 비용 상승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분리 과정은 상기 조립 과정을 역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완료된다.
Referring to the assembly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band assembly for concrete formwork, the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of the other support band structure 100A in the receiving section 120 formed on one end side of one support band structure 100A. )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115 to fit the mold size while the fixing protrusion 138a of the fixing plate 138 is inserted, while rotating the rotary part 131 of the fastening movable unit 130 to The four support band structures 100A by repeating the process three times such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or the end portions 136b) of the movable plate 137 ar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115 of the inserted length adjusting section 110. To assemble the square array. That is, when fastening the support band structures to each other, the two structur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hereby eliminating the cost increas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separate fastening members. The separation process is completed by inverting the assembly process.

이러한 지지 밴드 조립체을 사용하여 예시적으로 콘크리트(C) 거푸집(M)의 외측 프레임(F)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firmly fixing the outer frame F of the concrete C formwork M using such a support band assembly is shown in FIG. 5.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 및 그 조립체는 건물의 주요 골격을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거푸집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upport band structure and the assembly for the concret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ably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concrete formwork when placing concrete to construct the main skeleton of the building,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It is easy.

또한, 수용 섹션, 체결용 가동 유닛 및 고정 플레이트의 구성에 의해 거푸집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별도의 체결 기구에 의한 체결 과정을 요하지 않고 길이 조절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section, the fastening movable unit and the fixing plate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rmwork, and it is possible to fasten and detach itself in a stable manner at the same time without requiring a fastening process by a separate fastening mechanism. .

또한,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종료되어, 조립체를 조립 해제할 때, 밴드 구조체를 예컨대 땅바닥에 떨어뜨리는 것과 같은 험한 작업이 이루어져도, 로드 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5 참조), 종래 기술과 달리 그 충격에 의해 로드 부재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가 일차적으로 외부 응력을 지탱하기 때문에, 구조체 내부의 로드 부재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험한 건축 환경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부 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구조체의 파손이나 손상 등과 관련한 비용 증가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 the concrete pouring operation is finished, and when the assembly is disassembled, even if a rough operation such as dropping the band structure on the ground is performed, the rod member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FIG. 5). Unlike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d member from bending or breaking due to the impact thereof. Furth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ince the guide protrusions primarily bear external stresses, the warpage of the rod members inside the structure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warpage of the inner members can be prevent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harsh build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problem of cost increase related to breakage or damage of the structure can be solved.

상기한 실시예들은 단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밴드 구조체를 체결할 때 로드 부재의 단부(136b)와 고정 돌기(138a)가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삽입되도록 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두 구조체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two band structures are fastened, the rod members 136b and the fixing protrusions 138a ar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115 so that the two structures can be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5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138) 및 그 고정 돌기(138a)와 가동 플레이트(137)를 관통하는 로드 부재의 단부(136b) 없이, 두 구조체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즉 수용 공간(120a)을 향해 있는 가동 플레이트(137)의 표면에는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삽입되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돌기 부재(139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기 부재 사이의 간격은 위치 설정용 구멍(115)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용이하게 상기 구멍에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들 돌기 부재는 가동 플레이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용접 과정을 통해 가동 플레이트의 표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wo structures are fastened without the fixing plate 138 and its fixing protrusion 138a and the end portion 136b of the rod member penetrating the movable plate 137. have. 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137 facing the receiving space 120a, a plurality of projection members 139b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115 and in this embodiment are formed, and between the projection members The spacing of is configured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the positioning holes 115,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e. These protruding member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able plate, or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through a separate welding process.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 플레이트 표면의 돌기 부재(139b)가 위치 설정용 구멍(115)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른 밴드 구조체를 수용 공간 내로 삽입한 후, 두 위치 설정용 구멍에 맞춰 돌기 부재(139b)를 삽입하여, 두 밴드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 플레이트와 관련된 구성을 채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두 밴드 구조체를 연결할 수 있어, 고정 플레이트와 관련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또 그 구성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기 부재(139b)를 타 밴드 구조체의 폭을 가로질러, 타측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타 밴드 구조체를 연결 및 지지할 수도 있다.
Unlike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139b of the movable plate surface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115. Therefore, after inserting the other band structur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projection member 139b can be inserted in accordance with the two positioning holes,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two band structur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it is possible to stably connect the two band structures without adopting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fixing plate, thereby reducing the cost associated with the fixing plate and also the configuration It can be further simplified. On the other hand,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ojection member 139b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penetrate the hole for positioning on the other side across the width of the other band structure, to more stably connect and support the other band structure. You may.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는 오로지 고정 돌기(138a')를 이용하여 두 밴드 구조체를 연결하여 고정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37)를 관통하는 체결 돌기 등이 없고, 고정 플레이트(138)의 고정 돌기(138a')를 길게 형성하여, 수용 공간(120a)에 삽입된 다른 밴드 구조체의 폭 전체에 결쳐 그 구조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즉 고정 돌기(138a')는 타 밴드 구조체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을 관통하여, 반대쪽의 위치 설정용 구멍(115)을 통과하여 연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단지 고정 돌기(138a')로도 다른 밴드 구조체를 안정되게 연결하고 지지할 수 있다.
7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only two band structures are connected and fixed by using the fixing protrusion 138a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re is no fastening protrusion or the like penetrating through the movable plate 137, and the fixing protrusion 138a ′ of the fixing plate 138 is formed long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20a. It is made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structure in the whole width | variety of the other band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fixing protrusion 138a 'is preferably configured to extend through the positioning hole 115 of the other band structure and through the positioning hole 115 on the opposite side.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connect and support the other band structure only with the fixing protrusion 138a '.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반대로, 로드 부재(136)의 단부(136b')를 길게 형성하여, 그 단부를 이용하여 타 밴드 구조체를 연결하고 지탱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37)를 관통하는 체결 돌기 또는 로드 부재의 단부(136b')는 타 밴드 구조체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타 밴드 구조체가 수용 공간(120a)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 돌기 또는 단부(136b')이 상기 타 밴드 구조체의 일측에 형성된 위치 설정용 구멍(115)을 통과하여, 타측에 형성된 위치 설정용 구멍(115)을 통과한다. 따라서, 체결 돌기 또는 단부(138b')만으로도 타 밴드 구조체를 연결하여 지탱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고, 이 고정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타측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통과한 체결 돌기 또는 단부(136b')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구멍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돌기 또는 단부(136b')가 타 밴드 구조체뿐만 아니라, 자신의 밴드 구조체의 고정 플레이트에도 연결되어, 두 밴드 구조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 및 지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 돌기 또는 단부는 로드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가동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8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end portion 136b 'of the rod member 136 is elongat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other band structure using the end portion. differen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end 136b ′ of the fastening protrusion or rod member penetrating the movable plate 137 is formed long enough to extend across the width of the other band structure. That is, when the other band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20a, the fastening protrusion or the end 136b 'passes through the positioning hole 115 formed at one side of the other band structure, and the positioning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Pass 115. Therefore, the other band structure may be connected and supported only by the fastening protrusion or the end portion 138b '.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a fastening protrusion or end portion 136b 'which provides a fixing plate, forms a hole in the fixing plate, and has passed through the hole for positioning on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enter into the hole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protrusion or end 136b 'is connected not only to the other band structure but also to the fixing plate of its band structure, so that the two band structures can be more stably connected and suppor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astening protrusion or e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d membe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able plate.

이상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상기 실시예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고, 이들 실시예는 서로 조합하여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Whi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s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100, 100A: 밴드 구조체
110: 길이 조절 섹션
115: 위치 설정용 구멍
120: 수용 섹션
130: 체결용 가동 유닛
136: 로드 부재
136b, 136b': 로드 부재 단부 또는 체결 돌기
137: 가동 플레이트
137b: 가이드 돌기
138: 고정 플레이트
138a, 138a': 고정 돌기
139b: 돌기 부재
100, 100A: band structure
110: length adjusting section
115: hole for positioning
120: acceptance section
130: fastening movable unit
136: rod member
136b, 136b ': rod member end or fastening protrusion
137: movable plate
137b: Guide turning
138: fixed plate
138a, 138a ': fixed protrusion
139b: projection member

Claims (5)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로서,
양측면이 개방된 수용 섹션과 양측면에 복수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갖는 길이 조절 섹션을 구비하는 밴드 플레이트와;
상기 밴드 플레이트의 수용 섹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섹션에 삽입된 다른 밴드 플레이트에 대해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그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체결용 가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에는 상기 수용 섹션에 삽입되는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위치 설정용 구멍에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돌기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섹션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길이 방향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섹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
As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 band plate having a receiving section having open sides and a length adjusting section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at both sides;
A fastening movable unit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band plate and configured to retreat with respect to another band plate inserted in the receiving sec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other band plate.
It includes, The fastening movable uni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for positioning of the other band pl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ec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section is formed with a longitudinal slot, the fastening movable unit movable in the receiving s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slot guide Support band structure for form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가동 유닛은 상기 수용 섹션의 단부에 고정 배치되고 나사 구멍을 갖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왕복 이동되는 로드 부재, 상기 로드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 부재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ovable unit is fixed to the end of the receiving section and the rotating portion having a screw hole, the rod member screwed to the screw hole of the rotating portion reciprocal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the rod member And a movable plate fixed to the movable plate and reciprocally mova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member,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 members are formed on the movable plate, and the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movable plate. Support band structur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위치 설정용 구멍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The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ding member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positioning hol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수용 섹션에 수용되는 다른 밴드 플레이트의 일측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통과하여 타특의 위치 설정용 구멍을 통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The support band for concrete formwork as set forth in claim 3, wherein the protrud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length passing through a positioning hole on one side of another band pla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ection and passing through another specific positioning hole. Structure.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원주 림을 구비하며, 상기 원주 림은 상기 수용 섹션 내에 제공된 고정판에 접촉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The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formwor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rotating part has a circumferential rim, the circumferential rim being rotatably disposed in contact with a fixed plate provided in the receiving section. .
KR1020110083850A 2010-12-17 2011-08-23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KR1012077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670 2010-12-17
KR20100129670 2010-12-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632A Division KR101129493B1 (en) 2010-12-17 2011-04-08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79A KR20120068679A (en) 2012-06-27
KR101207785B1 true KR101207785B1 (en) 2012-12-04

Family

ID=4614271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632A KR101129493B1 (en) 2010-12-17 2011-04-08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KR1020110083852A KR101129495B1 (en) 2010-12-17 2011-08-23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KR1020110083850A KR101207785B1 (en) 2010-12-17 2011-08-23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632A KR101129493B1 (en) 2010-12-17 2011-04-08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KR1020110083852A KR101129495B1 (en) 2010-12-17 2011-08-23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1294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53B1 (en) * 2013-04-18 2014-07-23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ree-form concrete segment
KR200478228Y1 (en) * 2014-07-24 2015-09-10 주식회사 동신텍 Mold fixing band for concrete column
CN111550043B (en) * 2020-05-07 2021-07-27 广东中立建设有限公司 Fastening system of concrete rectangular column tem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column
KR200495712Y1 (en) * 2020-10-23 2022-07-29 이천우 Apparatus for Supporting Pillar Form
CN114197883B (en) * 2021-08-18 2023-05-26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Integrated assembly type build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78B1 (en) 2010-06-07 2010-11-24 배윤희 Concrete form support wal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143U (en) * 1992-11-10 1994-06-07 株式会社フジタ Mortar outflow prevention formwork
JPH0679956U (en) * 1993-04-27 1994-11-08 株式会社熊谷組 Support for formwork panels for columns
JP2000129917A (en) 1998-10-23 2000-05-09 Matsuki Tekkosho:Kk Column clamp
KR100982676B1 (en) 2010-01-08 2010-09-16 주식회사 빌드윈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a concrete mold and an assembly thereof
KR20100001450U (en) * 2010-01-18 2010-02-09 이상정 Supporting bar fixing tool for mold concrete column of construction
KR101152340B1 (en) * 2010-04-23 2012-06-11 정지현 Fast column wa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78B1 (en) 2010-06-07 2010-11-24 배윤희 Concrete form support w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493B1 (en) 2012-03-28
KR20120068679A (en) 2012-06-27
KR101129495B1 (en)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785B1 (en) Support band structure for concrete mold
KR101645538B1 (en) Double wall and double wall structure produced by using double wall
JP5450016B2 (en) Concrete formwork
KR101134368B1 (en)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a concrete mold and an assembly thereof
KR101762155B1 (en) Twin wall having detachable trus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34919B2 (en) Tension connector
KR101830343B1 (en) In-corner coupling implement for construction mold
KR100982676B1 (en) A support band structure for a concrete mold and an assembly thereof
KR20120033931A (en) In-corner coupling implement for construction mold
KR102435578B1 (en) Mold panel
KR101415699B1 (en) Mold for column
KR101108283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beam mold and support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478228Y1 (en) Mold fixing band for concrete column
KR200357642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inconner panel
JP2003293447A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post beam connection part
WO2006126784A1 (en) Mold for cement mortar
KR101713080B1 (en) In-corner coupling implement for construction mold
KR101696725B1 (en) Formwork for armor unit
KR20080057512A (en) Precast formwork structure
KR20170115927A (en) Form panel for concrete
KR200493898Y1 (en) Fastening device for upper member for euroform-type mold
KR200489692Y1 (en) Cross connection for form
KR20140130950A (en) Fixing frame for pillar form
CN113846774B (en) Anti-seismic wall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JP2015158062A (en) Form structure for slit formation and reinforcement hardwar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