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211B1 - A slope road - Google Patents

A slope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211B1
KR101207211B1 KR1020110087558A KR20110087558A KR101207211B1 KR 101207211 B1 KR101207211 B1 KR 101207211B1 KR 1020110087558 A KR1020110087558 A KR 1020110087558A KR 20110087558 A KR20110087558 A KR 20110087558A KR 101207211 B1 KR101207211 B1 KR 101207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side member
ramp
insertion ho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이노인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인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인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2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Abstract

PURPOSE: A ramp is provided to adjust a height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gap between a step and the ground by hinging members for forming a road to each other. CONSTITUTION: A ramp comprises first and second main bodies(120,140) and a height adjusting unit(130). The first main body has a first road surface member(122b) and a first part block(122a).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is coupled to the top end of a step of a road. The first part block is coupled to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in a line with the road. The second main body has a second part block(142a) and a second road surface member(142b). The second part block is coupled to the first part block.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part block and extends the road to the ground. The height adjusting unit is locat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and ascends and descends one end of the first main body. [Reference numerals] (AA) Top; (BB) Left; (CC) Rear; (DD) Front; (EE) Right; (FF) Bottom

Description

경사로{A SLOPE ROAD}Ramp {A SLOPE ROAD}

본 발명을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차가 형성된 통행로에 설치하여 휠체어, 유모차, 카트 등의 통행을 편리하게 하도록 한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mp to facilitate the passage of a wheelchair, stroller, cart, etc. by installing in a stepped passageway.

알려진 바와 같이 휠체어, 유모차 등이 계단을 이용하기 위해서 계단 일 측면에 구비된 리프트를 이용하거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리프트나 엘리베이터는 설치 비용도 많이 들고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혼자서 작동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As is known, a wheelchair, a baby carriage, or the like uses a lif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airs or an elevator to use the stairs. The lift or elevator was expensive to install and was inconvenient to operate alone without the help of oth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단의 단차와 단차를 연결하는 경사로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경사로는 계단의 단차와 단차 사이에 삼각블록이 구비되고, 구비된 삼각블록 상에 판형상의 노면을 위치시키면 경사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amp connecting the step and step of the stairs has been developed. The ramp is provided with a triangular block between the steps of the step and the step, it is configured to form a ramp when the plate-shaped road surface is placed on the provided triangular block.

상기 경사로의 경우 일반적으로 삼각블록의 형상이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구비되는 삼각블록의 높이보다 높은 계단에 삼각블록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삼각블록을 여러 개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ramp, since the shape of the triangular block is generally standardized, in order to apply the triangular block to a step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rovided triangular block, it is troublesome to adjust the height by stacking several triangular blocks.

또한, 상기 경사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필요시에 적층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휠체어나 유모차 등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삼각블록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경사로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amp is not fixed but is stacked and used when necessar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iangular block may move in the process of moving a wheelchair or a baby stroller, thereby causing an accident in which the ramp is collapsed.

본 발명은 계단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고,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휠체어, 유모차를 사용하는 보행자의 평지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경사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mp that can easily control the height and angle of the stairs, to form a prefabricated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at the same time easily secure the flat of the pedestrian using a wheelchair, stroller.

본 발명은, 단차가 형성된 통행로의 상기 단차 상단에서부터 끼움결합되어 통행로를 형성하는 제1 노면부재(122b)와, 상기 통행로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노면부재(122b)와 끼움결합되는 제1 파트블록(122a)을 구비하는 제1본체부(120); 상기 제1 파트블록(122a)와 일단이 힌지결합하는 제2파트블록(142a)와, 상기 제2파트블록(142a)의 타단과 끼움결합되어 지면으로 상기 통행로를 연장형성하는 제2 노면부재(142b)를 구비하는 제2본체부(140); 상기 제1 본체부(120)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본체부(120) 일단을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130)를 포함하는 경사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계단과 계단의 높이와 각도에 관계없이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ssage and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which is fit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tep of the stepped passage formed to form a passage. A first body part 120 having a first part block 122a fitted thereto; A second road block member 142a,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first part block 122a, and a second road surface member that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t block 142a to extend the passageway to the ground ( A second body part 140 having a 142b);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20 provides a slope including a height adjusting unit 130 for lifting one end of the first main body 120.
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ramp regardless of the height and angle of the stairs and stairs.

삭제delete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20)는 상기 제1 노면부재(122b)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통행로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부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부(140)는 상기 제2 노면부재(142b)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통행로를 상기 지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2 경사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142b)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재(124)(144)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130)는,
상기 통행로의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142b)의 외측단부가 끼움되는 제1 측면부재(132A) 및 제2 측면부재(139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부재(132A)는, 상기 제1 측면부재(132A)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조절부재(134A); 및 상기 조절부재(134A)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134A) 및 상기 제1 측면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6A);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부재(132A)에 삽입 결합된 상기 조절부재(134A)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본체부의 높이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제1 측면부재(132A)는 상기 조절부재(134A)가 삽입 및 결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재(132A)의 삽입공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34A)가 걸림되는 복수개의 걸림턱(13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재(134A)는, 상기 제1 측면부재에 삽입되는 삽입스틱(133A); 및 상기 삽입스틱(133A)과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131A)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삽입스틱(133A)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턱(135A);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부재(132B)는 상기 조절부재(134B)가 삽입 및 결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재(132B)의 삽입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34A)가 걸림되는 걸림턱(131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 측면부재에 삽입되는 삽입스틱(133B); 및 상기 삽입스틱(133B)과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131B)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삽입스틱(133B)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턱(135B);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턱(135B)은, 내부에 상기 삽입스틱(133B)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스틱(133B)과 상기 위치조절턱(135B)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재는 상기 조절부재가 삽입 및 결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제1 측면부재의 내부에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ody portion 120 includes a first inclined member 124 which is mounted to the outer end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to form an access road for entering the passage, the second body The unit 140 may include a second inclined member 144 mounted at an outer end of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to seat the passage on the groun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members 124 and 144 are fitted. Height adjustment unit 130,
It is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and includes a first side member 132A and a second side member 139A to which out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are fitted.
The first side member 132A includes: an adjusting member 134A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ide member 132A; And a support member 136A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djustment member 134A and supporting the adjustment member 134A and the first side member. It includes, and the height of the first body por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gree of the adjustment member 134A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side member (132A).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ide member 132A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134A is inserted and bound, an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side member 132A and the adjustment member 134A.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ngaging jaw (131A) that is latched. In this case, the adjustment member 134A includes an insertion stick 133A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ember; And a position adjusting jaw 135A coupled to the insertion stick 133A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stick 133A by being caught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131A. . ≪ / RTI >
The first side member 132B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134B is inserted and bound, and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side member 132B, so that the adjustment member 134A is formed. The lock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locking jaw 131B, wherein the adjustment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stick 133B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ember; And a position adjusting jaw 135B coupled to the inserting stick 133B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ng stick 133B by being caught by one of the catching jaws 131B. It includes, the positioning jaw 135B, is formed in a doughnut shape having an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tick 133B, the insertion stick 133B and the positioning jaw 135B is a screw Combined.
In addition, the first side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is inserted and bound, an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side the first sid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r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통행로를 형성하는 각 부재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단차와 지면 사이의 높이에 상관없이 세부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First, each member forming the passage is hinged, so that the detailed height can be adjusted regardless of the height between the step and the ground.

둘째, 통행로를 형성하는 각 부재를 필요시에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으며, 각 부재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통행로 상부에서 물체의 가압력을 버티는 힘이 작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통행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Second, each member forming the passage can be assembled and separated as needed, and each member is slide-coupled to secure the passage by acting to force the pressing force of the object on the pa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사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파트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노면부재 및 경사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경사로의 구동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측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로의 측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경사로의 측면부재 및 조절부재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mp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ramp of FIG. 1.
3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block of FIG. 1.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road surface member and the inclined member of FIG.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driving the ramp of FIG. 1.
6 is a view showing the side member of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ide member of the r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member and the adjustment member of the ramp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equivalent to replaceabl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로는 단차가 형성된 벽면이나 계단 등에 장착된 장치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벽면에서 지면으로 연장 형성된 예를 들기로 한다. 또한, 통행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경사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고, 제1 및 제2 노면부재는 두 쌍이 구비된 예를 들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각 부재가 구비되는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r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mounted on a stepped wall or step, for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will be given an example formed extending from the wall to the ground. In addition, a pair of first and second inclined members that may serve as a passageway may be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may be provided with two pairs,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member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사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파트블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노면부재 및 경사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amp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art block of Figure 1, Figure 4 1 illustrates a road surface member and an inclined member of FIG. 1.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100)는 제1 본체부(120), 제2 본체부(140) 및 높이조절부(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am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20, a second body portion 140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130.

상기 제1 본체부(120)는 지면(f)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계단, 벽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본체부(120)는 단차 상단에서부터 복수의 제1 노면부재(122b)가 끼움 결합되어 단차 상단에서 평지를 연장시킬 수 있다. The first main body 120 may be mounted on a step, a wall surface, or the like having a step formed from the ground surface f. In this case, the first main body 120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oad surface members 122b from the upper end of the step to extend the flat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step.

또한, 상기 제2 본체부(140)는 제1 본체부(120)와 체결되되, 적어도 하나의 제2 노면부재(142b)가 끼움 결합되어 제1 본체부(120)에서부터 지면(f)까지 연결시켜 휠체어, 유모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통행로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main body 140 is fastened to the first main body 120, and at least on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is fitted to be connected from the first main body 120 to the ground f. It can act as a passageway that wheelchairs, baby carriages, etc. can pass.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20)는 단차 상단과 제1 노면부재(122b) 외측 단부를 연결하여 통행로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재(124)는 단차 상단에서 제1 노면부재(122b)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통행로로 진입하는 휠체어나 유모차 등이 바퀴로 이동하기 때문에 진입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통행로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ody portion 12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member 124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tep and the outer end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to form an access road for entering the passage. The first inclined member 12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top of the step to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This is because a wheelchair or a baby stroller that enters a passage moves with wheel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nter the passage more safely by forming an entrance slope.

또한, 제2 본체부(140)는 제2 노면부재(142b)와 지면(f)을 연결하여 통행로를 지면(f)에 안착시킬 수 있는 제2 경사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재(144)는 제2 노면부재(142b) 외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노면부재(142b)에서부터 지면(f)까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통행로를 이동하는 물체가 지면(f)에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main body 140 may include a second inclined member 144 that connects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and the ground f to seat the passage on the ground f. The second inclined member 144 may be mounted at an outer end of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and an object moving along the passageway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to the ground f. To be able to seat safely.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본체부(120)는 제2 본체부(140)과 힌지 결합하는 힌지홈(147)이 구비된 제1 파트블록(122a)을 구비하고, 제2 노면부재(142b)는 상기 힌지홈(147)에 결속 및 체결되는 힌지단(143)이 구비되는 제2 파트블록(142a)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may be hinged. To this end, the first main body 120 includes a first part block 122a having a hinge groove 147 hinged to the second main body 140, and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is hinged. A second part block 142a having a hinge end 143 coupled to and fastened to the groove 147 may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 각각에 제1 파트블록(122a) 및 제2 파트블록(142a)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트블록(122a, 142a)에 힌지단(143) 및 힌지홈(147)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의 경사진 각도를 조절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후술할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 142b)에도 힌지단 및 힌지홈이 구비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를 제1 및 제2 파트블록(122a, 142a)과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 142b)로 나뉘어 설명하지만, 상기 파트블록(122a, 142a)과 노면부재(122b, 142b)는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기능 및 효과가 동일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art block 122a and a second part block 142a ar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s are provided. A hinge end 143 and a hinge groove 147 are formed in the blocks 122a and 142a to adjust an inclined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but the first and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are also provided with a hinge end and a hinge groove so that they can be hinged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ar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part blocks 122a and 142a and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described, the part blocks 122a and 142a and the road members 122b and 142b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so that their functions and effects may be the same.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제1 및 제2 파트블록(122a, 142a)은 힌지 결합하여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Referring back to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part blocks 122a and 142a are hing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상기 힌지단(143) 및 힌지홈(147)은 좌측에서 우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0 ~ 15도까지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단차의 높이에 관계없이 단차와 지면(f) 사이에 경사로(1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본체부(120) 및 제2 본체부(140)를 힌지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를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장소에 관계없이 경사로(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hinge end 143 and the hinge groove 147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and may be rotated from 0 to 15 degrees, so that the stepped portion and the ground surface f may be free from the step height.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ramp 100. Thus, by hinge-bonding the first body portion 12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40, it is possible to mount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 120, 140 inclined at a desired angle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ramp 100 regardless of the place.

한편, 제1 및 제2 파트블록(122a, 142a)의 측 단부에는 경사로(1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 142b)가 제공된다. 이때, 제1 및 제2 파트블록(122a, 142a)은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 142b)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 결합홈(145a) 및 제2 결합홈(14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145a, 145b)은 좌측에서 우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 142b)가 통행로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slide)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are provided at sid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art blocks 122a and 142a to form the ramp 100.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art blocks 122a and 142a may be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groove 145a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145b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hav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45a and 145b are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slide from left to right or right to left based on a passage. It can be formed so that it can be bonded (slide).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 142b)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145a, 145b)에 대응되어 체결단(123)이 형성될 수 있다. Fastening ends 123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45a and 145b.

상기 체결단은 상기 제1 노면부재 및 제2 노면부재 각각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그 기능 및 효과 또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상 제1 노면부재(122b)에 형성된 체결단(123)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fastening end may be formed on both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and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but since the functions and effects are the same below, the fastening end 123 formed on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is pro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상기 체결단(123)은 상기 제 1파트블록(122a)의 제1 결합홈(145a)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결합홈(145a)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단(123)과 반대의 위치에는 상기 제1 경사부재(124)를 결속하는 제2 결합홈(145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노면부재(122b)의 각각의 단에는 체결단(123)과 제2 결합홈(145b)이 교대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노면부재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본체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상기 제1노면부재를 복수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노면부재의 제2결합홈은 인접하는 제1노면부재의 결합단과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fastening end 12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45a of the first part block 122a, and may be slid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45a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 second coupling groove 145b for binding the first inclined member 12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fastening end 123. That is, the fastening end 123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5b are alternately formed at each end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nly one first road surface member is used, but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part is extended, a plurality of first road surface members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second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road member It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end of the adjacent first road surface member.

이때, 제1 경사부재(124)는 상기 제1 노면부재(122b)에 결속되어 통행로의 진입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체결단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부(127)는 제2 결합홈(145b)에 결속되며, 상기 체결단(12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inclined member 124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so that the fastening end 127 may be formed to form an access road. The fastening end 127 is boun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5b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astening end 12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의 제1,2파트블록(122a, 142a) 및 제1,2노면부재(122b,142b)는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부재가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통행로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력과 각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력 사이는 수직항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행로에는 통행로 상부에서 가압하는 물체의 가압력에 대해 소정의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통행로가 무너지는 등의 사고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를 결합시킴으로써 장치 설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part blocks 122a and 142a and the first and second road members 122b and 142b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may be slide-coupled. As the members are slide-coupled in this way, a vertical drag may act between the pressing force urging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assage and the coupling force to which each member is coupled. As a result, sinc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cts on the pressing path of the object pressurized by the upper part of the passa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uch as the passage falling. In addition, the devic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또한, 각 부재는 원하는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다. 즉, 각 부재는 평상시에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에 조립되어 장소를 관계하지 않고 경사로가 필요한 위치에 조립,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100)의 생산성,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member can be assembled at a desired position. That is, since each member is normally maintained in a separated state, it is assembled when necessary, and thus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ramp 100 can be improved because the ramp can be assembled and mounted at a location where a ramp is requir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로의 구동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driving the r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파트블록(122a, 142a)는 힌지 결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제1 노면부재(122b) 및 제2 노면부재(142b) 는 단차와 지면과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짐을 다르게 하여 장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 142b)와 제1 및 제2 경사부재(124, 144)는 힌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part blocks 122a and 142a are hinge-coupled examples. Similarly,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and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may be mounted with different inclination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step and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 And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members (124, 144) is preferably coupled to hinge rotation.

즉, 도 5의 (a)를 참고하면, 단차와 통행로가 나란할 경우에는 제1 노면부재(122b)와 제1 경사부재(124)는 별도로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반면, 단차의 상면과 통행로를 소정각도 기울여 장착하여야하는 경우에는 기울어진 각도(θ1) 만큼 제1 노면부재(122b)를 경사지게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노면부재(122b)는 기울어진 각도(θ1)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경사부재(124)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5A, when the step and the passage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and the first inclined member 124 may be mounted in parallel without being inclined separate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and the passage should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may be inclined by the inclined angle θ 1 . In this case,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may be hinged to the first inclined member 124 to maintain the inclined angle θ 1 .

이와 유사하게 도 5의 (b)를 참고하면, 지면(f)과 경사로 사이의 경사각에 따라 제2 노면부재(142b)의 장착 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지면(f)과 경사로 사이의 경사각이 거의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노면부재(142b)를 지면(f)과 나란하게 장착할 수 있지만, 지면(f)과 경사로 사이의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제2 노면부재(142b)의 경사각이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2 노면부재(142b)는 지면과의 경사정도에 따라 제2 경사부재(144)와의 결합력은 향상시키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Similarly, referring to FIG. 5B, the mounting condition of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ground f and the ramp. That is, when there is almost no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ground f and the ramp,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may be mounted side by side with the ground f, but as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ground f and the ramp in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may gradually increase. At this time,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may be preferably hinged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second inclined member 144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with the ground, but to adjust the angle.

삭제delet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로의 측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로의 측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경사로의 측면부재 및 조절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높이조절부(130A)는 통행로의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제1 노면부재(122b)의 외측단부가 끼움되는 제1 측면부재(132A) 및 제2 측면부재(139A_도 1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재(132A)(139A)는 제1 및 제2 본체부(120, 140)의 좌, 우측면에 모두 구비되어 통행로를 이동하는 휠체어나 유모차 등이 좌, 우측면으로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ide member of the r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side member of the ramp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ide member and adjustment member of a ramp.
Referring to FIG. 6, the height adjusting unit 130A is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and the first side member 132A and the second side member 139A_ fitted with outer ends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1). The first and second side members 132A and 139A are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 and 140 so that a wheelchair or a baby stroller that moves a passage may fal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t can prevent slipping.

삭제delete

이때, 제1 측면부재(132A)는 단차와 지면(f)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측면부재(132A)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조절부재(134A) 및, 상기 조절부재 하단에 구비되며 조절부재(134A)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34A)가 제1 측면부재(132A)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노면부재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ide member 132A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member 134A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ide member 132A so as to adjust the height between the step and the ground f. It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36A for supporting the member 134A. The height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134A is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ember 132A.

이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제1 측면부재(132A)에는 상기 조절부재(134A)가 삽입 및 결속되기 위하여 삽입공(138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공(138A)은 제1 측면부재(132A)의 상, 하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131A)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order to examine this in more detail, an insertion hole 138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ide member 132A to insert and bind the control member 134A, and the insertion hole 138A may be forme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along the upper, lower direction of the first side member 132A, a plurality of engaging jaw (131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이때, 조절부재(134A)는 상기 제1 측면부재(132A)에 삽입되는 삽입스틱(133A), 및 삽입스틱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스틱(133A)을 복수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고정하는 위치고정턱(135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고정턱(135A)의 위치에 따라 제1 노면부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djustment member 134A is formed on the insertion stick 133A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ember 132A, and the top of the insertion stick, and the insertion stick 133A to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Position fixing jaw 135A may be fixed. Here, the height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도 6을 참고하면, 삽입공(138A)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측면부재의 상하 방향을 따라 3 개의 걸림턱(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턱(135A)은 삽입스틱(133A)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턱(135A)은 상기 삽입스틱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스틱(133A)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며 상기 위치고정턱(135A)과 결합된다.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스틱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스틱(133A)과 상기 위치고정턱(135A)은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미세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위치고정턱(135A)을 돌려서 상기 위치고정턱을 삽입스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위치고정턱(135A)을 위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적정한 높이를 얻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ree locking jaws 131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38A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side member.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stick 133A. 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is formed in a donut shape having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stick is inserted. The insertion stick 133A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and is coupled to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and a screw bone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stick, so that the insertion stick 133A and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are screwed together. Accordingly, when adjusting the fine height, the user rotates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to move the position fixing jaw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sertion stick, and then fixes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at a position to be appropriate. You can get height.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위치고정턱(135A)이 삽입공 중 최하측의 걸림턱(131A)에 걸림되면, 제1 측면부재(132A)는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위치고정턱(135A)이 삽입공 중 최상측의 걸림턱에 걸림되면, 제1 측면부재는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131A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insertion hole, the first side member 132A may be positioned at the highest posi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is caught by the uppermost locking jaw of the insertion hole, the first side member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st height.

이와 같이 제1 측면부재(132A)에 형성된 삽입공(138A)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31A)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위치고정턱(135A)을 억지 끼움하여 제1 노면부재 및 제1 노면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1 측면부재(132B)는 조절부재(134B)가 삽입 및 결속되는 삽입공(138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공(138B)의 내측에는 제1 측면부재(132B)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의 걸림턱(131B)이 형성될 수 있다.
Thus,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and the first road surface by forcibly fitting the position fixing jaw (135A) accor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locking step (131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38A) formed in the first side member (132A) The height of the member can be adjusted.
Meanwhile,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first side member 132B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sertion hole 138B in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134B is inserted and bound, and an insertion hole 138B. Inward) one locking step 131B may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side member 132B.

이때, 조절부재(134B)의 삽입스틱(133B)은 위치고정턱의 중앙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위치고정턱(135B)과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삽입스틱(133B)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턱(135B)의 삽입홀의 내측면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스틱(133B)과 상기 위치고정턱(135B)은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스틱(133B)에 체결 조립되는 위치고정턱(135B)의 위치에 따라 제1 노면부재(122b)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sertion stick 133B of the adjustment member 134B is screwed to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whil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position fixing jaw. That is,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stick 133B, and a screw bon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so that the insertion stick 133B and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are screwed together. do.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fastened to the insertion stick 133B.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위치고정턱(135B)가 상기 삽입스틱(133B)에 체결 조립되는 위치는 제1 노면부재(122b)를 위치하고자 하는 높이(h₁, h₂)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노면부재(122b)의 위치를 최상위 높이(h₁)를 유지하고자 할 때, 위치고정턱(135B)을 삽입스틱(133B)의 최상단에 체결 조립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노면부재(122b)의 높이(h₂)를 낮게 하고자 할 때에는 위치고정턱(135B)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돌려 장착한 뒤 삽입스틱(133B)을 삽입공(138B)에 억지끼움하면 삽입공(138B)에 위치고정턱(135B)이 걸려 제1 노면부재(122b)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position at which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is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insertion stick 133B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h ₁, h ₂ to position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is to maintain the highest height h 최상위,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may be fastened and assembled at the top of the insertion stick 133B. On the contrary, when the height h₂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is to be lowered,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is rotat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n the insertion stick 133B is pressed into the insertion hole 138B. The position fixing jaw 135B is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138B and the height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may be adjusted.

상기와 같이 제1 측면부재 하부에 조절부재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제1 노면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제1 측면부재 하부에 차량용 쟉(Jack)와 같은 핸드리프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is adjusted by providing an adjustment member and a support member under the first side member, but a hand lift such as a vehicle jack is provided below the first side member. It may be.

상기와 같이 단차가 형성된 계단이나 벽면과 지면을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경사로(100)는 단차와 지면과의 높이에 관계없이 세부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단차 극복뿐만 아니라 통행로를 형성하는 각 부재를 필요시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구간의 길이에 관계없이 통행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amp 100 provided to connect the step or the wall surface and the ground on which the step is formed may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in detail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step and the ground. In addition, as well as overcoming the step, each member forming the passage can be assembled when necessary, so that the passage can be formed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required sec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경사로 120: 제1 본체부
122a: 제1 파트블록 122b: 제1 노면부재
124: 제1 경사부재 130: 높이조절부
132, 132A, 132B: 제1 측면부재 134A, 134B: 조절부재
139 : 제2 측면부재 140: 제2 본체부
142a: 제2 파트블록 142b: 제2 노면부재
144: 제2 경사부재
100: ramp 120: first body portion
122a: first part block 122b: first road surface member
124: first inclined member 130: height adjustment unit
132, 132A, 132B: first side member 134A, 134B: adjusting member
139: second side member 140: second body portion
142a: second part block 142b: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4: second inclined member

Claims (10)

단차가 형성된 통행로의 상기 단차 상단에서부터 끼움결합되어 통행로를 형성하는 제1 노면부재(122b)와, 상기 통행로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노면부재(122b)와 끼움결합되는 제1 파트블록(122a)을 구비하는 제1본체부(120);
상기 제1 파트블록(122a)와 일단이 힌지결합하는 제2파트블록(142a)와, 상기 제2파트블록(142a)의 타단과 끼움결합되어 지면으로 상기 통행로를 연장형성하는 제2 노면부재(142b)를 구비하는 제2본체부(140);
상기 제1 본체부(120)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본체부(120) 일단을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130)를 포함하는 경사로.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which is fit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tepped passageway to form a passageway,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ssageway, and has one end fitted with the first roadside member 122b. A first body part 120 having a first part block 122a;
A second road block member 142a,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first part block 122a, and a second road surface member that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t block 142a to extend the passageway to the ground ( A second body part 140 having a 142b);
A ramp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unit 130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to raise and lower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2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120)는 상기 제1 노면부재(122b)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통행로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부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부(140)는 상기 제2 노면부재(142b)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통행로를 상기 지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2 경사부재(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ain body 120 includes a first inclined member 124 mounted at an outer end of the first road surface member 122b to form an access road for entering the passageway,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140 is mounted to the outer end of the second road surface member (142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inclined member (144) for seating the passage on the groun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142b)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재(124)(144)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and 142b may have a first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to which on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members 124 and 144 are fitted. runw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130)는,
상기 통행로의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노면부재(122b)(142b)의 외측단부가 끼움되는 제1 측면부재(132A) 및 제2 측면부재(139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130,
It is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ide member (132A) and the second side member (139A) to which the out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ad surface members (122b, 142b) is fitted. Ramp.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재(132A)는,
상기 제1 측면부재(132A)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조절부재(134A); 및
상기 조절부재(134A)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134A) 및 상기 제1 측면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6A);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부재(132A)에 삽입 결합된 상기 조절부재(134A)의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본체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side member 132A,
Adjusting member (134A)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ide member (132A); And
A support member 136A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djustment member 134A and supporting the adjustment member 134A and the first side member; Including;
The slope of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first main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gree of the adjustment member (134A)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ember (132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재(132A)는 상기 조절부재(134A)가 삽입 및 결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재(132A)의 삽입공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34A)가 걸림되는 복수개의 걸림턱(131A)을 더 포함하는 경사로.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ide member 132A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134A is inserted and bound,
Slop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side member (132A)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locking jaws (131A) 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134A) is engag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134A)는,
상기 제1 측면부재에 삽입되는 삽입스틱(133A); 및
상기 삽입스틱(133A)과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131A)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삽입스틱(133A)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턱(135A); 을 포함하는 경사로.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mber 134A,
An insertion stick 133A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ember; And
A position adjusting jaw 135A coupled to the insertion stick 133A and being caught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131A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stick 133A; Ramps that includ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재(132B)는 상기 조절부재(134B)가 삽입 및 결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부재(132B)의 삽입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34A)가 걸림되는 걸림턱(131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 측면부재에 삽입되는 삽입스틱(133B); 및
상기 삽입스틱(133B)과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131B)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삽입스틱(133B)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턱(135B);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턱(135B)은, 내부에 상기 삽입스틱(133B)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스틱(133B)과 상기 위치조절턱(135B)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ide member 132B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djustment member 134B is inserted and bound,
It is furth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rst side member 132B, and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step (131B) that the control member 134A is caught,
The adjusting member,
An insertion stick 133B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member; And
A position adjusting jaw 135B coupled to the insertion stick 133B to adjust a position of the insertion stick 133B by being caught by any one of the locking jaws 131B; Including,
The positioning jaw 135B is formed in a donut shap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insertion stick 133B is inserted.
The insertion stick (133B) and the position adjustment jaw (135B) ramp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재는 상기 조절부재가 삽입 및 결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제1 측면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ide member is an inclined r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the adjustment member is inserted and boun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side the first side member.
KR1020110087558A 2011-08-31 2011-08-31 A slope road KR101207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58A KR101207211B1 (en) 2011-08-31 2011-08-31 A slope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58A KR101207211B1 (en) 2011-08-31 2011-08-31 A slope r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211B1 true KR101207211B1 (en) 2012-12-05

Family

ID=4790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558A KR101207211B1 (en) 2011-08-31 2011-08-31 A slope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211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14Y1 (en) 2013-03-14 2014-04-07 윤광주 Ramp for stairs
JP2017066595A (en) * 2015-09-28 2017-04-06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Slope formation device
JP2017198060A (en) * 2016-02-08 2017-11-02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Slope device
KR20200002738A (en) * 2019-12-20 2020-01-08 남호진 Stage and rostrum wheelchair lift ramp
KR200490908Y1 (en) 2019-09-19 2020-01-21 주식회사 다연테크 detachable ramp
KR200491427Y1 (en) * 2019-03-07 2020-04-06 권우희 Threshold base
GB2586089A (en) * 2019-05-29 2021-02-03 Enable Acess Holdings Ltd Ramp structure
KR20210000322U (en)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한국폴딩도어 adjustable in angle Lower rail
KR20220071636A (en) * 2020-11-24 2022-05-31 권우희 Folding ram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302A (en) * 2000-07-04 2002-01-23 Kaei Boeki Kk Height variable indoor slope for difference in level
JP2003003634A (en) 2001-06-26 2003-01-08 Cygnus Kogyo:Kk Assembled slope for stepped passage
KR100956080B1 (en) 2009-11-26 2010-05-07 네오머스(주) A slope way for a bicy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302A (en) * 2000-07-04 2002-01-23 Kaei Boeki Kk Height variable indoor slope for difference in level
JP2003003634A (en) 2001-06-26 2003-01-08 Cygnus Kogyo:Kk Assembled slope for stepped passage
KR100956080B1 (en) 2009-11-26 2010-05-07 네오머스(주) A slope way for a bicycl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14Y1 (en) 2013-03-14 2014-04-07 윤광주 Ramp for stairs
JP2017066595A (en) * 2015-09-28 2017-04-06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Slope formation device
JP2017198060A (en) * 2016-02-08 2017-11-02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Slope device
KR200491427Y1 (en) * 2019-03-07 2020-04-06 권우희 Threshold base
GB2586089B (en) * 2019-05-29 2022-07-06 Enable Access Holdings Ltd Ramp structure
GB2586089A (en) * 2019-05-29 2021-02-03 Enable Acess Holdings Ltd Ramp structure
KR20210000322U (en)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한국폴딩도어 adjustable in angle Lower rail
KR200493945Y1 (en) * 2019-08-01 2021-07-02 주식회사 한국폴딩도어 adjustable in angle Lower rail
KR200490908Y1 (en) 2019-09-19 2020-01-21 주식회사 다연테크 detachable ramp
KR20200002738A (en) * 2019-12-20 2020-01-08 남호진 Stage and rostrum wheelchair lift ramp
KR102343717B1 (en) * 2019-12-20 2021-12-24 남호진 Stage and rostrum wheelchair lift ramp
KR20220071636A (en) * 2020-11-24 2022-05-31 권우희 Folding ramp
KR102569882B1 (en) * 2020-11-24 2023-08-23 권우희 Folding r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211B1 (en) A slope road
US8066578B2 (en) Challenge course
US9400080B2 (en) Automatic rise jack stand
CN102031927B (en) Escaping ladder
US20120304571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EP2740855A1 (en) Modular ramp construction and wedge elements herefore
US20210087821A1 (en) Telescopic staircase system and uses thereof
KR102199114B1 (en) Footrest beveling assembly for height-adjustable
KR20210000628A (en) A stage ramp structure with an assembly type
US20160123035A1 (en) Universal bifurcated stanchion for handrail systems
CN206233535U (en) Lifting scaffold
KR101950221B1 (en) Supporting means for glass guard fence
US20080235885A1 (en) Support platform
KR101266906B1 (en) Fastener for fences
CN106516958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assenger conveyors and passenger conveyors
KR100511840B1 (en) Car carrier having a inclination board
KR102212899B1 (en) Modular ramp
KR102382122B1 (en) Indoor ride system for kids
KR101224434B1 (en) Floor board for deckrod system
JP7417989B2 (en) multilevel parking device
KR101266907B1 (en) Fence installation method using a fastener for fences
JP520041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uspended structure building, suspended structure building
KR102249911B1 (en) Handrail post for deck rod with welding joint uint
KR101155622B1 (en) Fastener for fences
KR200461718Y1 (en) Boll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