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158B1 -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 Google Patents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158B1
KR101207158B1 KR1020120041751A KR20120041751A KR101207158B1 KR 101207158 B1 KR101207158 B1 KR 101207158B1 KR 1020120041751 A KR1020120041751 A KR 1020120041751A KR 20120041751 A KR20120041751 A KR 20120041751A KR 101207158 B1 KR101207158 B1 KR 101207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ecological
support plate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호
허준욱
강형일
임상민
김재민
선승천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질로 오염된 갯벌에 대한 갯벌서식 생물에 대한 육상유래 유기물 등의 정화능력 실험을 위해 사용되는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용기;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과 배수밸브;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를 분사시킬 수 있는 물분사구가 설치되고 물 배수관과 물 분사구는 에어펌프를 매개로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태수조에 설치된 퇴적물에는 갯벌의 유기물분해 능력이 있는 환경생물을 사육시켜, 해수에 유기물을 혼합하여 첨가하여 환경생물이 사육되는 퇴적물에 공급하여 갯벌과 해수의 유기물분해능을 실험함으로서 연안 갯벌현장에서는 직접 실험 할 수 없는 엔도설판과 같은 유기물에 대한 갯벌 생물 등의 유기물 분해능력에 대한 실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A mesocosm tank for ecological experiment of Aquatic Toxicity}
본 발명은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퇴적층을 비롯한 연안 갯벌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 및 갯지렁이등의 동물들이 퇴적층에 포함된 유기 독성 물질의 분해 정도를 알아 보기 위한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용기;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과 배수밸브;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를 분사시킬 수 있는 물분사구가 설치되고 물 배수관과 물 분사구는 에어펌프를 매개로하여 연결된 구성을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에 관한 것이다.
갯벌은 지구 생태계 면적의 0.3%에 불과하지만 단위 면적당 생태적 가치가 농경지의 100배, 숲의 10배에 달하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과학잡지인 네이쳐에 따르면 1997년 갯벌의 경제적인 가치를 지구 생태계 총 가치의 5%로 추정한 바 있고 이는전 세계의 호수와 강이 갖는 생태적 가치와 맞먹는 수치이다.
또한 갯벌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강의 하구역이나 내만수역에 넓게 발달하기 때문에 육지로부터 유입된 유기물과 영양염류로 인해 먹이가 풍부하며, 다양한 생물들이 산란장으로 찾아오고, 해양생물들을 먹고사는 수많은 물새들이 서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갯벌의 기능 중 가장 흔히 언급되는 것 중의 하나가 정화기능이다. 갯벌 정화능력이란 의미를 부여하지 않은 갯벌 생물들의 유기물 분해 능력을 의미하며, 유기 탄소 분해력과 유기 질소 분해력이 중요하게 취급된다.
즉, 육지에서 강을 통해 배출된 오염물질은 갯벌에 쌓이고 박테리아와 원생생물, 갯지렁이 등 다양한 생물들에 의해 섭취되고 분해되는데, 보통 갯벌 1km2는 매일 10만 톤의 하수와 폐수를 정화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갯벌의 유기물 분해는 갯벌 생물들의 일상 활동의 한 부분이며 그 결과로 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다시 말하면 갯벌이 지니는 유기물 분해력은 다양한 생물들이 일상 활동 과정에서 갯벌 깊숙이까지 산소와 유기물을 공급해주고 공급된 산소를 이용해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생물들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조석에 따라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과 퇴적물이 혼합되는 것도 유기물 분해력을 높게 유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정화작용은 갯벌 특유의 환경조건, 다양한 서식생물에 의한 높은 생산성, 그리고 효율적인 물질순환이 유지됨에 따라 지속된다.
갯벌환경은 유기영양물질이 지속적으로 공급돼 영양이 풍부하며 수리학적인 구배에 의한 퇴적상과 연속노출시간의 차이에 의해 만들어지는 다양한 서식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다양한 생물상이 형성되며 높은 생산성과 높은 효율의 물질순환으로 갯벌만의 특수한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높은 생산성으로 인해 갯벌은 수산유용생물의 어장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포식자의 위험으로부터 배제된 갯벌은 많은 어류들의 산란 및 치자어의 성장장소가 되는 등 연안생물자원의 생산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이동하는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나 월동지로 이용되며, 희귀 조류의 서식지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갯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자들은 갯벌의 오염정화기능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를 하는데 있어 갯벌에서 실제로 얼마만큼의 유기물이 소실되는지 추정하는 단계를 통해 결과를 산출하고 있다.
최근 엔도설판 및 합성폐수 등의 육상의 오염물질이 바다로 유입되면서 연안 갯벌은 유기물질로 오염되고 있고, 이 과정에서 갯벌에 대한 엔도설판(endosulfan)과 같은 유기물의 정화능력실험은 현장에서의 직접조사 뿐만 아니라 실험실에서 갯벌환경과 유사한 수조환경을 만들어 갯벌의 유기물정화 능력 등을 실험하기도 한다. 표 1은 엔도설판의 물리적 속성을 나타내고 도 1은 엔도설판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엔도설판은 1956년 독일에서 개발된 유기 염소계 살충제로서 티오단(Thiodan), 시클로단(Cyclodan), 말릭스(Malix), 지오릭스(Thiolix) 등 여러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다. 엔도설판의 물리적 특성과 구조는 표 1과 같으며, 설폰기(?SO3)가 위쪽으로 향하느냐, 아래쪽으로 향하느냐에 따라 α-엔도설판과 β-엔도설판으로 구별된다.
또한, 엔도설판은 소화 중독성 살충제로서, 담배, 뽕나무, 배추 등의 작물에 사용되는데, 엔도설판의 2006년 국내 생산량은 229톤이며(작물보호협회, 2007), 2006년 출하량은 원제기준으로 506톤이다(농약연보, 2006).
우리 나라에서는 2004년 12월 농약 관리법상 엔도설판의 식용 작물에 대한 사용을 전면 금지하여 담배, 뽕나무, 토양 해충 방제 등에만 사용하도록 하였으나(한국작물보호협회, 2009), 여전히 식용 작물에 상당량이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전국적인 모니터링 조사에서 검출되고 있는 실정으로, 현재 환경부의 유해 화학 물질 관리법에 의해 제조, 수입 또는 사용 금지 물질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즉 우리나라에서 식용작물에 사용이 금지된 엔도설판과 같은 유기물의 경우 연안 갯벌현장에서는 직접 실험 할 수 없으므로 생물환경을 설정한 수조를 통해 갯벌 등의 퇴적물에 대한 갯벌서식 생물의 분해능력 실험이 필요하다.
엔도설판의 물리적 속성
속성
분자식 C9H6Cl6O3S
몰질량 406.95 g/mol
용융점 106oC (pure)
물 용해도 0.33mg/L
한편 Mesocosm이란 규모적인 측면에서 "중형(1~1000 ㎥)규모이며, 외부에서 먹이 공급 없이 스스로 유지가 가능하며, 환경의 일부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한 인공생태계"를 말한다. 이를 이용한 연구는 1960년대 중반부터 해양/담수생태계, 특히 해양식물플랑크톤이 주 연구 대상이었으나, 점차 확대되어, 최근에는 독성학, 육수학, 환경학, 환경공학, 지구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흔히 사용하는 도구가 되었다.
과학적인 도구의 하나로서 mesocosm은 기본적으로, 재현성(replicability), 반복성(repeatability), 그리고 생태학적 현실성(ecological realism or accuracy)이 구비되어야 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64806호에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는 자동조석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가 하향경사진 바닥판을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중앙하부에 구성되며, 먹이생물배양장치가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수조의 중앙 하부에 구성되며, 출수구측 단부에 자동개폐밸브가 구성되는 배수관; 상기 수조의 급수관과 배수관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에 여과부직포망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구성되는 규사토층; 상기 규사토층의 상부에 구성되는 갯벌층;로 구성되어, 갯벌을 장기간 교체하지 않고 갯벌의 먹이생물이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해안 갯벌과 유사한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가 개시되어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52879호는 해안 갯벌에서 서식하는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생태교육용 갯벌 체험수조에 관한 것으로 중앙 배수관을 향해 하향경사진 바닥판을 구비하는 수조; 배수관의 상측으로 설치된 소켓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버플로관; 수조의 중앙 배수로에 설치되는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버플로관을 감싸는 배수맨홀;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배열되어 급수관과 배수관을 구비하는 타공파이프; 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타공판과 타공파이프를 덮는 여과부직포망; 상기 여과부직포망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마사토와 규사토 및 갯벌; 상기 급수관과 배수관에 각각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0858993호는 공기청정용 실내 정원에 관한 것으로 물 분사수단, 급수수단, 공기통로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비교하면, 배관 및 급수관과 물 분사장치 등이 설치된 점이 유사하나. 갯벌을 담는 수조가 아닌 이끼 등을 키우기 위한 수조로서 벽면에 설치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9-0010746호는 정수 장치를 부착한 대형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수조 하단부 측면에 배수관과 흡입관을 연결하고 여과장치를 거친 물이 에어펌프에 의해 순환하여 수족관 상부에 물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21535호는 조간대의 다양한 환경을 실험실 내 뿐만아니라 야외에서 실현하도록 하여 조간대 부착생물 연구의 제한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해조류 양식에 있어서 양식의 생산품질을 제안하는 부착성 조류를 중심으로 조간대 생물을 연구하는 해양생태, 생리학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조간대 부착동식물 배양을 위한 가상 조류연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 조류연동장치는 베이스 유니트, 이송 플레이트 유니트, 액추에이터 유니트, 튜브 유니트 및 공기 공급유니트를 구비하여, 해조류와 부착생물 자체를 들어올려 가상 조류환경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체 장치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므로 조간대의 다양한 환경을 실험실내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실현할 수 있어 조간대 부착생물 연구의 제한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82978호는 양서류 연구용 인공 바이오톱(biotope)에 관한 것으로 자연환경을 모방한 생태 바이오톱은 양서류의 연중 생태연구, 발생 및 생리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한 실험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자연서식환경을 모방하여 좁은 면적에서도 양서류의 생식, 발생, 생태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양서류 연구용 인공 바이오톱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용기;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과 배수밸브;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를 분사시킬 수 있는 물분사구가 설치되고 물 배수관과 물 분사구는 에어펌프를 매개로하여 연결된 구성을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와는 차이를 갖는다.
본 발명은 유기물질로 오염된 갯벌에 대한 갯벌서식 생물에 대한 육상유래 유기물 등의 정화능력 실험을 위해 사용되는 외부에서 먹이 공급 없이 스스로 유지가 가능하며, 환경의 일부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한 인공생태계 생태환경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용기;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과 배수밸브;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를 분사시킬 수 있는 물분사구가 설치되고 물 배수관과 물 분사구는 에어펌프를 매개로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제작하였다.
또한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갯벌에 유기물분해능을 가진 생물이 서식하는 경우와 서식하지 않는 경우의 유기물분해능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제1수조용기;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받침판;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제1 퇴적물층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판; 제1수조용기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관과 배수밸브; 상기 배수관과 배수밸브는 다시 제2수조용기의 측면 하부와 연결되고, 제2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 받침판; 제2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퇴적물층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제2 지지판;으로 구성되고 제1 수조용기 내부의 제 1지지판 하부에 물 분사를 위해 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제1 물흡입관이 형성되고 제1 물흡입관과 연결된 제1 물분사구는 제 2수조용기 상부로 연결되고, 제2 수조용기 내부의 제 2지지판 하부에 물 분사를 위해 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제2 물흡입관이 형성되고 제2 물흡입관과 연결된 제2 물분사구는 제 1수조용기 상부로 연결되고 제1 물흡입관과 제1물분사구 및 제2물흡입관과 제2물분사구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의 어느 한 곳에는 에어펌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태수조에 설치된 퇴적물에는 갯벌의 유기물분해 능력이 있는 갯지렁이를 사육시키고, 유기 독성 물질의 분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기 염소계 농약인 엔도설판을 아세토나이트릴(CH3CN) 용매에 녹인 후, 해수에 첨가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엔도설판이 일정농도로 함유된 해수를 갯지렁이가 사육되는 퇴적물에 공급하면서 갯벌과 해수의 유기물분해능을 실험함으로서 연안 갯벌현장에서는 직접 실험 할 수 없는 엔도설판과 같은 유기물에 대한 갯벌 생물 등의 유기물 분해능력에 대한 실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험수조는 수조 내부에 퇴적물 환경을 인공적으로 형성시키고, 갯벌서식생물을 사육함으로서 현장에서 실험 측정하기 어려운 엔도설판 등과 같이 사용이 제한된 유기물에 대한 갯벌과 갯벌서식 생물의 유기물 분해 및 정화능력에 대한 실험이 가능하여, 실험에 따른 갯벌 등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엔도설판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수수조와 에어펌프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수수조로서 배수밸브가 수조외측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수수조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사용하여 실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수조와 여과장치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수조와 여과장치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사용하여 실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조가 연결된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조가 연결된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의 시작품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의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1)는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용기(10);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20);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30)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40);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흡입관(76)과 연결되어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물분사구(70)가 설치되고 물 분사구는 에어펌프(80)를 매개로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수수조로서 배수밸브가 수조외측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의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1)는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용기(10);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20);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30)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40);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50)과 배수밸브(60);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물분사구(70)가 설치되고 물 배수관과 물 분사구는 에어펌프(80)를 매개로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수수조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사용하여 실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의 수조용기 상부에는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뚜껑(15)이 형성되고, 수조용기에 형성되는 퇴적물 층은 모래(33), 자갈(34), 갯벌(35)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어펌프는 일정시간에 작동되도록 컨트롤러(83)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각각의 배출밸브에는 수조에서 빠져나온 물이 수조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역류 방지판(61)이 설치될 수 있고 순환되는 물은 해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역류방지판은 수조용기의 물배수관에 막 형상으로 단편으로만 움직이는 형태가 될 수 있고, 배수밸브를 상향으로 절곡하여 인위적으로 형성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두 종류의 실험용 수조의 차이점은 물배수관의 위치 차이로 구별된다. 배수관을 통해 나온 물을 순환시키는 방식을 변경함으로서 퇴적물의 서식생물의 종류를 서로 다른 종을 각각 사육할 수 있도록 수조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수조와 여과장치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나타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수조와 여과장치를 갖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사용하여 실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사육수조가 복수개 설치됨으로서 퇴적물의 서식생물의 종류를 서로 다른 종을 각각 사육하여 동일한 오염물질로부터 갯벌 및 갯벌 서식 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능을 분석하여 생물에 따른 분해능 등의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육수조의 용기가 복수개 설치된 실시예는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조용기(10); 복수개의 수조용기 각각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20);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30)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40); 각각의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50)과 배수밸브(60); 각각의 수조용기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복수의 물분사구(70)가 설치되고 각각의 수조용기와 연결된 물 배수관은 여과장치(81)와 연결되고 순환펌프(82)를 매개로하여 물분사구가 각각의 수조용기 상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제공한다.
도 2와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된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의 수조용기 상부에는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뚜껑(15)이 형성되고, 수조용기에 형성되는 퇴적물층은 모래(33), 자갈(34), 갯벌(35)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순환펌프는 일정시간에 작동되도록 컨트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조가 연결된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나타낸다. 복수의 퇴적물환경을 갖는 수조를 서로 연결함으로서 퇴적물의 서식생물의 종류에 따라 서식생물이 사육되는 환경과 사육되지 않는 환경에서의 유기물 오염물질에 의한 갯벌 및 갯벌 서식 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능을 분석할 수 있다.
사육수조의 용기가 마주보고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제1수조용기(11);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받침판(21);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제1 퇴적물층(31)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판(41); 제1수조용기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관(50)과 배수밸브(60); 상기 배수관과 배수밸브는 다시 제2수조용기(12)의 측면 하부와 연결되고, 제2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 받침판(22); 제2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퇴적물층(32)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제2 지지판(42);으로 구성되고, 제1 수조용기 내부의 제 1지지판 하부에 물 분사를 위해 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제1 물흡입관(71)이 형성되고 제1 물흡입관과 연결된 제1 물분사구(72)는 제 2수조용기 상부로 연결되고, 제2 수조용기 내부의 제 2지지판 하부에 물 분사를 위해 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제2 물흡입관(73)이 형성되고 제2 물흡입관과 연결된 제2 물분사구(74)는 제 1수조용기 상부로 연결되고 제1 물흡입관과 제1물분사구 및 제2물흡입관과 제2물분사구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의 어느 한 곳에는 에어펌프(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수조가 연결된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의 시작품을 나타낸다.
1. 폐쇄식 생태수조를 이용한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 실시예
1.1 생태환경 실험용 독성 유기 물질과 합성 폐수의 선정
가) 엔도설판
엔도설판의 특성을 보면, 급성 독성의 고독성 농약으로 특히 어독성이 매우 큰 어독성 1급 농약으로 분류되어, 급성 독성 반수 치사량(LD50)은 경구의 경우 28mg/Kg, 경피의 경우 1,063mg/Kg이다(농약사용지침서, 2006). 쥐에 대한 급성 경구 독성 LD50 이 70?240 mg/Kg, 토끼에 대한 급성 경피 독성이 359 mg/Kg 으로 알려져 있다. 엔도설판은 상당히 안정된 화합물로 자연계에서 태양빛에 의해 분해되지 않으며, 토양에서의 반감기는 최소 6개월에서 최고 9년까지로 잔류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농경지에 살포된 후 잔류한 엔도설판이 지하수, 하천 및 연안으로 유입될 경우,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엔도설판은 식용 작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미국을 비롯한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어서, 호주나 뉴질랜드에서 수입한 육우에서 엔도설판이 검출되어 검역 당국으로부터 전량 폐기된 예가 있다. 또한 엔도설판은 환경에서 장거리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사하라 사막(Ramnarine and Kristy, 2008), 심지어는 북극에서도 발견된다고 보고된다(Weber et al., 2010). 이처럼 엔도설판은 전지구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유기 염소계 농약으로서, 분해가 잘 안되며, 이동성과 잔류성이 커서, 인간과 생태계에 장기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엔도설판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기 독성 물질로 오염된 연안갯벌에서 갯지렁이의 오염 물질 분해능을 실험수조에서 알아보기 위해, 엔도설판을 분해 대상 물질로 선정하였다.
나) 합성 폐수
유기물은 인간의 활동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하천이나 해역으로 과도하게 유입되는 유기물은 분해과정에서 수체의 용존 산소를 소모하여, 혐기성 상태를 만들어 수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질소와 인 등을 포함하는 유기물은 영양 염류를 발생시켜, 호수나, 연안 해역과 같이 정체된 해역에서 녹조나 적조 현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 갯벌로 유입되는 유기물들에 대한 갯지렁이들의 분해 및 정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유기물을 대변하는 합성 폐수를 이용하여 소생태계 실험을 하였다. 합성 폐수는 탄소와 질소원을 가지고 있는 펩톤(DB Bacto)과 탄소원인 글루코즈(Yakuri Pure Chemicals)의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1.2. mesocosm 수조에서 생태환경실험
가) 인공적으로 닫힌 생태계(mesocosm system)
갯벌의 유기물 오염 환경 개선을 위한 생물학적 환경 복원 기술 개발을 위한 실내 실험 시설은 50 L 사각 프라스틱 수조와 500 L의 원형 수조를 이용한 폐쇄식 순환 여과 사육조의 형태를 이용하였다(도 3, 도 5). 각각의 수조에는 건강하고 활력이 넘치는 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 30 개체씩을 수용하여 계획된 실험들을 실시하였다(도 4, 도 6).
나) mesocosm 시설에서 엔도설판에 의한 갯지렁이 반수치사 실험
본 발명에서 mesocosm 시설은 갯지렁이의 유기 독성 물질의 분해 정도를 알아 보기 위한 실험으로 실험 수조의 형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유기 독성 물질로는 유기 염소계 농약인 엔도설판(Fluka 제품)을 선정하였으며, 갯지렁이의 엔도설판 분해능을 조사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엔도설판에 대한 갯지렁이의 반수 치사 농도를 실험하였다 (표 2).
엔도설판에 대한 갯지렁이의 반수 치사 농도 실험
수조번호 조건
대조구 1 30 polychaeta
2 30 polychaeta, CH3CN (15 mL)
실험구 3 30 polychaeta, CH3CN (15 mL),
1.25ppm endosulfan (2 d) + 10ppm endosulfan (2 d)
4 30 polychaeta, CH3CN (15 mL),
2.5ppm endosulfan (2 d) + 15ppm endosulfan (2 d)
5 30 polychaeta, CH3CN (15 mL),
5ppm endosulfan (2 d) + 20ppm endosulfan (2 d)
실험시 엔도설판의 농도는 일정량의 엔도설판을 10mL 의 아세토나이트릴(CH3CN) 용매에 녹여 초기 농도가 각각 1.25ppm, 2.5ppm, 5ppm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엔도설판 용액을 mesocosm 실험군 3, 4, 5에 적용시킨 후, 1시간 경과 후 갯벌과 해수 시료를 채취하였는데, 이러한 농도에서 갯지렁이의 생존율은 48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엔도설판(5 mL 아세토나이트릴 용액)을 추가로 첨가하여 최종 농도가 10ppm, 15ppm, 20ppm이 되도록 농도를 높여서 실험하였다.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폐사한 갯지렁이의 사체를 채집하여 체내 엔도설판의 축적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용매로 사용한 아세토나이트릴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아세토나이트릴만 첨가한 대조군 2를 설치하여 실험하였으며, 각 mesocosm의 해수와 갯벌 시료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을 하였다.
다) 펩톤(peptone)에 의한 갯지렁이 반수 치사 실험
갯지렁이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실험을 실시하기 전, 적정한 합성 폐수의 투입 농도를 산정하고, 갯지렁이의 반수치사 실험을 위하여 peptone을 이용한 독성 실험을 하였다(표 3). Peptone 은 여러 가지 아미노산의 혼합체로서 BD-Bacto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원소 분석 결과, 탄소(C) 함량은 44.68%, 질소(N) 함량은 16.48%, 수소(H) 함량은 6.83%, 산소(O) 함량은 32.01%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mesocosm 의 peptone 농도를 2000ppm(실험군 6), 4000ppm(실험군 7), 6000ppm(실험군 8) 으로 설정하였으며, 생물 수조에 갯지렁이를 이식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료를 채취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펩톤에 대한 갯지렁이의 반수 치사 농도 실험
수조번호 환경
대조구 1 30 polychaeta
실험구 6 30 polychaeta , 2000ppm Peptone
7 30 polychaeta , 4000ppm Peptone
8 30 polychaeta , 6000ppm Peptone
라) 갯지렁이를 이용한 엔도설판 분해 실험
갯지렁이에 의한 유기 독성 물질의 분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기 염소계 농약인 엔도설판(Fluka)을 이용하여 90 mg 엔도설판을 5 mL 의 아세토나이트릴(CH3CN) 용매에 녹인 후, 30 L의 해수에 첨가하여 엔도설판의 최종 농도가 3ppm이 되도록 하였으며, 실험 개시 후, 5일 간격으로 갯벌과 해수 및 갯지렁이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마) 갯지렁이를 이용한 합성 폐수 분해 실험
갯지렁이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실험을 위한 대상 유기물로서는 연안으로 유입되는 가정 하수를 구성하는 물질들을 대표할 수 있는 펩톤과 글루코즈로 하였는데, 펩톤과 글루코즈의 혼합비와 농도를 달리한 몇 가지 선행 실험을 통하여 합성폐수와 글로코즈의 적정 비율 및 합성 폐수의 적정 농도를 정하였다.
펩톤과 글루코즈의 혼합비는 4:1 로서 12 g 펩톤과 3 g의 글루코즈를 1 L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30 L의 해수에 첨가하여 합성 폐수의 최종 농도가 500ppm이 되도록 하였다. 합성 폐수를 투입한 후 분해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초기에는 2일 간격으로, 나중에는 6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바) 갯지렁이 수용 수조의 저질 입도 변화
도 7에서 도시한 수조를 사용하여 실내에 시설한 mesocosm에서 갯지렁이를 수용한 실험구와 수용하지 않은 대조구에서의 저질 입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구와 대조구의 저질을 채취하여 입도를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수조는 수조 내부에 퇴적물 환경을 인공적으로 형성시키고, 갯벌서식생물을 사육함으로서 현장에서 실험 측정하기 어려운 엔도설판 등과 같이 사용이 제한된 유기물에 대한 갯벌과 갯벌서식 생물의 유기물 분해 및 정화능력에 대한 실험이 가능하여, 실험에 따른 갯벌 등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 수조용기 11: 제1수조용기
12: 제2수조용기 13: 제2수조용기
15: 뚜껑 20: 받침판
21: 제1받침판 22: 제2 받침판
30: 퇴적물층 31: 제1 퇴적물층
32: 제2 퇴적물층) 33: 갯벌
34: 모래 35: 자갈
36: 해수 40: 지지판
41: 제1 지지판 42: 제2 지지판
50: 물 배수관 60: 배수밸브
61: 역류 방지판 70: 물분사구
71: 제1 물흡입관 72: 제1 물분사구
73: 제2 물흡입관 74: 제2 물분사구
75: 분사밸브 76: 물흡입관
80: 에어펌프 81: 여과장치
82: 순환펌프 83: 컨트롤러

Claims (17)

  1.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용기(10);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20);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30)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40);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50)과 배수밸브(60);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를 분사시킬 수 있는 물분사구(70)가 설치되고 물 배수관과 물 분사구는 에어펌프(80)를 매개로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밸브는 수조에서 빠져나온 물이 수조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역류 방지판(6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3. 제2항에 있어서, 퇴적물층은 모래(33), 자갈(34), 갯벌(35)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4. 제3항에 있어서, 에어펌프는 일정시간에 작동되도록 컨트롤러(8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5. 제4항에 있어서, 수조용기 상부에는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뚜껑(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6. 제5항에 있어서, 순환되는 물은 해수이고 퇴적물에는 갯지렁이를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7.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조용기(10); 복수개의 수조용기 각각의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판(20);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물층(30)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판(40); 각각의 수조용기 측면하부에 형성되는 물 배수관(50)과 배수밸브(60); 각각의 수조용기 상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복수의 물분사구(70)가 설치되고 각각의 수조용기와 연결된 물 배수관은 여과장치(81)와 연결되고 순환펌프(82)를 매개로하여 물분사구가 각각의 수조용기 상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8. 제7항에 있어서, 배출밸브는 수조에서 빠져나온 물이 수조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역류 방지판(6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9. 제8항에 있어서, 퇴적물층은 모래(33), 자갈(34), 갯벌(35)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0. 제9항에 있어서, 순환펌프는 일정시간에 작동되도록 컨트롤러(8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수조용기 상부에는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뚜껑(15)이 형성되고, 순환되는 물은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2. 제11항에 복수개의 수조용기에 형성된 퇴적물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갯벌서식 생물을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3. 갯벌연안 환경의 실험을 위한 생태 실험수조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수조용기(11); 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받침판(21);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제1 퇴적물층(31)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판(41); 제1수조용기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관(50)과 배수밸브(60);
    상기 배수관과 배수밸브는 다시 제2수조용기(12)의 측면 하부와 연결되고, 제2수조용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 받침판(22); 제2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퇴적물층(32)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제2 지지판(42);으로 구성되고
    제1 수조용기 내부의 제 1지지판 하부에 물 분사를 위해 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제1 물흡입관(71)이 형성되고 제1 물흡입관과 연결된 제1 물분사구(72)는 제 2수조용기 상부로 연결되고, 제2 수조용기 내부의 제 2지지판 하부에 물 분사를 위해 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제2 물흡입관(73)이 형성되고 제2 물흡입관과 연결된 제2 물분사구(74)는 제 1수조용기 상부로 연결되고 제1물흡입관과 제1물분사구 및 제2물흡입관과 제2물분사구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의 어느 한 곳에는 에어펌프(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4. 제13항에 있어서, 퇴적물층은 모래, 자갈, 갯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에어펌프는 일정시간에 작동되도록 컨트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수조용기 상부에는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뚜껑(15)이 형성되고, 순환되는 물은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어느 한편의 수조용에 형성된 퇴적물에는 갯지렁이가 사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환경 실험용 생태수조
KR1020120041751A 2012-04-20 2012-04-20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KR101207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51A KR101207158B1 (ko) 2012-04-20 2012-04-20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51A KR101207158B1 (ko) 2012-04-20 2012-04-20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158B1 true KR101207158B1 (ko) 2012-11-30

Family

ID=4756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751A KR101207158B1 (ko) 2012-04-20 2012-04-20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15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512A1 (ko) * 2014-12-12 2016-06-16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수조
KR101636992B1 (ko) 2015-02-10 2016-07-08 대한민국 수심에 따른 생태환경 조성이 가능한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KR101636987B1 (ko) 2015-02-10 2016-07-08 대한민국 수심별 유속제어가 가능한 배관구조를 갖는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CN105918260A (zh) * 2016-07-13 2016-09-07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小型水生生物的流水式暴露装置
KR20180085895A (ko) 2017-01-20 2018-07-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류 오염 퇴적물의 자연 회복능을 실험하는 모사 메소코즘
KR20180085896A (ko) 2017-01-20 2018-07-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의 배관 구조
KR20180090487A (ko) 2017-02-03 2018-08-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에 장착되는 실험수조
CN108445160A (zh) * 2018-05-04 2018-08-24 山东省海洋生物研究院 一种用于海洋生物生理生态学研究的实验装置
KR102161779B1 (ko) * 2019-11-21 2020-10-05 한국화학연구원 하천모의생태계 시스템 및 시험물질 혼합장치를 포함하는 수질오염 영향평가 시스템
KR102161775B1 (ko) * 2019-11-21 2020-10-05 한국화학연구원 하천모의생태계 시스템
KR102316032B1 (ko) 2021-05-12 2021-10-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모사 메조코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증 방법
WO2022101567A1 (fr) * 2020-11-13 2022-05-19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rocede de mesure du potentiel ecotoxique d'un effluent aqueux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1797A1 (en) 2008-04-16 2011-01-20 William Lucas Bioreten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1797A1 (en) 2008-04-16 2011-01-20 William Lucas Bioretention system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vironmental Pollution 131 (2004) pp. 365-371.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608A (ko) 2014-12-12 2016-06-22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수조
KR101747837B1 (ko) 2014-12-12 2017-06-19 대한민국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수조
WO2016093512A1 (ko) * 2014-12-12 2016-06-16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수조
KR101636992B1 (ko) 2015-02-10 2016-07-08 대한민국 수심에 따른 생태환경 조성이 가능한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KR101636987B1 (ko) 2015-02-10 2016-07-08 대한민국 수심별 유속제어가 가능한 배관구조를 갖는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WO2016129793A1 (ko) * 2015-02-10 2016-08-18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수심별 유속제어가 가능한 배관구조를 갖는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WO2016129794A1 (ko) * 2015-02-10 2016-08-18 대한민국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수심에 따른 생태환경 조성이 가능한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CN105918260B (zh) * 2016-07-13 2018-10-26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小型水生生物的流水式暴露装置
CN105918260A (zh) * 2016-07-13 2016-09-07 环境保护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小型水生生物的流水式暴露装置
KR20180085895A (ko) 2017-01-20 2018-07-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류 오염 퇴적물의 자연 회복능을 실험하는 모사 메소코즘
WO2018135747A3 (ko) * 2017-01-20 2018-09-27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류 오염 퇴적물의 자연 회복능을 실험하는 모사 메소코즘
KR20180085896A (ko) 2017-01-20 2018-07-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의 배관 구조
KR20180090487A (ko) 2017-02-03 2018-08-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에 장착되는 실험수조
CN108445160A (zh) * 2018-05-04 2018-08-24 山东省海洋生物研究院 一种用于海洋生物生理生态学研究的实验装置
KR102161779B1 (ko) * 2019-11-21 2020-10-05 한국화학연구원 하천모의생태계 시스템 및 시험물질 혼합장치를 포함하는 수질오염 영향평가 시스템
KR102161775B1 (ko) * 2019-11-21 2020-10-05 한국화학연구원 하천모의생태계 시스템
WO2022101567A1 (fr) * 2020-11-13 2022-05-19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rocede de mesure du potentiel ecotoxique d'un effluent aqueux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FR3116285A1 (fr) * 2020-11-13 2022-05-2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rocede de mesure du potentiel ecotoxique d’un effluent aqueux et dispositif de mise en œuvre du procede
KR102316032B1 (ko) 2021-05-12 2021-10-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모사 메조코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58B1 (ko) 생물 독성 생태 환경 실험을 위한 폐쇄식 생태수조
Warwick et al. Microtidal estuaries warrant special management measures that recognise their critical vulnerability to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CN102976492B (zh) 水体生态净化系统和水体生态净化方法
Lapointe et al. Harmful macroalgal blooms in a changing world: causes, impacts, and management
Pieczyńska Lentic aquatic-terrestrial ecotones: their structure, functions, and importance
KR200485957Y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JP2017074041A (ja) 水中微生物担体資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水中微生物誘導増殖方法及び水域施肥方法
Okayi et al. Some aquatic macrophytes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of river guma, benue, Nigeria
Tepe et al. Treatment of effluents from fish and shrimp aquaculture in constructed wetlands
Joniak et al. The chemistry of water and bottom sediments in relation to zooplankton biocenosis in small agricultural ponds
De Pippo et al. Geomorphologic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reclamation of Fusaro Lagoon (Campania Province, southern Italy)
KR100371959B1 (ko) 수경 농업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부체 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방법
Athalye Biodiversity of Thane creek
Chang et al. Using sustainable landscape overwater equipment for improvement of aquatic ecosystem
US9758412B2 (en) Device for purifying liquid wastewater, and method for cleaning liquid wastewater using said device
CN113307459A (zh) 一种护城河海绵化改造的方法
Newman Control of algae with barley straw
Balasubramanian Aquatic ecosystems-freshwater types
JP2003210068A (ja) ホタルの累代飼育システム及び方法
El-Sheekh et al. Green technology applications for algal bloom control
Tagliarolo Acidification in aquatic systems
JP2002058387A (ja) 水棲生物飼育装置
KR101712440B1 (ko) 유해조류 방제를 위한 개구리밥과식물 배양용 수상구조물
Muhtadi et al. Biodiversity of birds and mammals in the Lake Siombak ecosystem, Medan North Sumatra
JPH03514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