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790B1 -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790B1
KR101206790B1 KR1020100086447A KR20100086447A KR101206790B1 KR 101206790 B1 KR101206790 B1 KR 101206790B1 KR 1020100086447 A KR1020100086447 A KR 1020100086447A KR 20100086447 A KR20100086447 A KR 20100086447A KR 101206790 B1 KR101206790 B1 KR 10120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steel
joining member
steel block
hydraulic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385A (ko
Inventor
조광일
이종관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8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7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5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with identic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2Arrangements for stacking tower sections on top of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강재 주탑과 같은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둥 구조물은, 서로 접합 시공되어 기둥 구조물로 구성되는 단위 강재블록; 및, 상기 단위 강재블록의 내부에 하나 이상 접합되면서 구동수단을 매개로 구조물 연직도 조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블록 접합부재를 포함하고, 서로 접합되는 단위 강재블록은, 단위 강재블록과 그 내부에 접합된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 사이에 제공되는 수평방향 유압잭을 매개로 수평 배열이 추가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은 기둥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제작된 단위 강재블록의 내부에 연직도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접합부재를 소정 패턴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블록 접합부재가 접합된 단위 강재블록을 현장에 이동시키어 수직으로 중첩시키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구조물의 연직도를 조정하는 단계; 연직도가 조정된 단위 강재블록들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의 하단 신장부와 단위 강재블록 사이에 수평방향 유압잭을 설치하여, 단위 강재블록의 수평 배열을 추가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 강재블록의 시공 강도를 향상함은 물론, 특히 단위 강재블록들의 접합 시공시 블록간 연직도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추가로 단위 강재블록 간 배열 조정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구조물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공기 단축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Pilla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재 주탑과 같은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 강재블록의 시공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특히 단위 강재블록들의 접합 시공시 블록간 연직도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추가로 단위 강재블록 간 배열 조정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구조물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공기 단축도 가능하게 한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둥 구조물 예를 들어, 강재 주탑 등은, 강판들로 단위 강재블록을 제작하고, 상기 단위 강재블록들을 수직으로 접합하여 소정 높이의 강재 주탑 등으로 제작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강재 주탑 등의 기둥 구조물의 시공시, 단위 강재블록들을 특정 장소 예컨대, 강판을 가공하는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반되면 단위 강재블록 들이 수직으로 연이어 접합 즉, 용접되면서 주탑 등의 기둥 구조물로 시공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단위 (강재) 블록들을 수직하게 연이어 접합 시공하는 강재 기둥 구조물의 경우, 연직도 확보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최하측에서 최상측으로 단위 강재블록 들은 연이어 용접으로 접합 시공하는 경우, 수직 연직도가 틀려지는 경우, 최하측과 최상측 강재블록 사이에는 상당한 시공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실제 현장 시공시, 하측의 단위 강재블록 위로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을 접합시공하는 경우, 먼저 접합후 연직도 확보를 구현하도록 한후, 용접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기둥 구조물의 연직도 확보와 조정이 매우 복잡한 작업을 거치거나 연직도 확보 및 조정을 위한 복잡한 고가의 장비들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실제 그 연직도 조정이나 확보도 쉽지 않은 것이었다.
한편, 종래 단위 강재블록들의 접합후, 전체적인 기둥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단편적인 보강판의 볼팅 체결 등을 통하여 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강재블록에 별도의 용접작업으로 메탈터치부(미도시)를 용접하고, 상기 메탈터치부를 다시 볼팅 작업으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탈터치방식을 이용하면 구조물의 강도 보강시 고가의 면 가공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는, 별도의 접합철물을 용접하는 마찰이음 방식은 용접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실제 현장 시공시 강재블록 간의 적용성도 매우 낮은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단위 강재블록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연직도 조정도 가능하게 하는 길게 신장된 보강리브와 유압잭을 이용하여, 강재 구조물들이 접합되는 기둥 구조물의 연직도 확보는 물론, 강도 보강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이 알려진 바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기둥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 강재블록의 시공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특히 단위 강재블록들의 접합 시공시 블록간 연직도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추가로 단위 강재블록 간 배열 조정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구조물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공기 단축을 통한 경제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한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접합 시공되어 기둥 구조물로 구성되는 단위 강재블록; 및,
상기 단위 강재블록의 내부에 하나 이상 접합되면서 구동수단을 매개로 구조물 연직도 조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블록 접합부재;를 포함하고,
서로 접합되는 단위 강재블록은, 단위 강재블록과 그 내부에 접합된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 사이에 제공되는 수평방향 유압잭을 매개로 수평 배열이 추가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강재블록은 상기 블록 접합부재의 내부 접합과 구동수단을 매개로 연직도 조정을 가능토록 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폐단형 강판 구조물로 제공되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는, 단위 강재블록의 내부에 블록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소정 패턴으로 배열 접합되고 단위 강재블록의 강도를 추가로 보강토록 제공되는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단위 강재블록의 내측에 접합된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 사이에 연계되어 연직도 조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수직방향 유압잭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의 보강리브는 단위 강재블록과 겹치는 하단 신장부를 더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 사이에 연계되는 구동수단의 수직방향 유압잭 또는 수평방향 유압잭의 구조물 이탈시 보강리브 사이에 접합되는 채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작된 단위 강재블록의 내부에 연직도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접합부재를 소정 패턴으로 접합하는 단계;
블록 접합부재가 접합된 단위 강재블록을 현장에 이동시키어 수직으로 중첩시키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 사이에 수직방향 유압잭을 설치하여 구조물의 연직도를 조정하는 단계;
연직도가 조정된 단위 강재블록들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의 하단 신장부와 단위 강재블록 사이에 수평방향 유압잭을 설치하여, 단위 강재블록의 수평 배열을 추가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 접합부재는 단위 강재블록의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접합되어 단위 강재블록의 강도를 추가로 보강토록 제공되는 보강리브로 제공하고,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에 접합되는 보강리브의 하단 신장부는 하측의 단위 강재블록에 겹치면서, 보강리브 사이에 배치된 상기 수직방향 유압잭을 통하여 보강리브와 일체로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의 연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방향 유압잭 또는 수평방향 유압잭의 구조물 이탈시 채움재를 보강리브에 접합하여 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먼저 단위 강재 블록간 시공 안정성을 높이면서, 단위 강재블록들의 수직 연직도 보정이나 확보를 위한 기존의 복잡한 작업이나 설비가 필요 없어 시공 구조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유압잭 등의 구동수단을 통하여 단위 강재블록 간 연직도를 조정 및 보정하기 때문에, 정밀한 연직도 조정이나 보정을 가능하게 하여, 시공 공기를 단축 가능하게 하면서, 고 정밀 구조물을 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매우 경제적인 기둥 구조물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구조물의 단위 강재블록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구조물의 시공시 연직도 조정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의 시공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의 단위 강재블록의 수평 배열을 추가로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 강재블록의 수평 배열의 조정을 위한 유압잭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구조물(1)을 도시하고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 단위 강재블록(10)중 상측과 하측 강재블록을 각각 10a,10b의 도면부호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최상측 단위 강재블록은 10a'의 도면부호로 설명하며, 더하여 블록 접합부재(50)도 상측과 하측의 접합부재를 각각 50a,50b의 도면부호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최상측 접합부재는 50a'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다만, 단위 강재블록과 블록 접합부재 전체를 설명하는 경우에는 각각 10,50의 도면부호로 일괄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에서는,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접합되는 블록 접합부재(50)의 설치수를 6개 정도로 하고, 연직도 조정을 위한 상기 블록 접합부재 사이에 연계되는 구동수단(30) 예컨대, (수직방향의) 유압잭을 2개만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블록 접합부재와 특히, 상기 유압잭의 설치수는 단위 강재블록의 크기와 형태 또는 높이, 그리고 전체 기둥 구조물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정하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 유압잭은 적어도 3개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1)은, 그 구성 일예로서, 연이어 수직 접합 시공되어 전체적인 하나의 기둥 구조물(1)을 구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강재블록(10) 및, 상기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하나 이상 접합 제공되면서, 블록의 강도를 증대시키거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동수단(30)을 매개로 기둥 구조물(1)의 연직도 조정용으로 제공되는 블록 접합부재(5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1)은, 기존에 연직도 확보를 위한 복잡한 조업이 필요하거나 복잡한 설비 등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최하층에서 상층으로 연이어 수직 접합되는 단위 강재블록(10)들의 수직 연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1)에서, 상기 단위 강재블록(10) 예를 들어, 3개의 단위 강재블록이 접합되는 경우 하측 강재블록(10b)과 그 상측으로 상측 단위 강재블록(10a) 및, 최상측 단위 강재블록(10a')이 수직으로 겹쳐지게 배열된 상태에서 블록 경계부(접촉부)가 용접(W)으로 접합되어 도 3과 같이, 전체적인 기둥 구조물(1)로 시공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단위 강재블록(10)들은, 내부에 공간(S1)을 형성하는 폐단형 (구조의) 강판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강판을 적절하게 절곡(만곡)시키면서 수직방향으로 용접하여 내부공간(S1)을 갖는 단위 강재블록(10)으로 제작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단위 강재블록은 현장에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에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동되고, 현장에서는 단위 강재블록(10)들이 도 3과 같이, 연직도를 확보하면서 용접 접합된다.
한편, 이와 같은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공간(S1)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실제로는 작업자가 들어가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되는데, 단위 강재블록들의 접합 작업시 또는, 단위 강재블록들간의 연직도 보상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 구동수단(30) 즉, 유압잭의 투입과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상 대략 팔각형(마름모) 형태로 된 단위 강재블록(10)을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폐단 구조형태 즉, 단면상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단위 강재블록(10)은, 압축력과 휨 모멘트에 저항 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제작되어 기둥 구조물의 전체적인 강도를 확보하도록 한다.
다음, 도 1,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1)에서 상기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접합되는 상기 블록 접합부재(5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접합부재(50)는, 앞에서 설명한 강판 구조물인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공간(S1)에 소정패턴으로 배열되면서 단위 강재블록의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특히 다음에 설명하는 구동수단(30)을 이용한 단위 강재블록들간의 접합 시공시, 그 수직 연직도 확보를 위한 상측 강재블록(10a)(10a')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강재블록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신장된 보강리브 예컨대, U자형 보강리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 접합부재(50)는, 일차적으로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강재블록의 내면에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용접 접합되는, 강판을 절곡(성형)시키어 제작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 접합부재(50)는, 내부에 공간(S2)을 갖는 강판을 성형하여 길게 신장되는 보강리브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 접합부재(50)는,도 1 및 도 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단위 강재블록(10b)과 상측 단위 강재블록(10a) 및, 최상측 단위 강재블록(10a')에 접합되는 접합부재(50a)(50b)(50a')들의 접합 길이는 조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3개의 단위 강재블록(10)들이 수직으로 겹쳐져 접합 시공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30)의 수직방향 유압잭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측 단위 접합부재(50a)의 하단 신장부(52)는 하측의 단위 강재블록(10b)에는 접합되지 않고 겹쳐지도록 신장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베이스(B)상에 시공되는 (최)하측 단위 강재블록에 접합되는 블록 접합부재(50b)는 그 상부에 구동수단(30)인 수직방향 유압잭이 놓이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측의 블록 접합부재(50a) 보다는 길이가 짧다.
반대로, 상측 블록 접합부재(50)는, 하측 단위 강재블록(10b)에서 하단부(52)가 겹쳐지도록 길이가 하측 블록 접합부재(50b) 보다는 길다.
동시에, 최상측 단위 강재블록(50a')에 접합되는 블록 접합부재(50a')는, 그 위로 단위 강재블록이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강재블록의 상단까지 신장되어 가장 길이가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강재 접합부재인 보강리브의 길이는 실제 시공 조건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3개의 단위 강재블록을 갖추는 경우 상측의 블록 접합부재(50a)는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수직방향 유압잭인 구동수단(30)이 접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블록 접합부재(50) 즉, 보강리브를 본 실시예에서는 U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폐단형으로 내부 공간(S2)을 형성하는 단면상 사각, 팔각, 육각 등의 다각 형태, 삼각형태 또는 원형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는 만곡하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 접합부재 즉, 보강리브는 단위 강재블록의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므로 강재블록의 내면을 따라 조밀하게 용접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기둥 구조물의 연직도 조정과 확보를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구동수단(3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 유압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압잭은 현장에서 도시하지 않은 유압펌프(미도시)를 연결하여 간단하게 조작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1)에서 하측 단위 강재블록(10b)에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a)을 용접 접합하기 전에, 상측 단위 강재블록와 하측 단위 강재블록 사이의 연직도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상기 블록 접합부재(50)사이에 제공된 수직방향 유압잭인 구동수단(30)을 작동시키면,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a)은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수직도(연직도)가 조정된다.
즉, 도 1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총 6개의 블록 접합부재(50)를 접합 시공한 경우, 앞쪽의 구동수단(30) 즉, 수직방향 유압잭들을 전진시키고, 반대로 뒷쪽의 수직방향 유압잭을 후진시키면, 상측 단위 강재블록(10a)은, 도 4와 같이 연직도가 조정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유지시킨 상태에서, 하측과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b)(10a)들의 접촉면(하단과 상단)을 용접(W)하여, 연직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단위 강재블록들의 수직 접합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 연직도 조정이 완료되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동수단(30) 즉, 수직방향 유압잭을 이탈시키고, 채움재(90) 즉, 상기 블록 접합부재(50)인 U자형 보강리브와 같은 구조를 갖는 채움재를 용접 접합시킨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측 블록 접합부재(50a)의 하단부(52) 즉, 하측 단위 강재블록(50b)의 강판 내면과 용접되지 않은 신장된 부분도 하측 단위 강재블록의 내면에 용접 접합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하측과 상측 단위 강재블록(10b)(10a)들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압잭 작업으로 연직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용접 접합하면, 상,하측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 사이에 상기 보강리브와 동일한 형태 또는 블록 형태인 채움재(90)를 용접 접합하여,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의 강도를 확보 가능하게 한다.
이때,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방향 유압잭인 구동수단(30)과, 하측 및 상측 블록 접합부재(50b)(50a)사이에는 지지부재(32)를 위치시키어 유압잭 작동시, 블록 접합부재를 통한 상측 단위 강재블록의 연직도 조정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32)는, 도 1과 같은 단순 지지판 형태도 가능하나,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보강리브의 블록 접합부재(50)에 억지 끼움형태로 끼워지는 끼움판(32b)이 장착되는 지지판(32a)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4와 같은 지지부재(32)인 경우, 끼움판(32b)이 상측의 보강리브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면서 억지 끼움되고, 실제 유압잭 작동시 압박되므로, 별도의 고정 접합 작업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5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구조물(1)의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1)의 시공 단계를 살펴보면, 먼저 기둥 구조물(1)로 시공되는 단위 강재블록(10)(10a,10b,10a')들을 제작하고, 상기 단위 강재블록의 내부에 블록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 기둥 구조물의 연직도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접합부재(50)(50a)(50b)(50a')들을 소정 패턴 즉, 소정 간격을 갖추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부(52)가 하측에 시공되는 하측 단위 강재블록과 겹쳐지도록 신장되게 접합한다.
다음, 단위 강재블록(10)들을 차량 등을 이용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키고, 하측의 단위 강재블록(10b)과 그 상측으로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a)의 순으로 중첩시키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 사이에 수직방향 유압잭(30)을 설치하고 유압잭을 작동시키어(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둥 구조물의 연직도 조정한다.
다음, 연직도가 조정된 상,하측 단위 강재블록(10a)(10b)들의 접촉 테두리를 따라 긴밀하게 용접하여 기둥 구조물(1)을 시공한다.
이때, 하측 단위 강재블록(10b)은 지면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베이스(B)상에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측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의 하단부(52)는, 하측의 단위 강재블록과 겹치도록 신장시키고, 이와 같은 보강리브의 하단부(52)는 하측 강재블록과 용접 접합하지 않는다.
그리고, 구동수단(30)인 수직방향 유압잭 작업시에는, 수직방향 유압잭과 보강리브 사이에 지지부재(32)를 개재시키어 유압잭 작동시 보강리브와 유압잭 간 접촉면적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강재블록들의 접합시 연직도를 확보하여 접촉면의 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수직방향 유압잭인 구동수단(30)이 사용후 분리된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보강리브와 유사한 형태의 채움재(90)를 채워서 접합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더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상측 블록 접합부재(50a)의 하단 신장부(52)와 하측 강재블록(10b)사이에 수평방향 유압잭(70)을 더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수평방향 유압잭(70)을 작동시키면 상측 블록 접합부재(50a)와 접합된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a)은 수평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하측 단위 강재블록(10b)과 그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a)간 수평 정열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방향 유압잭(70)은 강재블록에 수직하게 접합되는 블록 접합부재인 보강리브의 하단 신장부(52)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52a)를 형성시키고, 그 내측으로 수평방향 유압잭(70)을 삽입하여, 하측 단위 강재블록의 내면서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수평방향 유압잭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방향 유압잭(70)이 삽입되기 위한 블록 접합부재 즉, 보강리브의 개구 부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압잭의 구조물 이탈시, 채움재(90)로 접합되어 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하나의 수평방향 유압잭만을 도시하였지만, 강재블록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수평방향 유압잭(70)을 배치하여, 상측의 강재블록의 수평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수평 배열을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경우, 수직방향 유압잭인 구동수단(30)을 이용한 단위 강재블록들의 수직 연직도 조정과 확보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더하여 상,하측 단위 강재블록(10a)(10b)간 수평 배열도 쉽게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기둥 구조물 10.... 단위 강재블록
30.... 구동수단(수직방향 유압잭) 32.... 유압잭 지지부재
50.... 블록 접합부재(보강리브) 70.... 수평방향 유압잭
90.... 채움재

Claims (9)

  1. 서로 접합 시공되어 기둥 구조물로 구성되는 단위 강재블록(10); 및,
    상기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하나 이상 접합되면서 구동수단(30)을 매개로 구조물 연직도 조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블록 접합부재(50);를 포함하고,
    서로 접합되는 단위 강재블록(10)은, 단위 강재블록(10)과 그 내부에 접합된 블록 접합부재(50)인 보강리브 사이에 제공되는 수평방향 유압잭(70)을 매개로 수평 배열이 추가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강재블록(10)은 상기 블록 접합부재(50)의 내부 접합과 구동수단(30)을 매개로 연직도 조정을 가능토록 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폐단형 강판 구조물로 제공되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50)는,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블록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소정 패턴으로 배열 접합되고 단위 강재블록(10)의 강도를 추가로 보강토록 제공되는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단위 강재블록(10)의 내측에 접합된 블록 접합부재(50)인 보강리브 사이에 연계되어 연직도 조정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수직방향 유압잭(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50)의 보강리브는 단위 강재블록(10)과 겹치는 하단 신장부(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구조물.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접합부재(50)인 보강리브 사이에 연계되는 구동수단(30)의 수직방향 유압잭(30) 또는 수평방향 유압잭(70)의 구조물 이탈시 보강리브 사이에 접합되는 채움재(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구조물.
  6. 제작된 단위 강재블록(10)의 내부에 연직도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접합부재(50)를 소정 패턴으로 접합하는 단계;
    상기 블록 접합부재(50)가 접합된 단위 강재블록(10)을 현장에 이동시키어 수직으로 중첩시키고, 상기 블록 접합부재(50) 사이에 수직방향 유압잭(30)을 설치하여 구조물의 연직도를 조정하는 단계;
    연직도가 조정된 단위 강재블록(10)들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접합부재(50)인 보강리브의 하단 신장부와 단위 강재블록(10) 사이에 수평방향 유압잭(70)을 설치하여, 단위 강재블록(10)의 수평 배열을 추가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둥 구조물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접합부재(50)는 단위 강재블록(10)의 높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접합되어 단위 강재블록(10)의 강도를 추가로 보강토록 제공되는 보강리브로 제공하고,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에 접합되는 보강리브의 하단 신장부는 하측의 단위 강재블록(10)에 겹치면서, 보강리브 사이에 배치된 상기 수직방향 유압잭(30)을 통하여 보강리브와 일체로 상측의 단위 강재블록(10)의 연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구조물 시공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유압잭(30) 또는 수평방향 유압잭(70)의 구조물 이탈시 채움재(90)를 보강리브에 접합하여 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00086447A 2010-09-03 2010-09-03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0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447A KR101206790B1 (ko) 2010-09-03 2010-09-03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447A KR101206790B1 (ko) 2010-09-03 2010-09-03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385A KR20120023385A (ko) 2012-03-13
KR101206790B1 true KR101206790B1 (ko) 2012-11-30

Family

ID=4613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447A KR101206790B1 (ko) 2010-09-03 2010-09-03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466B1 (ko) * 2013-05-31 2014-06-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합단면 보강부를 갖는 쉘 기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571A (ja) * 2004-11-25 2006-06-15 Kajima Corp 塔状構造物の建設方法、及び建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571A (ja) * 2004-11-25 2006-06-15 Kajima Corp 塔状構造物の建設方法、及び建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385A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0352B (zh) 一种预制板的连接方法
JP4957894B2 (ja) 送電用鉄塔の補強方法
JP5718861B2 (ja) 杭式桟橋の施工方法
JP6553442B2 (ja) 既設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2029301B1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0965855B1 (ko) 콘크리트 부재와 철골 부재의 결합 구조 및 방법
JP6091467B2 (ja) 桟橋の梁部の構築方法
JP4703233B2 (ja) 建物基礎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CN102936958B (zh) 工具式支架定位混凝土楼板上部钢筋的施工方法
JP6484481B2 (ja) 型枠パネル、型枠パネルユニット、躯体コンクリート構造、及び、型枠施工方法
KR101206790B1 (ko) 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72245B1 (ko) 철근받침구조체
JP2016205051A (ja) 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KR102309544B1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WO2021090439A1 (ja) 道路構造、型枠治具、及び道路構造の施工方法
JP6368584B2 (ja) 基礎の施工方法
JP6164479B2 (ja) 地下ピット構造
JP6849491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5951554A (zh) 一种嵌入式施工缝传力杆
KR101229093B1 (ko)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JP6704801B2 (ja) 既存の地下外壁を有する建替え建物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