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732B1 -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732B1
KR101206732B1 KR1020120009813A KR20120009813A KR101206732B1 KR 101206732 B1 KR101206732 B1 KR 101206732B1 KR 1020120009813 A KR1020120009813 A KR 1020120009813A KR 20120009813 A KR20120009813 A KR 20120009813A KR 101206732 B1 KR101206732 B1 KR 10120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ir
tooth
tool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한
Original Assignee
김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한 filed Critical 김중한
Priority to KR102012000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732B1/ko
Priority to PCT/KR2013/000814 priority patent/WO2013115588A1/ko
Priority to US14/375,796 priority patent/US9510919B2/en
Priority to JP2014555487A priority patent/JP2015505503A/ja
Priority to CN201380007631.XA priority patent/CN10411412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4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plier-type, e.g. pin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치아에 부착될 브래킷을 파지하는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및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와 연결되어 브래킷 파지부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조작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치아의 끝단에 대한 브래킷의 높이를 측정하는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시술이 편리함은 물론 측정이 수월하고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브래킷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브래킷을 부착시킬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Tool for adhesion of teeth correction bracket}
본 발명은,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시술이 편리함은 물론 측정이 수월하고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브래킷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브래킷을 부착시킬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가지런히 배열함으로써 치아의 심미기능, 발음기능, 저작기능 등을 회복하는 치과 교정치료 분야의 가장 중요한 단계는 브래킷을 치아의 특정부위에 신속, 정확하게 부착하되, 인접 치아와도 균일하고 조화로운 높이에 브래킷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치아를 움직이는 탄력을 제공하는 교정용 철사는 잘 부착된 브래킷의 슬롯에 삽입됨으로써 그 교정력을 치아에 전달하게 되어 원하는 치아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정 치료 시 브래킷의 부착방법과 부착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교정치료 중 브래킷의 정확한 위치는 치아 상에 적절한 상하 높이와 앵귤레이션(angulation, 치아의 근원심 방향(좌우 방향)의 기울기), 토크(torque, 치아의 순설방향(전후 방향)의 기울기), 로테이션(rotation, 치아 장착기준의 회전정도)등이 3차원적으로 정밀하게 재현시켜야만 훌륭한 교정치료가 보장되는데, 이때 특히 술자의 시술에 의해 결정되는 높이 구현이 잘못되는 경우 토크를 포함한 앵귤레이션, 로테이션도 변형되는 악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높이 구현은 매우 중요한 교정치료과정으로 간주되고 있다.
한편, 종전만하더라도 시술자의 육안에 의존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브래킷을 치아의 브래킷 장착위치에 부착시켜왔다.
이처럼 육안에 의존하여 브래킷을 장착하게 되면 브래킷의 부착위치가 일률적이지 못하고 부정확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 들어서는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6-0135828호 등의 게이지를 사용하여 브래킷을 부착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을 비롯한 종래 기술의 경우, 별도의 게이지를 이용하여 치아의 끝단과 브래킷의 슬롯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브래킷이 치아에 정확하게 부착되었는지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게이지의 구조 상 좁은 슬롯 내부로부터 계측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술이 어렵고, 이 역시 브래킷 부착 시 다른 평면상에 있는 브래킷 슬롯과 치아끝단까지의 수직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 유지가 어려우며, 특히 시야와 접근이 불량한 어금니 영역의 수평 유지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수초 내에 경화되는 접착제가 발라진 브래킷을 처음엔 트위저로 잡아 치면 상에 임시로 붙이고 이차로 게이지를 사용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이중과정은 시술시간 연장의 어려움도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의 경우, 치아의 끝단과 브래킷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시술이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치아의 끝단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브라켓 베이스 일단으로부터 치아의 끝단까지 계측하므로 계측이 수월하고 수평유지가 용이하며 트위저와 계측게이지 기능을 동시에 하므로 시간 절약의 장점이 있으며, 브래킷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브래킷을 부착시킬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치아에 부착될 브래킷을 파지하는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 파지부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조작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치아의 끝단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높이를 측정하는 스케일이 형성되며 치아 끝단부를 지시하는 끝단지시부가 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사각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상기 치아의 끝단에 배치되어 측정의 기준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다각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 파지부에는 상기 치아의 끝단을 지시하는 끝단지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케일은 상기 브래킷 파지부의 적어도 어느 한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접착제가 부착되는 브래킷 베이스와, 교정용 철사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브래킷 베이스와 상기 슬롯 사이에 배치되는 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이 형성된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상기 스템 또는 상기 브래킷 베이스의 일측과 상기 치아 끝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의 접근 또는 이격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모두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계단식 다각 형상을 가지거나 일측이 돌출된 돌출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시술이 편리함은 물론 측정이 수월하고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브래킷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브래킷을 부착시킬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치아 교정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사용 예로써 브라켓 스템과 치아끝단까지의 높이 계측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측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사용예,
도 7은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치아 교정 상태의 개략도이다.
이 도면의 경우, 치아 교정을 위해 각 치아에 브래킷(10)이 장착되고, 브래킷(10)에 교정용 철사(2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브래킷(10)은 접착제(30, 도 4 참조)에 의해 치아의 브래킷 부착위치(B/P)에 부착된다. 브래킷(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30)가 부착되는 브래킷 베이스(base, 11)와, 교정용 철사(20)가 삽입되는 슬롯(slot, 12)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템(stem, 13)을 갖는다.
그리고 교정용 철사(20)는 잘 부착된 브래킷(10)의 슬롯(12, 도 4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그 고정력을 치아에 전달하게 되어 원하는 치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치아를 교정하게 되면, 시술 후 치아가 가지런하게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심미기능, 발음기능, 저작기능 등이 회복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는 순측 교정치료로서 브래킷(10)들을 순측, 즉 치아의 바깥쪽 입술 또는 뺨측)에 부착하고 브래킷(10)들에 교정용 철사(20)를 걸어 인장시킨 경우이다.
하지만, 상기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바깥쪽에서 보이지 않는 설측에 시술되는 설측 교정치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치아 교정을 시행하는 방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치아에 대한 브래킷 부착위치(B/P)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그 브래킷 부착위치(B/P)에 브래킷(10)을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게이지를 사용한 예가 있으나 브래킷(10)이 부정확한 위치에 부착되거나 시술이 불편하였기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100)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100)에 의하면 종래보다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시술이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치아의 끝단과 브래킷(10)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브래킷(10)을 부착시킬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평면 구조도,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사용예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100)은,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와,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를 조작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는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치아에 부착될 브래킷(10)을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손잡이부(130)는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와 연결되어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 시술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 한 쌍의 손잡이부(130)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100)은 트위저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트위저 타입의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100)은 도 2의 (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한 쌍의 손잡이부(130)를 접근시켰을 때, 반대로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가 상호 이격되고, 한 쌍의 손잡이부(13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 2의 (b)처럼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가 상호 접근되는 타입이다.
하지만, 한 쌍의 손잡이부(130)를 상호간 접근시킬 때,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 역시 함께 상호간 접근되고 한 쌍의 손잡이부(130)를 상호간 이격시킬 때,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 역시 함께 상호간 이격되는 핀셋 타입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파지부(110)의 둘레 변은 직선 형상을 가지면서 인접된 것끼리 상호간 교차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고려해볼 때, 브래킷 파지부(110)의 전체 형상은 사각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 파지부(110)가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면서 그 둘레 변이 직선 형상을 이루는 경우, 치아에 대한 브래킷(10)의 수평 유지에 유리하다. 즉 브래킷(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직선 형상의 둘레 변을 통해 수평도를 맞추면 되기 때문에 치아에 대한 브래킷(10)의 수평 유지에 유리하다.
이러한 브래킷 파지부(110)에는 치아의 끝단(A, 도 4 참조)에 대한 브래킷(10)의 높이, 특히 치아의 끝단(A, 도 4 참조)에 대해 브래킷(10)이 부착될 브래킷 부착위치(B/P)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스케일(111)이 형성된다.
스케일(111)은 눈금이며, 단위는 밀리미터(mm), 센티미터(cm)일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파지부(110)의 단부의 어느 한 변, 즉 치아를 향하는 전방 측 제1 변(11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래킷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나서 도 2의 (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브래킷(10)이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110) 사이에서 파지되도록 한 후, 도 4처럼 치아의 일측 표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나서, 브래킷(10)이 치아의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브래킷 파지부(110)의 스케일(111)을 이용하여 브래킷(10)을 치아의 표면에 위치 조정한다.
즉, 브래킷 파지부(110)를 브래킷(10)의 스템(13)의 하측으로부터 기립하게 배치한 후, 브래킷 파지부(110)의 스케일(111)을 이용하여 치아의 끝단(A, 도 4 참조)에 대해 브래킷(10)이 부착될 브래킷 부착위치(B/P)까지의 높이를 스케일(111)로 측정한다.
측정이 완료되면, 브래킷(10)을 위치 조정하여 브래킷(10)을 브래킷 부착위치(B/P)의 치아에 부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시술이 편리함은 물론 측정이 수월하고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아의 끝단(A)과 브래킷(10)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브래킷(10)을 부착시킬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측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200)에는 브래킷 파지부(210)의 접근 또는 이격 동작시 어긋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250a,250b)가 더 마련된다.
가이드(250a,250b)는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210) 영역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250a)와, 한 쌍의 손잡이부(230) 영역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적인 차이만 있을 뿐 제1 및 제2 가이드(250a,250b) 모두는 가이드 돌기(251)와, 가이드 돌기(251)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그루브(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250a,250b)가 마련되면 특히, 브래킷 파지부(210)의 접근 동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치 변화 없이 브래킷(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사용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300)의 경우, 브래킷 파지부(310)는 치아의 끝단(A)에 배치되어 측정의 기준을 형성하는 걸림턱(315)이 형성된 다각 단면형상, 예컨대 걸림턱(315) 영역이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형 형상(구조), 즉 'L'자 단면형상을 가진다.
브래킷 파지부(310)에는 치아의 끝단(A)에 대해 브래킷(10)이 부착될 브래킷 부착위치(B/P)까지의 높이, 다시 말해 브래킷 베이스(11)의 밑단에서 치아의 끝단(A)까지의 높이를 측정(계측)하는 수단으로서 스케일(311)이 형성된다.
이때, 브래킷 파지부(310)에는 치아의 끝단(A)을 지시하는 끝단지시부(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이를 정확하고 쉽게 계측할 수 있다. 즉 걸림턱(315)을 치아의 끝단(A)에 대기만 하면 브래킷 베이스(11)의 밑단에서 치아의 끝단(A)까지의 높이가 쉽게 계측될 수 있다.
도 7은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의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도 7의 (a)는 스케일(411)이 브래킷 파지부(410)의 대면하는 두 변(410b,410c) 모두에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의 (b)는 스케일(511)이 브래킷 파지부(510)의 둘레 변(510a~510c) 모두에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의 (c)와 (b)는 브래킷 파지부(610,710)가 사각 단면형상이 아닌, 즉 브래킷 파지부(610,710)의 자유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계단식 다각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 내지 (d)와 같은 형상, 혹은 그에 대응되는 유사 형상을 가지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설명한 돌출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참고로, 도 7의 (c)와 (b)에는 스케일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7의 (c)와 (b)에도 스케일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트위저 타입의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은 핀셋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브래킷 11 : 브래킷 베이스
12 : 슬롯 13 : 스템
20 : 교정용 철사 30 : 접착제
100 :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110 : 브래킷 파지부
111 : 스케일 130 : 손잡이부

Claims (9)

  1.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치아에 부착될 브래킷을 파지하는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 파지부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조작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치아의 끝단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높이를 측정하는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상기 치아의 끝단에 배치되어 측정의 기준을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다각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 파지부에는 상기 치아의 끝단을 지시하는 끝단지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은 상기 브래킷 파지부의 적어도 어느 한 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접착제가 부착되는 브래킷 베이스와, 교정용 철사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브래킷 베이스와 상기 슬롯 사이에 배치되는 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이 형성된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상기 스템 또는 상기 브래킷 베이스의 일측과 상기 치아 끝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의 접근 또는 이격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브래킷 파지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모두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파지부는,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계단식 다각 형상을 가지거나 일측이 돌출된 돌출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KR1020120009813A 2012-01-31 2012-01-31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KR10120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13A KR101206732B1 (ko) 2012-01-31 2012-01-31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PCT/KR2013/000814 WO2013115588A1 (ko) 2012-01-31 2013-01-31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US14/375,796 US9510919B2 (en) 2012-01-31 2013-01-31 Tool for bonding orthodontic bracket
JP2014555487A JP2015505503A (ja) 2012-01-31 2013-01-31 歯牙矯正ブラケット取付用ツール
CN201380007631.XA CN104114124A (zh) 2012-01-31 2013-01-31 用于粘接正畸托槽的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13A KR101206732B1 (ko) 2012-01-31 2012-01-31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732B1 true KR101206732B1 (ko) 2012-11-30

Family

ID=4756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813A KR101206732B1 (ko) 2012-01-31 2012-01-31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10919B2 (ko)
JP (1) JP2015505503A (ko)
KR (1) KR101206732B1 (ko)
CN (1) CN104114124A (ko)
WO (1) WO201311558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97B1 (ko) * 2014-11-14 2014-12-31 김중한 게이지 일체형 트위저
KR102097757B1 (ko) 2020-01-16 2020-04-06 유태권 치아 교정용 튜브 트위저
KR102138463B1 (ko)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32B1 (ko) 2012-01-31 2012-11-30 김중한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CN106037957A (zh) * 2016-07-01 2016-10-26 嘉兴乾昆工业设计有限公司 正畸托槽定位镊子
IT201600079343A1 (it) * 2016-07-28 2018-01-28 Leone Spa Strumento per misurare l'espansione di apparecchi ortodontici e kit comprendente un siffatto strumento di misura ed un disgiuntore palatale.
CN106344187B (zh) * 2016-09-26 2017-12-01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改良的舌侧树脂平导粘结手柄
CN111728722B (zh) * 2020-06-23 2022-05-27 深圳市第二人民医院(深圳市转化医学研究院) 一种托槽定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208A (en) 1985-08-16 1986-12-02 Tp Orthodontics, Inc. Positioning jig for edgewise bracket
KR100419444B1 (ko) 1999-12-31 2004-02-19 김중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5919A (en) * 1976-06-04 1977-07-19 Dentronix, Inc. Direct bonding bracket positioning and mounting tool
US4184259A (en) * 1977-06-13 1980-01-22 Sosnay Alan J Orthodontic tool for placing twists in arch wires
US4708651A (en) * 1986-08-22 1987-11-24 Buchanan L Stephen Endodontic root canal file bending pliers
US5007827A (en) * 1989-07-11 1991-04-16 Difranco Paul A Orthodontic tweezers
US5261813A (en) * 1992-07-10 1993-11-16 Baker Melvin B Orthodontic's hand instrument and method
CN2138969Y (zh) * 1992-09-29 1993-07-28 中国人民解放军北京军区军医学校 新型正畸托槽粘贴定位器
KR0163827B1 (ko) * 1995-10-23 1998-12-15 김중한 게이지 일체형 트위저
US20020006595A1 (en) * 1997-10-20 2002-01-17 Voudouris John C. Orthodontic tools
US6447291B2 (en) * 1999-12-31 2002-09-10 Joong Han Kim Orthodontic jig for attaching orthodontic brackets
AT408717B (de) * 2000-09-15 2002-02-25 Dietrich Herbert Dr Pinzette
US6786719B2 (en) * 2002-01-16 2004-09-07 Progressive America, Inc. Orthodontic bracket holder
US6783359B2 (en) * 2002-07-03 2004-08-31 Arthur L. Kapit Orthodontic marginal ridge measurement device
US7621742B2 (en) * 2004-04-30 2009-11-24 Michaelson Dennis J Orthodontic hand tool system
CN200980736Y (zh) * 2006-10-30 2007-11-28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多功能牙科镊子
US8088142B2 (en) * 2006-12-31 2012-01-03 Yamada Jason M Sinus membrane perforation patching material carrying instrument
CN201235007Y (zh) * 2007-11-20 2009-05-13 孙轲 口腔正畸托槽定位安放器
FR2927795B1 (fr) * 2008-02-22 2010-04-09 Charles Clor Precelle pour verrou orthodontique.
CN201361126Y (zh) * 2009-03-10 2009-12-16 尹光山 一种多功能牙科镊子
CN201409988Y (zh) * 2009-04-02 2010-02-24 许文英 快速定位粘接牙齿正畸托槽的镊子
USD638322S1 (en) * 2009-11-24 2011-05-24 Nobuhisa Teramoto Jaw portion of calipers
CN201642375U (zh) * 2010-03-03 2010-11-24 张爱香 一种口腔科一次性镊子
US8979531B2 (en) * 2010-08-19 2015-03-17 Dental Care Innovation Gmbh Double-arched tweezers for dental operations
KR101206732B1 (ko) 2012-01-31 2012-11-30 김중한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208A (en) 1985-08-16 1986-12-02 Tp Orthodontics, Inc. Positioning jig for edgewise bracket
KR100419444B1 (ko) 1999-12-31 2004-02-19 김중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97B1 (ko) * 2014-11-14 2014-12-31 김중한 게이지 일체형 트위저
KR102138463B1 (ko) 2019-03-15 2020-07-27 정진환 게이지 트위저
KR102097757B1 (ko) 2020-01-16 2020-04-06 유태권 치아 교정용 튜브 트위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5503A (ja) 2015-02-23
US9510919B2 (en) 2016-12-06
WO2013115588A1 (ko) 2013-08-08
CN104114124A (zh) 2014-10-22
US20150056565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732B1 (ko)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US20110250556A1 (en) Mounting Arrangement with Mounting Aid and Orthodontic Bracket
US7833013B2 (en) Device, method and kit for determining orthodontic dimensions
KR100899535B1 (ko) 브래킷 또는 튜브용 이송 지그, 이의 제작법 및 사용법
TW201810097A (zh) 利用數位資料庫的牙齒矯正用數位支架及其製造方法
US20040005523A1 (en) Orthodontic marginal ridge measurement device
US20160374780A1 (en) Orthodontic indiret bonding tray including stablization features
US8690567B2 (en) Adjustable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03082137A1 (en) Orthodontic bracket placement device and coordinated bracket placement method
CA3063024A1 (en) Standard denture alignment jig, denture preparation kit,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 using the jig and the kit
KR101478497B1 (ko) 게이지 일체형 트위저
US6296482B1 (en) Orthodontic height positioning gauge with rotatable heads
US10945816B1 (en)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instrument
CN209984333U (zh) 托槽定位镊
KR20110083199A (ko) 치열 교정 장치
KR100419444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CN210903429U (zh) 一种口腔隐形矫正辅助工具
WO2016112795A1 (zh) 带状直丝弓托槽
CN208640951U (zh) 一种牙弓测量仪
KR100419445B1 (ko) 치열 교정용 설측브라켓 부착장치
CN210330784U (zh) 一种多用途正畸托槽定位卡扣
KR100805236B1 (ko)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게이지
CN205494043U (zh) 一种可调型托槽一体式前磨牙带环
KR102138463B1 (ko) 게이지 트위저
JPH04251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