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732B1 - 네일아트기구 - Google Patents

네일아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732B1
KR101205732B1 KR1020110052734A KR20110052734A KR101205732B1 KR 101205732 B1 KR101205732 B1 KR 101205732B1 KR 1020110052734 A KR1020110052734 A KR 1020110052734A KR 20110052734 A KR20110052734 A KR 20110052734A KR 101205732 B1 KR101205732 B1 KR 10120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nail art
mounting member
nai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용
Original Assignee
신우유니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유니온(주) filed Critical 신우유니온(주)
Priority to KR102011005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41F17/3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on articles with surface irregularities, e.g. fruits, nu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일아트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한글자음의 디귿자형(ㄷ字形)으로 마련하되 하부측은 손가락안치대로 마련되고 상부측은 탄지대로 마련되는 몸체; 이 몸체의 탄지대엔 스탬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탬프장착부재; 상기 스탬프장착부재의 하부인 몸체의 손가락안치대엔 스탬프장착부재의 스탬프에 전사된 무늬모양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탬프가 비치게 마련되는 반사경;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에 의하면 손가락안치대의 반사경에 비친 스탬프나 무늬인쇄부재의 소정무늬에 대한 위치와 방향을 보고 손가락안치대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인쇄되게 손가락을 올려놓고 인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정확하게 인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네일아트기구{nail art tool}
본 발명은 네일아트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무늬모양인 이미지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함은 물론 확인해 가면서 사용자의 손톱표면에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는 네일아트기구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엔 손톱에 단순한 매니큐어 대신 개개의 개성을 살리기 위한 독특한 소정무늬나 모양을 인쇄하는 네일아트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네일아트는 자기 자신의 손톱에 소정무늬를 직접 그리기가 용이하지 않아 전문가에게 별도로 고비용을 지출하고 서비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다양한 무늬를 선택하여 손톱에 인쇄할 수 있는 기구나 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이들 중에서 몇 개만을 발췌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0453342호와 제0485928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4-0038634호와 공개특허번호 제2011-0016711호에는 다양한 문자나 모양이 새겨진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에 매니큐어나 전용약품을 도포한 다음 단면이 평탄한 칼날을 슬라이딩시키면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를 이루는 홈부 내에 도포된 매니큐어나 전용약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칼날에 긁히어 밀려나가 깨끗하게 제거(세척)되게 되며, 이후에 탄성을 갖고 소프트한 스탬프로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를 눌러 찍어 전사한 다음 다시 스탬프를 사용자의 손톱위에 대고 눌렀다가 떼어냄으로써 소정이미지를 인쇄하는 것이다.
상기 특허 제0453342호와 공개특허번호 제2004-0038634호 및 공개특허번호 제2011-0016711호는 네일아트장치가 기계화된 것으로 복잡하고 고가로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특허 제0485928호는 매니큐어나 전용약품, 이미지판, 칼날부재, 스탬프를 각각 별도로 마련하여 모든 공정을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행하는 것인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의 정교한 이미지를 얻을 확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네일아트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0046443호와 공개특허번호 제2010-0084795호에는 음각으로 하나 이상의 무늬모양을 갖는 문양성형판이 마련되고 이 문양성형판을 결합 고정하여 파지하기 위한 파지몸체를 포함하여 마련된 것이 그 특징이다. 위의 네일아트기구들은 문양성형판의 소정문양부분에 매니큐어나 전용약품을 도포하고 종이위에 2~4회 정도 찍으면 문양성형판의 음각 내에 도포된 매니큐어나 전용약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종이에 찍혀 깨끗하게 제거(세척)되게 되며, 이후에 문양성형판의 소정문양부분을 사용자의 손톱위에 대고 눌렀다가 떼어냄으로써 소정문양을 인쇄하는 것이다.
상기 공개특허번호 제2010-0046443호와 공개특허번호 제2010-0084795호는 문양성형판의 소정문양부분에 매니큐어나 전용약품을 도포한 후 종이위에 2~4회 정도 찍어 음각의 소정문양주위에 도포된 매니큐어나 전용약품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여야 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이러한 과정이 사용자로 하여금 조잡하게 여겨질 수 있다는 폐단이 있었으며, 이때 소정문양부분의 오염이 되지 않도록 깨끗한 지면에만 찍어야 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불필요하게 종이의 낭비 또한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특허나 모든 공개특허들은 손톱에 스탬프나 문양성형판으로 소정이미지(소정문양)를 인쇄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손톱의 위치나 방향으로 소정이미지(소정문양)가 어떻게 인쇄되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이미지인쇄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어 만족하지 못하고 이러한 경우 인쇄된 이미지를 지우고 재차 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 짧은 시간에 사용자가 만족하는 네일아트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100453342 B1, KR200288435 Y1, KR1020040038634 A, KR1020110016711 A, KR1020100046443 A, KR1020100084795 A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거하여 보고자 한다.
첫째로, 손가락안치대의 상부에 탄지대가 평행하게 마련하되 상기 탄지대에 스탬프나 무늬인쇄부재를 마련하고 이 무늬인쇄부재의 하부에 반사경을 마련함으로써 손가락안치대의 반사경에 비친 스탬프나 무늬인쇄부재의 소정무늬에 대한 위치와 방향을 보고 손가락안치대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인쇄되게 손가락을 올려놓고 인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로, 손가락안치대의 한쪽에 탄지대를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게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탄지대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펼치면 탄지대의 스탬프에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를 용이하게 전사해 올 수 있고 이후에 다시 탄지대를 원래상태로 접어 손가락안치대에 손가락을 올려놓고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로, 스탬프를 탄지대에서 탈착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탄지대에서 스탬프만을 분리하여 기존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넷째로, 스탬프나 반사경을 회전시키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즈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스탬프의 위치 및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다섯째로, 손가락안치대의 한쪽과 연결되는 탄지대에 목부를 마련함으로써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된 사용자의 손톱에 따라 탄지대와 함께 스탬프를 간편하게 비틀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손가락안치대에 놓인 사용자의 손톱에 확실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는 한글자음의 디귿자형(ㄷ字形)으로 마련하되 하부측은 손가락안치대로 마련되고 상부측은 탄지대로 마련되는 몸체; 이 몸체의 탄지대엔 스탬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탬프장착부재; 상기 스탬프장착부재의 하부인 몸체의 손가락안치대엔 스탬프장착부재의 스탬프에 전사된 무늬모양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탬프가 비치게 마련되는 반사경;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탬프는 하면에 소정이미지가 음각으로 성형된 무늬인쇄부재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는 소프트하고 탄성을 갖는 것이면 무방하나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탬프는 스탬프장착부재에 직접 장착할 수 있으나 제품의 상품성 내지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스탬프에 캡(cap)을 씌운 것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손가락안치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탄지대를 회전시켜 펼칠 수 있도록 손가락안치대의 한쪽에 탄지대가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장착부재는 탄지대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탬프의 높낮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지대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탬프장착부재는 사용자의 손톱에 소정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하여 탄지대가 눌렸을 때 스탬프가 수평을 이루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스탬프장착부재의 중심선이 1~5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탬프장착부재에는 탄지대에서 분리한 후 파지하여 수작업으로 네일아트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가 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지대는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된 사용자의 손톱에 따라 탄지대와 함께 스탬프를 간편하게 비틀 수 있도록 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탄지대의 스탬프장착부재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안치대에서 승강되게 나사방식으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는 손가락안치대의 상부에 탄지대가 평행하게 마련하되 상기 탄지대에 스탬프나 무늬인쇄부재를 마련하고 이 무늬인쇄부재의 하부에 반사경을 마련함으로써 손가락안치대의 반사경에 비친 스탬프나 무늬인쇄부재의 소정무늬에 대한 위치와 방향을 보고 손가락안치대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인쇄되게 손가락을 올려놓고 인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안치대의 한쪽에 탄지대를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게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탄지대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펼치면 탄지대의 스탬프에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를 용이하게 전사해 올 수 있고 이후에 다시 탄지대를 원래상태로 접어 손가락안치대에 손가락을 올려놓고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스탬프나 반사경을 회전시키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즈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스탬프의 위치 및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안치대의 한쪽과 연결되는 탄지대에 목부를 마련함으로써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된 사용자의 손톱에 따라 탄지대와 함께 스탬프를 간편하게 비틀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손가락안치대에 놓인 사용자의 손톱에 확실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네일아트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에서 손가락안치대에 대하여 탄지대를 회전시켜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에 무늬모양을 인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네일아트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네일아트기구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네일아트기구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글자음의 디귿자형(ㄷ字形)으로 몸체(10)가 마련되되 상기 몸체(10)의 하부측은 손가락안치대(11)로 마련되고 몸체(10)의 상부측은 탄지대(12)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탄지대(13)에는 스탬프(30)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스탬프장착부재(2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탬프장착부재(20)의 하부인 몸체(10)의 손가락안치대(11)에는 스탬프장착부재(20)의 스탬프(30)에 전사된 무늬모양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탬프(30)가 비치게 반사경(4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손가락안치대(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탄지대(12)를 90도 정도 회전시켜 펼칠 수 있도록 손가락안치대(11)의 한쪽에 탄지대(12)가 힌지(50)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힌지(50)부위의 손가락안치대(11)와 탄지대(12)에는 이들이 한글자음의 디귿자형으로 되었을 때와 상기 탄지대(12)를 90도 정도 회전시켜 펼쳤을 때 서로 걸려 더 이상을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걸림단턱(13,14)이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몸체(10)를 이루는 손가락안치대(11)와 탄지대(12)가 힌지(50)로 연결되어 있어 탄지대(12)를 손가락안치대(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펼친 다음 탄지대(12)에 마련된 스탬프장착부재(20)의 스탬프(30)로 평탄면에 놓인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를 용이하게 전사해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탬프장착부재(20)는 스탬프(30)의 높낮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지대(12)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톱에 소정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하여 탄지대(12)의 단부가 눌렸을 때 어느 정도 하강 및 회전되면서 스탬프(30)가 수평을 이루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스탬프장착부재(20)의 중심선이 1~5도로 기울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탄지대(12)에는 스탬프장착부재(20)의 제1수나사(21)가 끼워지는 제1암나사홀(16)이 마련되되 상기 제1암나사홀(16)은 수직선에 대하여 1~5도의 경사각도(α)로 기울어진 상태로 천공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스탬프(30)가 끼워지는 결합홈(22)이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스탬프장착부재(20)의 중심선에 대한 경사각도(α)가 1도 미만이면 탄지대(12)의 단부가 눌림이 시작됨과 동시에 손가락안치대(11)에 놓인 사용자의 손톱이 거의 닿는 상태로서 탄지대(12)의 단부가 거의 휘어질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톱에 스탬프(30)하면 전체가 제대로 균일하게 닿지 않기 때문에 스탬프(30) 하면의 소정이미지가 제대로 인쇄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경사각도(α)가 5도를 초과하면 탄지대(12)가 눌리어 손가락안치대(11)에 놓인 사용자의 손톱과 닿을 때 탄지대(12)의 휘어지는 각도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몸체(10)자체가 비대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상기 스탬프(30)는 하면에 소정이미지가 음각으로 성형된 무늬인쇄부재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상기 스탬프(30)는 소프트하고 탄성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탬프(30)는 스탬프장착부재(20)에 직접 장착할 수 있으나 제품의 상품성 내지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스탬프(30)를 인위적으로 잡아 빼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빠지지 않도록 캡(32)을 씌운 것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스탬프(30)에 캡(32)을 씌운 경우에는 스탬프장착부재(20)의 결합홈(22)과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상기 결합홈(22)엔 암나사가 마련되고 캡(32)의 외면엔 수나사가 마련되어 결합되는 나사방식으로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탬프장착부재(20)는 탄지대(12)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의 탈착수단으로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반사경(40)은 손가락안치대(11)에 마련되되 균등각도로 분할된 마킹라인을 마련하여 반사경(40)에 비치는 스탬프(30)의 소정이미지에 대한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안치대(12)의 반사경(40)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사용자의 손톱을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톱표면에 인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사경(40)은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반사경(40)을 회전축(42)에 부착하여 손가락안치대(11)에 마련되는 축홀(17)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올려놓을 때 반사경(40)이 회전되므로 더욱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탄지대(12)는 도 7과 같이 목부(15)를 마련하여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된 사용자의 손톱에 따라 탄지대(12)와 함께 스탬프(30)를 간편하게 비틀어서 사용자의 손톱에 인쇄되는 무늬모양이 보다 확실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에 대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이미지판(도시되지 않음)에 음각으로 성형된 소정의 이미지에만 매니큐어 또는 네일아트전용 페인트가 도포되도록 마련한다. 이후에 몸체(10)의 손가락안치대(11)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탄지대(12)를 잡아당기면 도 4와 같이 힌지(50)를 중심으로 하여 탄지대(12)가 90도 정도 회전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지대(12)의 스탬프장착부재(20)에 조립되어있는 스탬프(30)를 상기 이미지판의 이미지 상부로부터 눌렀다가 떼어내면 스탬프(30)의 하면에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가 전사되게 된다.
곧바로, 스탬프(30)의 하면에 전사된 이미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탄지대(12)를 그 펼침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10)의 전체형상인 한글자음의 디귿자형이 되도록 복귀시킨다. 이때, 손가락안치대(11)측의 반사경(40) 상부인 탄지대(12)에 스탬프(30)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사경(40)에는 스탬프(30) 하면의 이미지가 비치는 상태이다.
상기 반사경(40)에 비친 스탬프(30) 하면의 이미지가 너무 삐뚤어져 있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이 아니면 스탬프장착부재(20)를 임의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할 수 있고 스탬프(30)의 높낮이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반사경(40)에 비친 스탬프(30)의 이미지에 대한 위치와 방향을 감안하여 도 5와 같이 네일아트를 하고자 하는 손가락의 손톱부분을 손가락안치대(11)의 반사경(40) 위에 올려놓는다.
이후에 탄지대(12)의 단부나 스탬프장착부재(20)를 그 상부에서 하부로 살며시 눌렀다가 놓되, 도 6과 같이, 스탬프(30)의 하면이 손가락의 손톱부분이 완전하게 접촉되었다가 떨어지도록 하면 스탬프(30) 하면의 이미지가 손가락의 손톱에 인쇄되게 되고, 이렇게 손가락의 손톱에 이미지가 인쇄되고 나면 상기 손가락안치대(11)의 반사경(40)에서 손가락을 빼냄으로써 네일아트가 마무리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스탬프장착부재(20)가 탄지대(11)에서 분리한 후 파지하여 수작업으로 네일아트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탬프장착부재(20)의 상단에 손잡이부재(60)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손잡이부재(60)는 원형고리(61)의 하단에 제2수나사(62)가 마련되고 이 제2수나사(62)가 끼워져 결합되게 스탬프장착부재(20)의 상단에 제2암나사홀(23)이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네일아트기구는 몸체(10)의 탄지대(12)에서 스탬프장착부재(20)를 분리하되 상기 스탬프장착부재(20)의 제2나사홀(23)에 손잡이부재(60)인 원형고리(61)의 제2수나사(62)를 체결하여 수작업으로 네일아트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네일아트의 수작업은 손잡이부재(60)의 원형고리(61)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미지판의 소정이미지를 스탬프장착부재(20)의 스탬프(30)에 전사한 다음 사용자의 손톱에 대고 살며시 눌렀다가 떼면 손톱에 소정이미지가 인쇄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몸체(10)를 이루는 손가락안치대(11)와 탄지대(12)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마련한 것을 제외하고는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네일아트기구는 몸체(10)를 구성하는 부품이 하나로 되어 완제품으로의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하나의 금형으로 사출 성형되므로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몸체(10)의 손가락안치대(11)에 마련되는 반사경(40)을 나사방식으로 승강되게 마련한 것을 제외하고는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반사경(40)엔 내면에 암나사를 갖는 회전축(42)이 반사경의 하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2)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나사축(44)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42)은 나사축(44)이 회전되더라도 연동 회전되지 않고 승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네일아트기구는 스탬프장착부재(20)에 장착된 스탬프(30)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소정이미지를 인쇄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즈에 따라 나사축(44)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축(42)이 승강됨으로써 반사경(40)의 높낮이 또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상태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일아트기구는 이미지판이나 무늬인쇄부재의 소정이미지를 손톱에 인쇄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의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인쇄하는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몸체 11: 손가락안치대
12: 탄지대 13,14: 걸린단턱
15: 목부 16: 제1암나사홀
20: 스탬프장착부재 21: 제1수나사
22: 결합홈 23: 제2암나사홀
30: 스탬프 32: 캡
40: 반사경 42: 회전축
44: 나사축 50: 힌지
60: 손잡이부재 61: 원형고리
62: 제2수나사

Claims (7)

  1. 한글자음의 디귿자형(ㄷ字形)으로 마련하되 하부측은 손가락안치대로 마련되고 상부측은 탄지대로 마련되는 몸체;
    이 몸체의 탄지대엔 스탬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탬프장착부재;
    상기 스탬프장착부재의 하부인 몸체의 손가락안치대엔 스탬프장착부재의 스탬프에 전사된 무늬모양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탬프가 비치게 마련되는 반사경;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손가락안치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탄지대를 회전시켜 펼칠 수 있도록 손가락안치대의 한쪽에 탄지대가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장착부재는 스탬프의 높낮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지대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기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장착부재는 사용자의 손톱에 소정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하여 탄지대가 눌렸을 때 스탬프가 수평을 이루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스탬프장착부재의 중심선이 1~5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기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장착부재에는 탄지대에서 분리한 후 파지하여 수작업으로 네일아트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가 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대는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된 사용자의 손톱에 따라 탄지대와 함께 스탬프를 간편하게 비틀 수 있도록 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기구.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는 하면에 소정이미지가 음각으로 성형된 무늬인쇄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아트기구.
KR1020110052734A 2011-06-01 2011-06-01 네일아트기구 KR10120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34A KR101205732B1 (ko) 2011-06-01 2011-06-01 네일아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34A KR101205732B1 (ko) 2011-06-01 2011-06-01 네일아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732B1 true KR101205732B1 (ko) 2012-11-28

Family

ID=4756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734A KR101205732B1 (ko) 2011-06-01 2011-06-01 네일아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8104A (zh) * 2017-12-29 2018-04-13 深圳市邻友通科技发展有限公司 手指固定结构及美甲机
CN109152459A (zh) * 2016-12-07 2019-01-04 珍熙韩国美容实业有限公司 贴纸转移套件和使用该套件的贴纸转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42B1 (ko) 2002-03-05 2004-10-15 (주)코나드 페이스 페인팅 겸용 네일 아트 장치
JP2006130052A (ja) 2004-11-05 2006-05-25 Takara Co Ltd ネイルアート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42B1 (ko) 2002-03-05 2004-10-15 (주)코나드 페이스 페인팅 겸용 네일 아트 장치
JP2006130052A (ja) 2004-11-05 2006-05-25 Takara Co Ltd ネイルアート玩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2459A (zh) * 2016-12-07 2019-01-04 珍熙韩国美容实业有限公司 贴纸转移套件和使用该套件的贴纸转移方法
CN107898104A (zh) * 2017-12-29 2018-04-13 深圳市邻友通科技发展有限公司 手指固定结构及美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8534B1 (en) Fascia tissue fitness device
JP6577203B2 (ja) ネイルアートプリント用指先保持器と指先保持器定置装置及びネイルアートプリント装置
KR101205732B1 (ko) 네일아트기구
EP2200476B1 (fr) Dispositif reglable permettant de proteger le pourtour de l'ongle et de positionner un pochoir sur l'ongle
EP2356919A1 (en) Portable nail art device and nail art method using same
US20230414408A1 (en) Dispensing devices and methods
JP2010524650A (ja) 貼り付けタブを有する人工爪
EP1807750A4 (en) DISPLAY MODULE, DEVICE, COMPUTER SOFTWARE PRODUCT AND METHOD FOR A USER INTERFACE VIEW
CN201350607Y (zh) 摆头扳手
KR101331564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20160136544A (ko) 자체 중력을 이용한 다용도 휴대폰 거치대
CN211444987U (zh) 一种可调节的安瓿瓶开启装置
KR101804399B1 (ko) 천공 모양 변환이 가능한 펀칭기
JP6311296B2 (ja) パッチ貼着具
CN209996486U (zh) 一种手术器械整理台
CN217669507U (zh) 一种组合式剪纸刻刀
JP3054841U (ja) 錠剤のリムーバー
US20200384796A1 (en) Embossing art tools
CN211644553U (zh) 一种麻醉科用安瓿瓶开瓶工具
CN207711621U (zh) 一种盖章治具
JP3189544U (ja) ネイルチップ用スタンド
KR101062721B1 (ko) 네일 아트 기구
KR101036015B1 (ko) 공예용 와이어 성형기
TW590856B (en) Handle device of document punching apparatus
CN207258875U (zh) 一种可使胶纸端部重叠的胶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