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342B1 -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342B1
KR101205342B1 KR1020110019477A KR20110019477A KR101205342B1 KR 101205342 B1 KR101205342 B1 KR 101205342B1 KR 1020110019477 A KR1020110019477 A KR 1020110019477A KR 20110019477 A KR20110019477 A KR 20110019477A KR 101205342 B1 KR101205342 B1 KR 10120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source
karaoke
sound
sel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515A (ko
Inventor
이상혁
Original Assignee
이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혁 filed Critical 이상혁
Priority to KR102011001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34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모듈을 구비하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 또는 입력버튼을 통해 인가받은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노래방DB로부터 색인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고, 스피커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노래방 기기본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내장된 메모리부로부터 색인하고, 색인된 음원 및 음원출력 제어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보조음향기기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및 무선수신모듈을 통해 휴대단말기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 음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을 음원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보조음향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KARAOKE SOURCE VIDEO AND SOUND OF RECODING SINGER MATCH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래방 기기에 의해 기 제공되는 영상 및 음향은 물론, 가수에 의해 기 녹음된 음성을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에는 다량의 노래 곡목에 대한 반주데이터와 가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노래방 기기가 설치되고, 노래방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목록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노래목록 책자가 제공된다.
최근 들어 노래방기기들 마다 상이한 노래목록 책자를 통한 선곡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핸드폰 단말기를 통해 노래방기기나 조명 등을 직접 제어하는 발명들이 출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폰 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방기기의 제어 기술을 보면, 사용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선곡할 노래를 검색하고 노래방에서 제공하는 무선 리모컨 대용으로 사용하여 노래방기기에 선곡을 입력하는 방식이거나, 노래방에 설치된 조명, 음향, 영상 설비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핸드폰 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방기기의 제어 기술 또한 사용자들이 자신의 핸드폰을 통해 선곡할 곡을 검색하고,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곡 선곡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노래방 출입의 주된 목적인 노래방 기기가 출력하는 음원, 음향 및 영상과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부르는 음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해주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으며, 음정이나 박자가 틀리는 것은 사용자의 노래 실력이 부족한 것으로 취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사용자가 노래방 기기의 모니터를 통해 가사를 확인하더라도 음정 또는 박자를 정확하게 캐치(catch)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통해 가수가 녹음한 음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노래실력 향상을 도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노래방 기기에 의해 기 제공되는 영상 및 음향은 물론, 가수에 의해 기 녹음된 음성을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노래실력 향상을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모듈을 구비하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 또는 입력버튼을 통해 인가받은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노래방DB로부터 색인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고, 스피커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노래방 기기본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내장된 메모리부로부터 색인하고, 색인된 음원 및 음원출력 제어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보조음향기기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및 무선수신모듈을 통해 휴대단말기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 음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을 음원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보조음향기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바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한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은, 노래방 기기본체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 또는 입력버튼을 통해 인가받은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노래방DB로부터 색인하는 (a) 단계; 노래방 기기본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고, 스피커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b) 단계; 휴대단말기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내장된 메모리부로부터 색인하는 (c) 단계; 및 보조음향기기가 무선수신모듈을 통해 휴대단말기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 음원을 수신하여 음원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래방 기기에 의해 기 제공되는 영상 및 음향은 물론, 가수에 의해 기 녹음된 음성을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노래실력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의 노래방 기기본체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의 휴대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의 보조음향기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의 제S10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의 제S20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S)은, 노래방 기기본체(100), 휴대단말기(200) 및 보조음향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본체(100), 휴대단말기(200) 및 보조음향기기(300)간의 데이터 통신은 UWB(ultra 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먼저, 노래방 기기본체(1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모듈(110)을 구비하며 리모컨(120)으로부터 수신한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 또는 입력버튼(130)을 통해 인가받은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노래방DB(140)로부터 색인하고,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고, 스피커부(160)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서, 선곡정보는 사용자의 노래 선곡에 대응하는 곡명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데이터이고, 예약정보는 선곡정보가 수신 또는 입력된 이후 재차 선곡정보가 수신 또는 입력되는 경우, 선행 선곡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의 출력 이후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로 복수개로 생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리모컨(120) 또는 입력버튼(130)의 조작을 통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의 순서는 비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S)의 노래방 기기본체(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무선송수신모듈(110)은 전술한바와 같은 UWB(ultra 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중에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탑재하며, 리모컨(120)으로부터 송출되는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리모컨(120)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무선송수신모듈(110)과 기 동기화된 주파수를 통해 무선송수신모듈(110)로 송출한다.
여기서, 출력기기 제어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영상출력 및 스피커부(160) 음향출력의 ON/OFF 제어명령을 포함하며,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의 출력을 제어하는 정보이다.
예컨대, 리모컨(120)은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통해 선곡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의 출력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출력시키거나, 후순위 예약정보를 선순위로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으며, 출력되는 영상의 종류나 장르(뮤직비디오 영상, 콘서트 영상 또는 임의의 영상)를 변경하거나 음향출력의 빠르기 변경이 가능하고, 출력되는 음향의 음정(키)에 대한 변경(남자 키 또는 여자 키)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20)은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버튼(130)은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 및 스피커부(160)로 인가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 및 스피커부(160)가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노래방DB(140)는 노래방 기기본체(100)에 탑재되어 복수개의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곡명정보 각각에 대한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는 영상출력 데이터 또는 음향출력 데이터들을 저장?관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리모컨(120) 또는 입력버튼(130)으로부터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노래방DB(140)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노래가사 포함)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브라운관(Braun tube),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 어느 하나의 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스피커부(160)는 리모컨(120) 또는 입력버튼(130)으로부터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노래방DB(140)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200)는 무선통신모듈(210)을 통해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내장된 메모리부(220)로부터 색인하고, 무선통신모듈(210)을 통해 색인된 음원 및 음원출력 제어정보를 보조음향기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의 동기화는 기 설정된 무선통신 주파수를 통해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및 스피커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실시간으로 링크(link)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음원은 가수에 의해 노래 가사가 기 녹음된 것으로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도록 메모리부(220)에 저장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200)는 복수개의 제조사 및 제품에 대한 노래방 기기본체(100)들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S)의 휴대단말기(2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휴대단말기(200)의 무선통신모듈(210)은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무선송수신모듈(110)과 링크(link)되어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동기화되어 실시간으로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부(220)로부터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인가받아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실시간으로 동기화된 보조음향기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메모리부(220)는 복수개의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 음원을 기 저장?관리하되, 무선통신모듈(210)로부터 인가받은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색인하여 무선통신모듈(210)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매칭설정 데이터를 입력받고, 매칭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시간 설정 값'에 대응하는 시간에 메모리부(220)에 의해 색인된 음원이 무선통신모듈(210)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링크시간 설정 값이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또는 스피커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동일한 시간, 이른 시간 또는 늦은 시간 중에 어느 하나의 시간에 메모리부(220)에 의해 색인된 음원을 무선통신모듈(210)을 통해 보조음향기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설정 값이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S)의 보조음향기기(3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보조음향기기(300)는 무선수신모듈(310)을 통해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 즉,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및 스피커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대응하는 음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을 음원출력모듈(320)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보조음향기기(300)는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또는 헤드셋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전원의 ON/OFF에 따라 휴대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음원출력 제어모듈(330)을 통해 음량의 증가 및 감소를 포함하는 오디오출력 제반기능을 탑재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본체(100), 휴대단말기(200) 및 보조음향기기(300) 각각 기능의 실행은 선후관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단계가 동일 시간대에 수행되거나 그 실행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먼저, 노래방 기기본체(100)가 리모컨(120)으로부터 수신한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 또는 입력버튼(130)을 통해 인가받은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노래방DB(140)로부터 색인한다(S10).
이어서, 노래방 기기본체(100)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고, 스피커부(160)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S20).
뒤이어, 휴대단말기(200)가 무선통신모듈(210)을 통해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내장된 메모리부(220)로부터 색인한다(S30).
그리고, 보조음향기기(300)가 무선수신모듈(310)을 통해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및 스피커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대응하는) 음원을 수신하여 음원출력모듈(320)을 통해 출력한다(S40).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의 제S10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리모컨(12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무선송수신모듈(110)과 기 동기화된 주파수를 통해 무선송수신모듈(110)로 송출하거나, 입력버튼(13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 및 스피커부(160)로 인가한다(S11).
이어서,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50)가 노래방DB(140)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S12).
그리고,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스피커부(160)가 노래방DB(140)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S13).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의 제S20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휴대단말기(200)의 무선통신모듈(210)이 노래방 기기본체(100)의 무선송수신모듈(110)과 링크(link)되어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동기화되어 실시간으로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를 수신한다(S21).
이어서, 휴대단말기(200)의 메모리부(220)가 무선통신모듈(210)로부터 인가받은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색인하여 무선통신모듈(210)로 인가한다(S22).
그리고, 휴대단말기(200)의 무선통신모듈(210)이 메모리부(220)로부터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인가받아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실시간으로 동기화된 보조음향기기(300)로 전송한다(S23).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S22단계 이전에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30)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매칭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시간 설정 값'에 대응하는 시간에 메모리부(220)에 의해 색인된 음원이 무선통신모듈(210)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제S23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S24)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100: 노래방 기기본체 110: 무선송수신모듈
120: 리모컨 130: 입력버튼
140: 노래방DB 150: 디스플레이부
160: 스피커부 200: 휴대단말기
210: 무선통신모듈 220: 메모리부
230: 제어부 300: 보조음향기기
310: 무선수신모듈 320: 음원출력모듈
330: 음원출력 제어모듈

Claims (10)

  1.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모듈을 구비하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 또는 입력버튼을 통해 인가받은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노래방DB로부터 색인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고, 스피커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노래방 기기본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내장된 메모리부로부터 색인하고, 색인된 음원 및 음원출력 제어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보조음향기기로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및
    무선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및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대응하는) 음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을 음원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보조음향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는, UWB(ultra 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중에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탑재하며,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모듈과;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상기 무선송수신모듈과 기 동기화된 주파수를 통해 상기 무선송수신모듈로 송출하는 리모컨과;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로 인가하는 입력버튼과;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에 탑재되어 복수개의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곡명정보 각각에 대한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는 영상출력 데이터 또는 음향출력 데이터들을 저장?관리하는 노래방DB와; 상기 리모컨 또는 입력버튼으로부터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노래방DB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리모컨 또는 입력버튼으로부터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노래방DB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음향기기는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또는 헤드셋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전원의 ON/OFF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음원출력 제어모듈을 통해 음량의 증가 및 감소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곡정보는 사용자의 노래 선곡에 대응하는 곡명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데이터이고, 상기 예약정보는 선곡정보가 수신 또는 입력된 이후 재차 선곡정보가 수신 또는 입력되는 경우, 선행 선곡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의 출력 이후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기 제어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영상출력 및 스피커부(160) 음향출력의 ON/OFF 제어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의 출력을 제어하되,
    상기 선곡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의 출력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출력, 후순위 예약정보를 선순위로의 변경을 제어하고, 출력되는 영상의 종류나 장르(뮤직비디오 영상, 콘서트 영상 또는 임의의 영상)의 변경, 음향출력의 빠르기 변경, 또는 출력되는 음향의 음정(키)에 대한 변경(남자 키 또는 여자 키) 중에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는,
    기 설정된 무선통신 주파수를 통해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및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실시간으로 링크(link)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음원은 가수에 의해 노래 가사가 기 녹음된 것으로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무선송수신모듈과 링크(link)되어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동기화되어 실시간으로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인가받아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실시간으로 동기화된 상기 보조음향기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복수개의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 음원을 기 저장?관리하되,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색인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인가하는 메모리부; 및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매칭설정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매칭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시간 설정 값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메모리부에 의해 색인된 음원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시간 설정 값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또는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동일한 시간, 이른 시간 또는 늦은 시간 중에 어느 하나의 시간에 상기 메모리부에 의해 색인된 음원을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보조음향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설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8.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에 있어서,
    (a) 노래방 기기본체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한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 또는 입력버튼을 통해 인가받은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 및 음향을 노래방DB로부터 색인하는 단계;
    (b)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고, 스피커부를 통해 선곡정보 및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c) 휴대단말기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내장된 메모리부로부터 색인하는 단계; 및
    (d) 보조음향기기가 무선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 각각과 대응하는 음원을 수신하여 음원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리모컨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무선송수신모듈과 기 동기화된 주파수를 통해 상기 무선송수신모듈로 송출하거나, 입력버튼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선곡정보, 예약정보 및 출력기기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로 인가하는 (a-1) 단계와;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디스플레이부가 노래방DB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영상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a-2) 단계; 및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스피커부가 노래방DB로부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향을 색인하여 출력기기 제어정보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는 (a-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노래방 기기본체의 무선송수신모듈과 링크(link)되어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동기화되어 실시간으로 선곡정보 또는 예악정보를 수신하는 (b-1)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부가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색인하여 무선통신모듈로 인가하는 (b-2)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이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선곡정보 또는 예약정보와 대응하는 음원을 인가받아 기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실시간으로 동기화된 보조음향기기로 전송하는 (b-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2)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매칭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시간 설정 값에 대응하는 시간에 메모리부에 의해 색인된 음원이 무선통신모듈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b-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19477A 2011-03-04 2011-03-04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477A KR101205342B1 (ko) 2011-03-04 2011-03-04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477A KR101205342B1 (ko) 2011-03-04 2011-03-04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15A KR20120100515A (ko) 2012-09-12
KR101205342B1 true KR101205342B1 (ko) 2012-11-30

Family

ID=4711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477A KR101205342B1 (ko) 2011-03-04 2011-03-04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55B1 (ko) * 2016-09-02 2018-06-19 주식회사 씨앤더블유커뮤니케이션 증강현실을 이용한 음악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KR101987473B1 (ko) * 2017-12-12 2019-06-10 미디어스코프 주식회사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의 반주 및 가창 음성 간 동기화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4182A (ja) * 2001-04-04 2002-10-18 Mitsui & Co Ltd カラオケ曲コード連動原曲データ提供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4182A (ja) * 2001-04-04 2002-10-18 Mitsui & Co Ltd カラオケ曲コード連動原曲データ提供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15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2112B2 (ja) 歌の録音方法、音声補正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10053228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무선 접속 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과 그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101251626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음향기기의 특성에 대한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517120B (zh) 显示装置、电子设备、交互式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80065879A (ko) 오디오신호의 에프엠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07131555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playback of song files
CN104601202B (zh) 基于蓝牙技术实现文件搜索的方法、终端及蓝牙设备
WO2020228404A1 (zh) 即时通讯的音质优化方法、装置及设备
KR20090094603A (ko)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JP2007324831A (ja) 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再生システムの音声同期方法
WO2019140746A1 (zh) 多个播放设备同步播放的方法与播放设备
KR20110020619A (ko)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20120186418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Sound Effects and Method Thereof
US10282316B2 (en) Information-sharing device,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CN103813233A (zh) 回放装置
JP4108809B2 (ja) 鳴動メロディ用の音楽生成データを供給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KR101205342B1 (ko) 노래방 음원 영상과 가수 녹음 음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101682A1 (ja) 電子機器、音声出力機器、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の通信制御方法
CN105847951B (zh) 音视频播放系统中的播放控制方法和装置
CN107704230A (zh) 一种麦序控制方法及控制设备
JP2017015940A (ja) カラオケ楽曲演奏時における背景映像対応システム
JP6008378B2 (ja) 端末装置、表示装置、端末装置連動システム、端末装置連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828132B (zh) 音视频播放系统中的播放组的控制方法和音视频播放系统
JP2011227158A (ja) 歌詞テロップ表示サイズ制御システム
KR20120134440A (ko) 시간 동기화된 뮤직 비디오를 제공하는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