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007B1 - 무잔량 게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무잔량 게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007B1
KR101205007B1 KR1020100036612A KR20100036612A KR101205007B1 KR 101205007 B1 KR101205007 B1 KR 101205007B1 KR 1020100036612 A KR1020100036612 A KR 1020100036612A KR 20100036612 A KR20100036612 A KR 20100036612A KR 101205007 B1 KR101205007 B1 KR 10120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ate device
fitting hole
flang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926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0003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0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무잔량 게이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무잔량 게이트장치는 이송물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공급부재, 공급부재에 연결되어 이송물이 이송통로로 통과하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어 이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재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통로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 및 조절부재가 회동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잔량 게이트장치{NON-RESIDUAL GATE DEVICE}
본 발명은 무잔량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조절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간격조절부를 이용하여 조절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므로 이송물의 이송량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조절부재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이송물이 잔류되지 않게 하여 부패를 방지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장치(Gate device)는 투입구에서 투입된 곡물, 알약, 가루약 등의 의약품 및 기타 여러 입자 등의 이송물을 이송장치로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상하 이송하는 데 있어 이송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급 통로의 간격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장치를 지칭한다.
기존의 게이트 장치는 공급부에서 이송물이 하부로 이송하는 이송통로를 갖는 본체, 본체에 수평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수평차단판과, 수평차단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 본체에서 하부로 이송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존의 게이트장치는 이송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수평차단판을 작업자의 감에 의해서 본체의 가이드 슬롯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본체 내부의 이송통로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송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공급부에서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물의 이송량이 많은 경우, 수평차단판을 본체에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밀어 넣어서 이송물이 수평차단판에 걸리게 하여 이송물의 이송량을 줄여준다.
그리고, 공급부에서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물의 이송량이 적은 경우, 수평차단판을 본체에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당겨 주어 이송물이 수평차단판에서 최대한 통과되게 하여 이송물의 이송량을 늘려준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게이트 장치는 본체에서 수평차단판을 조절하는 작업이 작업자의 경험과 힘의 차이로 인하여 이송통로를 간격을 조절하므로 작업자가 약간의 실수나 오차에 의해서 이송물의 흐름을 정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게이트 장치는 본체에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수평차단판의 상부에 이송되던 이송물이 장시간에 걸쳐 잔류하고, 일정시간 후에는 잔류된 이송물이 부패하거나 벌레 등이 발생하여 오염물질로 변질되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에 조절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간격조절부를 이용하여 조절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므로 이송물의 이송량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체에 조절부재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이송물이 조절부재에 잔류되지 않게 하여 부패하거나 오염물질로 변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위생적이고 청결을 유지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는 이송물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공급부재; 상기 공급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물이 이송통로로 통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재;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통로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밀거나 당겨주어 상기 조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급부재와 상측결합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상측결합부는 상기 공급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1끼움공이 마련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본체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2끼움공이 마련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끼움공과 상기 제2끼움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공급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부재와 하측결합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측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3끼움공이 마련되는 제3플랜지; 상기 제3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배출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4끼움공이 형성되는 제4플랜지; 및 상기 제3끼움공과 상기 제4끼움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배출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간격조절부의 동작상태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의 조절상태와 상기 이송물의 이송상태를 파악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찰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연결공간부; 상기 연결공간부를 차단하고, 상기 이송물의 흐름을 관찰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투시창; 및 상기 투시창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나사돌기; 및 상기 나사돌기가 상기 투시창으로 끼워지고 체결되어 상기 투시창을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시창의 외측에는 상기 투시창의 테두리에만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나사돌기와 고정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투시창을 본체에 밀착시키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이송통로 중심이동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조절판이고, 힌지부재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조절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및 상기 삽입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이송통로 중심이동라인 방향에서 끝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송물의 잔류를 방지하고 안내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부재; 및 상기 나사부재에 체결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를 밀어주거나 당겨주어 간격을 조절하는 나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어 간격이 조절된 나사축의 회동을 방지하는 조임너트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축에는 상기 조임너트와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너트가 본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는 본체에 조절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간격조절부를 이용하여 조절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므로 이송물의 이송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는 본체에 조절부재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이송물이 조절부재에 잔류되지 않게 하여 부패하거나 오염물질로 변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위생적이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는, 공급부재(10), 본체(20), 배출부재(30), 조절부재(70), 간격조절부(80)를 포함한다.
공급부재(10)는 곡물이나 의약품 등의 이송물(1)이 하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공급관 또는 저장통의 토출구 등이다.
배출부재(10)는 본체(20)에 연결되어 이송물(1)이 배출된다. 배출부재(10)는 배출관 또는 저장통의 유입구 등이다.
본체(20)는 공급부재(10)에 연결되어 이송물(1)이 이송통로(22)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본체(20)는 단면이 다각, 원 또는 타원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송물의 이동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상이던지 자유롭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본체(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본체(20)는 공급부재(10)와 상측결합부(40)에 의해 연결된다.
상측결합부(40)는 공급부재(10)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1끼움공(44)이 마련되는 제1플랜지(42), 제1플랜지(42)에 접하여 본체(2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2끼움공(49)이 마련되는 제2플랜지(46) 및 제1끼움공(44)과 제2끼움공(48)에 삽입되어 본체(20)와 공급부재(1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49)를 포함한다.
제1플렌지(42)와 제2플랜지(46)는 공급부재(10)와 본체(20)의 전체 둘레면에 형성된다.
본체(20)는 배출부재(30)와 하측결합부(50)에 의해 연결된다.
하측결합부(50)는 본체(20)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3끼움공(54)이 마련되는 제3플랜지(52), 제3플랜지(52)에 접하여 배출부재(3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4끼움공(58)이 형성되는 제4플랜지(56) 및 제3끼움공(54)과 상기 제4끼움공(58)에 삽입되어 본체(20)와 배출부재(30)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59)를 포함한다.
제3플렌지(52)와 제4플랜지(56)는 본체(20)와 배출부재(30)의 전체 둘레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부재(49)(59)는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한다.
본체(20)에는 간격조절부(80)의 동작상태에 의해 조절부재(70)의 조절상태와 이송물(1)의 이송상태를 파악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부(60)를 포함한다.
관찰부(60)는 사각형상의 본체(20)의 양측 면에 각각 한 쌍 형성된다. 물론,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사방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찰부(60)는 본체(20)에 형성되는 연결공간부(62), 연결공간부(62)를 차단하고, 이송물(1)의 흐름을 관찰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투시창(64) 및 투시창(64)을 본체(20)에 고정하는 고정부(66)를 포함한다.
연결공간부(62)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투시창(64)은 투명수지 또는 유리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투명수지인 경우, 투명아크릴, 투명PC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리인 경우, 강화 유리일 수 있다.
고정부(66)는 본체(2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나사돌기(67), 나사돌기(67)가 투시창(64)으로 끼워지고, 체결되어 투시창(64)을 본체(20)에 고정하는 고정너트(68)를 포함한다.
투시창(64)을 본체(20)에 고정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은 고정부(66)를 이용한 것 이외에 다양한 구성과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시창(64)의 외측에는 투시창(64)의 테두리에만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나사돌기(67)와 고정너트(68)의 결합에 의해 투시창(64)을 본체(20)에 밀착시키는 테두리부재(69)를 포함한다.
테두리부재(69)는 중심부분에는 투시창(64)이 보이도록 개방되어 있고, 투시창(64)의 사각 테두리 부분만을 가압할 수 있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절부재(70)는 본체(2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통로(22)의 간격을 조절한다.
조절부재(70)는 본체(20)의 이송통로(22) 중심이동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조절판이고, 힌지부재(72)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된다.
즉, 조절부재(70)는 본체(20)의 이송통로(22) 중심이동라인을 기준으로 "V"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절부재(70)는 본체(20)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70)는 본체(20)가 사각형이 아닌 그 이상의 다각형인 경우, 각각의 다각 면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물(1)의 이송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70)는 조리개 방식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부재(72)는 본체(20)에 형성되는 삽입공(74), 조절부재(70)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공(76) 및 삽입공(74)과 가이드공(74)에 끼워져 고정되어 조절부재(70)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축(78)을 포함한다.
조절부재(70)는 본체(20)의 이송통로(22)의 중심이동라인 방향에서 끝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송물(1)의 잔류를 방지하고 안내하는 절곡부(79)가 형성된다.
절곡부(79)는 대칭되는 한 쌍의 조절부재(70)인 조절판의 끝단부를 구부려서 형성된다. 절곡부(79)의 구부려지는 부분은 이송물(1)에 부드럽게 흐르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한다.
간격조절부(80)는 조절부재(70)가 회동되도록 본체(20)에 구비된다.
간격조절부(80)는 본체(20)의 측면에 마련되고, 본체(20)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과 연결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형상의 나사부재(82) 및 나사부재(82)에 체결되어 회동에 따라 조절부재(7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나사축(84)을 포함한다.
간격조절부(80)는 나사축(84)에 체결되어 간격이 조절된 나사축(84)의 회동을 방지하는 조임너트(86)를 형성한다.
나사축(84)에는 조임너트(86)와 본체(20) 사이에 구비되어 조임너트(86)가 본체(2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88)를 더 포함한다.
와셔(88)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나사축(84)의 풀림을 방지하는 스프링와셔일 수 있다.
나사축(84)을 체결하는 경우, 나사축(84)의 끝단부가 조절부재(70)의 경사면의 하측을 가압하므로 힌지부재(72)을 기준으로 조절부재(70)가 회동하여 이동통로(22)의 간격이 좁아진다.
나사축(84)을 풀어주는 경우, 나사축(84)의 끝단부가 조절부재(70)의 경사면의 하측을 가압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힌지부재(72)을 기준으로 조절부재(70)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이동통로(22)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와 같이, 나사축(84)이 본체(20)의 이송통로 중심이동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한 쌍 형성되어 한 쌍의 조절부재(70)의 좌우 간격을 임의대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송물(1)의 좌우 공급량 및 좌우 공급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의 조립 및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공급부재(10)의 제1플랜지(42)와 본체(20)의 제2플랜지(46)를 접촉한 후, 제1관통공(44)와 제2관통공(48)을 통하여 체결부재(49)인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공급부재(10)와 본체(20)를 서로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20)의 제3플랜지(52)와 배출부재(30)의 제4플랜지(56)를 접촉한 후, 제3관통공(54)와 제4관통공(58)을 통하여 체결부재(59)인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본체(20)와 배출부재(30)를 서로 고정한다.
그리고, 한 쌍의 조절부재(70)를 힌지부재(72)를 이용하여 중신이동라인을 기준으로 본체(20)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힌지부재(72)는 조절부재(70)의 가이드공(76)과 본체(20)의 삽입공(74)를 일치시켜 힌지축(78)을 삽입하여 고정하므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0)의 나사부재(82)에 양측으로부터 나사축(84)을 체결하여 나사축(84)의 끝단부가 조절부재(7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부재(10)를 통하여 본체(20)의 이송통로(22)를 통하여 이송물(1)을 이송하다가 이송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간격조절부(80)의 나사축(84)을 미세하게 회전하면서 조절부재(70)를 밀어주거나 당겨주어 힌지축(78)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한 쌍의 조절부재(7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투시창(64)를 통하여 본체(20)의 내부로 이동하는 이송물의 흐름과 조절부재(70)의 간격 조절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흐림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나사축(84)을 회전량을 조절하여 이송물(1)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는 본체(20)에 조절부재(7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간격조절부(80)를 이용하여 조절부재(70)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므로 이송물(1)의 이송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잔량 게이트장치는 본체(20)에 조절부재(70)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이송물이 조절부재(70)에 잔류되지 않게 하여 이송물(1)이 부패하거나 오염물질로 변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위생적이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이송물 20 : 본체
22 : 이송통로 30 : 배출부재
40 : 상측결합부 50 : 하측결합부
60 : 관찰부 62 : 연결공간부
64 : 투시창 66 : 고정부
70 : 조절부재 72 : 힌지부재
79 : 절곡부 80 : 간격조절부
82 : 나사부재 84 : 나사축

Claims (12)

  1. 이송물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공급부재;
    상기 공급부재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물이 이송통로로 통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재;
    상기 공급부재의 하측과 상기 본체의 상측을 결합하는 상측결합부;
    상기 본체의 하측과 상기 배출부재의 상측을 결합하는 하측결합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통로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가 회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과 연결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형상의 나사부재; 및
    상기 나사부재에 체결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를 밀어주거나 당겨주어 간격을 조절하는 나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결합부는 상기 공급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1끼움공이 마련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본체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2끼움공이 마련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끼움공과 상기 제2끼움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공급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3끼움공이 마련되는 제3플랜지;
    상기 제3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배출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제4끼움공이 형성되는 제4플랜지; 및
    상기 제3끼움공과 상기 제4끼움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배출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간격조절부의 동작상태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의 조절상태와 상기 이송물의 이송상태를 파악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연결공간부;
    상기 연결공간부를 차단하고, 상기 이송물의 흐름을 관찰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투시창; 및
    상기 투시창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나사돌기; 및
    상기 나사돌기가 상기 투시창으로 끼워지고 체결되어 상기 투시창을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의 외측에는 상기 투시창의 테두리에만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나사돌기와 고정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투시창을 본체에 밀착시키는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이송통로 중심이동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조절판이고, 힌지부재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삽입공;
    상기 조절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및
    상기 삽입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이송통로 중심이동라인 방향에서 끝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송물의 잔류를 방지하고 안내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어 간격이 조절된 나사축의 회동을 방지하는 조임너트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축에는 상기 조임너트와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너트가 본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게이트장치.
KR1020100036612A 2010-04-20 2010-04-20 무잔량 게이트장치 KR10120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612A KR101205007B1 (ko) 2010-04-20 2010-04-20 무잔량 게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612A KR101205007B1 (ko) 2010-04-20 2010-04-20 무잔량 게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926A KR20110116926A (ko) 2011-10-26
KR101205007B1 true KR101205007B1 (ko) 2012-11-26

Family

ID=4503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612A KR101205007B1 (ko) 2010-04-20 2010-04-20 무잔량 게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3672A1 (ja) * 2018-04-04 2019-10-10 太平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分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4631A (ja) 1982-12-30 1984-07-18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ホツパ−
US4844291A (en) 1986-05-28 1989-07-04 Free Flow Packaging Corporation Dispensing device
JPH11301781A (ja) 1998-04-20 1999-11-02 Kawasaki Steel Corp ホッパー
KR200273160Y1 (ko) 2001-12-31 2002-04-20 황국현 유기질비료 정량 포장용 계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4631A (ja) 1982-12-30 1984-07-18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ホツパ−
US4844291A (en) 1986-05-28 1989-07-04 Free Flow Packaging Corporation Dispensing device
JPH11301781A (ja) 1998-04-20 1999-11-02 Kawasaki Steel Corp ホッパー
KR200273160Y1 (ko) 2001-12-31 2002-04-20 황국현 유기질비료 정량 포장용 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926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2318B2 (en) Infeed and outfeed assemblies for a conveyor
AU2017203665B2 (en) Modular metering apparatus for an air seeder
KR101433600B1 (ko) 고추 가공기
KR101299926B1 (ko) 도관용 클램프
KR101205007B1 (ko) 무잔량 게이트장치
AR038586A1 (es) Filtro de cambio rapido y sistema de mensula con sistema de llave y opcion de llave universal
JP2010117030A (ja) 結合固定具、並びにそれぞれがこの結合固定具を含む連結モジュール及びドッキング装置
CN103945671A (zh) 免工具安装前支架
WO2007022407A3 (en) Bulk transfer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MX2021010138A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para materiales en polvo.
KR101042773B1 (ko) 파종용 씨앗공급기
CN103929922A (zh) 免工具安装后支架
AU2020279124A1 (en) Drive assembly for a conveyor
US20130034418A1 (en) Bottle Pushing Mechanism for Tunnel Type Sterilizing Dryer
KR20170064769A (ko)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KR101830071B1 (ko) 분말이송용 토출구 개폐용 슬라이드 나이프 게이트
WO2020152957A1 (ja) ハンガーおよび組合せ計量装置
CN214059279U (zh) 一种可调分料量的分料装置
KR20160050451A (ko) 석탄 이송용 슈트의 플러깅 스위치
CN207273110U (zh) 一种防火门自闭器安装辅助工具
CN206032479U (zh) 一种输料搅笼
CN220810870U (zh) 一种带有传送带的下料管道
CN105775721B (zh) 一种钢管传输带用限位装置
CN210846716U (zh) 一种立磨进料管道维护结构
JP3970300B2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