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15B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15B1
KR101204815B1 KR1020100087639A KR20100087639A KR101204815B1 KR 101204815 B1 KR101204815 B1 KR 101204815B1 KR 1020100087639 A KR1020100087639 A KR 1020100087639A KR 20100087639 A KR20100087639 A KR 20100087639A KR 101204815 B1 KR101204815 B1 KR 10120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ase
case piece
portable terminal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324A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102010008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8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 배면과 일단부를 감싸는 제1 케이스편과,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 배면과 타단부를 감싸며 전술한 제1 케이스편과 탈착 결합되는 제2 케이스편과, 일측은 전술한 제1 케이스편에 장착되고 타측은 전술한 제2 케이스편에 장착되어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순간에 신장되어 전술한 제1 케이스편과 전술한 제2 케이스편을 이격되게 하고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가 전술한 제1 케이스편과 전술한 제2 케이스편에 안착되면 수축되어 전술한 제1, 2 케이스편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CELLULAR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지니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고 다닌다든가 연결끈을 통하여 손목이나 목에 거는 등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직접 파지하고 다는 경우는 분실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지면에 낙하되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를 위해서는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물리적 또는 화학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케이스는 플렉시블하고 탄성을 지닌 소재로 제작되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것도 제작되고 있으나, 소재의 특성상 장시간의 사용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발열로 인하여 케이스와 휴대용 단말기 상호간의 접촉 부위가 밀착되어 배터리 교체 등과 같이 시급히 휴대용 단말기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장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지니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 배면과 일단부를 감싸는 제1 케이스편과,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 배면과 타단부를 감싸며 전술한 제1 케이스편과 탈착 결합되는 제2 케이스편과, 일측은 전술한 제1 케이스편에 장착되고 타측은 전술한 제2 케이스편에 장착되어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순간에 신장되어 전술한 제1 케이스편과 전술한 제2 케이스편을 이격되게 하고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가 전술한 제1 케이스편과 전술한 제2 케이스편에 안착되면 수축되어 전술한 제1, 2 케이스편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제1 케이스편과 제2 케이스편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신축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을 신속하게 케이스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주요부인 탄성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편(100)과 제2 케이스편(200)에 양측이 각각 장착되어 신축하는 탄성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케이스편(100)은 휴대용 단말기(400)의 일측 배면과 일단부를 감싸는 부분이고, 제2 케이스편(200)은 휴대용 단말기(400)의 타측 배면과 타단부를 감싸며 제1 케이스편(200)과 탈착 결합되는 부분이다.
탄성 유닛(300)은 일측이 제1 케이스편(100)에 장착되고 타측이 제2 케이스편(200)에 장착되어 신축 가능하게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제1, 2 케이스편(100, 2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 유닛(300)은 휴대용 단말기(400)가 장착되는 순간에 신장되어 제1 케이스편(100)과 제2 케이스편(200)을 이격되게 하고, 휴대용 단말기(4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편(100)과 제2 케이스편(200)에 안착되면 수축되어 제1, 2 케이스편(100, 200) 상호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에서 표기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을 참고한다.
제1 케이스편(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400)의 일측 배면과 일단부를 감싸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제1 기편(110)과 제1 측편(120) 및 제1 작동홈(1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기편(110)은 휴대용 단말기(400)의 일측 배면이 접촉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제1 측편(120)은 제1 기편(1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400)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부분이다.
제1 작동홈(130)은 후술할 탄성 유닛(300)의 일측이 결합되게 제1 기편(110)의 타단부에 함몰되며, 제1 작동홈(130)의 타단부는 개방되어 제2 케이스편(200)과 연통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1 기편(110)의 타단부에 제2 케이스편(200)이 탈착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제1 케이스편(100)에는 제1 기편(110)의 배면 타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케이스편(200)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1 단차면(140)이 더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작동홈(130) 상에는 탄성 유닛(300)의 일측이 걸림 고정되게 작동돌기(1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다.
이때, 제1 케이스편(100)은 제1 작동홈(130) 상에 고정된 탄성 유닛(300)의 일측과 제2 케이스편(200)에 고정된 탄성 유닛(300)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제1 작동홈(130)에 마감플레이트(5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플레이트(500)의 타단부는 제2 케이스편(200)과 접촉되는 구조인 것이다.
제1 케이스편(10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플레이트(500)의 안착을 위하여 제1 작동홈(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기편(110)의 표면에서부터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134)이 더 마련되고, 마감플레이트(500)의 일측 가장자리는 단턱(134)에 안착된다.
한편, 제2 케이스편(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400)의 타측 배면과 타단부를 감싸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제2 기편(210)과 제2 측편(220) 및 제2 작동홈(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2 기편(210)은 제1 기편(110)에 안착된 휴대용 단말기(400)의 배면 중 나머지 부분, 즉 타측 배면이 접촉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제2 측편(220)은 제2 기편(210)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400)의 타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부분이다.
제2 작동홈(230)은 후술할 탄성 유닛(300)의 타측이 결합되게 제2 기편(210)의 일단부에 함몰되며, 제2 작동홈(230)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제1 케이스편(100)과 연통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2 기편(210)의 일단부에 제1 케이스편(100)이 탈착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제2 케이스편(200)에는 제2 기편(21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 케이스편(100)의 타단부, 즉 제1 단차면(140)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2 단차면(240)이 더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작동홈(230) 상에는 탄성 유닛(300)의 타측이 걸림 고정되게 작동돌기(2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다.
이때, 제2 케이스편(200)은 제1 작동홈(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단턱(134)에 안착된 마감플레이트(500)가 제2 작동홈(230)에 고정되는 탄성 유닛(300)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하되, 마감플레이트(500)의 타단부는 제2 케이스편(200)과 접촉된다.
제2 케이스편(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플레이트(500) 타단부와의 접촉을 위하여 제2 작동홈(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기편(210)의 표면에서부터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면(234)이 더 마련된다.
따라서, 마감플레이트(500)의 타단부는 단턱면(234) 상에서 슬라이딩된다.
한편, 탄성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편(100)과 제2 케이스편(200)에 양측이 각각 고정되어 신축을 허용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변형구(310)와 지지구(3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변형구(310)는 금속 와이어의 양단이 상호 교차되게 적어도 1회 이상 권회된 코일 스프링(301)의 교차된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부분이다.
즉, 변형구(310)의 양단은 각각 코일 스프링(301)의 직경(d)을 연장하여 형성된 가상의 직선(ℓ)에 대하여 일정 각도(β)로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변형구(310)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사이에 휴대용 단말기(400)가 장착될 때 전술한 각도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변되면서 신축함에 따라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이격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지지구(320)는 변형구(31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며 일단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케이스편(100)의 제1 작동홈(130)에 마련된 제1 작동돌기(132)에, 타단은 제2 케이스편(200)의 제2 작동홈(230)에 마련된 제2 작동돌기(232)에 각각 고정 지지되는 부분이다.
더욱 상세히는 지지구(320)는 변형구(310)의 단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각각 제1 작동돌기(132)와 제2 작동돌기(232)에 고정된 후 제1 작동홈(130)과 제2 작동홈(230)의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직경이 변화하는 코일 스프링(301)에 연동하는 변형구(310)의 각도 변화에 따른 탄발력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참고로 하여 휴대용 단말기(400)를 장착하는 과정에 따른 탄성 유닛(300)의 변화에 대하여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코일 스프링(301)은 최초 상태, 즉 휴대용 단말기(4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직경이 d이며, 전술한 직경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 ℓ과 변형구(310)가 이루는 각도는 β라고 가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40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각각 제1 기판(110) 또는 제2 기판(210)을 통해 밀어 넣으며 장착하고자 제1 기판(110)의 일단부 또는 제2 기판(210)의 타단부측을 향해 압력을 가하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이격된다.
이때, 변형구(310)는 코일 스프링(301)의 직경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 ℓ과 β로부터 γ까지 각도가 커지면서 신장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301)의 직경 또한 도 4의 d에서 d'로 줄어들게 된다.
계속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대한 나머지 단부가 제1 기판(110) 또는 제2 기판(210)에 안착 완료되면 변형구(310)는 코일 스프링(301)의 탄성 반발력으로 도 4의 각도 β를 유지하는 상태로 복귀하면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이 접촉되어 휴대용 단말기(400)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400)의 분리 과정은 전술한 장착 과정의 역순을 적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지니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탈착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제1 케이스편 110...제1 기판
120...제1 측판 130...제1 작동홈
132...제1 작동돌기 134...단턱
140...제1 단차면 200...제2 케이스편
210...제2 기판 220...제2 측판
230...제2 작동홈 232...제2 작동돌기
234...단턱면 240...제2 단차면
300...탄성 유닛 301...코일 스프링
310...변형구 320...지지구
400...휴대용 단말기 500...마감플레이트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 배면과 일단부를 감싸는 제1 케이스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 배면과 타단부를 감싸며 상기 제1 케이스편과 탈착 결합되는 제2 케이스편; 및
    일측은 상기 제1 케이스편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케이스편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순간에 신장되어 상기 제1 케이스편과 상기 제2 케이스편을 이격되게 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 케이스편과 상기 제2 케이스편에 안착되면 수축되어 상기 제1, 2 케이스편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케이스편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이 접촉되는 제1 기편과,
    상기 제1 기편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 측편과,
    상기 제1 기편의 타단부에 함몰되어 상기 탄성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 작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홈의 타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제2 케이스편과 연통되고,
    제1 기편의 타단부에 상기 제2 케이스편이 탈착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편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이 접촉되는 제2 기편과,
    상기 제2 기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 측편과,
    상기 제2 기편의 일단부에 함몰되어 상기 탄성 유닛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 작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홈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제1 케이스편과 연통되고,
    상기 제2 기편의 일단부에 상기 제1 케이스편이 탈착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금속 와이어의 양단이 상호 교차되게 적어도 1회 이상 권회된 코일 스프링의 교차된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코일 스프링의 직경을 연장하여 형성된 가상의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구와,
    상기 변형구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며 일단은 상기 제1 케이스편에, 타단은 상기 제2 케이스편에 각각 고정 지지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편은,
    상기 제1 기편의 배면 타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케이스편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1 단차면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편은,
    상기 제1 작동홈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탄성 유닛의 일측이 걸림 고정되는 작동돌기가 더 마련되는 휴대폰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편은,
    상기 제1 기편에 마련된 상기 제1 작동홈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작동홈 상에 고정된 상기 탄성 유닛의 일측과 상기 제2 케이스편에 고정된 상기 탄성 유닛의 타측을 커버하는 마감플레이트가 더 마련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케이스편과 접촉되는 휴대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편은,
    상기 제1 작동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기편의 표면에서부터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이 더 마련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단턱에 안착되는 휴대폰 케이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편은,
    상기 제2 기편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편의 타단부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2 단차면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편은,
    상기 제2 작동홈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탄성 유닛의 타측이 걸림 고정되는 작동돌기가 더 마련되는 휴대폰 케이스.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편은,
    상기 제2 기편과 탈착 결합되는 상기 제1 케이스편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작동홈 상에 고정된 상기 탄성 유닛의 타측과 상기 제1 케이스편에 고정된 상기 탄성 유닛의 일측을 커버하는 마감플레이트의 타단부와 접촉되는 휴대폰 케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편은,
    상기 제2 작동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기편의 표면에서부터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면이 더 마련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타단부는 상기 단턱면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00087639A 2010-09-07 2010-09-07 휴대폰 케이스 KR10120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639A KR101204815B1 (ko) 2010-09-07 2010-09-07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639A KR101204815B1 (ko) 2010-09-07 2010-09-07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24A KR20120025324A (ko) 2012-03-15
KR101204815B1 true KR101204815B1 (ko) 2012-11-26

Family

ID=4613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639A KR101204815B1 (ko) 2010-09-07 2010-09-07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24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가 결합되는 커버 장치
US11895795B2 (en) 2020-07-28 2024-02-06 Razer (Asia-Pacific) Pte. Ltd. Extendabl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20B1 (ko) * 2013-07-16 2014-07-25 이유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461004B1 (ko) * 2014-01-24 2014-11-13 박지훈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CN108337350A (zh) * 2018-03-29 2018-07-27 沈阳建筑大学 一种新型手机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3157A1 (en) 2003-07-31 2005-02-03 Logan Andrew J. Case with elastic-secured end ca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3157A1 (en) 2003-07-31 2005-02-03 Logan Andrew J. Case with elastic-secured end ca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24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가 결합되는 커버 장치
US11432630B2 (en) 2018-07-13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
US11895795B2 (en) 2020-07-28 2024-02-06 Razer (Asia-Pacific) Pte. Ltd. Extendabl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24A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15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20074291A1 (en) Support structure
EP1271793A3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9699283B2 (e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KR101103609B1 (ko)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1100642B1 (ko) 안테나장치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CN101807677A (zh) 电池固定结构
KR101334083B1 (ko) 태블릿 컴퓨터
JP6841176B2 (ja) 携帯機器用保護ケース
KR1010396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US10187105B2 (en) Portable product lanyard
KR102346510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0901880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468710Y1 (ko) 휴대 단말기용 손가락 삽입 파지구 및 이를 구비한 보호 케이스
JP2014002935A (ja) 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の電池蓋固定方法
KR101415307B1 (ko)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48989B1 (ko) 스프링이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TWI518482B (zh) 保護蓋
CN207053602U (zh) 一种新型手机保护壳
KR200482498Y1 (ko) 휴대폰 이동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 케이스
CN201947577U (zh) 一种便携式电子装置
KR102200869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7433Y1 (ko)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