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323B1 - 도어용 스토퍼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스토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323B1
KR101204323B1 KR1020120048912A KR20120048912A KR101204323B1 KR 101204323 B1 KR101204323 B1 KR 101204323B1 KR 1020120048912 A KR1020120048912 A KR 1020120048912A KR 20120048912 A KR20120048912 A KR 20120048912A KR 101204323 B1 KR101204323 B1 KR 101204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stopper
rotatably coupl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서덕규
Original Assignee
(주)메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티스 filed Critical (주)메티스
Priority to KR102012004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323B1/ko
Priority to PCT/KR2012/010694 priority patent/WO20131688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하단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 유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도어의 전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와, 양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일측과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고정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와 도어의 하측부 일측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를 링크부재로 연결하고, 레버부에 조작에 따라 스토퍼부가 상하이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토퍼부가 고정해제위치, 즉 상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스토퍼부의 고정해제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회동방지부가 레버부의 단부일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토퍼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토퍼부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스토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러워진 스토퍼부를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스토퍼 장치{Stopper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토퍼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토퍼부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스토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러워진 스토퍼부를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아파트등과 같은 건축물의 출입문은 보행자의 통행, 실내환기등의 이유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지면과 도어의 하단부 사이에 쐐기부재를 개재하여 도어의 개방각도를 고정하거나 도어 일측에 일정중량을 갖는 지지물품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임의의 각도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쐐기부재는 지면과 도어사이에 개재하여야 하는 작업이 요구되면서 그 사용방법이 불편할 뿐 아니라 도어의 고정력이 약해 도어의 개방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지물품의 경우에는 도어를 지지하기 위해 상당한 중량을 갖는 물체가 사용되고,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그 중량으로 인해 이동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쐐기부재 또는 지지물품과 같은 고정수단보다 좀 더 개선된 방식인 도어용 스토퍼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110)과, 말굽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스토퍼부(120)를 상방으로 접철시킨 상태에서 도어(D)를 회동시켜 개방한 후 개방하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스토퍼부(12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스토퍼부(120)의 하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도어(D)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도어(D)의 부착된 스토퍼부(120)를 파지한 후 이를 조작하여 도어(D)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도어(D)가 회동되도록 해야 함으로써 스토퍼부(120)의 조작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스토퍼부(120)를 조작하게 되면서 스토퍼부(120)가 손상 또는 파손되어 그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100)는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해 더러워진 스토퍼부(120)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면서 사용자의 손 또한 오염되어 스토퍼부(120)를 조작한 후에는 항상 손을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토퍼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토퍼부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스토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러워진 스토퍼부를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어의 하단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 유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도어의 전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와, 양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일측과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고정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방지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버부의 단부와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부의 단부가 탄성지지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상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부는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하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하단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링크와, 일측에 상기 제1 회동링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회동링크의 타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가 상하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몸체와, 상기 상하이동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몸체가 상하이동함에 따라 동반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도어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고정부는 하단부에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마찰부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도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상단부가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버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버브라켓 및 일단부가 상기 레버브라켓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타단에 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가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평탄부가 상기 회동방지부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와 도어의 하측부 일측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를 링크부재로 연결하고, 레버부에 조작에 따라 스토퍼부가 상하이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토퍼부가 고정해제위치, 즉 상방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스토퍼부의 고정해제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회동방지부가 레버부의 단부일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토퍼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토퍼부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스토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러워진 스토퍼부를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동방지부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가 고정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배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동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1)는 스토퍼부(10)와, 레버부(20)와, 링크부재(30) 및 회동방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토퍼부(10)는 도어(D)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11)과, 고정브라켓(11)에 상하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말굽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고정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단부 일측이 지면 일측에 접지되어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어(D)의 하측부 일측에 개구(S)가 형성되고, 도어(D)의 일측 중 개구(S)와 대응되는 도어(D)의 내벽면 일측에 고정브라켓(11)이 설치됨으로써 도어고정부(12) 및 후술하는 링크부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고정부(12)는 후술하는 링크부재(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어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위치와, 고정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어 도어(D)의 개방각도 유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데, 여기서 도어고정부(12)는 하방으로 회동되어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D)의 개구(S)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지면 일측에 지지되고,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D)의 개구(S)를 통해 도어(D)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도어고정부(12)가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D)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이유는 보행자 통행시 보행자의 신체일부가 도어고정부(12)에 걸려 넘어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어고정부(12)는 하단부에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와 같은 마찰부재(12a)가 부착되어 지면에 접지되는 경우 지면과의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도어(D)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부(20)는 도어(D)의 상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내미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레버브라켓(21) 및 일단부가 레버브라켓(2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에게 스토퍼부(10)를 조작하는 있는 파지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회동조작을 통해 후술하는 링크부재(30)가 상하이동되도록 하여 도어고정부(12)가 고정위치 및 고정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동부재(22)는 타단에 평탄하게 형성되는 평탄부(22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평탄부(22a)는 스토퍼부(10)가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후술하는 회동방지부(40)의 탄성지지체(42)에 지지되면서 회동부재(22)가 회동방지부(4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부(10), 링크부재(30)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부재(30)는 상단부가 회동부재(22)의 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31)와, 상단부가 제1 링크(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도어고정부(1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버부(20)의 회전동작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한 후 이를 스토퍼부(10)에 전달하여 스토퍼부(1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링크(31)는 상하단부에 각각 고리부가 형성되어 회동부재(22)와 제2 링크(32)의 상단부에 각각 고리결합되고, 제2 링크(32)는 상단부가 제1 링크(31)의 하단부에 고리결합되며, 하단부가 도어고정부(12)의 일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회동방지부(40)는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부(41)와, 몸체부(41)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체(42) 및 탄성지지체(42)를 몸체부(41)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편(4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토퍼부(10)가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회동부재(22)의 단부 일측을 지지하여 스토퍼부(10)가 자중에 의해 고정해제위치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4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D)의 일측 중 스토퍼부(10)가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회동부재(22)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탄성지지체(42)가 도어(D) 일측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지지체(42)는 일반적인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회동부재(22)의 단부가 지지되는 경우 탄성에 의해 회동부재(22)의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회동부재(22)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편(43)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부(41)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탄성지지체(42)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탄성지지체(42)가 몸체부(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가 고정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D)를 열어 임의의 위치, 즉 사용자가 개방하고자 하는 임의각도의 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도어(D)의 일측을 파지하여 도어(D)를 고정한 상태에서 레버부(20)의 회동부재(22)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레버부(20)가 회동되면 레버부(20)의 단부 일측에 상단부가 결합된 제1 링크(31)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제1 링크(31)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2 링크(32)가 하방으로 동반 이동된다.
이때, 제2 링크(32)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된 도어고정부(12)가 제2 링크(32)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위치로 이동, 즉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접지되어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한편, 도어(D)가 설치된 출입문을 폐쇄하고자 하거나 도어(D)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레버부(20)를 상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링크(31) 및 제2 링크(32) 또한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2 링크(32)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도어고정부(12)가 고정해제위치로 이동, 즉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동부재(22)의 단부는 탄성지지체(42)의 일측에 탄성지지되면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제1 링크(31), 제2링크 및 도어고정부(12)의 자중에 의해 도어고정부(12)가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측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스토퍼부(10)가 유동없이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는 달리 링크부재(30')가 하나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스토퍼부(10')가 고정브라켓(11'), 제1 회동링크(12'), 제2 회동링크(13'), 상하이동몸체(14') 및 도어고정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브라켓(11')은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후술하는 제1 회동링크(12') 및 제2 회동링크(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회동링크(12') 및 제2 회동링크(13')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도어(D) 하측부의 외면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링크부재(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하이동몸체(14')가 안정적으로 상하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하이동몸체(14')는 상단부 일측에 제1 회동링크(11')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 일측에 제2 회동링크(13')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 일측으로부터 도어(D)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부(14'a)가 형성되어 상기한 돌출부(14'a)가 링크부재(30)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몸체(14')는 링크부재(30)의 상하이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고정부(12)가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고정부(15')는 상하이동몸체(14')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하이동몸체(1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동반 이동되어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지면 일측에 지지되어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링크부재(3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돌출부(14'a)의 일측이 링크부재(30')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하이동몸체(14')가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하이동몸체(14')는 제1 회동링크(11') 및 제2 회동링크(13')에 의해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상하이동된다.
상하이동몸체(14')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하이동몸체(14')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도어고정부(15')의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 즉 고정위치로 이동되면서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한편, 링크부재(3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하이동몸체(14')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도어고정부(15')가 상방으로 이동, 즉 도어고정부(15')가 고정해제위치로 이동되면서 출입문을 폐쇄하거나 도어(D)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측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들은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다.
도8 및 도9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링크부재(30)와, 스토퍼부(10)의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토퍼부(1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8 및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토퍼부(10)의 중심부가 도어(D)의 외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부재(30)의 상하단부가 각각 회동부재(22)의 단부 일측과, 스토퍼부(10)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1)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부재(22)가 상방으로 회동되면 회동부재(22)가 회동함에 따라 링크부재(30)가 상방으로 동반 이동된다.
그리고, 링크부재(30)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토퍼부(1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부(10)의 선단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한편, 링크부재(3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스토퍼부(10)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면서 출입문을 폐쇄하거나 도어(D)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배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 및 도11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3 실시예에서 스토퍼부(1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고정해제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링크부재(30'')의 상하이동력을 스토퍼부(1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는 달리 링크부재(30')가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 및 제3 링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링크(31'')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회동부재(22)의 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1 링크(31'')는 회동부재(22'')의 회동동작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하이동력을 제2 링크(3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링크(32'')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제1 링크(31'')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후술하는 제3 링크(33'')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중앙부가 도어(D)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 링크(32'')는 제1 링크(31'')로부터 전달되는 상하이동력을 반전시켜 제3 링크(33'')로 전달함과 아울러 제1 링크(31'')와 제3 링크(33'')가 안정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3 링크(33'')는 제1 링크(31'') 및 제2 링크(32'')와 같이 대략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링크(32'')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스토퍼부(10'')의 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제3 링크(33'')는 제2 링크(32'')로부터 반전된 상하이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된 상하이동력을 스토퍼부(10'')에 전달함으로써 스토퍼부(1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 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부재(22'')가 하방으로 회동되면 회동부재(22'')가 회동함에 따라 제1 링크(31'')가 하방으로 동반 하강하고, 제1 링크(31'')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2 링크(32'')의 일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며, 제2 링크(32'')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제2 링크(32'')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2 링크(32'')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링크(33'')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3 링크(33'')의 하단부가 스토퍼부(10)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게 되면서 스토퍼부(10'')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지면에 지지, 즉 고정위치로 이동되면서 도어(D)의 개방각도가 유지된다.
한편, 링크부재(3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링크(31'')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부(10'')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이동, 즉 스토퍼부(10'')가 고정해제위치로 이동되면서 출입문을 폐쇄하거나 도어(D)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도어용 스토퍼 장치 10 : 스토퍼부
11 : 고정브라켓 12 : 도어고정부
12a : 마찰부재 20 : 레버부
30 : 링크부재 31 : 제1 링크
32 : 제2 링크부재 40 : 회동방지부
41 : 몸체부 42 : 탄성지지체
43 : 고정편

Claims (8)

  1. 도어의 하단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지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 유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도어의 전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와;
    양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일측과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위치와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고정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방지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버부의 단부와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부의 단부가 탄성지지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상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하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도어의 하단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링크와;
    일측에 상기 제1 회동링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회동링크의 타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가 상하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몸체와;
    상기 상하이동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몸체가 상하이동함에 따라 동반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도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부는 하단부에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마찰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도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상단부가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버브라켓; 및
    일단부가 상기 레버브라켓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타단에 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가 고정해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평탄부가 상기 회동방지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스토퍼 장치.
KR1020120048912A 2012-05-09 2012-05-09 도어용 스토퍼 장치 KR10120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12A KR101204323B1 (ko) 2012-05-09 2012-05-09 도어용 스토퍼 장치
PCT/KR2012/010694 WO2013168869A1 (ko) 2012-05-09 2012-12-10 도어용 스토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12A KR101204323B1 (ko) 2012-05-09 2012-05-09 도어용 스토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323B1 true KR101204323B1 (ko) 2012-11-23

Family

ID=4756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912A KR101204323B1 (ko) 2012-05-09 2012-05-09 도어용 스토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4323B1 (ko)
WO (1) WO20131688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4276B2 (en) * 2015-02-05 2019-01-22 Francis Gerard Sassone Doorstop lifting device and method
KR20220081065A (ko) * 2020-12-08 2022-06-15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용 스토퍼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44Y1 (ko) * 1999-12-06 2000-04-15 박상원 출입문 스톱퍼의 작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786A (ko) * 2008-08-26 2010-03-08 민건식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KR20110002710A (ko) * 2009-07-02 2011-01-10 양인석 문 고정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44Y1 (ko) * 1999-12-06 2000-04-15 박상원 출입문 스톱퍼의 작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4276B2 (en) * 2015-02-05 2019-01-22 Francis Gerard Sassone Doorstop lifting device and method
KR20220081065A (ko) * 2020-12-08 2022-06-15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용 스토퍼 조립체
KR102538627B1 (ko) * 2020-12-08 2023-05-30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용 스토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8869A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189B2 (en) Trash collector
EP2827754B1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a support
US9233649B2 (en) Support and retention assembl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ashboard provided with such a support and retention assembly
KR101204323B1 (ko) 도어용 스토퍼 장치
KR100817723B1 (ko) 보행보조기
TW201809439A (zh) 用於繞至少一水平軸旋擺之傢俱門扇之起重系統
TWM496670U (zh) 防火門鎖構造之改良
JP2015528084A (ja) クランプ装置
JP2006239378A (ja) ステッキ転倒防止具
KR200401542Y1 (ko) 도어의 열림상태 고정장치
JP2009285106A (ja) ゴミ捨て手段を有するちり取り
US8584267B2 (en) Manual toilet seat lifter apparatus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US9447637B2 (en) Automatic foldable ladder
JP6125889B2 (ja) ドアストップ装置
KR20170001672A (ko) 발로 여는 여닫이 문
KR200424196Y1 (ko)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KR20110002710A (ko) 문 고정 스토퍼
KR200414472Y1 (ko) 원터치로 고정과 풀림이 가능한 도어 스토퍼
KR101295636B1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20170135111A (ko) 문용 스토퍼
SE426353B (sv) Toalettarmstod
KR200373183Y1 (ko) 도어스토퍼
KR20100000289U (ko) 도어 열림상태 유지 장치
SE1001178A1 (sv) Låsanordning för svängarmsbesl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