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05B1 -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05B1
KR101204005B1 KR1020110140047A KR20110140047A KR101204005B1 KR 101204005 B1 KR101204005 B1 KR 101204005B1 KR 1020110140047 A KR1020110140047 A KR 1020110140047A KR 20110140047 A KR20110140047 A KR 20110140047A KR 101204005 B1 KR101204005 B1 KR 10120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outer frame
grating
slope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우
Original Assignee
송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수우 filed Critical 송수우
Priority to KR102011014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판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경사지에서의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침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수구 입구에 안착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곽틀,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설치공간의 양측벽에 연결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면 중 어느 한쪽면 이상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유입수가 지면을 따라 흘러 유입되는 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레이팅{GRATING}
본 발명은 도로 배수구에 사용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중호우 시 경사지에서의 배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일측에는 도로 상의 빗물 배수를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 입구에는 빗물 유입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그레이팅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기본적으로 여러개의 가이드판이 사각틀 내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기존의 그레이팅은 가이드판이 사각틀의 벽면과 수평상태, 즉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만약 도로가 경사지일 경우 그레이팅도 역시 경사지의 경사도와 동일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가이드판이 지면 과 수직 상태가 되고 빗물의 흐름방향과도 수직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빗물이 지면을 따라 흘러 그레이팅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빗물이 가이드판 측면에 부딪힌 뒤 해당 가이드판을 타고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각 가이드판 마다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결국 빗물 대부분이 배수구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레이팅을 지나치는 현상이 발생된다.
더구나 도로의 경사도가 커 빗물의 흐름속도가 빠르거나 집중호우로 인해 유입량이 많을 경우에는 가이드판을 타고 넘는 빗물양이 많을 수밖에 없어, 침수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609호(2011.09.2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가이드판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경사지에서의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침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배수구 입구에 안착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곽틀,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설치공간의 양측벽에 연결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면 중 어느 한쪽면 이상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유입수가 지면을 따라 흘러 유입되는 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은 사각 판재 형태이고 전체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외곽틀과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의 경사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틀과 상기 가이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의 회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빗물 등의 유입수가 지면을 따라 흐르다가 배수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판의 경사면에 부딪힘과 동시에 경사면을 따라 흘러 배수구 내부로 유도됨으로 지면의 경사도가 크거나 유입수 양이 많더라도 충분한 집수 효율을 얻을 수 있어 도로 침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판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면의 적정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지면 상태에 맞게 맞춤 설치가 가능한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각 가이드판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3은 전체 측단면도
도4는 경사지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빗물의 배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도4의 확대 사시도
도6은 경사면이 한쪽에만 형성된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7 및 도8은 가이드판이 회동제어부에 의해 회동 가능한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그레이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곽틀(100)과 가이드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외곽틀(100)은 전체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설치공간(110)이 형성된 사각 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곽틀(10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부식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거나 표면에 부식방지처리가 실시된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외곽틀(100)의 형상은 도면과 같은 사각구조 외에도 지면 상태나 배수구 입구의 형태 등에 따라 원형링 등 다양하게 선택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외곽틀(100)은 [도 4]처럼 배수구(2)의 상단 입구 테두리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외곽틀(100)에는 가이드판(200)이 설치된다.
가이드판(200)은 빗물 등의 유입수가 배수구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함께 유입되는 나뭇잎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다란 사각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판(200)의 길이는 설치공간(110)의 폭과 동일하게 제작되며 상하 폭은 외곽틀(100)의 상하폭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러한 가이드판(200)은 설치공간(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외곽틀(100)의 양측 내부면에 연결되고 여러 개가 구비되어 설치공간(110) 내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각 가이드판(200)은 외곽틀(100) 벽면과 수평 상태로 위치되지 않고 일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기울기 방향은 가이드판(200)의 상단부가 빗물이 지면을 따라 흘러오는 쪽을 향해 치우친 형태로 형성된다.
즉 각각의 가이드판(200)이 양단부를 중심으로 빗물 유입지점을 향해 회동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판(200)이 이러한 형태로 기울어짐에 따라 각 가이드판의 양측면에는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00a)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판(200)은 외곽틀(100)의 설치공간(110) 내에서 여러개가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열되며 각 가이드판(200) 간의 간격은 낙옆 등의 이물질 유입을 원활히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각 가이드판(200)의 경사면(200a) 각도는 지면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빗물 등의 유입수가 지면을 따라 흘러 내려오면서 경사면(200a)에 최대한 많이 부딪히도록 하고, 부딪힘과 동시에 경사면(200a)을 따라 배수구(2) 내부로 원활히 유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가이드판(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프레임(300)이 더 설치되는데,
연결프레임(300)은 각 가이드판(200)간 연결을 통한 보강 역할 및 가이드판과 더불어 이물질 유입차단 기능을 함께 하는 것으로, 단순 막대 형태이고 각 가이드판(200)의 길이방향과 수직상태로 각 가이드판(200)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가이드판과 연결프레임이 격자 구조를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각 연결프레임(300)의 양단부가 각 가이드판(200)에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각 가이드판(200)의 보강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격자 구조에 의해 그만큼 이물질의 유입차단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만약 가이드판의 보강이 필요없거나 가이드판 만으로도 충분한 이물질 차단 효율을 얻을 수 있다면 연결프레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그레이팅이 경사지에 설치된 상태에서 빗물의 유입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경사지(1)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각 가이드판(200)이 지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빗물 등의 유입수가 지면을 따라 흘러 내려오다가 일부는 제일 앞쪽에 위치한 제1가이드판(210)과 외곽틀(100) 사이 공간을 통해 배수구 내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수 대부분이 제1가이드판(210)의 일측 경사면(이하 '제1하부경사면(212)'이라 함)에 부딪히게 되는데, 부딪히더라도 제1하부경사면의 경사각에 의해 제1가이드판(210)을 타고 넘지 못하고 아래쪽으로 유도되어 집수구 내로 유입된다.
흘러내려오는 유입수의 양이 많고 이동속도가 빠를 경우 유입수 중 일부는 제1가이드판(210)을 타고 넘게 되고, 제1가이드판(210)을 타고 넘은 유입수 중 일부는 제1가이드판(210)의 반대쪽 경사면(이하 '제1상부경사면(214)'이라 함)을 따라 흘러내려가 배수구 내로 유도되어 유입된다.
또한 배수로 유입되지 않고 제1가이드판(210)의 상부 경사면(200a)을 지나친 유입수는 곧바로 두번째 위치한 제2가이드판(220)의 제2하부경사면(222)에 부딪혀 아래로 유도되고, 제2가이드판(220)을 타고 넘은 유입수는 제2가이드판(220)의 제2상부경사면(224)을 비롯해 이후 배열된 각 가이드판의 경사면에 의해 반복적으로 배수구 내부를 향해 유도된다.
이러한 각 가이드판을 통해 빗물의 유입 유도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빗물이 그레이팅을 지나쳐 도로에 고이는 현상이 최소화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데,
[도 6]처럼 경사면을 가이드판의 양측면에 형성시키지 않고 유입수가 흘러내려오는 쪽을 향하는 쪽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기본 실시예처럼 각 가이드판의 상부경사면에 의한 유입유도 효과는 얻을 수 없으나, 경지의 경사도에 의한 빗물 유입량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변형예는 각 가이드판(200)이 별도의 회동제어부(400)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경사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때 회동제어부(400)는 도면과 같이 볼트 형태이고, 각 가이드판(200)의 양단부와 외곽틀(100)에는 볼트공(201)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제어부(400)가 각 외곽틀(100)을 관통하여 가이드판(200)의 양단부에 볼트체결됨에 따라 가이드판(200)과 외곽틀(100)이 상호 결합된다.
만약 지면의 경사도에 맞게 가이드판(20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회동제어부(400)를 빼낸 뒤 가이드판(200)을 회동시켜 적정기울기를 설정한 후 다시 회동제어부(400)를 체결시키면, 각 가이드판(200)은 조절된 기울기로 고정 설치된다.
이로 인해, 결국 각 가이드판의 경사면의 각도도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것이다.
더불어 회동제어부(400)와 볼트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판(200)이 원치않게 회동되는 현상도 방지된다.
지면의 경사가 급할 경우 그만큼 유입수의 흐름속도도 빨라지기 때문에, 이렇게 가이드판을 임의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경사면의 경사각도를 해당 지면의 경사도에 적합하도록 맞춤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참고로 이 경우 각 가이드판 전체를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일부 가이드판은 용접 등을 통해 외곽틀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외곽틀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그레이팅의 가이드판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유입수가 가이드판을 타고넘는 현상을 최소화 시켜 배수로의 유입효율을 높이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외곽틀 110 : 설치공간
200 : 가이드판 210 : 제1가이드판
212 : 제1하부경사면 214 : 제1상부경사면
220 : 제2가이드판 222 : 제2하부경사면
224 : 제2상부경사면 300 : 연결프레임
400 : 회동제어부 201 : 볼트공
200a : 경사면 1 : 지면
2 : 배수구

Claims (4)

  1. 배수구 입구에 안착설치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곽틀,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설치공간의 양측벽에 연결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면 중 어느 한쪽면 이상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유입수가 지면을 따라 흘러 유입되는 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외곽틀과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의 경사도의 조절이 가능한
    그레이팅.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사각 판재 형태이고 전체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그레이팅.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외곽틀과 상기 가이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의 회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동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그레이팅.





KR1020110140047A 2011-12-22 2011-12-22 그레이팅 KR10120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47A KR101204005B1 (ko) 2011-12-22 2011-12-22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47A KR101204005B1 (ko) 2011-12-22 2011-12-22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005B1 true KR101204005B1 (ko) 2012-11-23

Family

ID=4756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047A KR101204005B1 (ko) 2011-12-22 2011-12-22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07A (ko) * 2018-01-15 2019-07-24 유덕기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07A (ko) * 2018-01-15 2019-07-24 유덕기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102118165B1 (ko) * 2018-01-15 2020-06-15 서울특별시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6156B2 (en) Storm drain filter
US5820751A (en)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KR100673985B1 (ko) 소하천의 교량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US7682104B2 (en) Culvert inlet protection device
US10155670B1 (en) Stormwater polymer treatment system
US201303412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tering and Capturing Waterway Wastes
US8734053B1 (en) Articulated baffle assembly
KR101263000B1 (ko)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794162B1 (ko) 부유물 수집부가 구비된 부유물 거름 시설
KR101204005B1 (ko) 그레이팅
KR101887359B1 (ko) 복합 스크린 콘크리트 사방댐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JP3120072B2 (ja) 渓流取水用傾斜スクリーン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KR101783386B1 (ko) 월류방지 집수정
JP6190588B2 (ja) 雨水桝蓋
GB2277459A (en) Screen grid for overflow tanks
US8465230B1 (en) Silt fence support
CA2825893C (en) Protective grating for a drain pipe
KR20130000680A (ko) 경사 도로의 노면 배수처리용 스틸 그레이팅
KR101260796B1 (ko) 측구의 그레이팅
KR20020097201A (ko)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KR20120006230A (ko) 집수정용 스틸 그레이팅
KR200492849Y1 (ko) 배수용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