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201A -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 Google Patents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201A
KR20020097201A KR1020027012340A KR20027012340A KR20020097201A KR 20020097201 A KR20020097201 A KR 20020097201A KR 1020027012340 A KR1020027012340 A KR 1020027012340A KR 20027012340 A KR20027012340 A KR 20027012340A KR 20020097201 A KR20020097201 A KR 20020097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creen
curved
screen according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295B1 (ko
Inventor
프라우드데이비드피
Original Assignee
아포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포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포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9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01D29/0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 B01D29/07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with curv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45Ba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8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translato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고 일정한 간격을 둔 다수의 봉을 갖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각 봉의 적어도 일부분이 만곡되어 유체가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스크린의 사용위치에서 보았을 때 봉의 이 부분이 볼록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UP-FLOW RAKE BAR SCREEN}
본 발명은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서로 평행하고 스크린을 가로질러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봉을 갖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은 우기에 넘쳐 흐르는 오수로부터 쓰레기와 같은 부스러기를 걸러내는데 사용된다. 종래 이들은 직선형의 평행한 봉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 봉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부스러기를 걷어내기 위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오수의 적절한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레이크(rake)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크린의 한가지 결점은 봉의 비교적 낮은 강도와 안정성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치유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된 구조를 갖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을 제공하는 바, 여기에서 각 봉의 적어도 일부분이 만곡되어 유체가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스크린의 사용위치에서 보았을 때 봉의 이 부분이 볼록형으로 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우기에 우수에 의하여 봉에 가하여지는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봉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우수의 수위가 내려갈 때까지 만곡부의 양단에 부스러기 또는 여과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극부 또는 포켓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봉의 만곡부는 스크린의 유효면적을 증가시킨다.
각 봉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봉은 테이퍼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경사면은 하류측을 향하거나 상류측을 향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이러한 구조는 레이크에 부스러기가 끼이는 경향을 줄이고 또한 레이크와 봉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서는 와이어가 유용하다.
만약 봉이 테이퍼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이들이 레이크를 마모시키는 정도는 각 봉의 측면이 상부면과 만나는 모서리를 둥글게 만곡처리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봉의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경우 상부 모서리를 둥글게 만곡처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스크린의 봉 사이에 연장되고 봉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레이크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스크린의 조립체까지 확장된다.
구동수단은 스크린의 상부에 배치되고 레이크는 구동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레이크에는 각각 봉 사이로 연장된 평판상의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블레이드는 하류측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블레이드는 최하측 단부가 둥글게 만곡되는 것이 좋다.
각 봉은 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적어도 두개의 만곡부를 가지며 만곡부의 단부에 공극부 또는 개방공간 또는 포켓이 제공된다.
각 봉은 그 길이를 따라서 어느 위치에서나 만곡될 수 있다.
대신에, 각 봉은 두 만곡부 사이에 직선부를 가질 수 있다. 만곡부와 직선부 사이의 전이부는 불연속됨이 없이 연속되어 직선부로부터 만곡부로 원활한 전이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만곡부는 봉의 각 단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봉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 봉은 그 중앙부분이 만곡되고 양단부가 직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하수시스템의 오버플로우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고 스크린을 가로질러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봉으로 구성되고 봉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근하는 오수에 대하여 볼록형이 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을 통하여 오수가 통과하는 우기에 오수를 여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수의 레이크와 이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보인 걸름봉 스크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보인 걸름봉 스크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레이크를 구비한 스크린의 구성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스크린의 한 봉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스크린을 포함하는 하수시스템 오버플로우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인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10)은 직사각형의 프레임(12)으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의 길이가 긴 부분에 평행하게 다수의 봉(14)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봉은 프레임(12)의 길이가 짧은 부분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12)에는 구동수단(16)과 트랙을 따라서 안내되고 지주(22)에 의하여 연결된 두개의 레이크(18)(20)가 착설되어 있다. 각 레이크(18)(20)에는 봉(14) 사이의 각 공간에 하나씩 프레임(12)의짧은 길이부분에 평행한 방향으로 간격을 둔 다수의 블레이드(22)(24)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수단(16)은 레이크(18)(20)와 이들의 블레이드(22)(24)가 봉(14)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각 봉(14)에는 그 길이를 따라서 간격을 둔 두개의 연속된 원호부분(26)(28)이 형성되어 있다. 각 원호부분(26)(28)은 스크린이 사용될 때 유체가 아직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보아 볼록형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봉은 이들의 각 원호부분 사이에서 봉의 중앙부분이 프레임(12)의 중앙지주(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로써 원호부분(26)(28) 사이의 위치에서 이들의 외측단부에 공극부 또는 포켓(32)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각 봉(14)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또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은 쐐기형의 단면을 갖는 스트립 형태의 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봉(14)의 단면은 모서리를 죽인 역삼각형의 형태로서, 상측수평변부(24a)와, 이 상측변부(24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수평변부(24d)를 향하여 수렴된 두 측부변부(24b)(24c)를 갖는다. 상측수평변부(24a)와 두 측부변부(24b)(24c) 사이의 모서리(24e)는 봉(14)과 레이크(18)(20)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둥글게 만곡처리되었다.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봉의 경우에도 모서리를 둥글게 만곡처리하는 것이 좋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은 스크린이 설치되는 방법이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는 주오수관(40), 우수오버플로우관(42)과, 우수오버플로우 챔버(44)가 도시되어 있다. 오수관(40)은 챔버(44)의 저면부분에서 이 챔버의 양단에 연결된다. 오수가 챔버(44)를 통과할 때 오수의 통로가 채널(46)에 의하여 저면부분에 제공된다. 채널(46)에 평행하게 연장된 우수오버플로우벽(48)이 이러한 채널과 그 측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챔버(44)의 저면부를 따라서 채널(46)의 반대측에서 벽(48)에 평행하게 우수오버플로우관(42)에 연통하는 다른 채널(50)이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은 스크린(10)은 채널(46)이 연장되는 벽(48)의 측부에 고정된다. 스크린(10)은 브라킷트 또는 다른 고정구(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고정되고, 봉(14)이 수평하고 채널(46)(50)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수직으로 연장된 측판(52)(54)(56)(58)(60)이 벽(48)으로부터 상측으로 프레임(12)의 측부 둘레에 연장된다.
도 6과 도 7에서 보인 설비가 사용될 때, 정상상태하에서 오수는 이러한 오수가 챔버(44)를 통하여 유동하는 챔버(46)를 포함하는 오수관(40)을 통하여 유동한다. 오수의 수위가 상승하는 우기의 경우에 오수의 수위는 벽(48)의 상부높이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유동하는 오수의 상측부분이 봉(14) 사이에서 스크린(10)을 통하여 유동하고 측방향 부분은 벽(48)을 넘어 채널(50)측으로 유동하여 오수오버플로우관(42)을 통하여 유출된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구동수단(16)은 블레이드(22)(24)가 봉(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토록 작동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블레이드(22)(24)는 봉(14)사이에서 포켓(32)에 갇힌 부스러기 또는 여과물을 걷어낸다.
유체가 아직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위치로부터 보았을 때, 각 봉의 볼록형 만곡부는 우수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힘에 대하여 봉이 견딜 수 있도록 봉을 강화한다.
우기가 지나 챔버(44)내의 수위가 낮아질 때, 부스러기 또는 여과물은 포켓(32)으로부터 자유롭게 낙하하여 채널(46)을 따라 오수관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과정중에, 벽(48)의 측벽과, 챔버(44)의 대향된 측벽은 채널(46)로부터 벽(48)의 상부측으로 오수가 상승하는 상승류를 위한 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스크린과 설비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은 그 봉(14)이 벽(48)에 평행하지 않고 이에 수직으로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은 단일만곡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개의 레이크 대신에 단하나의 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스크린의 각 봉은 3개 이상의 만곡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각 봉(14)의 볼록한 만곡형상은 우수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힘에 대해 봉을 강화한다. 이로써 요구된 강도를 얻기 위하여 각 봉(14)에 적은 양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스크린(10)에 의한 유동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우수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봉(14) 사이의 전체유효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포켓(32)의 유효크기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서로 평행하고 스크린을 가로질러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봉을 가지며 각 봉이 테이퍼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서로 평행하고 일정한 간격을 둔 다수의 봉을 갖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에 있어서, 각 봉의 적어도 일부분이 만곡되어 유체가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스크린의 사용위치에서 보았을 때 봉의 이 부분이 볼록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각 봉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각 봉이 테이퍼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테이퍼형 단면의 경사방향이 하측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봉이 와이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봉의 단면이 모서리를 둥글게한 삼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봉의 단면에서 상측단부의 모서리가 둥글게 만곡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봉이 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적어도 두개의 만곡부를 가지고 만곡부의 양단에 공극부 또는 개방공간 또는 포켓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봉이 그 길이를 따라 어느 위치에서나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봉이 봉의 두 만곡부 사이에 직선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11. 제10항에 있어서, 만곡부와 직선부 사이의 전이부가 불연속됨이 없이 연속되어 직선부로부터 만곡부로 원활한 전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만곡부가 봉의 각 단부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봉이 그 중앙부분이 만곡되고 양단부가 직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스크린과 스크린의 봉 사이에 연장되고 봉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레이크의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스크린의 상부에 배치되고 레이크가 구동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레이크에 각각 봉 사이로 연장된 평판상의 블레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가 하류측 방향으로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최하측 단부가 둥글게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시스템의 오버플로우설비.
  20. 우기에 오수를 여과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봉으로 구성되고 봉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근하는 오수에 대하여 볼록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을 통한 오수여과방법.
KR1020027012340A 2000-04-03 2001-03-22 상승류 갈퀴 봉 스크린 조립체 KR100815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08055.6 2000-04-03
GBGB0008055.6A GB0008055D0 (en) 2000-04-03 2000-04-03 Up-flow rake bar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201A true KR20020097201A (ko) 2002-12-31
KR100815295B1 KR100815295B1 (ko) 2008-03-19

Family

ID=988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340A KR100815295B1 (ko) 2000-04-03 2001-03-22 상승류 갈퀴 봉 스크린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50785A1 (ko)
EP (1) EP1268949B1 (ko)
JP (1) JP5065564B2 (ko)
KR (1) KR100815295B1 (ko)
AU (1) AU2001239419A1 (ko)
CA (1) CA2403151A1 (ko)
DK (1) DK1268949T3 (ko)
GB (1) GB0008055D0 (ko)
WO (1) WO20010752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1B1 (ko) 2006-03-02 2007-05-17 이현우 수 처리장의 부유물 분리용 무빙스크린장치
EP2116649A3 (de) 2008-05-05 2011-07-13 Jörg-Michael Dipl.-Ing. Steinhardt Rechenvorrichtung mit einer Einrichtung zur Räumung des Rechenguts
GB2556085B (en) * 2016-11-18 2020-05-06 Bp Mckeefry Screening apparatus
US11633680B2 (en) * 2020-07-23 2023-04-25 Parkson Corporation Bar scre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2028A (en) * 1924-10-21 Sewage screen
GB226746A (en) * 1924-06-23 1925-01-01 Gabriel Lars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pelling pencils
US4097382A (en) 1977-03-28 1978-06-27 The Black Clawson Company Dewatering screen
JPS56150209A (en) * 1980-04-22 1981-11-20 Chuichi Kasai Remover for solid in waste water
JPS5779620U (ko) * 1980-10-23 1982-05-17
CH656072B (ko) * 1981-07-01 1986-06-13
JPS60427U (ja) * 1983-06-17 1985-01-0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除塵装置
JPS63236811A (ja) * 1987-03-24 1988-10-03 Ee T Kk 分水路への塵芥流入防止装置
US5051174A (en) * 1989-09-25 1991-09-24 G-H Systems, Inc. Bar screen rake apparatus
GB9211516D0 (en) * 1992-06-01 1992-07-15 Separating barrier
CH689426A5 (de) * 1992-07-24 1999-04-15 Werner Nill Siebrechenanordnung für Regenüberlaufbecken.
AT400251B (de) * 1993-04-30 1995-11-27 Nill Werner Siebrechenanordnung für überlaufbecken
DE4429537C2 (de) * 1994-08-19 1998-09-17 Durchschlag & Bever Gmbh Abwasserreinigungsanlage
DE19524276C2 (de) * 1995-07-04 1999-06-17 Huber Hans Georg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scheidegut aus in einem Gerinne strömender Flüssigkeit
JP3229535B2 (ja) * 1995-12-28 2001-11-1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除塵装置用レーキ
US5715668A (en) * 1996-06-10 1998-02-10 John Meunier Inc. Self-adjustable rake for overflow grates
GB9701093D0 (en) * 1997-01-20 1997-03-12 Tj Brent Limited Raked bar screen
JPH11117263A (ja) * 1997-10-17 1999-04-27 Maezawa Ind Inc 除塵装置
DE19755588C2 (de) * 1997-12-15 2001-03-22 Hans Huber Ag Masch & Anlagenb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scheidegut aus in einem Gerinne strömender Flüssig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268949T3 (da) 2013-04-02
US20030150785A1 (en) 2003-08-14
AU2001239419A1 (en) 2001-10-15
GB0008055D0 (en) 2000-05-24
EP1268949A1 (en) 2003-01-02
WO2001075240A1 (en) 2001-10-11
JP2003529448A (ja) 2003-10-07
EP1268949B1 (en) 2012-12-26
KR100815295B1 (ko) 2008-03-19
CA2403151A1 (en) 2001-10-11
JP5065564B2 (ja)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US5674386A (en) Self-cleaning bar screen for storm water and the like large water volumes
JP4681641B2 (ja) 分離装置
KR101263000B1 (ko)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EP0901540B1 (de) Fischaufstiegsanlage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KR20020097201A (ko) 상승류 걸름봉 스크린
US6126821A (en) Raked bar screen
JP4167514B2 (ja) 集水用グレーチングとこれを用いた排水構造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JPH09279782A (ja) 湾曲網目体を有する雨樋
KR100334503B1 (ko) 침전지용 경사관형 침전장치
JP3739782B2 (ja) 集水用グレーチングとこれを用いた道路の排水構造
GB2277459A (en) Screen grid for overflow tanks
AT398960B (de) Steckfiltereinheit und anlage zum abscheiden von leichtflüssigkeiten
CN209129278U (zh) 一种花伞屋顶排水系统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KR101204005B1 (ko) 그레이팅
KR102309781B1 (ko) 배수효율이 개선된 우수받이용 필터스크린
KR101783386B1 (ko) 월류방지 집수정
CN112912154A (zh) 用于澄清池的斜板和用于澄清池的斜板状模块
KR101780255B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1260796B1 (ko) 측구의 그레이팅
KR200492849Y1 (ko) 배수용 그레이팅
JP2002115310A (ja) 集水用路面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