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572B1 -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572B1
KR101203572B1 KR1020060023226A KR20060023226A KR101203572B1 KR 101203572 B1 KR101203572 B1 KR 101203572B1 KR 1020060023226 A KR1020060023226 A KR 1020060023226A KR 20060023226 A KR20060023226 A KR 20060023226A KR 101203572 B1 KR101203572 B1 KR 10120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box
air supply
casing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272A (ko
Inventor
윤종석
강병규
방윤석
박상호
안종욱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572B1/ko
Priority to AU2006273067A priority patent/AU2006273067B2/en
Priority to MX2008001329A priority patent/MX2008001329A/es
Priority to US11/995,918 priority patent/US8015839B2/en
Priority to PCT/KR2006/002928 priority patent/WO2007013760A1/en
Priority to EP06783407.7A priority patent/EP1910757B1/en
Publication of KR2007009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5Locally discharging th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09Various apparatus for drying textil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실(33)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박스(60)가 출납되는 장착공간(50S)이 내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박스케이싱(50)과;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33)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외부의 냉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제1유로(50P1); 그리고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50P1)와 연통되어 제1유로(50P1)를 통하여 전달받은 냉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50P2);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50P1)는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일측면 내측과 박스케이싱(50)의 일측면 내측 후단부에 고정되는 덕트부재(57)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60)의 일측면에는 수납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부재(57)가 안착되는 덕트안착부(65)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박스가 박스케이싱의 장착공간에 보다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60023226
냉장고, 수납박스, 냉기공급, 간접냉각, 덕트안착부

Description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케이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케이싱의 일측면을 절개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5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면을 절개하여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본체 31: 냉동실
33: 냉장실 35: 베리어
37: 고정레일 38: 고정돌기
39: 냉기공급구 41: 댐퍼
43: 보조덕트 44: 연통개구
44a: 단열재 45: 센서설치부
47: 온도감지센서 49: 단열재
50: 박스케이싱 50S: 장착공간
51: 상부커버 52: 상부플레이트
52a: 걸림돌기 53: 하부플레이트
53a: 걸림돌기 54: 하부케이싱
54a: 밀착플랜지 54b: 지지리브
54c: 지지단차부 54d: 온도감지개구
55: 가이드레일 55a: 상부가이드레일
55b: 하부가이드레일 55c: 보강리브
56: 지지돌기 57: 덕트부재
58: 연통구 58a: 단열재
59a, 59b: 냉기가이드 50P1,50P2: 유로
50i: 냉기입구 50o: 냉기출구
60: 야채박스 60S: 수납공간
61: 가이드리브 63: 걸림플랜지
65: 덕트안착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수납박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저장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냉동실(11)과 냉장실(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본체(10)의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는 다수개의 도어바스켓(15)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15)은 식품의 수납을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바스켓(15)은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선반(17)이 설치된다. 상기 선반(17)은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반(17)의 상면에는 식품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13)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야채박스(19)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야채박스(19)의 내부에는 식품, 예를 들면, 야채나 과일의 수납을 위한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은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구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17) 중 어느 하나의 저면 또는 그 직상방에 위치되는 야채박스의 저면에 의하여 차폐된다.
다음으로 냉장고의 내부, 즉 냉동실과 냉장실의 내부에서 냉기가 순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냉동실(1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미도시)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냉기는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냉기공급구(미도시)를 통하여 냉동실(11)과 냉장실(13)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공급된 냉기는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수납된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에 수납된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시킨 냉기가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기리턴구(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를 향하여 유동됨으로써 냉장고의 내부에서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은 상기 선반(17) 중 어느 하나의 저면이나 그 직상방에 위치되는 야채박스의 저면에 의하여 차폐되지만, 이에 의하여 완전하게 밀폐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3)을 순환하는 냉기가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으로 전달되어 수납된 야채나 과일과 같은 식품과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에 상기 냉장실(13)에 저장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이거나 식품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3)을 순환하는 냉기는 냉장실(1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되어 냉장실(13)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냉기리턴구를 통하여 리턴된다. 그런데 상기 야채박스(19)는 상기 냉장실(13)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전달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3)을 순환하면서 식품을 냉장시킨 냉기, 즉 상대적으로 온도가 증가된 냉기가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13)에 저장된 식품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저온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13)의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이 약냉되거나 과냉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이 보다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케이싱의 장착공간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박스의 출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실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박스가 출납되는 장착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는 하 나 이상의 박스케이싱과; 상기 박스케이싱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외부의 냉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제1유로; 그리고 상기 박스케이싱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제1유로를 통하여 전달받은 냉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박스케이싱의 일측면 내측과 박스케이싱의 일측면 내측 후단부에 고정되는 덕트부재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의 일측면에는 수납박스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부재가 안착되는 덕트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안착부는 상기 수납박스의 일측면이 상기 덕트부재의 형상 및 두께에 대응하여 수납박스의 수납공간 내부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박스가 박스케이싱의 장착공간에 보다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케이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저장공간은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리어(35)에 의하여 좌우 로 구획되는 냉동실(31)과 냉장실(33)로 구성된다. 상기 냉동실(31)과 냉장실(33)에는 증발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공급되는 냉기공급구(미도시)와, 그 내부를 순환한 냉기를 상기 증발기로 유동시키기 위한 냉기리턴구(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33)의 양측면에는 하부에는 고정레일(37)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일(37)은 아래에서 설명할 박스케이싱(50)이 상기 냉장실(33)에 수납된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레일(37)은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ㄷ자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냉장실(33)의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도 2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45)의 바닥판 상면 전후단에는 고정돌기(38)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8)는 상기 냉장실(33)에 장착된 박스케이싱(5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38)는 상기 고정레일(37)의 바닥판 상면 전후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각각 돌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8)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레일(37)의 바닥판 상면에 대하여 상향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내면(38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8)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레일(37)의 바닥판 상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면(38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35)에는 냉기공급구(39)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공급구(39)는 상기 냉동실(31)을 순환하는 냉기가 냉기덕트(50)로 전달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공급구(39)가 장방형으로 형성되지만, 냉기 공급구(39)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냉기공급구(39) 상에 해당하는 상기 베리어(35)의 내부에는 댐퍼(41)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41)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플과, 상기 베플을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댐퍼(41)의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댐퍼(41)는 아래에서 설명할 온도감지센서(47)에 의하여 감지되는 아래에서 설명할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구(39)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댐퍼(41)는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냉기공급구(39)를 개방시킨다.
상기 냉장실(33)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는 보조덕트(43)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덕트(43)는 상기 냉기공급구(39)와 아래에서 설명할 냉기입구(50i)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덕트(43)는 별도의 체결구 등에 의하여 상기 베리어(35)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덕트(43)에는 다수개의 연통개구(44)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개구(44)는 상기 보조덕트(43)의 일면이 격자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통개구(44)는 냉기입구(50i)에 인접하는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연통개구(44)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보조덕트(43)의 일면에는 단열재(44a)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재(44a)는 상기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기 냉동실(31)의 냉기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덕트(43)에는 센서설치부(45)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설치부(45)는 상기 보조덕트(4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센서설치부(45)의 일면은 박스케이싱(50)의 온도감지개구(54d)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센서설치부(45)에는 온도감지센서(47)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47)는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온도감지센서(47)는 상기 센서설치부(45)에 설치된 상태에서 센서설치부(45)에 밀착되는 박스케이싱(50)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설치부(45)의 일면에는 단열재(49)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재(49)는 상기 연통개구(44)의 단열재(44a)와 동일하게 상기 센서설치부(45)가 결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45a)는 온도감지개구(54d)에 인접하는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온도감지센서(47)가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냉장실(33)의 하부에는 박스케이싱(50)이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박스케이싱(50)이 설치되는 상기 냉장실(33)의 하부를 편의상 야채실이라 칭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야채실에 하나의 상기 박스케이싱(50)이 설치되지만, 둘 또는 그 이상의 박스케이싱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 만 이와 같이 다수개의 박스케이싱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구(39)도 박스케이싱의 개수만큼 구비될 것이다.
상기 박스케이싱(5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50S)이 구비된다.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장착공간(50S)에는 야채박스(6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박스케이싱(50)은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에 수납된 식품을 간접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케이싱(50)은 상부커버(51)와 하부케이싱(54)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51)는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52)는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상면과 전면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3)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케이싱(5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는 각각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플레이트(52)에 비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53)가 상대적으로 전후길이 및 좌우폭이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싱(54)은 야채박스(60)의 양측면과 후면 및 저면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전면부와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선단에는 양측방향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밀착플랜지(54a)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플랜지(54a)의 전면에는 야채박스(60)의 걸림플랜지(63) 이면이 밀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상단에는 지지리브(54b)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54b)는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상단이 외측으로 밴딩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54b)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저면 테두리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54)의 후면에는 지지단차부(54c)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차부(54c)는 상기 하부케이싱(54)의 후면 상단이 후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지지단차부(54c)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3)의 저면 후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하부케이싱(54)의 도면상 좌측면 일측에는 온도감지개구(54d)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개구(54d)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7)와 장착공간(50S)을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온도감지센서(47)가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내측 선단에는 지지롤러(50r)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50r)는 야채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에 출납하는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롤러(60r)와 가이드리브(61)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롤러(50r)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내측에는 가이드레일(55a)(55b)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장착공간(50S)에 야채박스(60)가 출납하는 과정에서 이동롤러(60r)는 상기 가이드레일(55a)(55b)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되고, 가이드리브(61)는 상기 가이드레일(55a)(55b)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5a)(55b)은 각각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즉 상기 가 이드리브(61)와 동일한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레일(55a)과 하부가이드레일(55b)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롤러(60r)는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55a)(55b)의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리브(61)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5a)과 하부가이드레일(55b)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5a)과 하부가이드레일(55b)은 상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5a)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55b)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55c)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55c)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5a)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55b)의 상면에서 각각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 또는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5a)과 하부가이드레일(55b)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의 양측단부에는 한쌍의 걸림돌기(52a)(53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52a)(53a)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의 저면 양측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52a)(53a)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54)에는 걸림후크(54h)(54h')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후크(54h)(54h')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가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상단과 지지단차부(54c)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52a)(53a)가 각각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후크(54h)(54h')는 전방을 향 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2a)(53a)가 상기 걸림후크(54h)(54h')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51),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가 상기 하부케이싱(54)에 고정된다.
상기 걸림후크(54h)(54h') 중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걸림돌기(52a)가 삽입되는 걸림후크(54h)는 상기 지지리브(54b)의 외측면 전후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후크(54h)(54h') 중 상기 하부플레이트(53)의 걸림돌기(53a)가 삽입되는 걸림돌기(54h')는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내측 상단부 전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케이싱(54)의 양측면 상단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리브(54b)의 저면에는 한쌍의 지지돌기(5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56)는 상기 냉장실(33)에 장착된 상기 박스케이싱(50)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56)는 상기 지지리브(54b)의 저면 선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56)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리브(54b)의 저면에 대하여 직교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면(56a)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8)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리브(54b)의 저면에 대하여 상향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면(56b)이 구비된다.
상기 박스케이싱(50)이 상기 냉장실(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56)는 상기 고정돌기(38)를 타고 넘어간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56)의 슬라이딩면(56b)이 상기 고정돌기(38)의 안내면(38a)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돌기(38)의 안내면(38a)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8)의 고정면(38b)과 상기 지지돌기(56)의 지지면(56a)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박스케이싱(50)이 상기 냉장실(33)에 장착된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임으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 일측에는 냉기입구(50i)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입구(50i)는 상기 박스케이싱(50)이 상기 냉장실(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덕트(43)의 연통개구(44)에 의하여 상기 냉기공급구(39)와 연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기입구(50i)가 상기 냉기공급구(39) 및 연통개구(44)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기입구(50i)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유로(50P1)로 냉기가 공급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에는 제1유로(50P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50P1)는 상기 박스케이싱(50)이 상기 냉장실(3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공급구(39)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50P1)에는 상기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냉동실(31)의 냉기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50P1)를 유동하는 냉기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유로(50P2)로 전달된다.
상기 제1유로(50P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 내측에는 덕트부재(57)가 고정된다. 상기 덕트부재(57)는 상기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 내측과 마주보는 길이방향 일측면과 상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덕트부재(57)가 상기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입구(50i)는 상기 덕트부재(57)의 개구된 일측면의 영역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부재(57)의 개구된 상면의 영역내에는 아래에서 설명 할 연통구(58)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50P1)가 상기 냉기입구(50i) 및 연통구(58)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부재(57)의 개구된 일측면 하단 테두리부분이 상기 냉기입구(50i)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케이싱(54)의 도면상 좌측면 내측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부재(57)의 개구된 상부 테두리부분은 연통구(58)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3)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3)의 도면상 좌측단부에는 상기 제1유로(50P1)의 상부와 연통되게 연통구(58)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구(58)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3)의 도면상 좌측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50P1)와 제2유로(50P2)를 연통시킨다. 상기 연통구(58)는 상기 제1유로(50P1)를 유동한 냉기가 제2유로(50P2)로 전달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연통구(58)에 인접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3)의 상면에는 단열재(58a)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재(58a)는 상기 연통구(58)를 통하여 제2유로(50P2)로 유동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기 냉동실(31)의 냉기에 의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53)의 상면,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54)의 내측 상단테두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유로(50P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유로(50P2)에는 상기 연통구(58)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50P1)에서 전달받은 냉기가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싱(54)의 후면에는 냉기출구(50o)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출구(50o)는 상기 제2유로(50P2)를 유동한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냉기출구(50o)는 상기 냉기입구(50i) 및 연통구(58)와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도면상 상기 하부케이싱(54)의 후면 우측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기출구(50o)는 상기 냉장실(33)의 리턴덕트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50P2)의 내부,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52)와 하부플레이트(53) 사이에는 냉기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가이드는 상기 연통구(58)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50P2)로 전달된 냉기를 상기 냉기출구(50o)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기가이드는 제1냉기가이드(59a)와 제2냉기가이드(59b)로 구성된다. 상기 제1냉기가이드(59a)는 상기 연통구(58)를 중심으로 상기 냉기출구(50o)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커버(51)의 도면상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냉기가이드(59b)는 상기 연통구(58)를 중심으로 상기 제1냉기가이드(59a)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커버(51)의 도면상 우측단부에서 상기 냉기출구(50o)의 도면상 좌측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상부커버(51)의 후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제1냉기가이드(59a)와 제2냉기가이드(59b)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및 제2냉기가이드(59a)(59b)는 상기 연통구(58)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50P2)로 전달된 냉기를 상기 냉기출구(50o)로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공간(50S)에는 야채박스(6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야채박스(60)는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야채박스(60)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60S)이 구비된다. 상기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에는 야채나 과일과 같은 식품이 수납된다.
상기 야채박스(60)의 양측면 외측 선단에는 이동롤러(60r)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이동롤러(60r)는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롤러(50r)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5a)(55b), 즉 상기 하부가이드레일(55b)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롤러(60r)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야채박스(60)의 양측면 외측에는 가이드리브(6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61)는 상기 야채박스(60)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그 선단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즉 상기 가이드레일(55)과 동일한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61)의 상하높이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5a)(55b)과 하부가이드레일 사이의 간격 이하가 되도록 결정된다. 상기 가이드리브(61)는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싱기 지지롤러(50r)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레일(55a)과 하부가이드레일(55b)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야채박스(60)의 전면 양측단부에는 걸림플랜지(63)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플랜지(63)의 이면은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플랜지(54a)에 밀착됨으로써 야채박스(60)가 장착공간(50S)의 내부로 완전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야채박스(60)의 도면상 좌측면 후단에는 덕트안착부(65)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안착부(65)는 상기 장착공간(50S)에 수납되는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덕트부재(57)에 의하여 간섭받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덕트부재(57)에 의하여 손상받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덕트안착부(65)는 상기 야채박스(60)의 도면상 좌측면 후단부가 상기 덕트부재(57)의 형상 및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공간(60S)의 내부, 즉 도면상 우측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의하여 수납박스에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47)에 의하여 박스케이싱(50)의 장착공간(50S)에 장착된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감지되면, 댐퍼(41)에 의하여 냉기공급구(39)가 개방된다. 따라서 냉동실(31)의 냉기가 상기 냉기공급구(39)와 냉기입구(50i) 및 보조덕트(43)의 연통개구(44)를 통하여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제1유로(50P1)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1유로(50P1)로 전달된 냉기는 연통구(58)를 통하여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제2유로(50P2)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50P2)로 전달된 냉기 는 제2유로(50P2)를 유동하면서 제1및 제2냉기가이드(59a)(59b)에 의하여 냉기출구(50o)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유로(50P1)와 제2유로(50P2)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하여 상기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에 수납된 식품이 간접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에 수납된 식품에 냉기 중에 포함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이거나 식품 중의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47)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댐퍼(41)에 의하여 상기 냉기공급구(39)가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박스케이싱(50)의 제1유로(50P1)에 더 이상 냉기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야채박스(60)의 수납공간(60S)에 수납된 식품이 과냉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박스케이싱(50)의 도면상 좌측면 내측에는 상기 덕트부재(58)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부재(58)는 상기 장착공간(50S)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야채박스(60)의 도면상 좌측면에는 상기 덕트부재(58)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덕트안착부(65)가 구비되므로,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부재(58)는 상기 덕트안착부(65)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장착공간(50S)을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야채박스(60)가 상기 덕트부재(58)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 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케이싱에 구비되는 유로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하여 상기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이 간접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에 냉장실에 저장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이거나 식품의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약냉 또는 과냉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상기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을 보다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박스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덕트부재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수납박스의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박스가 상기 박스케이싱의 장착공간에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덕트부재에 의하여 수납박스의 출납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Claims (2)

  1. 냉장실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박스가 출납되는 장착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박스케이싱과;
    상기 박스케이싱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냉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제1유로; 그리고
    상기 박스케이싱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제1유로를 통하여 전달받은 냉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박스케이싱의 일측면 내측과 박스케이싱의 일측면 내측 후단부에 고정되는 덕트부재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의 일측면에는 수납박스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부재가 안착되는 덕트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안착부는 상기 수납박스의 일측면이 상기 덕트부재의 형상 및 두께에 대응하여 수납박스의 수납공간 내부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20060023226A 2005-07-29 2006-03-13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120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226A KR101203572B1 (ko) 2006-03-13 2006-03-13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AU2006273067A AU2006273067B2 (en) 2005-07-29 2006-07-25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MX2008001329A MX2008001329A (es) 2005-07-29 2006-07-25 Una estructura para el suministro de aire frio de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para refrigerador.
US11/995,918 US8015839B2 (en) 2005-07-29 2006-07-25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PCT/KR2006/002928 WO2007013760A1 (en) 2005-07-29 2006-07-25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EP06783407.7A EP1910757B1 (en) 2005-07-29 2006-07-25 Refrigerator comprising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226A KR101203572B1 (ko) 2006-03-13 2006-03-13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272A KR20070093272A (ko) 2007-09-18
KR101203572B1 true KR101203572B1 (ko) 2012-11-21

Family

ID=3868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226A KR101203572B1 (ko) 2005-07-29 2006-03-13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79B1 (ko) * 2013-07-29 2015-03-04 고지수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771B1 (ko) 1999-12-28 2002-10-30 엘지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신선실 겸용 야채박스의 냉기공급구조
KR100657933B1 (ko) 2006-01-17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771B1 (ko) 1999-12-28 2002-10-30 엘지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신선실 겸용 야채박스의 냉기공급구조
KR100657933B1 (ko) 2006-01-17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272A (ko)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5839B2 (en)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EP3524909B1 (en) Refrigerator
KR100675335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3355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919822B1 (ko) 냉장고
KR100657933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74038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1006783B1 (ko) 냉장고
KR101203572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76027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7403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WO2007105902A1 (en)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KR101203571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1052971B1 (ko) 냉장고
KR10083680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872856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66060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4577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20220074489A (ko) 냉장고
KR100653351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56465B1 (ko) 냉장고용 야채실 조명구조
KR100657932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94263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간접냉각구조
KR100653354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3352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