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933B1 -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933B1
KR100657933B1 KR1020060004937A KR20060004937A KR100657933B1 KR 100657933 B1 KR100657933 B1 KR 100657933B1 KR 1020060004937 A KR1020060004937 A KR 1020060004937A KR 20060004937 A KR20060004937 A KR 20060004937A KR 100657933 B1 KR100657933 B1 KR 10065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 air
cold air
box
air duc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석
강병규
방윤석
박상호
안종욱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933B1/ko
Priority to AU2006273067A priority patent/AU2006273067B2/en
Priority to MX2008001329A priority patent/MX2008001329A/es
Priority to US11/995,918 priority patent/US8015839B2/en
Priority to PCT/KR2006/002928 priority patent/WO2007013760A1/en
Priority to EP06783407.7A priority patent/EP19107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실(33)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33)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외부의 냉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50P)가 형성되는 냉기덕트(50)와; 상기 냉장실(33)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을 차폐하고, 상기 냉기덕트(50)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80P)(80'P)가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의 상부커버(81)(81');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81)(81')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실(33)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박스(70)(70')와 냉기덕트(50) 및 상부커버(81)(81')가 설치되는 공간을 상기 냉장실(33)로부터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이 간접냉각에 의하여 보다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수납박스, 냉기공급, 간접냉각, 구획플레이트

Description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케이싱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케이싱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케이싱을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냉기가 조절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본체 31: 냉동실
33: 냉장실 33h,33'h: 체결공
35: 베리어 36,37,38: 지지턱
39: 냉기공급개구 41: 댐퍼
43: 팬어셈블리 45: 고정편
46: 고정돌기 47: 관통공
47s: 체결구 50: 냉기덕트
50P: 유로 51: 덕트본체
52: 냉기출구 52g: 냉기가이드
53: 플랜지부 54: 체결편
55: 관통공 55s: 체결구
56,57,58: 지지편 59: 센서설치부
60: 선반 70,70': 야채박스
70S, 70'S: 수납공간 71,71': 가이드리브
73,73': 걸림플랜지 75,75': 손잡이부
80,80': 박스케이싱 80S,80'S: 장착공간
80P,80'P: 유로 80i,80'i: 냉기입구
80o,80'o: 냉기출구 81,81': 상부커버
82,82': 상부플레이트 82h,82'h: 걸림후크
83,83': 하부플레이트 83h,83h': 걸림후크
83s,83's: 장착개구 83a,83'a: 지지단
84,84': 하부케이싱 84a,84'a: 밀착플랜지
85,85': 지지리브 86,86': 지지부
87,87': 가이드레일 88,88': 상부가이드레일
88a,88'a: 보강리브 88b,88'b: 경사안내부
89,89': 하부가이드레일 89a,89'a: 보강리브
90,90': 투습재 S: 온도감지센서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수납박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저장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냉동실(11)과 냉장실(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그 일단을 중 심으로 선단이 본체(10)의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는 다수개의 도어바스켓(15)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15)은 식품의 수납을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바스켓(15)은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선반(17)이 설치된다. 상기 선반(17)은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반(17)의 상면에는 식품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13)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야채박스(19)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야채박스(19)의 내부에는 식품, 예를 들면, 야채나 과일의 수납을 위한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은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구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17) 중 어느 하나의 저면 또는 그 직상방에 위치되는 야채박스의 저면에 의하여 차폐된다.
다음으로 냉장고의 내부, 즉 냉동실과 냉장실의 내부에서 냉기가 순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냉동실(1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미도시)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냉기는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냉기공급구(미도시)를 통하여 냉동실(11)과 냉장실(13)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공급된 냉기는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수납된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에 수납된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시킨 냉기가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기리턴구(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를 향하여 유동됨으로써 냉장고의 내부에서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은 상기 선반(17) 중 어느 하나의 저면이나 그 직상방에 위치되는 야채박스의 저면에 의하여 차폐되지만, 이에 의하여 완전하게 밀폐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3)을 순환하는 냉기가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으로 전달되어 수납된 야채나 과일과 같은 식품과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에 상기 냉장실(13)에 저장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이거나 식품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3)을 순환하는 냉기는 냉장실(1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되어 냉장실(13)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냉기리턴구를 통하여 리턴된다. 그런데 상기 야채박스(19)는 상기 냉장실(13)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전달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3)을 순환하면서 식품을 냉장시킨 냉기, 즉 상대적으로 온도가 증가된 냉기가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13)에 저장된 식품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저온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13)의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전 달된다. 따라서 상기 야채박스(19)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이 약냉되거나 과냉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이 보다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외부의 냉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장실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냉기덕트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의 상부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박스와 냉기덕트 및 상부커버가 설치되는 공간을 상기 냉장실로부터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기덕트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의 냉장실측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덕트의 유로에는 상기 베리어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냉동실의 냉기가 전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장실의 양측면에는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베리어의 냉동실측 일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턱의 선단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상기 냉기덕트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턱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지지턱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지지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는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이 간접냉각에 의하여 보다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 내지 도 7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케이싱이 측면도와 측단면도 및 부분절결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저장공간은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리어(35)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는 냉동실(31)과 냉장실(33)로 구성된다. 상기 냉동실(31)과 냉장실(33)에는 증발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공급되는 냉기공급구(미도시)와, 그 내부를 순환한 냉기를 상기 증발기로 유동시키기 위한 냉기리턴구(미도시)가 각각 구 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33)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지지턱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은 상기 냉장실(33)의 양측면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각각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은 상기 냉장실(33)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의 일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은 제1지지턱(36a)(36b)과 제2지지턱(37a)(37b), 그리고 제3지지턱(38a)(38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턱(36a)(36b)은 아래에서 설명할 선반(6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지지턱(37a)(37b)은 상기 제1지지턱(36a)(36b)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제1박스케이싱(80)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턱(38a)(38b)은 상기 제2지지턱(37a)(37b)의 하방에 위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제2박스케이싱(80')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냉장실(33)의 도면상 좌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지지턱(36a)과 제2지지턱(37a), 그리고 제3지지턱(38a)의 선단은 상기 냉장실(33)의 도면상 우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지지턱(36b)의 선단을 기준으로 각각 아래에서 설명할 냉기덕트(50)의 제1지지편(56)과 제2지지편(57), 그리고 제3지지편(58)의 전후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상기 냉장실(33)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3)의 도면상 우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2지지턱(37b)과 제3지지턱(38b)의 선단은 각각 상기 냉장실(33)의 도면상 우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지지턱(36b)의 선단에 비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편(45)의 전후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상기 냉장실(33)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35)에는 냉기공급구(39)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공급구(39)는 상기 냉동실(31)을 순환하는 냉기가 냉기덕트(50)로 전달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공급구(39)가 장방형으로 형성되지만, 냉기공급구(39)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기공급구(39) 상에 해당하는 상기 베리어(35)의 내부에는 댐퍼(41)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41)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플과, 상기 베플을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댐퍼(41)의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댐퍼(41)는 아래에서 설명할 온도감지센서(S)에 의하여 감지되는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구(39)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댐퍼(41)는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냉기공급구(39)를 개방시킨다.
한편 상기 냉기덕트(50)의 반대편, 즉 상기 냉동실(31)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는 팬어셈블리(43)가 설치된다. 상기 팬어셈블리(43)는 상기 냉기공급구(39)에 인접하는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 고정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팬, 그리고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43)는 상기 냉동실(31)의 냉기를 상기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냉기덕트(50)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팬어셈블리(43)는 상기 댐퍼(41)에 의하여 상기 냉기공급구(39)가 개방된 경우에만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턱(37b)과 제3지지턱(38b)의 선단에 인접하는 상기 냉장실(33)의 도면상 우측면에는 고정편(4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45)은 대략 ㄷ자형 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45)의 바닥판 상면 선단에는 고정돌기(46)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45)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4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6)는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고정돌기(46)에는 박스케이싱(80)(80')의 고정후크(85h)(85'h)(도 5참조)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관통공(47)을 상기 냉장실(33)의 도면상 우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공(33h)에 체결되는 체결구(47S)가 관통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33)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는 냉기덕트(5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덕트(50)에는 상기 냉기공급구(39)와 연통되는 소정의 유로(50S)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덕트(50)는 길이방향의 일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는 덕트본체(51)와, 상기 덕트본체(51)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플랜지부(53),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53)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본체(51)는 실질적으로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를 형성한 다. 즉 상기 덕트본체(51) 내면과 상기 베리어(35)의 일면 사이에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35)의 일면과 평행되는 상기 덕트본체(51)의 길이방향 일면에는 한쌍의 냉기출구(52a)(52b)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출구(52a)(52b)는 박스케이싱(80)(80')의 유로(80P)(80'P)로 각각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기출구(52a)(52b)는 상기 덕트본체(51)의 길이방향 일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1냉기출구(52a)와, 상기 덕트본체(51)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냉기출구(52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 상에 해당하는 상기 덕트본체(51)의 내부에는 냉기가이드(52g)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가이드(52g)는 상기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전달되는 냉기가 상기 제1냉기출구(52a)와 제2냉기출구(52b)를 통하여 동일한 양의 냉기가 박스케이싱(80)(80')의 유로(80S)(80'S)에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기가이드(52g)는 상기 냉기공급구(39)에 대응하는 상기 덕트본체(51)의 내부에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어 냉기공급구(39)와 연통되는 면적이 동일하도록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를 상하로 구획한다. 즉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는 상기 냉기가이드(52g)에 의하여 상기 제1냉기출구(52a)에 대응되는 상부유로(50Sa)와 상기 제2냉기출구(52b)에 대응되는 하부유로(50Sb)로 구획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부(53)는 상기 냉장실(33)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 밀착된다. 상기 플랜지부(53)의 후단에는 체결편(54)이 구비된다. 상 기 체결편(54)은 상기 플랜지부(53)에 대하여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을 향하는 방향, 즉 도면상 좌측으로 단차지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54)은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 형성되는 체결슬롯(35s)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53)에는 다수개의 관통공(5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5)을 관통한 체결구(55s)가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35h)에 각각 체결된다.
상기 지지편은 제1지지편(56)과 제2지지편(57), 그리고 제3지지편(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편(56)에는 선반(60)의 저면 일측단부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편(57)과 제3지지편(58)에는 제1박스케이싱(80)과 제2박스케이싱(80')이 각각 지지된다.
상기 제1지지편(56)과 제3지지편(58)은 상기 플랜지부(53)의 상하단부에서 도면상 우측, 즉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플랜지부(53)에 직교되게 각각 연장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편(56)(57)(58)은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냉장실(33)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턱(36a)(37a)(38a)의 길이를 각각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본체(51)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2지지편(57)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제2지지편(57)이 상기 플랜지부(53)에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기덕트(50)에는 센서설치부(59)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설치부(59)는 상기 플랜지부(53)의 일부가 도면상 우측, 즉 상기 베리어(35)의 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센서설치부(59)는 제1박스케이싱(80) 의 일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센서설치부(59)에는 온도감지센서(S)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S)는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온도감지센서(S)는 상기 센서설치부(59)에 설치된 상태에서 센서설치부(59)에 밀착되는 제1박스케이싱(80)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야채박스(70)(70') 중 어느 하나, 즉 제1야채박스(70)의 수납공간(70S)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33)에는 다수개의 선반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선반 중 상대적으로 하방에 설치되는 선반(60)은 야채박스(70)(70')와 박스케이싱(80)(80')이 설치되는 공간(이하에서는 편의상 야채실이라 칭함)을 상기 냉장실(33)로 구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냉장실(33)과 야채실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어느 일방이 타방에 의하여 그 내부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선반(60)의 저면 양측단부는 각각 상기 제1지지턱(36a)(36b)과 냉기덕트(50)의 제1지지편(56)에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반 중 어느 하나의 선반(60)이 상기 냉장실(33)과 야채실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지만, 양자가 별개로 구성되는 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야채실에는 다수개의 야채박스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야채박스 중 가장 상방에 설치되는 야채박스를 제1야채박스(70), 상기 제1야채박스(70)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야채박스를 제2야채박스(70')라 칭한다. 상기 제 2야채박스(70')의 하방에 설치되는 야채박스(70")는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야채박스(70)(70')는 각각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야채박스(70)(70')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70S)(70'S)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에는 야채나 과일과 같은 식품이 수납된다.
상기 야채박스(70)(70')의 양측면 외측에는 가이드리브(71)(7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71)(71')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레일(87)(87')을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박스케이싱(80)(80')의 장착공간(80S)(80'S)에 출납되는 상기 야채박스(70)(7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71)(71')는 상기 야채박스(70)(70')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그 선단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야채박스(70)(70')의 전면 양측단부에는 걸림플랜지(73)(73')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플랜지(73)(73')의 이면은 상기 야채박스(70)(70')가 박스케이싱(80)(80')의 장착공간(80S)(80'S)에 수납된 상태에서 박스케이싱(80)(80')의 밀착플랜지(84a)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야채박스(70)(70')의 전면에는 손잡이부(75)(7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75)(75')는 상기 야채박스(70)(70')를 출납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33)의 내부에는 한쌍의 박스케이싱(80)(80')이 설치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 (80S)(80'S)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장착공간(80S)(80'S)에는 상기 야채박스(70)(70')가 각각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은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에 수납된 식품을 각각 간접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은 상기 제1야채박스(70)가 출납되는 제1박스케이싱(80)과, 상기 제2야채박스(70')가 출납되는 제2박스케이싱(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은 상부커버(81)(81')와 하부케이싱(84)(84')으로 각각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81)(81')는 상부플레이트(82)(82')와 하부플레이트(83)(8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는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상면과 전면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83)(83')는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와 하부플레이트(83)(83')는 각각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에 비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83)(83')가 상대적으로 전후길이 및 좌우폭이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의 양측단부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양측면에서 소정의 폭만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그 저면이 상기 제2지지턱(37a)(37b) 및 제2지지편(57)에 지지된다.
상기 하부케이싱(84)(84')은 상기 야채박스(70)(70')의 양측면과 후면 및 저면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전면부와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양측면과 저면 선단에는 양측방향 또는 하방으로 연장 되는 밀착플랜지(84a)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플랜지(84a)의 전면에는 상기 야채박스(70)(70')의 걸림플랜지(73)(73') 이면이 밀착된다.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양측면 상단에는 지지리브(8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85)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양측면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밴딩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85)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의 저면 테두리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후면에는 지지단차부(8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차부(86)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후면 상단이 후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지지단차부(86)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83)(83')의 저면 후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양측면 내측에는 가이드레일(87)(87')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7)(87')을 상기 야채박스(70)(70')가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장착공간(80S)(80'S)에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71)(71')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87)(87')은 각각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즉 상기 가이드리브(71)(71')와 동일한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레일(87)과 하부가이드레일(87')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리브(71)(71')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7)과 하부가이드레일(87')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야채박스(70)(70')가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장착공간(80S)(80'S)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리브(71)(71')가 실질적으 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87')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7)과 하부가이드레일(87')은 상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7)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87')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88a)(88'a)(89a)(89'a)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88a)(88'a)(89a)(89'a)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7)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87')의 상면에서 각각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 또는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7)과 하부가이드레일(87')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7)의 선단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각도로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부(88b)(88'b)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안내부(88b)(88'b)는 상기 야채박스(70)(70')가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장착공간(80S)(80'S)으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71)(71')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87)과 하부가이드레일(87')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83)(83')의 상면,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내측면 상단테두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80P)(80'P)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유로(80P)(80'P)에는 상기 냉기덕트(50)에서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케이싱(80)(80')에는 냉기입구(80i)(80'i)와 냉기출구(80o)(80'o)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냉기입구(80i)(80'i)는 상기 냉기덕트(50)에서 전달된 냉기가 각각의 유로(80S)(80'S)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냉기출구(80o)(80'o)는 각각의 유로(80S)(80'S)를 순환한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박스케이싱(80)의 냉기입구(80i)는 상기 유로(80P)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일측면 상단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1박스케이싱(80)의 냉기입구(80i)는 실질적으로 제1박스케이싱(80)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박스케이싱(80)의 냉기입구(80i)가 상기 냉기덕트(50)의 제1냉기출구(52a)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제1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에 냉기가 공급된다.
상기 제2박스케이싱(80')의 냉기입구(80'i)는 상기 유로(80'P)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측면 일부가 도 3에서 도면상 우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박스케이싱(80')의 냉기입구(80'i)는 실질적으로 제2박스케이싱(80')의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박스케이싱(80')의 냉기입구(80'i)가 상기 냉기덕트(50)의 제2냉기출구(52b)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제2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에 냉기가 공급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냉기출구(80o)(80'o)는 각각의 유로(80P)(80'P)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도 3에서 도면상 좌측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냉기출구(80o)(80'o)는 각각 상기 냉장실(33)의 리턴덕트와 연통된다. 그러나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냉기출구(80o)(80'o)가 반드시 상기 냉장실(33)의 리턴덕트와 연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냉기입구(80i)(80'i)와 냉기출구(80o)(80'o)는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박스케이싱(80)과 제2박스케이싱(80')의 냉기입구(80i)(80'i)는 상기 냉기덕트(50)의 냉기출구(52a)(52b)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그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박스케이싱(80)과 제2박스케이싱(80')의 냉기출구(80o)(80'o)는 상기 냉장실(33)의 리턴덕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와 하부플레이트(83)(83')의 저면 양측단부에는 한쌍의 걸림후크(82h)(83h)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후크(82h)(83h)는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와 하부플레이트(83)(83')의 저면 양측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후크(82h)(83h)는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와 하부플레이트(83)(83')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그 선단이 후방으로 밴딩됨으로써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84)(84')에는 걸림돌기(85a)(85'a)(86a)(86'a)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85a)(85'a)(86a)(86'a)는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와 하부플레이트(83)(83')가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양측면 상단과 지지단차부(86)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후크(82h)(83h)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81)(81'),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와 하부플레이트(83)(83')를 상기 하부케이싱(84)(84')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돌기(85a)(85'a)(86a)(86'a) 중 상기 상부플레이트(82)(82')의 걸림후크(82h)(83h)에 삽입되는 걸림돌기(85a)(85'a)는 상기 지지리브(85)의 외측면 에 각각 한쌍이 구비되고,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85a)(85'a)(86a)(86'a) 중 상기 하부플레이트(83)(83')의 걸림후크(82h)(83h)에 삽입되는 걸림돌기(86a)(86'a)는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양측면 내측 상단부에 한쌍이 각각 구비되고,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하부케이싱(84)(84')의 지지리브(85)의 저면에는 고정후크(85h)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후크(85h)는 상기 냉장실(33)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박스케이싱(80)(80')을 소정의 위치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후크(85h)는 상기 지지리브(85)의 저면 선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쌍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후크(85h)에는 상기 고정편(45)의 고정돌기(46)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83)(83')의 중앙부에는 장착개구(83s)(83's)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개구(83s)(83's)는 상기 하부플레이트(83)(83')의 중앙부가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개구(83s)(83's)의 테두리에는 지지단(83a)(83'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83a)(83'a)은 상기 장착개구(83s)(83's)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83)(83')의 일부가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장착개구(83s)(83's)에는 투습재(90)(90')가 설치된다. 상기 투습재(90)(90')는 상기 장착개구(83s)(83's)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저면 테두리가 상기 지지단(83a)(83'a)에 지지된다. 상기 투습재(90)(90')는 다공성 폴리머가 장방형의 판상으로 압축되어 형성된다. 상기 투습재(90)(90')는 상기 야채박스(70)(70') 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상대습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습재(90)(90')는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상대습도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수분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투습재(90)(90')는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상대습도가 소정의 값 이하이면 흡수한 수분을 방출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의하여 수납박스에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S)에 의하여 제1야채박스(70)의 수납공간(70S)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감지되면, 댐퍼(41)에 의하여 냉기공급구(39)가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팬어셈블리(43)가 구동하여 냉동실(31)의 냉기가 상기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냉기덕트(50)의 유로(50P)로 전달된다.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로 전달된 냉기는 상기 팬어셈블리(43)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제1냉기출구(52a)과 제2냉기출구(52b)와 연통되는 냉기입구(80i)(80'i)를 통하여 제1박스케이싱(80)과 제2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80'P)로 각각 공급된다. 이때 상기 냉기덕트(50)의 냉기가이드(52g)에 의하여 상기 제1박스케이싱(80)과 제2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80'P)에는 각각 동일한 양의 냉 기가 공급될 것이다.
즉 상기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로 전달된 냉기의 대략 절반은 상기 냉기가이드(52g)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부유로(50Pa)를 유동하여 상기 제1냉기출구(52a)를 통하여 상기 제1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공급구(39)를 통하여 상기 냉기덕트(50)의 유로(50P)로 전달된 냉기의 나머지 절반은 상기 냉기가이드(52g)에 의하여 구획되는 하부유로(50Pb)를 유동하여 상기 제2냉기출구(52b)를 통하여 상기 제2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유로(80P)(80'P)로 공급된 냉기는 그 내부를 각각 순환하면서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에 수납된 식품을 각각 간접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에 수납된 식품에 냉기 중에 포함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이거나 식품 중의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습재(90)(90')가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상대습도에 따라서 수분을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 내부의 상대습도가 소정의 값으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에 수납된 식품 중의 수분의 양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감지센서(S)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1야채박스(70)의 수납공간(70S)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댐퍼(41)에 의하여 상기 냉기공급구(39)가 차폐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팬어셈블리(43)도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박스케이싱(80)(80')의 유로(80P)(80'P)에 더 이상 냉기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야채박스(70)(70')의 수납공간(70S)(70'S)에 수납된 식품이 과냉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도 2 내지 도 8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기덕트(50)에 제1냉기출구(52a)와 제2냉기출구(52b)를 통하여 제1박스케이싱(80)과 제2박스케이싱(80')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10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노브(100)는 상기 제1냉기출구(52a)와 제2냉기출구(52b)의 개방되는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기덕트(50)의 덕트본체(51)에는 가이드슬롯(51s)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51s)은 상기 제1냉기출구(52a)가 형성되는 상기 덕트본체(51)의 일면에 인접하는 길이방향 양면, 즉 상기 냉기덕트(50)의 도면상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51s)은 그 상단부가 상기 제1냉기출구(52a)에 인접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슬롯(51s)의 하단부는 상기 제2냉기출구(52b)를 향하여 라운딩진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슬롯(51s)은 전체적으로 J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노브(10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슬롯(51s)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노브(100)에는 상기 가이드슬롯(51s) 중 상기 덕트본체(51)의 도면상 전면에 구비되는 가이드슬롯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100)를 상기 가이드슬롯(51s)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조절노브(100)는 그 전후단부가 상기 덕트본체(51)의 전후면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가이드슬롯(51s)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냉기출구(52a)와 제2냉기출구(52b)를 각각 전부 차폐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냉기가 조절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냉기가 조절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야채박스(7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절노브(100)를 가이드슬롯(51s)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절노브(100)에 의하여 제2냉기출구(52b)가 차폐됨으로써, 제2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로 냉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제1냉기출구(52a)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제1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에는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야채박스(7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노브(100)를 상기 가이드슬롯(51s)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시 킨다. 따라서 상기 조절노브(100)에 의하여 상기 제1냉기출구(52a)가 차폐됨으로써, 상기 제1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에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2냉기출구(52b)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를 통하여 상기 제2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에는 냉기가 공급된다.
한편 상기 야채박스(70)(70')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노브(10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냉기출구(52a)와 제2냉기출구(52b)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제1박스케이싱(80)과 제2박스케이싱(80')의 유로(80P)(80'P)에 냉기가 모두 공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박스의 상방에 구비되는 상부커버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하여 상기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이 간접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에 냉장실에 저장된 다른 식품의 냄새가 배이거나 식품의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약냉 또는 과냉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상기 수납박스에 수납된 식품을 보다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와 박스케이싱 및 냉기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차폐플레이트, 즉 상기 수납박스의 직상방에 구비되는 선반에 의하여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식품의 냉장실에 저장된 다른 식품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납박스의 직상방에 구비되는 선반의 상면에 식품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박스케이싱의 상면에 식품을 직접 올려놓는 경우에 박스케이싱의 유로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하여 식품이 과냉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냉장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외부의 냉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장실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냉기덕트로부터 공급받은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적어도 한쌍의 상부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박스와 냉기덕트 및 상부커버가 설치되는 공간을 상기 냉장실로부터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의 냉장실측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덕트의 유로에는 상기 베리어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구를 통하여 냉동실의 냉기가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양측면에는 상기 구획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전 후방으로 길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베리어의 냉동실측 일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턱의 선단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상기 냉기덕트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턱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지지턱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지지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는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20060004937A 2005-07-29 2006-01-17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7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937A KR100657933B1 (ko) 2006-01-17 2006-01-17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AU2006273067A AU2006273067B2 (en) 2005-07-29 2006-07-25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MX2008001329A MX2008001329A (es) 2005-07-29 2006-07-25 Una estructura para el suministro de aire frio de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para refrigerador.
US11/995,918 US8015839B2 (en) 2005-07-29 2006-07-25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PCT/KR2006/002928 WO2007013760A1 (en) 2005-07-29 2006-07-25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EP06783407.7A EP1910757B1 (en) 2005-07-29 2006-07-25 Refrigerator comprising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937A KR100657933B1 (ko) 2006-01-17 2006-01-17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933B1 true KR100657933B1 (ko) 2006-12-15

Family

ID=3773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937A KR100657933B1 (ko) 2005-07-29 2006-01-17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9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060B1 (ko) 2006-07-07 200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WO2009116727A1 (en) * 2008-03-17 2009-09-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203571B1 (ko) 2006-03-13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1203572B1 (ko) 2006-03-13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EP3438578A3 (en) * 2017-08-01 2019-05-22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mechanism for compart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71B1 (ko) 2006-03-13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1203572B1 (ko) 2006-03-13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66060B1 (ko) 2006-07-07 200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WO2009116727A1 (en) * 2008-03-17 2009-09-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468848B2 (en) 2008-03-17 2013-06-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438578A3 (en) * 2017-08-01 2019-05-22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mechanism for compartment
US10823480B2 (en) 2017-08-01 2020-11-03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mechanism for compartment
US11650000B2 (en) 2017-08-01 2023-05-16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mechanism for compar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5839B2 (en)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KR101670086B1 (ko) 냉장고
KR101716033B1 (ko) 냉장고
EP3524909B1 (en) Refrigerator
JP3886348B2 (ja) 冷蔵庫
KR100657933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3355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JP2009236474A (ja) 冷蔵庫
JP2001147072A (ja) 電気冷蔵庫
KR100653351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4577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3354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3352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3353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3350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74038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57932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56465B1 (ko) 냉장고용 야채실 조명구조
KR101694663B1 (ko) 냉장고
KR101203572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67403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KR100776027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JP2009192112A (ja) 冷蔵庫
KR101203571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냉기공급구조
CN101231072A (zh) 冰箱用容纳盒的冷气供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