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468B1 - 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468B1
KR101203468B1 KR1020100140685A KR20100140685A KR101203468B1 KR 101203468 B1 KR101203468 B1 KR 101203468B1 KR 1020100140685 A KR1020100140685 A KR 1020100140685A KR 20100140685 A KR20100140685 A KR 20100140685A KR 101203468 B1 KR101203468 B1 KR 10120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nector
cabl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400A (ko
Inventor
이현우
김상훈
백영우
김혁
Original Assignee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4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4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g. disk drive,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디스크 드라이브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디스크 드라이브는 복수의 단자가 마련된 케이블,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과, 케이블에 탄성력을 가해 케이블의 단자들을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이러한 디스크 드라이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으며, 프레스가공의 간단한 공정을 이용하여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PCB)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접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광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읽어들이는 장치를 말한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구성장치들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블과,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한다. 케이블은 FFC타입(Flexible Flat Cable)과 FPC타입(Flexible Printed Circuit)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교적 얇은 필름형의 케이블이다. 이러한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장착하고, 커넥터를 이용하여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킨다.
종래의 커넥터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케이블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들이 커넥터의 내측에 마련된 접속단자에 서로 연결되면서 전기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케이블의 복수의 단자들을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부피가 크다.
하지만, 요즘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추세는 소형화이므로, 구성장치들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여야 하는데, 부피가 큰 커넥터를 소형으로 하는 것은 구조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소형화 추세에 맞춰 소형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의 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단자들에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복수의 단자가 마련된 케이블;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케이블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케이블의 단자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밀착부재는 다단으로 구부림으로써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메인프레임은 ㄷ자형상으로 구성된다.
밀착부재와 지지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된다.
커넥터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납땜으로 고정된다.
메인프레임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커넥터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복수의 단자가 마련된 케이블;
복수의 접속단자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인쇄회로기판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상기 케이블의 복수 단자를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는
첫째,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으며,
둘째, 프레스가공의 간단한 공정을 이용하여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가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연결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커넥터를 설치하는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커넥터를 설치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100)는 메인샤시(110)와, 메인샤시(110)의 상측을 덮어 메인샤시(110)와의 사이에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30)와, 디스크(D)를 장착하고 메인샤시(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에 출입하는 트레이(120)를 구비한다.
트레이(120)에는 디스크(D)가 장착되는 턴테이블(121)과, 턴테이블(1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디스크(D)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광픽업유닛(122)이 설치된 픽업베이스(123)와, 픽업베이스(123)를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왕복하도록 안내하도록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샤프트(미도시)와, 픽업베이스(123)를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직선왕복시키기 위한 리드스크류(미도시)와 리드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미도시)를 구비하는 픽업이송부(미도시)와, 픽업베이스(123)에 마련되어 리드스크류(미도시)의 회전력을 픽업베이스(123)에 전달하는 피드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120)의 하면에는 메인샤시(110)에 삽입되어 락킹된 트레이(12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해제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메인샤시(110)에는 트레이(120)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스텝모터 및 광픽업유닛(122)을 구동제어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150)과, 케이블(150)이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60) 및 케이블(150)과 인쇄회로기판(160)을 연결시키는 커넥터(140)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가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연결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140)는 ㄷ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소정높이를 가지는 메인프레임(141)과, 메인프레임(141)의 상측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두 번 구부러져 있으며, 끝단에 케이블(도 1의 150)에 접촉되는 푸싱부(1421)를 구비하는 3개의 밀착부재(142)와, 밀착부재(142)들 사이에 위치되며, 메인프레임(141)의 상측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41)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재(143)를 구비한다.
밀착부재(142)는 그 자체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부러져 있는데, 구부러지는 횟수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탄성력에 따라 다양한 변용예가 적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143)는 구부러지며 그 끝단이 메인프레임(141)의 하단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커넥터(140)가 인쇄회로기판(도1의 160)설치되었을 때, 지지부재(143)가 메인프레임(141)을 지지하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140)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41), 밀착부재(142) 및 지지부재(143)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커넥터(140)는 소정두께를 가진 박막을 프레스(press)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50)은 FFC타입(Flexible Flat Cable)과 FPC타입(Flexible Printed Circuit)의얇은 필름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단에는 복수의 단자들(151)이 마련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케이블(150)의 복수의 단자들(151)이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들(161)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접속단자(161)들을 둘러싸도록 커넥터(140)를 인쇄회로기판(160)에 고정시킨다. 이때, 커넥터(140)의 밀착부재들(142)은 복수의 접속단자(161)들에 탄성력을 가하는 상태가 된다. 그런다음, 단자(151)들이 마련된 케이블(150)의 일단을 접속단자(161)들과 밀착부재(142)들의 사이에 밀어 넣으면, 밀착부재(142)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블(150)의 단자(151)들이 인쇄회로기판(160)의 접속단자들(161)과 밀착된다.
도 3은 커넥터를 설치하는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커넥터를 설치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140)가 인쇄회로기판(160)에 납땜(soldering)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납땜은 메인프레임(141)의 하단 전체에 거쳐 행함으로써 메인프레임(141)을 인쇄회로기판(16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240)는 ㄷ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소정높이를 가지는 메인프레임(241)과, 메인프레임(241)의 상측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두 번 구부러져 있으며, 끝단에 케이블(도 1의 150)에 접촉되는 푸싱부(2421)를 구비하는 3개의 밀착부재(242)와, 밀착부재(242)들 사이에 위치되며, 메인프레임(241)의 상측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며,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메인프레임(241)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재(243)를 구비한다.
메인프레임(241)의 양측에, 메인프레임(241)으로부터 돌출되며, 관통홀(245)이 형성된 2개의 고정부(244)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240)는 체결수단, 예를 들어 나사(250)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용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수단을 인쇄회로기판에 마련하고, 커넥터를 고정수단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디스크 드라이브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디스크 드라이브 110---메인샤시
120---트레이 121---턴테이블
122---광픽업유닛 123---픽업베이스
130---커버 140,240---커넥터
141,241---메인프레임 142,242---밀착부재
143,243---지지부재 150---케이블
151---단자 160---인쇄회로기판
161---접속단자 170---납땜
244---고정부 250---나사

Claims (11)

  1. 광픽업유닛;
    광픽업 유닛이 설치된 픽업베이스;
    상기 픽업베이스가 설치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샤시;
    상기 광픽업유닛에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여, 복수의 단자가 마련된 케이블;
    상기 메인 샤시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케이블의 단자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의 단자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단자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케이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복수의 밀착부재;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ㄷ자형상으로 구성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와 지지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40685A 2010-12-31 2010-12-31 디스크 드라이브 KR10120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85A KR101203468B1 (ko) 2010-12-31 2010-12-31 디스크 드라이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85A KR101203468B1 (ko) 2010-12-31 2010-12-31 디스크 드라이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00A KR20120078400A (ko) 2012-07-10
KR101203468B1 true KR101203468B1 (ko) 2012-11-21

Family

ID=4671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685A KR101203468B1 (ko) 2010-12-31 2010-12-31 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932A (ko) * 2012-08-07 2014-02-18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00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6842A (en) Self-aligning, mating electronic connector assembly
JP2003309381A (ja) 可撓性配線基板の配設構造
US7716693B2 (en) Optical disc drive with static electricity
JP3848480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US8359607B2 (en) Optical disc drive
CN100416671C (zh) 光头装置、光盘驱动单元以及光盘驱动装置
KR101203468B1 (ko) 디스크 드라이브
US7841861B2 (en) Encoder spacer for a spindle motor and encod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030020822A (ko)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한기록재생장치
US8584151B2 (en) Optical disc driving device
US20050198660A1 (en) Optical pickup moving mechanism and disk drive using the same
JPWO2006043587A1 (ja) 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60045654A (ko) 광 레코딩 매체용의 레코딩 또는 재생 장치
JP3976526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1136214B1 (ko) 전자제품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노이즈 방지구조
KR100828344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US8635636B2 (en) Optical recording apparatus with limiting members for the flexible cable
KR20080059104A (ko) Fca 및 이를 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0842988B1 (ko) 광디스크 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가요성 케이블
KR100200596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20030040688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82834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H0411279Y2 (ko)
JP5373716B2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
JP3100328U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とケーブル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