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147B1 -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147B1
KR101203147B1 KR1020050103305A KR20050103305A KR101203147B1 KR 101203147 B1 KR101203147 B1 KR 101203147B1 KR 1020050103305 A KR1020050103305 A KR 1020050103305A KR 20050103305 A KR20050103305 A KR 20050103305A KR 101203147 B1 KR101203147 B1 KR 10120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gear
swing
uni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508A (ko
Inventor
송은호
김태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1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1Rotational subunit conn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기 본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에 결합된 현상기어; 상기 현상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현상기어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스윙기어를 구비한 스윙유닛; 및 상기 현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어와 상기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축간 거리유지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현상기 본체에 축간 거리유지유닛을 구비하여 현상기어와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화상형성기, 현상장치, 현상기어, 스윙기어, 브래킷

Description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DEVELOPER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현상기어와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유지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현상기 본체 101, 101' : 보스
200 : 현상기어 300 : 구동부
400 : 스윙유닛 410 : 몸체부
420 : 스윙기어 430 : 감속기어
500 : 축간 거리유지유닛 510 : 원형가이드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기는 토너를 현상롤러를 통해 감광드럼에 이송부착하여 감광드럼의 정전 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현상장치는 교체가능한 소모품으로서 화상형성기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현상기 본체(10), 현상기어(20), 구동유닛(30), 스윙유닛(40) 등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 본체(10)는 화상형성기(미도시)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현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현상제 예컨대, 토너가 구비되며, 상기 토너를 감광드럼에 부착시키기 위한 현상롤러 등이 구비된다. 상기 현상기어(20)는 현상롤러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유닛(30)은 현상기어(2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윙유닛(40)은 화상형성기에 결합되는 브래킷(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윙유닛(40)은 브래킷(50)에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축(41')이 결합된 몸체부(41)와, 몸체부(41)의 단부에 설치되며 현상기어(20)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구동유닛(30)의 회전구동력을 현상기어(20)에 전달하는 스윙기어(42)와, 회동축(41') 상에 설치되며 구동유닛(30) 및 스윙기어(42)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감속된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기어(43) 등을 구비한다. 브래킷(50)에는 스윙유닛(40)의 스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1)가 구비된다. 미 설명된 도면부호 1은 화상형성기 내에 설치된 감광드럼의 단부에 결합된 드럼기어이고, 3 은 드럼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럼 구동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상장치는 화상형성기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비접촉 현상방식에 의한 화상형성기는 스윙유닛(40)을 구비함으로써 현상장치의 탈착 및 구동력 전달이 용이하다. 구동유닛(30)의 작동에 의해 스윙유닛(40)의 감속기어(43) 및 스윙기어(42)가 회전한다. 현상기어(20)는 스윙기어(42)와 치합되어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현상기어(20)가 회전함에 따라 현상롤러가 회전구동되어 토너를 감광드럼에 부착시킨다. 감광드럼은 드럼 구동부(3)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기어(1)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때 브래킷(50)에 구비된 스토퍼(51)에 의해 스윙유닛(40)의 스윙범위가 제한됨으로써, 현상기어(20)와 스윙기어(42)의 축간 거리가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현상장치는 스윙유닛의 스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현상장치와는 이원화된 구조물인 브래킷에 구비된다. 따라서 현상장치를 화상현상기에 탈착시 현상장치의 유동에 따라 현상기어와 스윙기어의 위치가 변하게 됨에 따라 현상기어와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현상장치의 현상기어와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기 본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에 결합된 현상기어; 상기 현상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현상기어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스윙기어를 구비한 스윙유닛; 및 상기 현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어와 상기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축간 거리유지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윙유닛은, 화상형성기의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현상기어에 전달하는 스윙기어; 및 상기 몸체부의 회동축 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감속된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간 거리유지유닛은 상기 스윙유닛의 몸체부 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현상기어와 상기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현상기어 축에 대해 동심원 형태로 돌출된 원형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형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본체에 구비된 보스(BOSS)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현상기 본체(100), 현상기어(200), 구동유닛(300), 스윙유닛(400) 및 축간 거리유지유닛(500) 등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 본체(100)는 화상형성기(미도시)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현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현상제 예컨대, 토너가 구비되며, 상기 화상 토너를 감광드럼에 부착시키기 위한 현상롤러 등이 구비된다.
상기 현상기어(200)는 현상롤러의 단부에 결합된다. 현상기어(200) 주위의 현상기 본체(100)에는 보스(BOSS)(101,10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유닛(300)은 현상기어(20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구동유닛(300)은 화상형성기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구동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스윙유닛(400)은 화상형성기에 결합되는 브래킷(도 2 : 50 참조)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윙유닛(400)은 브래킷에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축(410')이 결합된 몸체부(410)와, 몸체부(410)의 단부(410a)에 설치되며 현상기어(200)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구동유닛(300)의 회전구동력을 현상기어(200)에 전달하는 스윙기어(420)와, 회동축(410') 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 및 스윙기어(420)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감속된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기어(430) 등을 구비한다.
상기 축간 거리유지유닛(500)은 현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현상기어 (200)와 스윙기어(420)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축간 거리유지유닛(500)은 현상기어(200) 축에 대해 동심원 형태로 돌출된 원형가이드부재(510)가 현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며, 스윙유닛(420)의 몸체부(410) 단부(410a)가 원형가이드부재(510)와 접촉되어 현상기어(200)와 스윙기어(420)의 축간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원형가이드부재(510)의 양단은 현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보스(101,101')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미 설명된 도면부호 1은 화상형성기 내에 설치된 감광드럼의 단부에 결합된 드럼기어이고, 3은 드럼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럼 구동부이다. 감광드럼, 드럼기어, 드럼 구동부 등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가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는 화상형성기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비접촉 현상방식에 의한 화상형성기는 스윙유닛(400)을 구비함으로써 현상장치의 탈착 및 구동력 전달이 용이하다. 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스윙유닛(400)의 감속기어(430) 및 스윙기어(420)가 회전한다. 현상기어(200)는 스윙기어(420)와 치합되어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현상기어(200)가 회전함에 따라 현상롤러가 회전구동되어 토너를 감광드럼에 부착시킨다. 감광드럼은 드럼 구동부(3)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기어(1)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축간 거리유지유닛(500)을 구비함으로써, 현상기어(200)와 스윙기어(420)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 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어(200) 축에 대해 동심원 형태로 돌출된 원형가이드부재(510)가 현상기 본체(100)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스윙유닛(400)의 몸체부(410) 단부(410a)가 원형가이드부재(510)와 접촉되어 회동범위가 제한된다. 즉, 현상장치의 탈착이나 유동에 관계없이 스윙유닛(400)은 현상장치의 위치에 따라 유기적으로 스윙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기어(200)와 스윙기어(420)의 축간 거리(L)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원형가이드부재(510)의 양단은 현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보스(101,101')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현상장치의 탈착시 원형가이드부재(510)는 스윙유닛(400)의 몸체부(410) 단부(410a)와의 접촉에 대해 지지력이 크다.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기 본체에 축간 거리유지유닛을 구비하여 현상기어와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4)

  1.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기 본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에 결합된 현상기어;
    상기 현상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현상기어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스윙기어를 구비한 스윙유닛; 및
    상기 현상기어와 이격되게 상기 현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어와 상기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축간 거리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은,
    화상형성기의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현상기어에 전달하는 스윙기어; 및
    상기 몸체부의 회동축 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감속된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간 거리유지유닛은 상기 스윙유닛의 몸체부 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현상기어와 상기 스윙기어의 축간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현상기어 축에 대해 동심원 형태로 돌출된 원형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본체에 구비된 보스(BOSS)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KR1020050103305A 2005-10-31 2005-10-31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KR10120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305A KR101203147B1 (ko) 2005-10-31 2005-10-31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305A KR101203147B1 (ko) 2005-10-31 2005-10-31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508A KR20070046508A (ko) 2007-05-03
KR101203147B1 true KR101203147B1 (ko) 2012-11-21

Family

ID=3827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305A KR101203147B1 (ko) 2005-10-31 2005-10-31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0678B2 (ja) * 2018-03-13 202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978A (ja) * 1998-11-09 2000-05-2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429812B1 (ko) * 2002-06-25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978A (ja) * 1998-11-09 2000-05-2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429812B1 (ko) * 2002-06-25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508A (ko)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7284B2 (ja) 画像形成装置
MX2009003818A (es) Aparato de revelado, cartucho de proceso y aparato que forma imagenes electrofotograficas.
MX2009004080A (es) Cartucho de proceso y aparato para la formacio0n de imagenes.
MY181126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4010120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218403A (ja) 駆動伝達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1666986A3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8198605A1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9052738A (ja) 駆動伝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2339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07413A (ja) 画像形成装置
KR101203147B1 (ko) 화상형성기의 현상장치
CN110209026B (zh) 显影盒
JP5590978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51455B2 (ja) 画像形成装置
JP4823757B2 (ja) 駆動ユニットと被駆動ユニットを有する装置
EP3534219B1 (en) Developing cartridge
JP5803286B2 (ja) カートリッジ
JP4322742B2 (ja) 現像装置
EP3735614B1 (en) Developing device
JP596114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86551A (ja) ギア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WO2021065564A1 (ja) 現像器
JP2008268685A (ja) ギア列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ギア列の組立方法
JP3437558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