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102B1 -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102B1
KR101203102B1 KR1020110107089A KR20110107089A KR101203102B1 KR 101203102 B1 KR101203102 B1 KR 101203102B1 KR 1020110107089 A KR1020110107089 A KR 1020110107089A KR 20110107089 A KR20110107089 A KR 20110107089A KR 101203102 B1 KR101203102 B1 KR 10120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terminal
screen
recording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그린비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비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비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원격 제어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 상담원의 행위 입증을 위해 중앙 서버나 혹은 상담원의 컴퓨터에 원격 제어 화면의 동영상을 저장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고, 원격 접속된 제어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가 수신될 때 수신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이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며, 이를 통해 제어 단말에 의해 원격 제어 중인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동영상으로 한 개의 동일한 파일에 녹화하거나 혹은 암호화된 특정 폴더에 각 파일로서 녹화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피제어 단말의 제어권 주체가 누구인지를 직관적이며 실시간으로 또는 차후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고, 원격 제어에서 로컬 사용자가 원치 않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원격 상담원에게는 향후 실행된 작업에 대한 무결성의 입증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후 관리나 증명의 용도로 이용 가능한 원격 제어의 모든 과정을 로컬의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하기 때문에 원격 제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격 제어와 관련한 로컬 사용자의 권리 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OPERATING OF TERMINAL, RECORDABL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단말의 원격 제어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에서 제공하는 접근 정보를 원격 제어 정보로 가공하여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원격 제어 중인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는데 적합한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에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원격 지원 서비스 또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단말(원격 상담원이 사용하는 제어 단말)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델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는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 컴퓨터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지원이나 교육 등의 목적으로 허락받은 상담원이 통신망(네트워크)을 통해 로컬 사용자의 컴퓨터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컴퓨터 사용자들은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원격지의 상담원 컴퓨터(제어 단말)에 접속하여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혹은 사용자 컴퓨터(피제어 단말)에 설치된 특정 프로그램의 자동 실행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하여 필요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는 무엇보다도 원격 상담원에 대한 사용자 신뢰와 원격 제어 행위에 대한 무결성이 근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에서는 원격 상담원의 행위 입증을 위해 중앙 서버나 혹은 상담원 컴퓨터에 원격 제어 화면을 동영상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83127(공개일 : 2003. 10. 30.)
그러나, 종래의 컴퓨터 원격 제어 방법은 사용자 컴퓨터(피제어 단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혹은 키보드의 입력 등 각각의 원격 제어가 누구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지 혹은 실행되었는지를 피제어 단말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제어 행위의 입증을 위해 중앙 서버나 혹은 상담원 컴퓨터(제어 단말)에 원격 제어 화면에 대한 동영상을 저장하더라도 상담원 등이 임의로 해당 파일을 삭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컬 사용자가 화면 녹화 파일에 직접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행위 입증을 위한 근거자료로서 활용하는 데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과,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제어 명령의 제어 명령자가 원격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명령자가 원격일 때,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권자를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제어 명령의 제어 명령자가 원격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명령자가 원격일 때,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권자를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로부터의 원격 접속을 감시하고 접근 정보 및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블록과, 상기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동영상으로 파일에 녹화하는 동영상 녹화 블록과, 수신된 상기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관리 블록과, 생성된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실행 블록과, 수신되는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실행 블록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고, 원격 접속된 제어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가 수신될 때 수신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이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며, 이를 통해 제어 단말에 의해 원격 제어 중인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동영상으로 한 개의 동일한 파일에 녹화하거나 혹은 암호화된 특정 폴더에 각 파일로서 녹화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피제어 단말의 제어권 주체가 누구인지를 직관적이며 실시간으로 또는 차후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고, 원격 제어에서 로컬 사용자가 원치 않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예컨대, 상담원의 악의적 행동 방지 등)할 수 있으며, 원격 상담원에게는 향후 실행된 작업에 대한 무결성의 입증(원격 제어의 결과물에 대한 책임 입증)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후 관리나 증명의 용도로 이용 가능한 원격 제어의 모든 과정을 로컬의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하기 때문에 원격 제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격 제어와 관련한 로컬 사용자의 권리 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중앙 서버를 이용한 피제어 단말과 하나 또는 다수의 제어 단말들 간의 연결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데 적합한 시스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을 원격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가 실행될 때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의 이동에 따라 원격 제어 정보가 이동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을 원격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원격 제어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양한 원격 제어 정보들의 예시도,
도 9a 및 9b는 마우스 커서가 원격 제어 정보의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원격 제어 정보를 다른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0a는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을 원격 제어할 때 화면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원격 제어권자 정보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0b는 로컬의 제어권자 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원격 상담원의 행위 입증을 위해 중앙 서버나 혹은 상담원 컴퓨터에 원격 제어 화면의 동영상을 저장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통신망(또는 통신망과 중앙 서버)을 통해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고, 원격 접속된 제어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가 수신될 때 수신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이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를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목적으로 하는 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녹화 파일은 원격 상담원에 의해 그 내용이 수정되거나 혹은 삭제될 수 없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또는 통신망과 중앙 서버)을 통해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고, 피제어 단말에 수신되는 제어 명령의 제어 명령자가 원격일 때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권자를 생성하며, 이 생성된 원격 제어권자를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기술사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단말은 원격지에 위치한 상담원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예컨대, 스마트 패드, 탬블릿 PC, 무선 노트북 등)을 의미할 수 있고, 피제어 단말은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예컨대, 스마트 패드, 탬블릿 PC, 무선 노트북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접근 정보는, 예컨대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및 상담원 별칭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 정보는, 예컨대 접속 시간, 화면 녹화 유무 및 제어 내용 정보(예컨대, 키보드 제어 중, 마우스 제어 중, 화면 공유 중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간의 원격 접속이 종료될 때 녹화 파일의 선택 실행을 위한 단축 아이콘을 자동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사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중앙 서버를 이용한 피제어 단말과 하나 또는 다수의 제어 단말들 간의 연결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데 적합한 시스템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제어 단말(110)은, 예컨대 로컬 측의 사용자 컴퓨터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예컨대, 스마트 패드, 탬블릿 PC, 무선 노트북 등)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제어 단말(110)은 원격 제어 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과 중앙 서버(120)를 통해 제어 단말 그룹(130) 내 제어 단말들(130/1 - 130/n) 중 하나 또는 다수의 제어 단말에 원격 접속하여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때 제어 단말에 의한 원격 제어가 실행될 때 피제어 단말(110)의 화면(도시 생략)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예컨대, 화면의 좌하 모서리 영역, 좌상 모서리 영역, 우하 모서리 영역, 우상 모서리 영역 등)에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원격 제어 정보가 표시(디스플레이)되거나 혹은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예컨대, 마우스 커서의 주변 등)에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원격 제어권자(또는 원격 제어권자 정보)가 표시(디스플레이)되는데, 이와 같이 원격 제어 정보 또는 원격 제어권자 정보가 표시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여기에서, 원격 제어 정보는, 예컨대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및 상담원 별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접속 시간, 화면 녹화 유무 및 제어 내용 정보(예컨대, 키보드 제어 중, 마우스 제어 중, 화면 공유 중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권자는, 예컨대 제어 단말의 상담원 성명, 원격 제어 인식 문자 및 원격 제어 인식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혹은 원격 제어권자가 마우스 커서 자체일 때, 마우스 커서의 색상 변경 또는 모양 변경으로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서비스는 사전 승인에 따라 제어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사전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된 피제어 단말에 접속하여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고, 원격 지원 서비스는 피제어 단말이 제어 단말에게 원격 접속을 승인함으로써 상담원에 의한 원격 제어를 제공받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중앙 서버(120)는 불특정 다수의 피제어 단말들에게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제어 단말(110)과 제어 단말(또는 다수의 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해당 제어 단말로부터 제공되거나 혹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에 기 저장된 해당 제어 단말의 접근 정보(예컨대,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상담원 별칭 등)를 피제어 단말(110)로 전송하고, 해당 제어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원격 제어 명령을 피제어 단말(11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20)는, 예컨대 제어 단말A, 제어 단말B 및 제어 단말C가 원격 제어 서비스를 위해 피제어 단말(110)에 원격 접속을 유지하면서 원격 제어 실행을 대기하고 있는 경우라고 가정할 때, 세 제어 단말 중 어느 한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제공될 때 해당 제어 단말의 접근 정보와 함께 원격 제어 명령을 피제어 단말(110)로 전송하며, 그 결과 피제어 단말에서는 세 제어 단말 중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한 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 정보가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화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에는 해당 제어 단말의 제어권자 정보가 표시될 것이다. 즉, 제어 단말A가 원격 제어 명령을 내릴 경우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제어 단말A의 원격 제어 정보와 제어권자 정보가 표시되고, 제어 단말B가 원격 제어 명령을 내릴 경우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제어 단말B의 원격 제어 정보와 제어권자 정보가 표시되며, 제어 단말C가 원격 제어 명령을 내릴 경우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제어 단말C의 원격 제어 정보와 제어권자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 단말 그룹(130) 내 각 제어 단말(130/1 - 130/n)은, 원격지 측의 상담원 컴퓨터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예컨대, 스마트 패드, 탬블릿 PC, 무선 노트북 등)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신망과 중앙 서버(120)를 통해 원격 접속되는 피제어 단말(110)에 접근 정보(예컨대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및 상담원 별칭 등)와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함으로서, 피제어 단말(110)에 대한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제어 단말 또는 제어 단말이 휴대 단말이거나 혹은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 모두가 휴대 단말일 경우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 간을 접속하는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이거나 혹은 2세대(2G) 통신망, 3세대(3G) 통신망, 4세대(4G) 통신망, 5세대(5G)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단지 하나의 피제어 단말 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불특정 다수의 피제어 단말들이 통신망과 중앙 서버를 통해 하나 또는 다수의 제어 단말들에게 접속되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조작 블록(210), 통신 블록(220), 제어 모듈(230), 모니터(240) 및 메모리 블록(2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230)은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 제어 실행 블록(235), 동영상 녹화 블록(237) 및 아이콘 생성 블록(23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작 블록(210)은 피제어 단말(예컨대, 사용자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의 키보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그에 상응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발생되는 각종의 사용자 조작신호는 통신 블록(220) 또는 제어 모듈(230) 내 관련 블록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통신 블록(220)은 조작 블록(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격 서비스를 위한 요청신호를 원격지의 제어 단말로 전송(통신망과 중앙 서버를 경유하는 전송)하고,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한 원격 접속을 감시하고,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또는 다수의 제어 단말)이 통신망과 중앙 서버를 통해 원격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접근 정보, 원격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하여 제어 모듈(230) 내 관련 블록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30) 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은,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해 제어 단말과의 원격 접속을 모니터링(감시)하고, 제어 단말(또는 다수의 제어 단말)이 통신망과 중앙 서버(120)를 통해 피제어 단말로 접근 정보를 전송할 때 메모리 블록(250)을 탐색하여 제어 단말의 유효성 여부를 인증(로그인)하고, 로그인이 인증될 때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간의 원격 접속을 허락하며,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화면 녹화를 위한 명령을 발생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으로 전달하고, 수신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근 정보는, 예컨대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및 상담원 별칭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고, 원격 제어 정보는, 예컨대 접속 시간, 화면 녹화 유무 및 제어 구분 정보(예컨대, 키보드 제어 중, 마우스 제어 중, 화면 공유 중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 블록(250)에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회사별의 회사명, 상담원 ID, 패스워드, 녹화 파일 등이 기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은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되는 시점 뿐만 아니라 원격 접속될 때 로컬 사용자에게 녹화 여부를 질의하고, 이 질의에 응답하여 로컬 사용자가 녹화를 선택할 때 녹화 명령을 발생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으로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은 통신 블록(220)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그에 상응하는 제어권자 정보(예컨대, 제어 단말의 상담원 성명, 원격 제어 인식 문자 및 원격 제어 인식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등)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은, 통신망과 중앙 서버(120)를 통해 피제어 단말과 다수의 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된 상태일 때, 어느 한 제어 단말에 의한 원격 제어의 실행이 종료된 후 원격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제어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다른 접근 정보가 수신되면 다른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해당 제어 단말에 대한 제어권자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은 실시간으로 제어권 소유자를 확인하여 관련 정보를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통보(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은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을 통해 생성된 원격 제어 정보(또는 새로운 원격 제어 정보)를 화면 표시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240), 즉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예컨대, 화면의 좌하 모서리, 좌상 모서리, 우하 모서리, 우상 모서리 등)에 표시(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원격 제어의 실행시에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을 통해 생성되어 제공되는 원격 제어권자 정보를 화면 표시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240), 즉 화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예컨대, 마우스 커서 자체 또는 그 주변 등)에 표시(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원격 제어권자 정보는, 예컨대 상담원 성명, 원격 제어 인식 문자 및 원격 제어 인식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표출되거나 혹은 원격 제어권자가 마우스 커서 자체일 때 마우스 커서의 색상 변경 또는 모양 변경으로 표출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간의 원격 접속시에 피제어 단말에서 생성되는 원격 제어 정보는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좌하 모서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원격 제어 정보는, 일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으며, 화면의 좌하 모서리 영역 뿐만 아니라 좌상 모서리 영역, 우하 모서리 영역, 우상 모서리 영역 등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은 원격 제어의 실행시에 상담원 인터페이스(조작)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 제어 대상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원격 제어 정보를 화면 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다시 마우스 커서가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때,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원격 제어 정보를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켜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정보가 화면의 좌하 모서리 영역에 표시되는 상황이라고 가정할 때, 일예로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표시 영역(좌하 모서리 영역)으로 마우스 커서가 진입하면, 원격 제어 정보를 우상 모서리 영역(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피제어 단말은 다수의 모니터, 즉 다중 화면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표시 영역(원격 제어 정보의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다중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들 중 기 설정된 다른 화면의 표시 영역으로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다시 마우스 커서가 원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때, 다른 화면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원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켜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은,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가 제어 단말로부터 피제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때(즉, 원격 제어권이 로컬 제어권으로 전환될 때), 제어권 소유자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화면의 다른 표시 영역(예컨대, 마우스 커서 주변)에 표시 중인 제어권자 정보를 로컬 제어권자 정보로 변경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격 제어권의 로컬 제어권으로의 전환은 원격 제어 실행이 종료될 때 수행되거나 혹은 로컬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제어권 강제 전환)될 수 있다.
즉,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의 제어권자 정보는, 일예로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즉, 제어 단말의 상담원 성명, 원격 제어 인식 문자, 원격 제어 인식 이미지, 마우스 커서 색상 변경, 마우스 커서 모양 변경 등)로 표시될 수 있으며, 로컬의 제어권자 정보는, 일예로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커서 자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원격의 제어권자 정보는 상담원이 다수일 때 원격 상담원별로 제어권자 정보의 색상(색깔)을 달리하는 색상 변화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에, 제어 실행 블록(235)은 제어권을 제어 단말이 가지고 있을 때 통신 블록(220)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 명령에 의거하여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고, 조작 블록(21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로컬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 또는 로컬 제어는 이 기술 분야야 잘 알려진 통상적인 원격 제어 등을 의미하므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해 여기에서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동영상 녹화 블록(237)은, 원격 제어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이 통신망과 중앙 서버(120)를 통해 원격 접속될 때,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원격 접속과 동시에 녹화(자동 녹화 또는 강제 녹화)를 실행하여 원격 제어 중인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동영상으로 녹화 파일에 녹화하여 메모리 블록(250)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녹화 파일은 원격 접속자가 해당 파일을 삭제하거나 파일의 내용을 수정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동영상 녹화 블록(237)은 녹화를 실행하기 전에 메모리 블록(250)을 탐색하여 해당 제어 단말에 대응하는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할 때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기존 녹화 파일의 이전 녹화 내용에 이어서 녹화하며,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새로운 녹화 파일을 생성한 후 새로운 녹화 파일에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녹화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동영상 녹화 블록(237)은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암호화된 특정 폴더에 화면 녹화용의 파일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파일에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원격 접속될 때마다 암호화된 특정 폴더에 새로운 녹화 파일을 생성하여 화면을 녹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피제어 단말에 원격 제어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비스 주체(예컨대, S사, L사, D사 등과 같은 단말 제조사 또는 단말 서비스 회사 등)별로 하나의 녹화 파일 또는 다수의 녹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암호화된 폴더를 제공하는데, 각 녹화 파일 또는 암호화된 폴더에는 해당 서비스 주체가 실행한 과거의 원격 제어에 대한 화면의 동영상들이 모두 저장되어 서비스 주체 측 상담원에 의한 서비스 중의 녹화 파일 삭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 중인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피제어 단말의 메모리 블록(예컨대, 로컬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는 제어 단말이 속한 회사의 구분자(ID)에 따라 각각 생성되어 있는 서로 다른 녹화 파일에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저장(녹화)하며, 동일 회사의 사용시(원격 접속시)에 동일 녹화 파일의 이전 녹화 내용에 이어서 화면을 녹화 저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아이콘 생성 블록(239)은 제어 단말에 의한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가 종료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될 때,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녹화한 동영상을 바로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 생성된 단축 아이콘을 화면, 즉 모니터(240)의 소정 위치에 표시(디스플레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제어 화면의 동영상에 대한 단축 아이콘을 자동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해 두는 것은 로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손쉽게 해당 동영상 파일을 열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해당 녹화 파일에 대한 단축 아이콘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이전에 이미 단축 아이콘이 만들어져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아이콘 생성 블록(239)에서는 새로운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지 않을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을 원격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제어 단말 측에서는 제어 단말과의 원격 접속을 모니터링하는데(단계 302),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과 중앙 서버(120)를 통해 제어 단말이 접근 정보(예컨대,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및 상담원 별칭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를 피제어 단말로 전송하면, 피제어 단말 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의 인증을 통해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된다(단계 304).
다음에,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화면 녹화 실행 명령을 발생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으로 전달하며, 이에 응답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이 녹화를 실행함으로써, 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된 피제어 단말의 화면이 동영상으로 녹화 파일에 녹화(자동 녹화 또는 강제 녹화)된다(단계 306). 여기에서,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자동 녹화하는 구체적인 과정들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그리고,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수신된 접근 정보와 접속 시간, 화면 녹화 유무 및 제어 내용 정보 영역 등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제어 내용 정보 영역은 제어 단말로부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가 실행될 때 해당 제어의 내용 정보(예컨대, "키보드 제어 중", "화면 공유 중", "마우스 제어 중" 등)가 표시되어질 영역을 나타낸다.
이에 응답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이 생성한 원격 제어 정보를 화면 표시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240), 즉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예컨대, 좌하 모서리 영역, 좌상 모서리 영역, 우하 모서리 영역, 우상 모서리 영역 중 어느 한 표시 영역)에 표시(디스플레이)한다(단계 308).
이후,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실시간으로 피제어 단말의 제어권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확인하면서 원격 제어 명령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310),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 실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하여 제어 실행 블록(235)으로 전달하며, 그 결과 제어 실행 블록(235)에서는 원격 제어를 실행한다(단계 312).
이와 동시에,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원격 제어의 내용을 의미하는 제어 내용 정보(예컨대, "키보드 제어 중", "화면 공유 중", "마우스 제어 중" 등)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전달하고, 이에 응답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제어 내용 정보를 화면에 표시 중인 원격 제어 정보 내의 제어 내용 정보 영역에 표시(디스플레이)한다(단계 314).
다음에, 제어 정보 관리 블록(331)에서는 원격 접속의 종료 명령이 통신 블록(220)을 통해 제어 단말로부터 수신되거나 혹은 조작 블록(2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316),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원격 접속의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제어 단말과의 원격 접속을 종료함과 동시에 녹화 종료 명령을 발생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동영상 녹화 블록(237)에서는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동영상으로 녹화 파일에 녹화하는 동작을 종료하며(단계 318),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의 제어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 중이던 원격 제어 정보의 표시를 삭제한다(단계 320).
여기에서, 원격 접속의 종료 명령이 제어 단말로부터 통신 블록(220)을 통해 전달된다는 것은 원격지의 상담원에 의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 간의 원격 접속이 해제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원격 접속의 종료 명령이 조작 블록(210)으로부터 전달된다는 것은 로컬의 사용자에 의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 간의 원격 접속이 해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어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가 실행되는 시점에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가 제공될 때, 원격 제어 중인 화면에 대한 녹화가 실행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가 실행될 때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녹화 실행을 위한 명령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으로부터 전달되면, 동영상 녹화 블록(237)에서는 메모리 블록(250)을 탐색함으로써(단계 402), 해당 제어 단말에 대응하는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404).
상기 단계(404)에서의 체크 결과, 메모리 블록(250)에 해당 제어 단말에 대응하는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영상 녹화 블록(237)에서는 해당 제어 단말에 대한 새로운 녹화 파일을 생성한 후(단계 406), 새로운 녹화 파일을 열어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하고(단계 408), 체크 결과 메모리 블록(250)에 해당 제어 단말에 대응하는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할 경우 기존 녹화 파일을 열어 이전 녹화 내용에 이어서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한다.
이후, 도 3의 단계(314)에 따라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간의 원격 접속이 종료되면(단계 410), 이에 응답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에서는 녹화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단계 412).
여기에서, 피제어 단말의 화면 녹화는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화면에 대한 녹화 여부를 질의하고, 로컬 사용자가 녹화 질의에 응답하여 녹화를 선택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녹화가 종료되면, 아이콘 생성 블록(239)에서는 해당 녹화 파일에 대한 단축 아이콘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41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단축 아이콘이 존재할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 단계(414)에서의 체크 결과, 단축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아이콘 생성 블록(239)에서는 원격 제어 중인 화면을 녹화한 동영상을 바로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고(단계 416), 이 생성된 단축 아이콘을 화면, 즉 모니터(240)의 소정 위치에 표시(디스플레이)한다(단계 418). 여기에서, 원격 제어 화면의 동영상에 대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해 두는 것은 로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손쉽게 해당 동영상 파일을 열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에 원격 접속 중인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하나의 녹화 파일에 연속하여 녹화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단지 예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간의 원격 접속이 이루어질 때마다 암호화된 특정 폴더에 새로운 녹화 파일을 생성하여 관련 화면을 녹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 중인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피제어 단말의 메모리 블록(예컨대, 로컬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는 제어 단말이 속한 회사의 구분자(ID)에 따라 각각 생성되어 있는 서로 다른 녹화 파일에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저장(녹화)하며, 동일 회사의 사용시(원격 접속시)에 동일 녹화 파일의 이전 녹화 내용에 이어서 화면을 녹화 저장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가 실행 중일 때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의 이동에 따라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의 이동에 따라 원격 제어 정보가 이동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 중인 상황에서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제어 또는 로컬 제어를 실행 중일 때(단계 502),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원격지의 상담원 또는 로컬 사용자의 조작(인터페이스)에 따라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단계 504).
그리고, 상기 단계(504)에서의 모니터링을 통해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여 원격 제어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506),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원격 제어 정보를 화면 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예컨대, 좌상 모서리 영역, 우하 모서리 영역, 우상 모서리 영역 등)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단계 508).
이후,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원격 제어 정보의 표시 영역에 진입한 마우스 커서가 표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지(이탈하는지)의 여부를 체크(모니터링)하는데(단계 510),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마우스 커서가 표시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원래의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켜 표시한다(단계 512).
즉, 본 발명에서는 원격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에 마우스 커서가 들어오면 원격 제어 정보의 표시 위치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 표시 영역에 들어와 있던 마우스 커서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면 원격 제어 정보의 표시 위치를 기 설정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마우스의 접근으로 인해 원격 상담원 정보의 시야가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제어 단말은 다수의 모니터, 즉 다중 화면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여 원격 제어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다중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들 중 기 설정된 다른 화면의 표시 영역으로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다시 마우스 커서가 원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때, 다른 화면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원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켜 표시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을 원격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제어 단말 측에서는 제어 단말과의 원격 접속을 모니터링하는데(단계 602),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지원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과 중앙 서버(120)를 통해 제어 단말이 접근 정보(예컨대,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및 상담원 별칭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를 피제어 단말로 전송하면, 피제어 단말 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의 인증을 통해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된다(단계 604).
다음에,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화면 녹화 실행 명령을 발생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으로 전달하며, 이에 응답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이 녹화를 실행함으로써, 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된 피제어 단말의 화면이 동영상으로 녹화 파일에 녹화(자동 녹화 또는 강제 녹화)된다(단계 606). 여기에서,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자동 녹화하는 일련의 과정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과정들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실시간으로 피제어 단말의 제어권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확인하면서 제어 명령의 수신(또는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608),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명령의 제어 명령자가 원격(원격 상담원)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610).
상기 단계(610)에서의 체크 결과, 제어 명령자가 원격이 아닌 로컬(로컬 사용자)인 경우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는 로컬 제어권자임을 의미하는 마우스 커서(예컨대, 도 10b)가 표시되면서 제어 실행 블록(235)의 제어에 따라 피제어 단말에 대한 로컬 제어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610)에서의 체크 결과, 제어 명령자가 원격인 경우,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원격 제어권자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 실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하여 제어 실행 블록(235)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으로부터의 화면 표시 제어에 따라, 일예로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원격 제어권자가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마우스 커서 자체 또는 그 주변)에 표시됨과 동시에(단계 612), 제어 실행 블록(235)으로부터의 실행 제어에 따라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가 실행된다(단계 614).
이와 같이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실행되는 원격 제어가 종료되는 시점이 될 때(단계 616), 제어 실행 블록(235)에서는 피제어 단말에 대한 원격 제어의 실행을 종료하며, 화면 표시 실행 블록(233)에서는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화면에서의 원격 제어권자 표시를 삭제한다(단계 618).
다음에, 원격 제어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혹은 원격 제어의 실행 중,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원격 접속 종료 명령이 통신 블록(220)을 통해 제어 단말로부터 수신되거나 혹은 조작 블록(2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620),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원격 접속의 종료 명령이 수신(입력)되면, 제어 정보 관리 블록(231)에서는 제어 단말과의 원격 접속을 종료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녹화 종료 명령을 발생하여 동영상 녹화 블록(237)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동영상 녹화 블록(237)에서는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동영상으로 녹화 파일에 녹화하는 동작을 종료하며(단계 622), 이러한 녹화 파일은 메모리 블록(250)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원격 접속의 종료 명령이 제어 단말로부터 통신 블록(220)을 통해 전달된다는 것은 원격지의 상담원에 의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 간의 원격 접속이 해제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원격 접속의 종료 명령이 조작 블록(210)으로부터 전달된다는 것은 로컬 사용자에 의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 간의 원격 접속이 해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원격 제어 정보를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된 후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원격 제어권자 정보를 생성하여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 3의 실시 예와 도 6의 실시 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도 6을 결합시킨 서비스 모델로 적용, 즉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원격 제어 정보를 피제어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가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그에 따라 생성한 원격 제어권자 정보를 화면의 다른 표시 영역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과 중앙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될 때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고, 제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며,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제어 명령의 제어 명령자가 원격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원격일 때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권자를 생성하여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함과 동시에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피제어 단말이 통신망과 중앙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에 원격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 서버를 경유함이 없이 피제어 단말과 제어 단말이 직접 원격 접속(P2P 방식의 원격 접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간의 직접적인 원격 접속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은 컴퓨터(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10 : 조작 블록 220 : 통신 블록
230 : 제어 블록 231 : 제어 정보 관리 블록
233 : 화면 표시 실행 블록 235 : 제어 실행 블록
237 : 동영상 녹화 블록 239 : 아이콘 생성 블록
240 : 모니터 250 : 메모리 블록

Claims (28)

  1.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 간의 원격 접속의 종료에 따라 상기 화면에 대한 녹화가 종료될 때, 기존 녹화 파일 또는 새로운 녹화 파일의 실행을 위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하는 과정은,
    상기 피제어 단말 내 메모리 블록을 탐색하여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할 때 상기 화면을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의 이전 녹화 내용에 이어서 녹화하는 과정과,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새로운 녹화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녹화 파일에 상기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하는 과정은,
    암호화된 특정 폴더에 화면 녹화용의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상기 파일에 상기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가 시작될 때 제어 내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제어 정보 내에 표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녹화가 종료될 때, 상기 기존 녹화 파일 또는 새로운 녹화 파일에 대한 관련 단축 아이콘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관련 단축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의 이동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마우스 커서가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화면 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시켜 표시한 후, 상기 마우스 커서가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때, 상기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켜 표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의 이동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마우스 커서가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상기 화면과 다중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들 중 기 설정된 다른 화면의 표시 영역으로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시켜 표시한 후, 상기 마우스 커서가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때, 상기 다른 화면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켜 표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의 실행이 종료된 후 상기 피제어 단말에 원격 접속된 다른 제어 단말로부터 다른 접근 정보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접근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다른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 중인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된 상기 새로운 원격 제어 정보로 변환 표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정보는,
    회사명, 상담원 성명, 상담원 ID 및 상담원 별칭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 시간 및 화면 녹화 유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3.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이 피제어 단말과 원격 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과,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제어 명령의 제어 명령자가 원격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명령자가 원격일 때,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권자를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수신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 간의 원격 접속의 종료에 따라 상기 화면에 대한 녹화가 종료될 때, 기존 녹화 파일 또는 새로운 녹화 파일의 실행을 위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하는 과정은,
    상기 피제어 단말 내 메모리 블록을 탐색하여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할 때 상기 화면을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의 이전 녹화 내용에 이어서 녹화하는 과정과,
    상기 기존 녹화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새로운 녹화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녹화 파일에 상기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하는 과정은,
    암호화된 특정 폴더에 화면 녹화용의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상기 파일에 상기 화면을 녹화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6. 삭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녹화가 종료될 때, 상기 기존 녹화 파일 또는 새로운 녹화 파일에 대한 관련 단축 아이콘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관련 단축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가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상기 피제어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될 때, 상기 원격 제어권자를 삭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은,
    마우스 커서 자체 또는 그 주변인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권자는,
    상기 제어 단말의 상담원 성명, 원격 제어 인식 문자 및 원격 제어 인식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인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권자는,
    상기 마우스 커서 자체일 때, 상기 마우스 커서의 색상 변경 또는 모양 변경으로 표출되는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22. 삭제
  2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15 항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4. 원격 서비스를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어 단말로부터의 원격 접속을 감시하고 접근 정보 및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 블록과,
    상기 제어 단말과 피제어 단말이 원격 접속될 때,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을 동영상으로 파일에 녹화하는 동영상 녹화 블록과,
    수신된 상기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관리 블록과,
    생성된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피제어 단말의 화면의 기 설정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실행 블록과,
    수신되는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실행 블록과,
    상기 피제어 단말의 원격 제어가 종료될 때, 상기 파일에 녹화된 동영상의 실행을 위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아이콘 생성 블록
    을 포함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
  25. 삭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실행 블록은,
    상기 원격 제어가 실행될 때 상기 제어 정보 관리 블록을 통해 생성되는 원격 제어권자를 상기 화면의 다른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실행 블록은,
    상기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상기 화면 내의 기 설정된 다른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실행 블록은,
    상기 피제어 단말의 마우스 커서가 상기 기 설정된 표시 영역으로 진입할 때, 상기 화면과 다중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들 중 기 설정된 다른 화면의 표시 영역으로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말의 원격 제어 장치.
KR1020110107089A 2011-10-19 2011-10-19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20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089A KR101203102B1 (ko) 2011-10-19 2011-10-19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089A KR101203102B1 (ko) 2011-10-19 2011-10-19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102B1 true KR101203102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089A KR101203102B1 (ko) 2011-10-19 2011-10-19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068B1 (ko) * 2018-06-14 2019-11-28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Rcs 구현을 위한 마우스 영상 지연 제거 장치
CN115103220A (zh) * 2022-07-15 2022-09-23 福建合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浏览器屏幕录制的远程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476B1 (ko) 2007-04-05 2007-06-28 김재홍 원격 접속의 보안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92241B1 (ko) 2007-04-05 2008-01-07 김재홍 원격 통합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476B1 (ko) 2007-04-05 2007-06-28 김재홍 원격 접속의 보안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92241B1 (ko) 2007-04-05 2008-01-07 김재홍 원격 통합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068B1 (ko) * 2018-06-14 2019-11-28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Rcs 구현을 위한 마우스 영상 지연 제거 장치
CN115103220A (zh) * 2022-07-15 2022-09-23 福建合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浏览器屏幕录制的远程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5974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19185789A (ja) クラウド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833224B (zh) 信息处理设备、服务器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9374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US20100058248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building management systems
JP4855516B2 (ja) 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WO2014093503A1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for remotely controlling a presentation accessed via a presentation server
US20030172069A1 (en) Access management server, disk array system, and access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9587233A (zh) 多云容器管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12667B1 (ko) 데이터 백업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2356474B1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원격통제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워크 지원시스템
US8924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hysical components via a virtual environment
GB2525490A (en) Connection of persons and things via mobile messaging privacy/security broker system
JP2023115056A (ja) デバイス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201423472A (zh) 訪問許可權管控系統及訪問許可權管控方法
KR101203102B1 (ko)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156955B2 (en) Method and server for storing, encoding and uploading video or object captured from a webpage using a toolbar
CN111414614A (zh) 越权检测方法和辅助装置
CN107070875A (zh) 解除智能设备与用户的绑定关系的方法及智能设备
JP5921032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装置用プログラム
CN110008186A (zh) 针对多ftp数据源的文件管理方法、装置、终端和介质
CN111489172A (zh) 一种资质信息的认证方法和终端以及服务器
CN104540183A (zh) 一种无线热点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575763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저장 데이터에 대한 이동단말 로그인 기반 접근 통제 방법
KR20200046157A (ko)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