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948B1 -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948B1
KR101202948B1 KR1020060060705A KR20060060705A KR101202948B1 KR 101202948 B1 KR101202948 B1 KR 101202948B1 KR 1020060060705 A KR1020060060705 A KR 1020060060705A KR 20060060705 A KR20060060705 A KR 20060060705A KR 101202948 B1 KR101202948 B1 KR 10120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unit
test
functio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097A (ko
Inventor
천재훈
서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6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9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개발부서로부터 입력된 기능요구서 및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각각에 대해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와, 상기 기능요구서 및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가 상기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체크하는 요구사항 체크부와, 상기 기능요구서,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 및 상기 요구사항체크부의 체크결과를 분석 및 통계 처리하는 통계/현황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UNIFIED SYSTEM FOR VERIFYING IN NETWORK-BASED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도 2의 기능요구서에 대한 통계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도 2의 시험항목에 대한 검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도 2의 테스크 케이스에 대한 검증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500: 통합검증시스템 200 : 개발부서
300 : 관리자 모듈 110 : 데이터 입력 처리부
120 : 데이터 관리부 130 : 요구사항 체크부
140 : 통계/현황 처리부 150 : 결과 출력부
400 : 통합 플랫폼 또는 공통 서비스그룹 510 : 데이터 입력 처리부
520 : 데이터 관리부 530 : 요구사항 체크부
540 : 통계/현황 처리부 550 : 결과 출력부
560 : 통합 플랫폼 로드맵 관리부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시 소속 시스템들의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능요구서 및 관련한 데이터(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 시험일지, 문제점 내역서, 및 보완내역서 등)에 고유 아이디 할당을 하여 상호 유기적인 매핑을 통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개발 시스템의 완성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우, 개발된 시스템의 검증을 수행하여 그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시스템 설계 등의 디자인 단계에 앞서 시장 요구사항을 조사하며, 개발 완료된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조사된 시장 요구사항을 적용한 기능요구서, 시스템 설계서, 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 시험절차서, 검증시험 시 발생하는 시험일지, 보완요구서, 보완내역서, 및 문제점관리, 통계 및 현황파악을 위한 데이터 등의 효율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문서화하여 특정 파일서버에 저장된 후 필요 시 개발자, 검증자, 및 검수자 등에게 공개하였다.
그러나, 개발 시스템이 복잡할수록 그 시스템 개발을 위한 데이터가 많아져 혼재된 데이터로 인해 적재 적시에 개발자, 검증자, 및 검수자 등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또한, 종래에는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를 통계화하더라도, 각 데이터와 개발된 시스템간의 인과관계가 없어 그 유기적인 매핑이 어려워 검증시험 시스템 완성도의 척도가 불분명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시 소속 시스템들의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능요구서 및 검증과 관련된 데이터(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 시험일지, 문제점 내역서, 및 보완내역서 등)를 기능별 또는 케이스별 단위로 입력받고 고유 아이디를 할당하여 상호 유기적인 매핑을 함으로써, 개발 시스템의 완성도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규화된 데이터의 가공, 분석 및 출력을 통해 통합 플랫폼 및 서비스의 개발 로드맵 관리를 바탕으로 개발부서간에 상호협력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은 개발부서로부터 입력된 기능요구서 및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각각에 대해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와, 상기 기능요구서 및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 가 상기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체크하는 요구사항 체크부와, 상기 기능요구서,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 및 상기 요구사항체크부의 체크결과를 분석 및 통계 처리하는 통계/현황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은, 개발 시스템에 대한 기능요구서를 입력받아 기능 단위별 고유 ID를 할당하고, 상기 기능요구서에 대한 통계처리를 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개발 시스템에 대한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가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충족하는 경우 상기 시험항목에 대한 통계 처리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은, 특정 개발 시스템에 대한 기능요구서를 입력받아 기능 단위별 고유 ID를 할당하고, 상기 기능요구서에 대한 통계처리를 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개발 시스템에 대한 시험항목을 입력받아, 상기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충족하는 경우 상기 시험항목에 대한 통계 처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개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받아, 상기 기능요구서와 상기 시험항목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충족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통계 처리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통합 검증 시스템(100)은 개발부서(200)로부터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받아 케이스별, 시험 항목별, 테스트 케이스별 통계 및 현황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 모듈(300)로 전달한다.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100)은 데이터 입력처리부(110), 데이터 관리부(120), 요구사항 체크부(130), 통계/현황 처리부(140), 및 결과 출력부(150)를 구비한다.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는 개발부서(200)로부터 개발 시스템에 대한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 시험일지, 문제점 사항, 및 보완사항 등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개발 시스템은 통합 검증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개발 대상 시스템을 의미한다. 또한, 기능요구서는 기능 단위별로 입력하고 기능 단위별 고유 ID를 할당하며, 시험항목 입력 시에는 이미 입력받은 기능요구서와 링크시키고 시험항목별 고유 ID를 할당하며, 테스트 케이스 입력시에 이미 입력받은 시험항목과 링크시키고 테스트 케이스별 고유 ID를 할당한다. 그외의 시험일지, 문제점 사항 및 보완사항등의 입력시에도 고유 ID를 할당하고 관련 데이터와 링크시켜 추후 유기적인 매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기능요구서는 특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장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적용한 것으로 시스템의 기능, 성능, 용량, 운영관리, 과금, 인증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능요구서에 냉장고에 대한 각종 기능 중 얼음생성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시험항목은 얼음생성기능이 제대로 되는지에 대한 시험절 차 및 부/적합 기준을 명시한 시험항목을 가지며, 테스트 케이스는 칵테일용, 팥빙수용 등에 대한 각각의 얼음생성기능이 제대로 되는지에 세부 케이스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데이터 관리부(120)는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요구사항 체크부(130)는 데이터 관리부(120)로부터 요구사항 체크요청을 받으면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및 테스트 케이스의 상호 유기적인 연결상태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개발부서(200)로 송부한다. 즉, 기능요구서의 기능별 시험항목이 모두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고 시험항목별 테스트 케이스가 모두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통계/현황 처리부(140)는 데이터 관리부(1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 가공 및 통계화 하여 저장한다.
결과 출력부(150)는 통계/현황 처리부(140)로부터 통계/현황 데이터를 전달받아 레포트를 생성하여 관리자모듈(300)로 출력한다.
한편, 개발부서(200)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개발 시스템에 대한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 시험일지, 및 문제점 사항 등을 작성하여 통합검증시스템(100)으로 전달하고, 통합검증시스템(100)으로부터 요구사항 부적합 사항을 통보받으면 그에 대한 검토하여 시험항목을 추가하거나 필요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삭제하는 등의 재작성을 수행한다.
관리자모듈(300)은 통합검증시스템(100)으로부터 레포트를 전달받아 관리자 가 또는 사용자가 검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리자모듈(300)은 개발자, 검증자, 검수자, 및 관리자 등 접근권한을 부여받은 모든 사용자에 의해 운영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검증시스템은 개발부서(200)를 통해 입력된 기능 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케이스 등을 통해 기능 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케이스 간의 유기적 연결관계를 체크하고, 시험항목 및 테스트케이스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그 검증을 통한 결과를 통계처리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따르면, 통합 검증 시스템(100)은 개발부서(200)로부터 기능요구서를 입력받으면 기능 단위별 고유 ID를 할당한 후, 기능 요구서 관련 데이터를 통계처리한다(S100).
한편,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는 시험 항목을 입력받아 시험 항목별 고유 ID를 할당하고 데이터관리부(120)에 저장하고, 요구사항 체크부(130)에서 입력된 시험항목이 상기 과정 S100에서 입력된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00). 이때,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기능요구서에 포함된 기능별로 시험항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기능요구서에는 포함되어 있는 기능에 대해 시험항목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S200), 시험항목이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경우 통계/현황 처리부(140)는 시험항목에 대한 통계처리를 한다(S300).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00), 시험항목이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기능요구서에는 포함되어 있는 기능에 대해 시험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개발부서(200)에 통보하여(S400), 개발부서(200)에서 이에 대한 검토를 하도록 유도한다. 즉, 개발부서(200)는 이를 검토하고 시험항목을 추가하거나 관련없는 사항을 삭제하는 등의 재작성을 하여 다시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로 전달하도록 한다(S500).
그 후, 데이터 입력 처리부(110)는 개발부서(200)로부터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받아 테스트 케이스별 고유 ID를 할당하여 데이터 관리부(120)에 저장한다(S600).
이어서, 요구사항 체크부(130)는 입력된 테스트 케이스가 기 입력된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통계/현황처리부(140)에서 테스트 케이스 관련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결과 출력부(150)를 통해 관리자모듈(300)로 전송한다(S600). 이때, 테스트 케이스가 기 입력된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과정 S400에서 시험항목이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판단과 같으며, 특히 시험항목과 관련한 테스트 케이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기능요구서에 대한 통계화 방법(S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개발부서(200)에서 기능 요구서를 작성하여(S101),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로 전달하면(S102),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는 작성된 기능요구서를 기능 단위별로 입력받고(S103), 입력된 기능 요구서에 대해 기능 단위별 고유 ID를 할당한 후, 데이터 관리부(120)로 전송한다(S104). 여기서, 기능 단위별 고유 ID는 해당 또는 연관된 타 시스템의 시험항목 및 테스트 케이스의 검증을 통해 얻을 결과물과 기능요구서에 따른 시스템의 개발 완성도를 비교 판단하기 위해 할당된다.
그 후, 데이터관리부(120)는 고유 ID를 할당받은 기능 요구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후(S105), 기능 요구서 관련 데이터를 통계/현황 처리부(140)로 전송하여(S106), 통계/현황 처리부(140)에서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및 현황 처리를 하여(S107) 관리자모듈(300)로 출력한다(S108).
그에 따라, 결과 출력부(150)는 해당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포트를 생성하고(S109) 관리자모듈(400)로 그 레포트를 전송한다(S110).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도 2의 시험항목에 대한 검증 방법(S200~S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발부서(200)에서 시험항목을 작성하여(S301),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로 전달하면(S302),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는 시험항목별 고유 ID를 할당하고, 상기 도 3에서 입력받은 기능요구서와 링크를 설정한 후(S303), 시험항목과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120)로 전달한다(S304). 시험항목 ID 는 해당 또는 연관된 타 시스템의 기능요구서에 서술된 기능단위 별로 링크가 되며, 개발 완료된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 작성된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시험항목 ID 가 생성될 수 있음) 시험항목 ID 의 모든 집합이 그 기능요구서에 서술된 모든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
그 후, 데이터관리부(120)는 고유 ID를 할당받은 시험항목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후(S305), 요구사항 체크부(130)에 대하여 해당 시험항목이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의 체크를 요청하고(S306), 요구사항 체크부(130)는 기능요구서에 포함된 기능별로 시험항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307) 기능요구서에는 포함되어 있는 기능에 대해 시험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데이터 관리부(120)를 통해 개발부서(200)에 통보하여, 개발부서(200)에서 이에 대한 검토를 하도록 유도한다(S308).
한편, 시험항목이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경우, 즉 기능요구서에 포함된 기능별로 시험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관리부(120)는 통계/현황 처리부(140)로 시험항목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고(S309), 통계/현황처리부(140)는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및 현황처리를 수행한다(S310).
그 후, 통계/현황 처리부(140)는 통계 및 현황처리한 데이터를 결과 출력부(150)로 전송하고(S311), 결과 출력부(150)는 통계/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포트를 생성하여(S312), 관리자모듈(300)로 전송한다(S313).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검증방법(S600~S7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발부서(200)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S501),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로 전달하면(S502), 데이터 입력처리부(110)는 테스트 케이스별 고유 ID를 할당하고, 상기 도 3에서 입력받은 시험항목과 링크를 설정한 후(S503), 테스트 케이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120)로 전달한다(S504). 테스트 케이스 ID 는 해당 또는 연관된 타 시스템의 기능요구서에서 생성된 시험항목에 링크가 되며, 온전히 개발 완료된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 작성된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테스트 케이스 ID 가 생성될 수 있음) 테스트 케이스 ID 의 모든 집합이 해당 시험항목의 전체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
그 후, 데이터관리부(120)는 고유 ID를 할당받은 테스트 케이스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 후(S505), 요구사항 체크부(130)에 대하여 해당 테스트 케이스가 시험항목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의 체크를 요청하고(S506), 요구사항 체크부(130)는 상기 도 4의 시험항목과 관련한 테스트케이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507) .
상기 과정 S507의 판단결과, 시험항목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데이터 관리부(120)를 통해 개발부서(200)에 통보하여, 개발부서(200)에서 이에 대한 검토를 하도록 유도한다(S508).
한편, 시험항목별 테스트 케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관리부(120)는 통계/현황 처리부(140)로 시험항목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고(S509), 통계/현황처리부(140)는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및 현황처리를 수행한다(S510).
그 후, 통계/현황 처리부(140)는 통계 및 현황처리한 데이터를 결과 출력부(150)로 전송하고(S511), 결과 출력부(150)는 통계/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포트를 생성하여(S312), 관리자모듈(300)로 전송한다(S513).
도 2 내지 도5에서는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및 테스트 케이스의 유기적 매핑 및 검증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시험일지, 문제점 사항, 보완사항 등의 검증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은, 복수의 개발부서(200)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 또는 공통서비스 그룹(400)으로부터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케이스를 검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검증 시스템은 통합 데이터 입력부(510), 통합 데이터 관리부(520), 통합 요구사항 체크부(530), 통합 통계/현황 처리부(540), 통합 결과 출력부(55), 및 통합 플랫폼 로드맵 관리부(5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통합 데이터 입력부(510), 통합 데이터 관리부(520), 통합 요구사항 체크부(530), 통합 통계/현황 처리부(540), 및 통합 결과 출력부(55)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6의 구성요소들은 복수의 개발부서에 대한 통합 검증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구동된다.
특히, 통합 플랫폼 로드맵 관리부(560)는 통합 플랫폼 또는 공통 서비스 그룹(400)에 속한 개발부서의 개발완성도, 진행률 등의 통합 개발 관리를 위한 로드맵(road map)을 관리한다. 즉, 통합 플랫폼 로드맵 관리부(560)의 복수의 개발부서의 검증을 위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또한, 통합 플랫폼 로드맵 관리부(560)는 통합 플랫폼 또는 공통서비스 그룹(400)으로부터 입력된 시험일지, 문제점 사항, 및 보완사항 등을 통해 검증시험 진행률, 문제점 발생률, 기능시험 적합률, 보완진행률 등을 확인하여 전체 개발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한 시스템의 부하로 인한 비 효율적 개발 진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통합 플랫폼 로드맵 관리부(560)는 통합 검증 시스템(500)의 전체적인 구동 과정을 확인하고 제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단일 개발시스템 뿐만 아니라 2 개 이상의 개발부서로 구성된 플랫폼이나 서비스 그룹을 개발하는 경우, 통합 검증 시스템(100, 500)을 통해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케이스 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관리자가 요청할때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유 ID를 할당하여 기능요구서, 시험항목, 테스트케이스 등의 상호 유기적인 매핑으로 최초 입력된 기능요구서 기준으로 개별 시스템의 완성도를 체크할 수 있으며, 완성도, 안정성, 성능/용량 등의 사항을 플랫폼 및 서비스 관점에서 점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개발시스템 뿐만 아니라 2 개 이상의 개발부서로 구성된 플랫폼이나 서비스 그룹을 개발하는 경우, 통합 검증 시스템을 통해 개발 초기 단계부터 개발 완료시까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플랫폼 구축, 시스템 개발의 전산화 및 자동화를 통한 업무효율을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초 등록된 기능요구서를 바탕으로 시험항목 및 테스트 케이스의 시스템 개발 요구사항을 체크하여 개발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개발 완료된 시스템을 검증하여 추가 기능 개발을 진행 하는 등 시스템의 안정성 및 성능/용량의 향상을 통해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개발부서로부터 입력된 기능요구서 및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입력 받고 각각에 대해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
    상기 기능요구서 및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가 상기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체크하는 요구사항 체크부; 및
    상기 기능요구서,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 및 상기 요구사항체크부의 체크결과를 분석 및 통계 처리하는 통계/현황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부는,
    상기 기능요구서를 기능 단위별 입력 받고,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 중 시험항목 입력 시 상기 기능요구서와 링크를 연결하고,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 중 테스트 케이스 입력 시 상기 시험항목과 링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는,
    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 시험일지, 문제점 내역서, 및 보완내역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사항 체크부는,
    상기 기능요구서의 기능별로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처리 결과를 접근을 허용받은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부서를 복수개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의 검증 시에, 상기 개발부서별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부, 상기 데이터 관리부, 상기 요구사항 체크부, 상기 통계/현황 처리부, 및 상기 결과 출력부의 구동 현황을 체크하고 전체 개발일정을 관리하여 상기 복수개의 개발부서의 전체 개발진행을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 로드맵 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7. 데이터 입력 처리부가 개발 시스템에 대한 기능요구서를 입력받아 기능 단위별 고유 ID를 할당하는 단계;
    통계/현황 처리부가 상기 기능요구서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제1 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부가 상기 개발 시스템에 대한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요구사항 체크부가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가 상기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체크하는 체크단계; 및
    상기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통계/현황 처리부가 시험항목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의 통계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포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는,
    시험항목, 테스트 케이스, 시험일지, 문제점 내역서, 보완내역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는,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가 상기 시험항목인 경우, 상기 시험항목 입력시 상기 기능요구서와 링크하여 상기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항목을 포함하는 해당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는,
    상기 기능요구서의 기능별로 상기 검증과 관련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12. 데이터 입력 처리부가 개발 시스템에 대한 기능요구서를 입력받아 기능 단위별 고유 ID를 할당하는 단계;
    통계/현황 처리부가 상기 기능요구서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제1 통계처리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부가 상기 개발 시스템에 대한 시험항목을 입력받는 단계;
    요구사항 체크부가 상기 시험항목이 상기 기능요구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체크하는 제1 체크단계;
    상기 제1 체크결과,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통계/현황 처리부가 상기 시험항목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제2 통계처리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부가 상기 개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요구사항 체크부가 상기 테스트 케이스가 상기 기능요구서와 상기 시험항목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체크하는 제2 체크단계; 및
    상기 제2 체크결과,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통계/현황 처리부가 상기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제3 통계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계처리단계와 상기 제2 통계처리단계 및 상기 제3 통계처리단계의 통계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포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단계는,
    상기 기능요구서의 기능별로 상기 시험항목이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단계는,
    상기 기능요구서의 기능별로 상기 테스트 케이스가 존재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방법.
KR1020060060705A 2006-06-30 2006-06-30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705A KR101202948B1 (ko) 2006-06-30 2006-06-30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705A KR101202948B1 (ko) 2006-06-30 2006-06-30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097A KR20080002097A (ko) 2008-01-04
KR101202948B1 true KR101202948B1 (ko) 2012-11-19

Family

ID=3921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705A KR101202948B1 (ko) 2006-06-30 2006-06-30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96B1 (ko) * 2007-10-31 2010-0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터미널 플랫폼 디에스엘 개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943B1 (ko) * 2016-12-20 2019-11-04 주식회사 에스원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통합 추적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339A (ja) 2001-06-26 2003-03-20 Association Of Management Consultants In Japan 技術開発企業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JP2006127020A (ja) 2004-10-27 2006-05-18 Hitachi Ltd 進捗管理方法、進捗管理装置および進捗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339A (ja) 2001-06-26 2003-03-20 Association Of Management Consultants In Japan 技術開発企業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JP2006127020A (ja) 2004-10-27 2006-05-18 Hitachi Ltd 進捗管理方法、進捗管理装置および進捗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097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7448B2 (en) Computer system, program, and method for assigning computational resource to be used in simulation
US20080127089A1 (en) Method For Managing Software Lifecycle
Sinha et al. Design structure matrix‐based modularization approach for complex systems with multiple design constraints
KR101090940B1 (ko) 클라이언트의 가상 개발 환경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계약 및 개발을 중개하는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시스템 및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방법
KR100970851B1 (ko) 시스템 구축 가이드 시스템
US20040205129A1 (en) Collaboration framework
US11507068B2 (en) Method for life cycle management of a complex utility facility and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CN103377101A (zh) 一种测试系统和测试方法
KR101952539B1 (ko) 종합 군수 지원 방법
Bramberger et al. Co-engineering of safety and security life cycles for engineering of automotive systems
CN111523812A (zh) 模型生命周期管理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CN109586946B (zh) 异常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113160A (ko) 원격 프로그램 개발 서버,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시스템, 원격 프로그램 개발 서버 구축 방법 및 원격 프로그램 개발 중개 방법
KR101202948B1 (ko)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018529A (ja)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および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381231B1 (ko) 애자일 방식의 협업 지원을 통한 기업용 웹 어플리케이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4257364B2 (ja) 通信エラー情報出力プログラム、通信エラー情報出力方法および通信エラー情報出力装置
CN113592453B (zh) 基于区块链的信息系统运营合规审查方法及系统
CN112015715A (zh) 工业互联网数据管理服务测试方法及系统
CN111523808B (zh) 模型集中化管理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JP2001297116A (ja) プラント統合設計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建設プロジェクト統合管理システム
KR101808953B1 (ko) 다수의 일반 사용자들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품질 검사 서버 및 방법
KR20180024723A (ko) 온라인 아웃소싱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설계 시스템
KR102668338B1 (ko)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인터페이스 거버넌스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JP6829293B1 (ja) 構成管理活動の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