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853B1 -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 - Google Patents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853B1
KR101202853B1 KR1020100053983A KR20100053983A KR101202853B1 KR 101202853 B1 KR101202853 B1 KR 101202853B1 KR 1020100053983 A KR1020100053983 A KR 1020100053983A KR 20100053983 A KR20100053983 A KR 20100053983A KR 101202853 B1 KR101202853 B1 KR 10120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struction method
waterproof construction
eco
composit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154A (ko
Inventor
오동식
Original Assignee
오동식
대라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식, 대라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오동식
Priority to KR102010005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85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4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04D13/143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with ventilating means in 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에서 슬래브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이와 더불어 상부에서 열을 단열시킴으로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아스팔트 도막층 및 무기질 도막층의 열에 의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A Environmental-Friendly Method of water proof and Airvent for it}
본 발명은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에서 슬래브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이와 더불어 상부에서 열을 단열시킴으로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아스팔트 도막층 및 무기질 도막층의 열에 의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박공지붕을 사용하지 않고 슬래브를 지붕으로 사용하는 건물에서는 빗물 등에 의한 누수의 문제가 야기되는 바, 이러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수 시공공법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공법이 보편화 되어 있다. 아스팔트 시트는 단섬유부직포, 연실필름 및 미연신필름 등의 심재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APP (Atactic Polypropylene) 또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를 함침하거나 피복한 것으로서, 현재 옥상 슬래브의 방수시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슬래브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그 상부에 아스팔트 시트를 시공함으로써 슬래브 저면에서의 열에 의해 프라이머와 아스팔트 시트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팽창함으로써 아스팔트 시트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팔트 시트의 상부에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하여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였으나 용제가 포함된 폴리우레탄층과 아스팔트 시트는 상호 친화력이 매우 낮아서 미끌림 등에 의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스팔트 시트의 상부에 인부가 규사를 뿌린 후 코팅층을 형성하여 마무리 시공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코팅층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에 의해서도 그 내부의 아스팔트 시트나 폴리우레탄층에 열이 그대로 전달이 되어 열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은 방수층을 형성하는 아스팔트 시트 및 폴리우레탄 층에 공기가 통하지 않으면 습기에 의한 부식이나 파괴를 가져오기 때문에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아스팔트 시트 간의 연결부위의 시공이 복잡하고 이러한 연결부위에서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슬래브 저부로부터의 열 및 공기를 외부로 발산하고, 방수층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서 방수층의 열변형이 방지되는 내구성이 우수한 방수 시공공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은 슬래브층에 통풍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단계와;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아스팔트 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와; 무기질도막을 도포하여 무기질 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와; 단열구슬이 포함된 황토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 후에는 화이버글라스를 도포하여 화이버글라스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서 아스팔트 도막층과 무기질도막층 사이의 부착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에는 수용성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그 상부의 무기질도막층과의 부착력을 증진시킴이 타당하다.
한편 슬래브층에 통풍관을 설치하는 단계에는 슬래브층에 천공을 하고 직관을 을 삽입한 후 상기 직관에서 방사형으로 슬래브층 표면에 접하도록 열전달라인을 설치하여 슬래브층 표면에서의 열이 통풍관을 통해 전달이 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슬래브층에 통풍관을 설치하는 단계에는 슬래브층에 천공을 하고 직관을 삽입한 후 상기 직관의 일단에 역 "U"자형 관을 연결시공 하여 이물질 등이 통풍관으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역 "U"자형 관에는 그 내주연에 거름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열구슬이 포함된 황토층을 시공하는 단계에는 메탈라스를 설치하고 상기 메탈라스에 단열구슬을 안치한 후에 황토몰탈을 주입하여 황토층을 시공하도록 함으로서 황토층에 단열구슬이 적절히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더하여 메탈라스를 설치하는 단계에는 메탈라스의 망눈에 복수의 전단봉을 설치하여 황토층의 전단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사용되는 통풍관은 일단에 슬래브 삽입부가 형성되는 직관과; 상기 직관에 연결되는 역 "U"자형 관과; 상기 역 "U"자형 관의 내주연에 구성되는 거름망과; 상기 직관의 외주연에 구성되며 방사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열전달라인이 형성되는 열전달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구는 상기 직관의 외주연에 삽입되는 체결링과 상기 체결링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열전달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은 슬래브 저부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서 슬래브와 슬래브 상부의 방수층으로 아스팔트 도막층 및 무기질 도막층의 열에 의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은 수용성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아스팔트 도막층을 형성하여 그 상부의 무기질 도막층과 부착력을 강화하고 이에 화이버글라스층을 부가함으로서 각 층 간의 부착력을 강화하여 견고한 방수구조가 제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은 열전달라인이 구성된 통풍관을 사용함으로서 슬래브층 저부뿐만 아니라 슬래브층과 그 상부층의 접촉면에서의 열도 외부로 방출시켜 열에 의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최상층에 단열구슬이 첨가된 황토층이 제시되어 외부로부터의 열이 단열구슬에 축적이 됨으로서 그 이하의 층에 열의 전달이 차단됨으로서 열변형 등이 방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황토층은 메탈라스를 이용하여 단열구슬이 황토층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게 하여 고른 단열이 가능하도록 하며, 그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체에 있어 황토층을 나타내는 기본 예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체에 있어 황토층의 일 실시 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사용되는 통풍관을 나타내는 일 실시 예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풍관이 슬래브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친환경 노면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체에 있어 황토층을 나타내는 기본 예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체에 있어 황토층의 일 실시 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사용되는 통풍관을 나타내는 일 실시 예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풍관이 슬래브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방수구조는 슬래브층(10) 상부의 프라이머층(20), 아스팔트도막층(30), 화이버글라스층(40), 무기질도막층(50), 황토층(60)으로 구성되는 바, 특히 슬래브층(10)에 삽입되어 최상의 황토층(6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통풍관(100)에 의해 슬래브층(10) 저면에서 생기는 열에 의한 공기층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슬래브층(10) 상부의 아스팔트도막층(30) 등이 들뜨지 않고, 습기에 대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층에 통풍관을 설치하는 단계(S10)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단계(S20)와,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아스팔트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S30)와, 무기질도막을 도포하여 무기질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S40)와, 단열구슬이 포함된 황토층을 시공하는 단계(S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방수 시공공법의 시행에 앞서 우선 기 시공되거나 신축시공 하고자 하는 슬래브층(10) 표면의 바탕을 정리하는 단계를 갖는다. 신축현장일 경우, 먼지나 분진이 없게 깨끗하게 하고, 요철부위는 보수처리 하여 평활하게 하며, 보수현장일 경우에는 요철부위를 평활하게 하고, 크랙은 보수하며 바닥을 청소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드릴 등으로 슬래브층(10)에 천공을 하여 통풍관(100)을 설치하는 단계(S10)를 갖는다. 상기 통풍관(100)은 슬래브층(10)에 일정 유격을 두어 복수로 설치하는 바, 일 예로 매 30㎡ 마다 드릴로 슬래브층(10)에 천공을 한 후 통풍관(1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통풍관(100)과 슬래브층(10) 주변은 방수보강 처리함이 타당하다.
상기 통풍관(100)은 기본 예가 일단이 슬래브층(10)에 삽입되는 직관(110)과 상기 직관(110)과 연결되는 역 "U"자형 관(120)으로 구성되어 슬래브층(10)에 삽입된 직관(110)으로부터 열에 의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역 "U"자형 관(1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습기 등이 슬래브층(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4에서는 상기 통풍관(100)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역 "U"자형 관(120)의 내주연에는 거름망(140)이 더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역 "U"자형 관(120)으로부터 직관(110)으로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직관(110)의 외주연에는 방사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열전달라인(132)이 형성되는 열전달구(130)가 구성되어 상기 열전달라인(132)이 상기 슬래브층(10) 표면에서 방사형으로 접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러한 열전달구(130)의 구성에 기해 슬래브층(10) 표면에서의 열이 직관(110)으로 전달되어 직관(110)을 통해 방출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유출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열전달구(130)의 열전달라인(132)이 슬래브층(10)의 표면에 직관(110)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됨으로서 슬래브층(10) 표면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슬래브층(10) 표면의 열에 의해 그 상부의 아스팔트 도막층(30)이 들뜸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달라인(132)은 상기 슬래브층(10)에서 상기 직관(110)이 직립되도록 지지구로서의 기능도 하는 것으로 직관(110)이 횡방향 유동에 의해 방수구조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전달구(130)의 형상은 상기 직관(110)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열전달라인(132)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실시 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직관(110)의 외주연에 삽입되는 체결링(131)과 상기 체결링(131)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열전달라인(132)으로 구성되어 슬래브층(10)에 직관(110)을 삽입 후 상기 체결링(131)을 상기 직관(110)에 삽입시킴에 의해 직관(110)에 상기 열전달구(130)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링(131)과 상기 직관(110)의 부착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열전달구(130)는 구리 등 열전달효율이 우수한 금속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슬래브층(10) 표면으로부터의 열이 직관(110)으로 용이하게 전달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그 다음으로는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을 시공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프라이머는 접착용액으로 아스팔트 도막층(30)을 슬래브층(10)에 밀착하여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슬래브층(10)의 표면을 건조시킨 후에 롤러, 스프레이, 붓 등으로 도포한다.
그 다음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아스팔트 도막층(40)을 시공하는 단계(S30)를 갖는다. 이 경우도 롤러, 붓 등으로 아스팔트를 도포하되 1.5kg/㎡정도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40)을 형성하는 아스팔트는 수용성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아스팔트는 아스팔트를 끓이거나 용제에 녹여서 사용하지 않고 유화제를 사용하며 물과 혼합이 되도록 제조된 아스팔트로서 화제의 위험이나 악취가 없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며 그 상부의 무기질 도막층(50)과의 부착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40)을 형성함에 있어 아스팔트에는 방수성능 향상을 위하여 안정제, 접착제, 중점제 등을 첨가하여 방수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아스팔트 도막층(40)을 도포에 의해 형성함으로서 이음부가 발생하지 않아 이음부의 불량에 의한 방수구조의 하자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화이버글라스(Fiber Glass)를 도포하여 화이버글라스층을 시공하는 단계(31)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화이버글라스는 유리섬유로 치수 안정성(신율 3~4%, 탄성회복율 100%)과 인장강도, 인장탄성률이 매우 좋다. 이 때 화이버글라스는 아스팔트 도포에 의해 아스팔트 도막층(30) 시공 후 그 표면이 건조 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시공한다.
이렇게 화이버글라스층(40)이 시공됨에 의해 방수층을 구성하는 아스팔트 도막층(30)과 무기질 도막층(50)의 부착이 견고하게 되는 것이며, 이질의 재질에 기해 층간 미끌림이 방지되어 견고한 방수구조가 제시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무기질도막을 도포하여 무기질도막층(50)을 시공하는 단계(40)를 갖는다. 화이버글라스를 시공 후에 무기질 도막을 1kg/㎡ 정도로 도포하여 무기질도막층(50)이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아스팔트 도막층(30), 무기질도막층(50)으로 복수의 방수층이 견고하게 형성됨으로서 방수성능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열구슬이 혼입된 황토층(60)을 시공하는 단계(S50)를 갖는다.
즉 황토(61) 및 단열구슬(62)이 혼입되어 황토층(60)을 구성하되 황토(61)에 다양한 직경의 단열구슬(62) 또는 동일한 직경의 단열구슬(62)이 고르게 혼입되어 경화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단열구슬(62)이 황토(61)에 혼입됨에 의해 단열구슬(62)이 황토층(60)에 차지하는 비중만큼 수분의 증발에 의한 경화에 있어 열량이 감소되어 에너지가 절약이 되는 것이며, 특히 햇빛 등 외부로부터의 열이 단열구슬(62)에 축열이 됨으로서 황토층(60)으로부터 그 하부의 무기질도막층(50) 및 아스팔트 도막층(30)으로 전달이 방지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무기질도막층(50) 및 아스팔트 도막층(30)이 열에 의한 들뜸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열구슬(62)은 유리로 된 구슬모양의 구체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열구슬(62)은 고온 하에서 연화하거나 변형하지 않는 성질 외에, 온도의 급변, 즉 열충격에 견딜 수 있는 성질이 강한 것이다. 이렇게 단열구슬(62)이 열변형이 없는 성질에 의해 황토(61)와 혼입된 황토층(60)에서 열에 의한 단열구슬(62)의 변형에 의한 경화된 황토층(60)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열구슬(62)과 같이 구형의 형상을 사용하는 것은 경화되지 않은 황토(61) 및 단열구슬(62)로 된 몰탈을 충진하여 황토층(60)을 시공할 시 유동성을 확보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열구슬(62)은 열팽창이 작아 경화된 황토층(60)에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석영유리?붕규산유리?알루미나규산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고, 특히 열팽창이 가장 작은 석영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토층(60)을 구성함에 있어서, 황토(61) 및 단열구슬(62) 전체중량 대비 단열구슬(62)이 10 ~ 40중량%가 혼입되는 것이 타당하다. 단열구슬(62)이 황토(61) 및 단열구슬(62) 전체중량 대비 10중량%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황토층(60)의 단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단열구슬(62)이 황토(61) 및 단열구슬(62) 전체중량 대비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열구슬(62)과 황토(61)가 이질의 재질로 구성됨에 의해 부착강도 등에 문제가 있어 경화된 황토층(60)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고, 황토(60)의 친환경적, 친인체적 성질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본 예와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도 3b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의 경우도 상기 기본 예와 타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메탈라스(63)가 더 구성됨이 다르다.
도 3b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는 상기 메탈라스(63)가 상기 황토층(60) 전체 넓이에 걸쳐 구성되는 바,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황토층(60)의 높이 별로 하나 이상의 메탈라스(63)가 황토층(60)의 상면 및 하면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3b에서는 메탈라스(63)가 1개 구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메탈라스(63)의 재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유리섬유로 구성된 메탈라스(63)를 사용하여 황토(61)와의 부착력을 강화하고, 경화된 황토층(60)의 균열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메탈라스(63)에 의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단열구슬(62)이 메탈라스(63)의 망눈에 걸리도록 하여 메탈라스(63) 전체에 걸쳐 고르게 상기 단열구슬(62)이 안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황토층(60)을 구성하는 메탈라스(63)에 전체 넓이에 걸쳐 상기 단열구슬(62)이 고르게 안치되도록 함으로서 메탈라스(63)의 상부에 고르게 안치되는 단열구슬(62)에 기해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렇게 메탈라스(63)에 단열구슬(62)을 안치시킴에 의해 단열구슬의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황토층(60)을 시공할 시 먼저 메탈라스(63)를 설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으로 황토층(60)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에 메탈라스(63)를 황토층(60)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그 다음으로 단열구슬 및 황토를 충진하는 단계를 갖는 바, 본 단계에서는 단열구슬 및 황토가 혼입된 몰탈을 이용하여 메탈라스(63)가 설치된 거푸집에 충진함에 의해 충진과정에서 메탈라스(63)의 망눈에 단열구슬(62)이 걸리면서 황토(61)가 거푸집 전체에 걸쳐 충진이 되도록 할 수 있으나, 메탈라스(63) 상부에서 단열구슬(62)을 고르게 안치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메탈라스(63)에 먼저 단열구슬(62)을 고르게 안치하고, 그 후 황토(61)를 충진하여 황토층(60)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황토층(60)이 시공됨에 의해 고르게 분포된 단열구슬(62)에 기해 고른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단열층에 기해 그 하부의 무기질도막층(50) 및 아스팔트 도막층(40)에 열전달이 차단되어 열에 의한 방수층의 들뜸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메탈라스(63)의 망눈에는 복수의 전단봉(64)을 구성하여 메탈라스(63)와 황토층(60)의 황토(61) 간에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단력에 대한 보강을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슬래브층 20 : 프라이머층
30 : 아스팔트 도막층 40 : 화이버글라스층
50 : 무기질 도막층 60 : 황토층
100 : 통풍관 110 : 직관
130 : 연전달구 131 : 체결링
140 : 거름망

Claims (10)

  1. 슬래브층에 통풍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단계와;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아스팔트 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와;
    무기질도막을 도포하여 무기질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와;
    단열구슬이 포함된 황토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 후에는 화이버글라스를 도포하여 화이버글라스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을 시공하는 단계에는 수용성 아스팔트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슬래브층에 통풍관을 설치하는 단계에는 슬래브층에 천공을 하고 직관을 삽입한 후 상기 직관에서 방사형으로 슬래브층 표면에 접하도록 열전달라인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슬래브층에 통풍관을 설치하는 단계에는 슬래브층에 천공을 하고 직관을 삽입한 후 상기 직관의 일단에 역 "U"자형 관을 연결시공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 "U"자형 관에는 그 내주연에 거름망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7. 제 1항에 있어서,
    단열구슬이 포함된 황토층을 시공하는 단계에는 메탈라스를 설치하고 상기 메탈라스에 단열구슬을 안치한 후에 황토몰탈을 주입하여 황토층을 시공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8. 제 7항에 있어서,
    메탈라스를 설치하는 단계에는 메탈라스의 망눈에 복수의 전단봉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9. 일단이 슬래브층에 삽입고정 되는 직관과;
    상기 직관에 연결되는 역 "U"자형 관과;
    상기 역 "U"자형 관의 내주연에 구성되는 거름망과;
    상기 직관의 외주연에 구성되며 방사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열전달라인이 형성되는 열전달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사용되는 통풍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구는 상기 직관의 외주연에 삽입되는 체결링과 상기 체결링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열전달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에 사용되는 통풍관.
KR1020100053983A 2010-06-08 2010-06-08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 KR10120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83A KR101202853B1 (ko) 2010-06-08 2010-06-08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83A KR101202853B1 (ko) 2010-06-08 2010-06-08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54A KR20110134154A (ko) 2011-12-14
KR101202853B1 true KR101202853B1 (ko) 2012-11-22

Family

ID=4550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983A KR101202853B1 (ko) 2010-06-08 2010-06-08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8934B2 (en) * 2017-05-09 2021-04-27 Ido Agam Device for protecting of passages for utilities from entry of outdoor weather elements of adverse effects
CN113006388B (zh) * 2021-03-04 2022-06-10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倒置式上人饰面砖屋面暗埋排气管道隐形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74B1 (ko) 2006-04-12 2006-11-28 에이피에스엔지니어링(주)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KR100701866B1 (ko) 2005-04-29 2007-03-30 최낙영 단열방수패널과 이것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866B1 (ko) 2005-04-29 2007-03-30 최낙영 단열방수패널과 이것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50374B1 (ko) 2006-04-12 2006-11-28 에이피에스엔지니어링(주)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54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800B1 (ko) 내하력 및 내화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격자형 섬유메쉬와 시멘트 매트릭스를 보강재로 이용한 터널, 교량, 공동구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KR101586035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36887B1 (ko) 메쉬형 유리섬유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434523B1 (ko) 무기질계 시멘트 메트릭스와 코팅된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내진 보강공법
KR101395202B1 (ko) 탄소섬유 보강재 및 그리드형 섬유보강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0993743B1 (ko) 방수층 또는 마감재의 보호구조 및 그 방법
CN105756222A (zh) 一种抗风保温eps板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1029524A (zh) 带有预埋件的镶嵌砖、外墙外保温结构体及其施工方法
WO2011038654A1 (zh) 机械锚固加筋聚苯板的外保温墙体
KR20140116038A (ko) 자기 수평 모르타르와 단열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065470B1 (ko) 단열성능 및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건물의 옥상부 또는 외벽부의 보강공법
CN103228849A (zh) 用于隔热的建筑物外立面的隔热件,隔热复合系统以及用于制造隔热复合系统的方法
KR101202853B1 (ko) 친환경 복합단열 방수 시공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통풍관
CN110565974A (zh) 一种既有建筑结构的改造方法
KR100659476B1 (ko) 매트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JP2008231881A (ja) 外壁のはく落防止構造及びはく落防止工法
KR200405387Y1 (ko) 메쉬형 유리섬유시트
CN104018671B (zh) 采用水泥浆基体纤维布无胶约束混凝土柱及其制造方法
CN2926365Y (zh) 带有预埋件的镶嵌砖及其外墙外保温结构体
CN104032885A (zh) 一种预制轻型复合保温板
CN203742066U (zh) 结构保温一体化承压模板
CN213741745U (zh) 一种外墙保温结构
KR102063334B1 (ko) 친환경 고무아스팔트와 이지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N211396281U (zh) 一种加固型木结构柱
KR100798126B1 (ko) 경량 방수층을 이용한 방수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