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65B1 -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65B1
KR101202265B1 KR1020120092905A KR20120092905A KR101202265B1 KR 101202265 B1 KR101202265 B1 KR 101202265B1 KR 1020120092905 A KR1020120092905 A KR 1020120092905A KR 20120092905 A KR20120092905 A KR 20120092905A KR 101202265 B1 KR101202265 B1 KR 10120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fixing
groove
bos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2009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Abstract

길이조절장치를 신발의 중창 및 아웃솔에 접착제 등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함으로써, 번거러움을 줄이고 압력과 열에 의한 접착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신축되도록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부가 구비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연결되는 갑피부; 및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아웃솔의 후면측부를 관통하여 회전조절봉이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조절봉이 나사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되는 금속재질의 보스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length adjustable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조절장치를 신발의 중창 및 아웃솔에 접착제 등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함으로써, 번거러움을 줄이고 압력과 열에 의한 접착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보행을 하게 되면서 발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간섭물로부터 보호하며, 발바닥에 직접적으로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신발을 신고 보행을 하였다. 이러한 신발은 착용자에 따라 남녀노소할 것 없이 발사이즈 및 디자인형태, 또는 기능적인 면에서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신발의 종류로는 운동화, 구두, 그리고 슬리퍼 등이 있으며, 신발을 신는 용도에 따라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정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각종 용도의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신발은 발을 감싸 보호하면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는 상부의 일정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내부 공간이 밀폐된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신발의 상부를 통해 사람의 발을 삽입시킨 후 신발을 신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신발은 발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신발의 각 사이즈 간에 일정한 치수(일반적으로 약 5~10mm)를 갖도록 단계적으로 신발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신발이 제작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발의 사이즈가 연속되지 못하고 일정 치수씩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획일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첫째, 착용자 개개인의 발에 맞는 신발을 고르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발 착용자에 따라 좌,우측 발 사이즈가 재각기 다른 이에 있어서는 신발을 별도로 한 켤레 더 구입하여야 하거나 맞추어 착용하는 예가 대부분으로서 비용이 그만큼 추가로 들면서 맞지 않는 새 신발은 버려져야 하기 때문에 2배에 달하는 신발 구입가격에 부담이 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성장기가 지난 어른과 달리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발의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착용하는 기간이 대부분 짧아 신발을 오랫동안 착용하고 다님으로써 바닥이 닳거나 해지는 경우가 드물게 되어 한 해 또는 그 이듬해까지 신고서 버리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는 점차적으로 많아지는 인구에 비해 한 번 버려진 신발은 재사용할 수가 없게 되므로 이로 인한 신발 착용에 있어 적지 않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신발의 길이 및 폭을 조절하는 신발을 특허출원(등록특허 제10-0314826호)하였다.
상기의 특허출원(등록특허 제10-0314826호)은 신발의 중창을 전,후 방향으로 구획 형성함과 함께 상기 구획된 중창의 소정위치에 중창길이를 소정길이만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길이조절수단에 따라 신발의 갑피부와 아웃솔 부위에는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벨로우즈 형상인 신축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의 길이조절장치는 더브테일홈과, 렉기어가 형성된 사각형상을 조절길이공과, 고정기어가 형성된 고정키로 구비된 제1중창고정부; 길이조절공의 랙기어와 고정기어에 치합 설치되고 상면에 십자홈이 형성된 소정직경의 평기어와, 안착홈과, 더브테일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된 제1중창조절부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신발에서 길이조절수단의 제1중창조절부의 평기어를 회전시키면 평기어와 치합된 랙기어와 고정기어에 의하여 제1중창고정부의 더브테일홈을 따라 제1중창조절부의 더브테일이 안내를 받으면서 제1중창고정부로부터 제1중창조절부를 적정길이 즉, 중창의 길이를 적정 길이로 가변시킴과 동시에 길이가 가변되는 중창에 의하여 갑피부와 아웃솔의 각 신축부는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출원에 의한 신발은 길이조절장치의 평기어에 치합된 랙기어와 고정기어가 맞물린 상태임에 따라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각 기어 간의 마모로 인해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조절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함은 물론 제1중창고정부에서 고정기어를 갖는 고정키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므로 절단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평기어에 랙기어와 고정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각 기어간의 결합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을 특허출원(공개특허 제10-2012-0020345호)하였다.
아웃솔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아웃솔조절홀과, 길이조절장치의 고정부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웃솔조절홀과 일치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조절홀을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길이조절장치의 이동부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조절홀과 일치되도록 보스부조절홀을 갖는 보스부와, 상기 길이조절장치의 저면에는 상기 아웃솔조절홀과 고정부재의 고정부조절홀 및 보스부의 보스부조절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동부가 왕복이동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회전조절봉과, 상기 회전조절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아웃솔의 외부에서 회전조절봉의 회전을 조작하도록 하는 길이조작부로 구성된 왕복이동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실발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출원에 대한 신발은 상기 길이조절장치를 신발의 중창에 고정함에 있어 접착제 등의 부가적인 도구를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부가적인 도구를 이용하더라도 장시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거나 지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열에 의해 상기 접착제가 접착력을 상실할 경우 상기 길이조절장치가 중창에서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신발, 즉 길이가 조절되는 신발에 대해 오랫동안 다양한 구조 및 방법으로 개발, 연구하였으며, 상기에서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출원한 발명의 각 구성들을 조합함은 물론 한층 개량된 새로운 구조를 개발하여 최적의 상태를 갖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3361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조절장치를 신발의 중창 및 아웃솔에 접착제 등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함으로써, 번거러움을 줄이고 압력과 열에 의한 접착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신축되도록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부가 구비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연결되는 갑피부; 및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아웃솔의 후면측부를 관통하여 회전조절봉이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조절봉이 나사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되는 금속재질의 보스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스부의 외측면에는 구속돌기와 구속홈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시 수평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구속돌기 및 상기 구속홈에 형합되는 형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의 외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형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스부의 수직방향 삽입시 탄발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기 보스부를 고정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솔의 후단부 내측테두리에는 제1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에 상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고정부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 전단부의 중앙부에는 제2고정돌기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이동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동부고정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장치의 상부에는 중창이 구비되되, 상기 중창의 하면에 형성되는 중창하향돌기에 형합되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는 이동부상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고정부상측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은 아웃솔 상부, 중창 하부, 그리고 길이조절장치에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접착제 등의 부가적인 도구를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임으로써 제작공정의 비용 및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길이조절장치 및 보스부의 결합시 보스부는 구속홈, 구속돌기, 그리고 걸림홈을 이동부의 형합홈에 형합되어 결합됨으로써, 압력과 열에 의한 접착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의 내구성을 상승하여 사용자의 쾌적한 보행이 보장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전후 이동에 따라 아웃솔신축부 및 중창신축부와 연동되어 확실히 신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아웃솔 및 중창은 접착제 등의 도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결합되므로, 상기 접착제의 접촉으로 인한 피부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의 길이조절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의 길이조절시 상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장치 및 아웃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 길이조절장치, 그리고 중창의 측면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의 길이조절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의 길이조절시 상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10)은 아웃솔(20), 갑피부(35), 중창(40), 그리고 길이조절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아웃솔(20)은 상기 신발(10)의 하부에 쿠션성을 갖고 지면과 맞닿게 구비되되, 상기 아웃솔(2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아웃솔(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하는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복수개의 주름 등으로 형성된 아웃솔신축부(27)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아웃솔신축부(27)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휘어지는 복수개의 주름돌출부(27a)와, 상기 각 주름돌출부(27a)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각 주름돌출부(27a)를 서로 연결하고, 그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골부(27b)가 연이어지게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갑피부(35)는 상기 아웃솔(20)의 상부에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연결되되, 상기 갑피부(35)의 중앙부에는 선택적으로 신축하여 상기 갑피부(35)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갑피신축부(3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갑피신축부(37)는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스판으로 설치되고, 상기 아웃솔신축부(27)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신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창(40)은 상기 아웃솔(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중창신축부(4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창(40)의 하면부에는 상기 길이조절장치(50)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아웃솔(20)의 상면에는 상기 아웃솔신축부(27), 상기 갑피신축부(37), 그리고 상기 중창신축부(47)를 신축하기 위하여 상기 신발(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상기 길이조절장치(50)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장치(50)는 고정부(60), 이동부(70), 보스부(80), 그리고 회전조절봉(9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장치(50)는 상기 아웃솔(20)의 상부 및 중창(4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아웃솔(20) 및 중창(40)의 전후단부에 각각 상기 길이조절장치(50)의 전후단부로 구비되는 상기 이동부(70) 및 고정부(60)가 연결되어 연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70) 및 고정부(6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70) 및 고정부(60)에 각각 고정되는 상기 보스부(80) 및 회전조절봉(90)이 구비되되, 그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된다.
또한, 상기 보스부(80)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70)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전후방향으로 상기 회전조절봉(90)의 조절부에 의해 나사 결합되도록 보스부조절홀(8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절봉(90)은 길이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부(60)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70)에 결합되는 상기 보스부(80)에 나사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조절봉(90)은 상기 아웃솔(20) 발 뒤꿈치 부분의 후면측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조절봉(90)의 후방측에는 길이조작부(95)가 결합되어, 상기 길이조작부(9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봉(90)을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작부(9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봉(90)은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길이조절장치(50)는 상기 신발(1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60)와 상기 신발(10)의 전단부 결합되는 상기 이동부(70)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회전조절봉(90)과 상기 보스부(80)의 전후 방향의 나사 이동을 통하여, 상기 신발(1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70) 및 보스부(80)의 결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보스부(80)의 외측면에는 구속돌기(82)와 구속홈(84)이 교번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70)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부(8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시 수평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보스부(80)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구속돌기(82) 및 구속홈(84)에 형합되는 형합홈(7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형합홈(72)은 상하로 개구되는 홀이 형성되되, 후방측 및 전방측의 면을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스부(80)는 상기 형합홈(72)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하로 이어지는 상기 구속돌기(82) 및 구속홈(84)에 의해, 상기 형합홈(72)에 전후 방향으로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부(80)는 상기 형합홈(72)에 삽입되어 상기 형합홈(72)의 내벽면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80)의 외측면에는 걸림홈(88)이 형성되며, 상기 형합홈(72)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스부(80)의 수직방향 삽입시 탄발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홈(88)에 결합되어 상기 보스부(80)를 고정하는 걸림돌기(7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걸림홈(88)은 상기 보스부(80)의 외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형합홈(72)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78)에 밀착하여, 상기 보스부(80)는 상기 형합홈(88)에 결합됨으로써 하측 방향으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스부(80)는 자중 및 상측의 상기 중창(40) 및 발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스부(80)는 상기 이동부(70)에 수직방향 삽입시 상기 구속돌기(82) 및 구속홈(84)을 상기 형합홈(72)에 형합되게 하여 수평 방향으로 결합력을 가지고, 상기 걸림홈(88)을 상기 걸림돌기(78)에 형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부(80)는 접착제 등의 부가적인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이동부(70)에 결합되므로, 압력과 열에 대한 내구성을 상승하여 사용자의 쾌적한 보행이 보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장치 및 아웃솔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웃솔(20)과 상기 길이조절장치(5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아웃솔(20)에는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길이조절장치(50)에는 홈 및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고정돌기(22)는 상기 아웃솔(20)의 후단부 내측테두리에 돌출되고, 일정한 면적으로 상하로 이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돌기(22)에 상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고정부측면홈(62)은 상기 고정부(60)의 측면에 일정한 면적으로 상하로 이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고정돌기(22) 및 고정부측면홈(62)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결합력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제1고정돌기(22)의 사이드 양면이 외측 방향으로 확대되고, 상기 고정부측면홈(62)의 사이드 양면이 내측 방향으로 확대되는 더브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돌기(23)는 상기 아웃솔(20) 전단부의 중앙부에 상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돌기(2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동부고정홀(73)은 상기 이동부(70)의 중앙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고정돌기(23) 및 이동부고정홀(73)은 전후방향으로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좌우 방향의 홈모서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장치(50)는 상기 아웃솔(20)의 상부에 돌출되는 상기 제1,2고정돌기(22,23)에 형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측면홈(62) 및 이동부고정홀(7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웃솔(20)과의 결합력을 상승시키되. 접착제 등의 부가적인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되어, 제작공정의 비용 및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 길이조절장치, 그리고 중창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장치(50)는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중창(40)과의 밀착결합을 위하여, 고정부상측홈(66)은 상기 고정부(60)의 상면에 형성되고, 이동부상측홈(76)은 상기 이동부(70)의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상측홈(66) 및 이동부상측홈(76)은 상기 길이조절장치(50)의 길이조절에 따른 전후 방향으로 상기 중창(40)에 길이조절의 전달력이 상승되도록 좌우 방향의 홈모서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창하향돌기(46)는 상기 중창(4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상측홈(66) 및 이동부상측홈(76)에 각각 형합되도록 제1,2중창하향돌기(46a,46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장치(50)는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아웃솔신축부(27) 및 중창신축부(47)와 연동되어 확실히 신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아웃솔(20) 및 중창(40)은 접착제 등의 도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결합되므로, 상기 접착제의 접촉으로 인한 피부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조절봉(90) 및 길이조절장치(50)의 결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절봉(90)과 상기 고정부(60)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봉(90)은 중앙측에 상기 고정부조절홀(69)보다 굵은 직경의 조절걸림부(9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조절홀(69)의 정면측에 밀착되고, 후방측에 상기 고정부조절홀(69) 및 아웃솔조절홀(29)을 관통하는 조작돌기부(92)에 결합되는 상기 길이조작부(95)가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절봉(90)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동부조절홀(79), 상기 보스부조절홀(89), 상기 고정부조절홀(69), 그리고 상기 아웃솔조절홀(29)을 정면측에서 순서대로 관통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조절봉(90)은 상기 고정부조절홀(69) 및 아웃솔조절홀(29)에 왕복 이동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전방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상기 보스부조절홀(89)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골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작부(9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봉(90)은 연동하여 회전되어 상기 이동부(7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60) 및 이동부(70)의 슬라이딩 결합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0) 정면부에는 가이드홈부(5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51a)의 양측에는 내측면과 정면측이 개구된 안내홈(53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70)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부(51a)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부(51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51b)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53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는 안내부(5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20: 아웃솔
22: 제1고정돌기 23: 제2고정돌기
27: 아웃솔신축부 29: 아웃솔조절홀
35: 갑피부 37: 갑피신축부
40: 중창 46: 중창하향돌기
47: 중창신축부 50: 길이조절장치
60: 고정부 62: 고정부측면홈
66: 고정부상측홈 69: 고정부조절홀
70: 이동부 72: 형합홈
73: 이동부고정홀 76: 이동부상측홈
78: 걸림돌기 79: 이동부조절홀
80: 보스부 82: 구속돌기
84: 구속홈 88: 걸림홈
89: 보스부조절홀 90: 회전조절봉
91: 조절걸림부 92: 조작돌기부
95: 길이조작부

Claims (5)

  1.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신축되도록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부가 구비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인체의 발을 감싸도록 연결되는 갑피부; 및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아웃솔의 후면측부를 관통하여 회전조절봉이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조절봉이 나사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되는 금속재질의 보스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외측면에는 구속돌기와 구속홈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스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시 수평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구속돌기 및 상기 구속홈에 형합되는 형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외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형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스부의 수직방향 삽입시 탄발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기 보스부를 고정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후단부 내측테두리에는 제1고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에 상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고정부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 전단부의 중앙부에는 제2고정돌기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이동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동부고정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의 상부에는 중창이 구비되되, 상기 중창의 하면에 형성되는 중창하향돌기에 형합되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는 이동부상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고정부상측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20120092905A 2012-08-24 2012-08-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120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05A KR101202265B1 (ko) 2012-08-24 2012-08-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05A KR101202265B1 (ko) 2012-08-24 2012-08-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265B1 true KR101202265B1 (ko) 2012-11-16

Family

ID=4756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905A KR101202265B1 (ko) 2012-08-24 2012-08-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24B1 (ko) * 2012-12-27 2014-12-05 (주)한나산업 미끄럼 방지효율을 높인 전투화 밑창
KR102108372B1 (ko) 2019-09-09 2020-05-07 서영민 치수변경형 신발
KR102145754B1 (ko) 2019-12-18 2020-08-19 이지연 손을 이용하지 않는 신축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착용이 용이한 신발
KR102227491B1 (ko) * 2019-09-11 2021-03-17 배효만 가변형 신발
WO2022186402A1 (ko) * 2021-03-03 2022-09-09 배효만 가변형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8385A (en) 1995-03-09 2000-10-31 Puma Aktieng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hoe sole, and shoe with such a sole
KR200364758Y1 (ko) 2004-07-13 2004-10-16 주식회사 신경화학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0745006B1 (ko) 1999-11-12 2007-08-02 해리 밀러 컴퍼니, 인크. 신축 가능한 신발 및 신발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8385A (en) 1995-03-09 2000-10-31 Puma Aktieng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hoe sole, and shoe with such a sole
KR100745006B1 (ko) 1999-11-12 2007-08-02 해리 밀러 컴퍼니, 인크. 신축 가능한 신발 및 신발 조립체
KR200364758Y1 (ko) 2004-07-13 2004-10-16 주식회사 신경화학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신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24B1 (ko) * 2012-12-27 2014-12-05 (주)한나산업 미끄럼 방지효율을 높인 전투화 밑창
KR102108372B1 (ko) 2019-09-09 2020-05-07 서영민 치수변경형 신발
KR102227491B1 (ko) * 2019-09-11 2021-03-17 배효만 가변형 신발
KR102145754B1 (ko) 2019-12-18 2020-08-19 이지연 손을 이용하지 않는 신축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착용이 용이한 신발
WO2022186402A1 (ko) * 2021-03-03 2022-09-09 배효만 가변형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97267B1 (en) Footwear article with doffing ledge
KR10120226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ES2624137T3 (es) Calzado
US8732982B2 (en) Footwear
EP3892146A1 (en) Foot support members that provide dynamically transformative properties
CA3135709A1 (en) Adjustable footwear
KR20210113982A (ko) 칼라 엘리베이터를 지닌 신발류 물품
EP3110276B1 (en) 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20160147227A (ko) 크기 조절 가능한 맞춤 신발
KR101240336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1075789B1 (ko) 발 폭의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KR101184110B1 (ko) 기능성 건강 신발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1314663B1 (ko) 일체결합형 휴대용 신발
JP2016193160A (ja) 運動能力向上インソールとそれを使用した運動シューズ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KR101068228B1 (ko) 착탈 가능한 이동형 지압기구를 구비하는 기능성 신발
KR101131280B1 (ko)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KR101726096B1 (ko) 구두
KR20180055769A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JP2005279188A (ja) 外反母趾矯正履物
KR200375314Y1 (ko) 신발
JP6894117B2 (ja) インソール、当該インソールを用いた履物、及び履物
KR200317986Y1 (ko) 구두의 밑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