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501B1 -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501B1
KR101201501B1 KR1020120055547A KR20120055547A KR101201501B1 KR 101201501 B1 KR101201501 B1 KR 101201501B1 KR 1020120055547 A KR1020120055547 A KR 1020120055547A KR 20120055547 A KR20120055547 A KR 20120055547A KR 101201501 B1 KR101201501 B1 KR 10120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real
echo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선
허원녕
Original Assignee
(주)디지털초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털초음파 filed Critical (주)디지털초음파
Priority to KR102012005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6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spectral analysis, e.g. Fourier analysis or wavelet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3Analysing solids in the interior, e.g. by shear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2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electronic orientation or focusing, e.g. with phased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4Internal reflections (echoes), e.g. on walls or de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파이프의 이상 여부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위상배열탐촉자의 한 채널신호를 선택하여 그 위상을 지연시킨 후 다른 채널신호에 더하는 과정과, 이 더하기 과정의 출력신호와 함께 두 입력신호들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더하기과정에서 한 쌍의 입력에코의 위상차로 출력에코의 피크진폭은 에코의 진행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이들 세 에코 모두를 모니터에 표시하면, 보강간섭은 정방향에코를, 상쇄간섭은 역방향에코를 나타내므로 개별수신에코의 진행방향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Identification of the Receive Echo Propagation Directions in Long-Range Ultrasonic Testing}
본 발명은 원거리초음파검사(LRUT, Long-Range Ultrasonic Testing)에서 결함신호의 식별을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상배열 초음파탐촉자(Phased Array Ultrasonic Probe)에 의해 탐지된 에코들의 진행방향을 검사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LRUT는 파이프라인, 튜브, 봉, 로프, 판 등과 같이 경계를 갖는 구조물 요소에서 그 경계에 의해 안내되어 그 길이를 따라 멀리 전파되는 낮은 (보통 100 kHz 이하) 주파수의 탄성피도파(Guided Elastic Waves)를 이용하여 구조물두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결함들을 원거리에서 탐지함으로써 구조물안전성을 진단하거나 감시하는 초음파 비파괴검사 방법의 하나이다.
효율적인 LRUT를 위해서는 구조물의 치수나 주파수에 따라 그 전파속도가 변하지 않고, 구조물 내/외부 표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유체에 둔감하며, 불연속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다른 모드로 변할 가능성이 낮은 특성들을 갖는 단일모드 피도파를 이용해야한다.
기본비틀림모드(Fundamental Torsional Mode: T(0,1)모드)와 기본수평횡모드(Fundamental Shear Horizontal Mode: SH0모드) 피도파들이 각각 원통형 구조물과 판형 구조물의 LRUT에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왔다.
LRUT에서는 일정한(보통 중심주파수에서의 1/4 파장에 해당되는) 간격을 갖고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동일한 초음파변환기(Ultrasonic Transducer)들로 구성된 위상배열탐촉자(Phase Array Probe)를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라인에 대한 LRUT의 경우, 파이프라인의 한 위치에서 그 원주를 감싸는 링(Ring)형태의 변환기들로 구성된 탐촉자를 주로 사용한다. 위상배열이론에 따라 운영될 때, 이 탐촉자는 그 좌측 혹은 우측의 한 방향을 향하여 T(0,1)모드 펄스를 우세하게 송신하고 용접부, 부착물, 결함 등과 같은 불연속들에 의해 반사되어 의도된 송신펄스 진행방향과 반대로 진행하는 에코들을 우세하게 탐지할 수 있다.
이 같은 송/수신 방향성 조종능력은 변환기 링의 수가 많을수록 좋아지지만 이 수는 비용과 허용될 수 있는 탐촉자의 폭에 의해 제한된다. 그래서 LRUT 시스템의 방향성 조종능력은 일반적으로 완전하지 못하며 이 불완전성 때문에 의도된 것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송신펄스나 에코들에 기인한 역방향(Reverse Direction)에코신호들이 시스템 모니터에 종종 나타난다.
그래서 효율적인 LRUT를 위해서는 이 역방향에코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탐촉자의 위치선정과 시스템수신신호에서 개별 에코들에 대한 진행방향식별이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에 사용되는 용어들의 정의를 보여주는 도식도로서, 에코진행방향에 대한 용어들(정방향 및 역방향)의 정의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여기서는 중심주파수에서의 1/4 파장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동일한 변환기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위상배열탐촉자에 대해 이 정의를 설명한다.
도 1에 표시된 송신펄스 진행방향은 의도된 검사영역이 위상배열탐촉자의 우측임을 가리킨다. 그래서 이 경우, 정방향에코(Forward Direction Echo)는 검사영역에 있는 불연속으로부터 반사되어 위상배열탐촉자를 향해 되돌아오는 에코, 즉 음의(Negative) 방향으로 진행하는 에코이고, 반대로 역방향에코는 위상배열탐촉자 좌측영역에 있는 불연속으로부터 반사되어 양의(Positive) 방향으로 진행하는 에코이다.
물론 위상배열탐촉자의 좌측영역을 검사하고자 할 때, 의도된 송신펄스의 진행방향과 에코진행방향에 대한 정의는 도 1에 표시된 것들과 반대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원거리초음파검사에의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1)를 도 2를 통하여 살펴보면, 위상배열탐촉자(2)의 채널(3,4)을 선택하여 의도하는 송신펄스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스위치(5)를 가진다.
상기 스위치(5)에 의하여 위상배열탐촉자(2)의 채널(3,4) 중 선택된 채널신호 위상을 지연시키기 위한 위상지연기(6)와, 상기 위상지연기(6)에 의하여 지연된 신호를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더하기 위한 합파기(7)와, 합파된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8)와, 변환된 신호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모니터(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거리초음파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실험 예를 보여주기 위해, 1m 길이의 파이프를 엘보(Elbow)의 일단에 연결하고, 엘보의 다른 단에는 6m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3개를 용접으로 직렬 연결하여 구성된 외경 8inch, 두께는 8mm의 파이프시편을 준비하였다.
이 시편의 양쪽 끝을 PE1과 PE2라 하고, 직선파이프를 연결한 용접부는 W1과 W2라 하고, 엘보의 양단 용접부를 EW2와 EW1으로 명명하고, W2 용접부 좌측 1.5m 위치에 위상배열탐촉자를 설치하여 초음파{펄스 64-kHz, 2-cycle /에코방식으로 T(0,1)모드}를 송/수신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위상배열탐촉자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에 대한 비디오형태의 시스템 수신신호들을 한 그래프로 합성하여 보여주게 된다.
여기서 MB는 메인 뱅 에코를 가리키며, 시편 양끝(PE1, PE2)과 용접부(W1, W2, EW1, EW2)들에 대한 정방향 에코들을 명확히 볼 수 있다.
나머지 다섯 에코들(X1, X2, X3, Y1, Y2)은 역방향 에코들이며, Xi 에코들은 송신방향조종의 불완전성에 기인 되어 PE2, W2, W1으로부터 반사된 것들이고, Yi 에코들은 위상배열탐촉자 근처의 두 용접부(W1과 W2) 사이에서 이중반사에 기인 된 것들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실제검사에서는 이들 시스템신호를 현장에서 즉각적인 비교가 어려울 뿐 아니라 결함 에코들이 유사한 크기의 역방향 에코들 사이에 나타날 수 있기에 그들의 구별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역방향에코들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역방향으로 진행한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송신펄스가 불연속들에 의해 반사된 후 탐촉자를 향하여 진행하는 것들이고 다른 하나는 정방향으로 진행한 송신펄스가 불연속들에 의해 반사된 후 탐촉자를 지나 다른 불연속들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탐촉자를 향하는 것들이다.
전자는 송/수신의 두 과정 모두에서 방향성조종의 불완전성에, 후자는 탐촉자 좌/우측에 있는 불연속사이의 이중반사와 수신과정에서의 방향성조종의 불완전성에 주로 기인한 것들이다.
개별수신에코의 진행방향은 다음과 같은 과정들에 의해 식별되어왔다.
1) 탐촉자 좌/우측에 있는 용접부, 지지대, 플랜지 등과 같은 기하학적 불연속들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수집한다.
2) 탐촉자의 좌측 혹은 우측의 한 검사영역에 대한 신호데이터를 수집한다.
3) 탐촉자의 반대편 검사영역에 대한 신호데이터를 수집한다.
4) 기하학적 불연속들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참고하여 탐촉자 좌/우측에 대한 두 검사데이터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개별에코신호들을 기하에코신호, 역방향에코신호, 결함에코신호 등으로 식별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식별기술에서, 과정 4)는 검사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행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별도의 신호분석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요구하여 왔으며, 또한 잘못된 식별을 피하기 위해서는 신호분석과정에 상당한 시간과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파이프의 유지보수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정상과 비정상의 판단 오류로 인한 작업지연과 오 작업으로 야기되는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위상배열탐촉자의 한 채널신호를 선택하여 그 위상을 지연시킨 후 다른 채널신호에 더하는 과정과, 이 더하기 과정의 출력신호와 함께 두 입력신호들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더하기과정에서 한 쌍의 입력에코신호의 위상차로 인하여 출력에코신호의 피크진폭은 에코의 진행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이들 세 에코신호 모두를 모니터에 표시하면, 보강간섭은 정방향에코를, 상쇄간섭은 역방향에코를 나타내므로 개별수신에코의 진행방향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서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파이프의 이상 여부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위상배열탐촉자의 변환기 간격에 기인한 위상차를 보상한 후 구성신호들을 더하는 과정에서 그 출력신호와 함께 입력신호들을 시스템모니터에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개별 에코들의 진행방향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방법은 신호분석을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검사현장에서 수신에코 진행방향의 즉각적이고도 손쉬운 식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검사결과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 검사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에 사용되는 용어들의 정의를 보여주는 도식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인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수신신호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도시한 하드웨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도시한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신신호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이용하여 실험한 시편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도시한 하드웨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도시한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신신호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를 이용하여 실험한 시편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100)는, 위상배열탐촉자(101)의 채널(102,103)을 선택하여 의도하는 송신펄스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스위치(104)를 가진다.
상기 스위치(104)에 의하여 위상배열탐촉자(101)의 채널(102,103) 중 선택된 채널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기 위한 위상지연기(105)와, 상기 위상지연기(105)에 의하여 지연된 신호를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더하기 위한 합파기(106)와, 합파된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07)와, 변환된 신호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모니터(108)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104)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07) 사이에 위상지연기(105)와 합파기(106)에 의하여 위상이 지연되어 다른 채널신호와 더하여진 신호와 더불어 두 채널(102,1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함께 표시하기 위한 출력스위치(110)를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성과는 다른 실시예로서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의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1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상배열탐촉자(101)의 각각의 채널(102,103)에 의하여 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07) 이후부터 모니터(108) 전까지의 모든 과정들은 LabView2011 소프트웨어(미국 National Instrument)의 사용에 의해 구현되었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07)의 후방에는 입력부분의 두 채널(102,103)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20)와, 상기 스위치(120)에 의해 선택된 신호들을 주파수의 함수로 변환하기 위한 고속푸리에변환기(121, FFT = Fast Fourier Transform)를 배열한다.
상기 고속푸리에변환기(121)를 통하여 푸리에(Fourier)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의 진폭 및 위상 성분들을 얻고, 위상보상(Phase Compens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지연기(122)와 위상보상 후의 각 신호들을 복소수형태로 변환하는 복소수변환기(123)와 복소수로 변환된 두 신호들 더하기 위한 합파기(124)를 배열한다.
상기 합파기(124)의 출력을 시간영역에서의 복소수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역푸리에변환기(125, IFFT -= Inverse Fourier Transform)과, 잡음들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폭(Bandwidth, BW)통과 필터(126)를 가지도록 한다.
역푸리에변화기(125)로부터 얻어진 복소수신호의 실수성분(127)을 취함으로써 RF신호를 얻고 절대크기성부(128)을 취함으로써 비디오신호를 얻어 모니터(108)에 나타내게 되며, 더하기과정의 두 입력신호에 대해서도 더하기 과정의 출력과 동일한 과정들을 수행한 후 그 결과들을 모니터(108)에 표시한다.
상기 합파기(124)와 필터(126) 사이에는 필터를 경유할 것인지와 역푸리에변환기(125)의 후방에 RF신호 또는 비디오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치(130)를 배열함은 당연할 것이다.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이 과정들은 훨씬 더 유연하고 효율적인 신호처리가 가능한데 이는 주로 필터특성과 파형의 자유로운 선택에 기인한다.
선택스위치를 사용하여 한 채널신호를 선택하고 그 위상을 90도 지연시키는 과정과 위상이 지연된 신호를 다른 채널신호에 더하고, 이 신호 더하기과정의 출력만을 시스템화면에 나타내었던 기존의 과정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의 과정은 이 신호더하기과정의 출력신호와 함께 그 입력신호들을 모니터에 함께 표시한다.
그래서 3개 이상의 채널들을 갖는 A/D변환기와 모니터가 요구된다. 신호더하기과정 후의 스위치들은 개별변환기채널이 동일한 이름의 모니터채널에 연결되도록 조종된다.
그래서 신호더하기과정 전이나 후의 두 스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쪽 혹은 아래쪽의 두 스위치들은 같은 방향으로 공시적으로(Synchronically) 움직인다.
도 4의 예로써, 채널2 신호가 위상지연과정으로 들어가도록 선택스위치들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정/역방향에코들의 진행방향은 도 1에 나타내었던 것과 같다.
그러므로 중심주파수에서, 정방향에코에 대한 채널2 변환기신호의 위상은 채널1 변환기신호의 위상보다 90도 앞설 것이고 반대로 역방향에코에 대한 채널2 변환기신호의 위상은 채널1 변환기신호의 위상보다 90도 뒤질 것이다.
위상지연회로가 채널2 변환기신호의 위상을 90도 지연시키면, 신호더하기과정에서의 한 쌍의 입력에코의 위상차는 거의 0도이거나 180도가 되어 그 출력에코의 피크진폭은 수신에코의 진행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이는 신호더하기과정의 출력신호와 함께 두 입력신호를 검사시스템화면에 표시하면, 개별수신에코의 진행방향을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구성에코신호들의 보강간섭은 정방향에코를 가리킬 것이고 그들의 상쇄간섭은 역방향에코를 의미할 것이다.
즉, 위상배열탐촉자의 구성변환기들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변환기신호들의 위상을 보상한 후 구성신호들을 더하는 과정에서의 출력신호와 함께 입력신호들을 RF형태나 비디오형태로 시스템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력에코신호가 상기 구성에코신호들의 보강간섭의 결과인지 혹은 소멸간섭의 결과인지로부터 수신에코의 진행방향을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험예.
제안된 개념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실험 예와 동일한 조건을 가지는,
1m 길이의 파이프를 엘보(Elbow)의 일단에 연결하고, 엘보의 다른 단에는 6m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3개를 용접으로 직렬 연결하여 구성된 외경 8inch, 두께는 8mm의 파이프시편을 준비하였다.
이 시편의 양쪽 끝을 PE1과 PE2라 하고, 직선파이프를 연결한 용접부는 W1과 W2라 하고, 엘보의 양단 용접부를 EW2와 EW1으로 명명하고, W2 용접부 좌측 1.5m 위치에 위상배열탐촉자를 설치하여 초음파{펄스 64-kHz, 2-cycle /에코방식으로 T(0,1)모드}를 송/수신하였다.
이를 도 3은 이 실험의 결과로써, 위상배열탐촉자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에 대한 비디오형태의 시스템수신신호들을 한 그래프로 합성하여 보여준다.
여기서 MB는 메인 뱅 에코(위상배열탐촉자)를 가리키며, 시편 양끝(PE1, PE2)과 용접부(W1, W2, EW1, EW2)들에 대한 정방향 에코들을 명확히 볼 수 있다.
나머지 다섯 에코들(X1, X2, X3, Y1, Y2)은 역방향 에코들이며, X1, X2 에코들은 송신방향조종의 불완전성(송신방향의 불완전)에 기인되어 PE2, W2, W1으로부터 반사된 것들이고, Y1, Y2 에코들은 위상배열탐촉자 근처의 두 용접부(W1과 W2) 사이에서 이중반사(송신방향이 정확하여도 다중반사로 인한)에 기인 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우에는, 더하기과정을 통한 신호(도면상에서는 검은색으로 표시)와 채널1(102)의 입력신호(도면상에서는 붉은 색으로 표시)와 채널2(103)의 입력신호(도면상에서는 녹색으로 표시)를 동시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든 정방향 에코에 대해 출력신호(검은색으로 표현된 PE1, PE2, W1, W2, EW1, EW2)의 피크 진폭은 입력신호들의 그것보다 훨씬 크지만 모든 역방향에코에 대해 출력신호(X1, X2, Y1, Y2)의 피크 진폭은 한 구성신호의 그것보다 작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개별에코들의 진행방향에 대한 실시간식별이 가능하며, 신호의 종류를 다양한 종류의 선의 형태로 나타낼 수도 있으나 시각적으로 선명하고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색상으로 표현할 경우에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파이프의 이상 여부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실시간식별장치
105,122; 위상지연기
106, 124; 합파기
107;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121; 고속푸리에변환기
123; 복소수변환기
125; 역푸리에변환기
127; 실수성분
128; 절대크기성분

Claims (3)

  1. 위상배열탐촉자의 구성변환기들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변환기신호들의 위상을 보상한 후 구성신호들을 더하는 과정에서의 출력신호와 함께 입력신호들을 RF형태나 비디오형태로 시스템모니터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신호가 상기 구성신호들의 보강간섭의 결과인지 혹은 소멸간섭의 결과인지로부터 수신에코의 진행방향을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2. 위상배열탐촉자의 채널을 선택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위상배열탐촉자의 채널 중 선택된 하나의 채널 위상을 지연시키기 위한 위상지연기와;
    상기 위상지연기에 의하여 지연된 신호를 다른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더하기 위한 합파기와;
    합파된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변환된 신호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모니터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사이에 위상지연기와 합파기에 의하여 위상지연되고 다른 채널신호와 더하여진 신호와 더불어 두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모니터에 함께 표시하기 위한 출력스위치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
  3. 위상배열탐촉자의 각각의 채널에 의하여 선택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의 후방에 입력부분의 두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신호들을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고속푸리에변환기와;
    상기 고속푸리에변환기를 통하여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의 진폭 및 위상 성분들을 얻고, 위상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지연기와;
    위상지연 한 후 각 신호들을 복소수형태로 변환하는 복소수변환기와;
    복소수로 변환된 두 신호들 더하기 위한 합파기와;
    상기 합파기에 의하여 두 신호를 더하기과정의 출력을 시간영역에서의 복소수신호를 얻기 위한 역푸리에변환기와;
    잡음들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폭통과 필터와;
    역푸리에변환기로부터 얻어진 복소수신호의 실수성분을 취함으로써 RF신호를 얻고 절대크기성분을 취하여 비디오신호를 얻어 모니터에 나타내도록 하고;
    상기 더하기과정의 두 입력신호에 대해서도 더하기 과정의 출력과 동일한 과정들을 수행하여 모니터에 표시하고;
    상기 합파기와 필터 사이에 배열하여 필터를 경유할 것인지와;
    상기 역푸리에변환기의 후방에 배열하여 RF신호 또는 비디오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장치.
KR1020120055547A 2012-05-24 2012-05-24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 KR10120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47A KR101201501B1 (ko) 2012-05-24 2012-05-24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47A KR101201501B1 (ko) 2012-05-24 2012-05-24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501B1 true KR101201501B1 (ko) 2012-11-14

Family

ID=4756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547A KR101201501B1 (ko) 2012-05-24 2012-05-24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393A (ko) * 2014-11-10 2016-05-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일러 수벽관의 원주파 공명검사방법 및 장치
KR101656368B1 (ko) * 2015-11-05 2016-09-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거리 초음파 검사에서 송수신 지향성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200016A (zh) * 2021-10-18 2022-03-18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岩石锚杆的双通道无损检测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640A (ja) 2001-02-05 2002-08-14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ェーズドアレイによる探傷方法及び探傷装置
JP2007193766A (ja) 2005-12-20 2007-08-02 Rcs:Kk 移動体あるいは歩行者の移動を支援するための情報発信装置
JP2010267208A (ja) 2009-05-18 2010-11-25 Irf:Kk 逆走防止装置
KR101103860B1 (ko) 2010-01-05 2012-01-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레이저초음파를 이용한 비접촉식 탄성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640A (ja) 2001-02-05 2002-08-14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ェーズドアレイによる探傷方法及び探傷装置
JP2007193766A (ja) 2005-12-20 2007-08-02 Rcs:Kk 移動体あるいは歩行者の移動を支援するための情報発信装置
JP2010267208A (ja) 2009-05-18 2010-11-25 Irf:Kk 逆走防止装置
KR101103860B1 (ko) 2010-01-05 2012-01-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레이저초음파를 이용한 비접촉식 탄성 측정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393A (ko) * 2014-11-10 2016-05-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일러 수벽관의 원주파 공명검사방법 및 장치
KR101723485B1 (ko) * 2014-11-10 2017-04-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일러 수벽관의 원주파 공명검사방법 및 장치
KR101656368B1 (ko) * 2015-11-05 2016-09-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거리 초음파 검사에서 송수신 지향성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78447A1 (ko) * 2015-11-05 2017-05-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거리 초음파 검사에서 송수신 지향성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463721A (zh) * 2015-11-05 2018-08-28 岭南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在长距离超声波检查中改善发送/接收指向性的装置和方法
US10768149B2 (en) 2015-11-05 2020-09-08 Research Cooperation Foundation Of Yeungnam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rectivity in long-range ultrasonic testing
CN108463721B (zh) * 2015-11-05 2021-02-12 岭南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在长距离超声波检查中改善发送/接收指向性的装置和方法
CN114200016A (zh) * 2021-10-18 2022-03-18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岩石锚杆的双通道无损检测方法及相关设备
CN114200016B (zh) * 2021-10-18 2024-04-16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岩石锚杆的双通道无损检测方法及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280B2 (ja) ガイド波を用いた配管検査方法及びその配管検査装置
EP2857834B1 (en) Ultrasonic pipe measurement apparatus
US8100014B2 (en) Ultrasonic flaw detection apparatus and ultrasonic flaw detection program
US9927405B2 (en) Processing signals acquired during guided wave testing
JP4094464B2 (ja) 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非破壊検査装置
JP2013140112A (ja) 超音波損傷検出装置及び超音波損傷検出方法
US96721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guided waves through structures
Ma et al. The reflection of guided waves from simple dents in pipes
KR101201501B1 (ko) 원거리초음파검사에서 수신에코진행방향의 실시간식별방법 및 장치
US6925881B1 (en) Time shift data analysis for long-range guided wave inspection
JP5663319B2 (ja) ガイド波検査方法及び装置
JP2004085370A (ja) 配管検査方法及び装置
JP5530405B2 (ja) 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非破壊検査装置
JP4602421B2 (ja) 超音波探傷装置
JP2011047763A (ja) 超音波診断装置
JP5893538B2 (ja) ガイド波を用いた非破壊検査方法及び装置
JP2008070283A (ja) 超音波ガイド波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09014345A (ja) 構造物の非破壊診断方法
KR101826917B1 (ko) 다중 채널 초음파를 이용한 장거리 배관 진단 방법
JP4098070B2 (ja) 超音波探傷装置
JP4484351B2 (ja) 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10048817A (ja) ガイド波を用いた非破壊検査装置及び非破壊検査方法
JP5750066B2 (ja) ガイド波を用いた非破壊検査方法
Bertoncini et al. 3D characterization of defects in Guided Wave monitoring of pipework using a magnetostrictive sensor
Sabet-Sharghi et al. The application of guided waves for the detection of corrosion under ins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