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604B1 -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604B1
KR101200604B1 KR1020120047676A KR20120047676A KR101200604B1 KR 101200604 B1 KR101200604 B1 KR 101200604B1 KR 1020120047676 A KR1020120047676 A KR 1020120047676A KR 20120047676 A KR20120047676 A KR 20120047676A KR 101200604 B1 KR101200604 B1 KR 10120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se
stoppe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종
Original Assignee
김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종 filed Critical 김현종
Priority to KR102012004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X선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의 질을 높이고, 촬영 장치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는, X선 조사 유니트; X선 조사 유니트와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X선 조사 유니트와의 사이에 인체의 일부가 배치되게 하며, X선 조사 유니트로부터 조사된 X선이 인체의 일부를 통과함에 따라 생성되는 상이 맺히는 제1렌즈 및 제1렌즈를 커버하는 제1케이스를 구비하는 집광 유니트; 집광 유니트의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및 제2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를 구비하는 증폭 유니트; 및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에,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서로 마찰없이 접촉시킬 수 있게 하는 마찰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X ray}
본 발명은 인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X선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촬영 시, 양질의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고, 수명이 긴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최근 다양한 의료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수술 등 인체를 다루는 의료 행위 시, 의료 행위의 실수를 줄여 인체의 치료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체의 상태, 병명 및 환부의 파악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X선을 이용한 촬영 기법이다. X선을 이용하면, 인체 내부의 상태를 흑백이지만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확인할 수 있어, 내외과 및 치과의 시술에 있어서 환부 등의 파악을 위해 X선 촬영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3차원의 X선 촬영 기법까지 등장하면서, 수술 등의 정밀한 의료 행위가 요구되는 때에도, X선이 그 인체 내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X선을 이용한 촬영 장치는 그 크기가 크고, X선을 통해 생성된 인체의 상을 이미지화하여 전송하는 데 필요한 부품의 수명이 짧아, 관리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 공간의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X선을 이용하여 촬영 시 그 상이 흔들리거나 정밀하게 촬영되지 않아, 치과 임플란트를 비롯하여 정밀한 시술이 요구되는 의료 행위에 있어서 그 영상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양질의 화질을 갖는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하고, 촬영 장치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는, X선 조사 유니트; 상기 X선 조사 유니트와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그 X선 조사 유니트와의 사이에 인체의 일부가 배치되게 하며, 상기 X선 조사 유니트로부터 조사된 X선이 상기 인체의 일부를 통과함에 따라 생성되는 상이 맺히는 제1렌즈 및 상기 제1렌즈를 커버하는 제1케이스를 구비하는 집광 유니트; 상기 집광 유니트의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를 구비하는 증폭 유니트; 및 상기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서로 마찰없이 접촉시킬 수 있게 하는 마찰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방지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렌즈의 일측을 지지하는 환 형상의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와 제1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렌즈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렌즈의 타측을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서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환 형상의 제2스토퍼;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2스토퍼가 제1케이스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에 마찰방지갭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스토퍼와 제1케이스 간의 결합되는 도중에,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제1렌즈를 상기 제2렌즈 측으로 접근시키며, 상기 제2스토퍼와 제1케이스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서로 접촉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선 조사 유니트와 집광 유니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X선 조사 유니트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집광 유니트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대적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렌즈는, 상기 X선 조사 유니트로부터 조사된 X선이 상기 인체의 일부를 통과함에 따라 생성되는 상이 맺히는 상 생성층; 및 상기 상 생성층에 상부가 결합되어 있고, 하부로 진행되면서 상기 상 생성층에 맺히는 상이 축소되도록 하는 렌즈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찰방지수단에 의해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마찰없이 밀착되게 할 수 있어,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마찰에 의한 상의 변형을 줄임으로써, 더욱 양질의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마찰에 의한 렌즈들의 손상을 방지하여, 촬영 장치의 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되어 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결합되기 전의 분리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가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을 이용한 촬영 장치는 X선 조사 유니트(30), 집광 유니트(20), 증폭 유니트(10)를 포함하고, 제1 프레임(50)과 제2 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된다. 집광 유니트(20)와 증폭 유니트(10) 사이에는 후술할 마찰방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X선 조사 유니트(30)에서는 인체를 통과하여 상을 생성하게 하는 X선이 조사되어, X선 조사 유니트(30)와 집광 유니트(20) 사이에 배치되는 인체의 일부(100)의 내부에 대해 촬영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집광 유니트(20)에는 후술할 제1렌즈와 제1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인체의 일부(100)를 촬영하기 위해, X선 조사 유니트(30)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 방향과 집광 유니트(20)의 집광 방향이 일치되도록 도 1과 같이 X선 조사 유니트(30)와 집광 유니트(2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X선 조사 유니트(30)와 집광 유니트(20)의 중심선은 일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50)과 제2 프레임(40)의 연결부(식별번호 없음)에는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50)과 제2 프레임(40)은 각을 이루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의 X선 조사 유니트(30)와 집광 유니트(20)의 배치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간격조절수단은 제1 프레임(50)과 제2 프레임(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제1 프레임(50)과 제2 프레임(40)의 상대적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이동 수단은 제1 프레임(50)과 제2 프레임(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그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집광 유니트(20)는 크게 제1렌즈(211)와 제1렌즈(211)를 커버하는 제1케이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211)는 상부면과 하부면의 크기가 다른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렌즈(211)의 상부, 즉 X선 조사 유니트(30)로부터 조사된 X선이 인체의 일부(100)를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상이 맺히는 부분에는, 상의 생성을 위한 상 생성층(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 생성층에는 X선에 의한 상이 생성되고, 생성된 상이 이미지화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 이미지를 전달하는 수단이 필요로 된다. 제1렌즈(211)의 상 생성층을 제외한 렌즈 바디는, 상 생성층에 생성된 상 이미지를 축소할 수 있도록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 생성층에 생성된 상 이미지는 폭이 하부로 진행될수록 좁아지는 원형의 렌즈 바디에 포함된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면서 그 크기가 축소된다.
증폭 유니트(10)는 제1케이스(21)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22)와, 제2케이스(2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221)를 포함한다. 제2렌즈(221)는 제2케이스(22)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제2렌즈(221)의 상부면은 제1렌즈(211)의 하부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렌즈(221)의 상부면과 제1렌즈(211)의 하부면의 크기는 동일하다. 제1렌즈(211)의 하부면에 전달되는 촬영 이미지는 제2렌즈(221)의 상부면에 도입되며, 제2렌즈(221)의 하부면에 결합된 광 증폭 장치(미도시)에 의해 완성된 촬영 이미지가 생성된다.
제1케이스(21)가 제2케이스(22)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나사결합수단(210, 22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케이스(21)의 하부측의 외주면의 나사면(210)과, 제2케이스(22)의 상부측의 내주면의 나사면(222)이 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가 결합된다.
마찰방지수단은, 제1 스토퍼(미도시), 탄성부재(213), 제2 스토퍼(212)를 포함한다. 제1 스토퍼는 제1케이스(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면과 나사결합되어, 제1렌즈(211)의 하부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1 스토퍼는 제1케이스(21)와 내부에서 나사결합되므로, 나사결합 상태에 따라서 제1렌즈(211)가 제1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하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스토퍼에 의해,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가 나사결합수단(210, 222)에 의해 완전결합 시,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가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가 나사결합되면서 접촉됨에 따라서, 각 렌즈(211, 221)의 접촉면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제1 스토퍼가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스토퍼에 의해 제1렌즈(211)의 일측이 지지될 때, 제1 스토퍼와 제1렌즈(211) 사이에는 탄성부재(213)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13)는 판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1렌즈(211)의 제1케이스(21)에 대한 상대적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스토퍼(212)는 제1케이스(21)의 상부 나사면(216)과 제2스토퍼(212)의 외주면의 나사면(214)이 나사결합되어, 제1 케이스(21)의 내주면에 위치한 걸림턱(215)까지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서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가 결합될 때,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 갭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방지갭은, 탄성부재(213)에 대한 가압에 의해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탄성부재(213)에 대한 가압은 제2스토퍼(212)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케이스(21)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면서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스토퍼의 위치 및 제2 스토퍼(212)의 결합에 따라서, 제2스토퍼(212)가 제1케이스(21)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제1렌즈(211)의 하부면과 제2렌즈(221)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이 사라져, 완전 접촉하게 된다.
마찰방지수단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가 회전하면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제2스토퍼(212)의 나사결합에 따른 탄성부재(213)로의 가압에 의해 상하로 수직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의 접촉 시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결합되기 전의 분리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마찰방지수단의 구성에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는 나사결합수단(210, 222)에 의해 결합된다. 제1렌즈(211)는 탄성부재(213) 및 제1스토퍼(미도시)에 의해 제1케이스(21)의 내부 캐비티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1스토퍼는 탄성부재(213)와 제1케이스(21) 내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부재(213)와 제1케이스(21) 내부가 접촉되는 면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케이스(21)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1스토퍼에 의해, 제2스토퍼(212)가 제1케이스(21)의 내주면에 결합되기 전, 탄성부재(213)에 의해 제1렌즈(211)가 지지되는 제1케이스(21)의 내부에 대한 상태적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 사이의 마찰방지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제2스토퍼(212)는 제2스토퍼(212) 외주면의 나사면(214)과 제1케이스(21)의 내주면의 나사면(216)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1케이스(21)와 결합되면서 이동되어, 걸림턱(215)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가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가 나사결합된 상태이며, 제1렌즈(211)과 제2렌즈(221)가 마찰방지갭(미도시)의 간격을 갖고 배치된 상태이다.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2)가 가결합된 상태에서는 제2스토퍼(212)는 제1케이스(21)에 결합되지 않거나 나사결합을 위해 접촉된 상태가 된다. 추후 결합 시 각 나사면(214, 216)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1케이스(21)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스토퍼는 제1케이스(21)의 내부 중 걸림턱(215)까지 이동 가능하다.
탄성부재(213)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 사이의 마찰방지갭은 유지되는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집광 유니트의 제1케이스(21)와 증폭 유니즈의 제2케이스(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스토퍼(212)가 제1케이스(21)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제1렌즈(211)는 제2스토퍼(212)의 이동에 의해 제2렌즈(221)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스토퍼(212)가 제1케이스(21)에 완전 나사결합되면,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가 서로 접촉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마찰방지수단에 의하여,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는 서로 수직 이동하면서 접촉되기 때문에, 제1렌즈(211)와 제2렌즈(221) 사이의 결합 시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렌즈의 손상에 의한 촬영 이미지의 손상 및 촬영 장치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X선 조사 유니트;
    상기 X선 조사 유니트와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그 X선 조사 유니트와의 사이에 인체의 일부가 배치되게 하며, 상기 X선 조사 유니트로부터 조사된 X선이 상기 인체의 일부를 통과함에 따라 생성되는 상이 맺히는 제1렌즈 및 상기 제1렌즈를 커버하는 제1케이스를 구비하는 집광 유니트;
    상기 집광 유니트의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를 구비하는 증폭 유니트; 및
    상기 집광 유니트와 증폭 유니트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서로 마찰없이 접촉시킬 수 있게 하는 마찰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방지수단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렌즈의 일측을 지지하는 환 형상의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와 제1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렌즈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렌즈의 타측을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서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환 형상의 제2스토퍼;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2스토퍼가 제1케이스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에 마찰방지갭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스토퍼와 제1케이스 간의 결합되는 도중에,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제1렌즈를 상기 제2렌즈 측으로 접근시키며,
    상기 제2스토퍼와 제1케이스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서로 접촉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유니트와 집광 유니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X선 조사 유니트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집광 유니트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대적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X선 조사 유니트로부터 조사된 X선이 상기 인체의 일부를 통과함에 따라 생성되는 상이 맺히는 상 생성층; 및
    상기 상 생성층에 상부가 결합되어 있고, 하부로 진행되면서 상기 상 생성층에 맺히는 상이 축소되도록 하는 렌즈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KR1020120047676A 2012-05-04 2012-05-04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KR10120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76A KR101200604B1 (ko) 2012-05-04 2012-05-04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76A KR101200604B1 (ko) 2012-05-04 2012-05-04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604B1 true KR101200604B1 (ko) 2012-11-12

Family

ID=4756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676A KR101200604B1 (ko) 2012-05-04 2012-05-04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6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546A (ja) * 1999-04-26 2000-10-31 Konica Corp 放射線撮影装置
US20080158678A1 (en) * 2006-12-29 2008-07-03 Cognex Corporation Manually adjustable ruggedized focus mechanism
JP2009505110A (ja) 2005-08-22 2009-02-05 ユニサンティス ヨーロッパ ゲーエムベーハー X線レンズアセンブリおよび該アセンブリを有するx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546A (ja) * 1999-04-26 2000-10-31 Konica Corp 放射線撮影装置
JP2009505110A (ja) 2005-08-22 2009-02-05 ユニサンティス ヨーロッパ ゲーエムベーハー X線レンズアセンブリおよび該アセンブリを有するx線装置
US20080158678A1 (en) * 2006-12-29 2008-07-03 Cognex Corporation Manually adjustable ruggedized focus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083B2 (ja) 医療用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表面スキャニング方法および関連装置
JP2016533523A (ja) 虹彩撮像用の最適化された撮像装置
JP2016512993A (ja) イメージャの自動位置合わせ
KR20160133112A (ko) 복수개의 광경로를 갖는 구강스캐너
US20130250085A1 (en) Compact Iris Imaging System
US20210109044A1 (en) Contact imaging sensor head for computed radiography
JP7211483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50243A1 (en) Retinal imaging device including position-sensitive optical tracking sensor
JP202311360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00604B1 (ko) X선을 이용한 촬영장치
KR20140037314A (ko) 씨암장치
JP2017102637A5 (ko)
DE60216888D1 (de) Feste optische Kamera mit Visiermittel
KR100781174B1 (ko) 촬상 장치
CN105725979A (zh) 一种人体云纹成像装置
KR101348709B1 (ko) 모발 및 피부 측정용 카메라를 구비한 안면 촬영 장치
JP2018023675A5 (ko)
EP3952806B1 (en) High speed tracking of iol during refractive index modification
KR20080027187A (ko)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내시경
CN210249869U (zh) 限束器及x射线机
KR101551802B1 (ko) 광학장치의 스마트폰 고정용 홀더
KR200464467Y1 (ko) 곡면 가공된 nd 필터를 구비한 화상 인식 장치
WO2020170892A1 (ja) 撮像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10034502A3 (en) Ophthalmoscopy using direct sensing of the flat aerial-image created by an aspheric lens
JP2010023626A (ja) ドライバー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