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298B1 - 득점 평면을 통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득점 검출기 - Google Patents

득점 평면을 통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득점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298B1
KR101200298B1 KR1020057015796A KR20057015796A KR101200298B1 KR 101200298 B1 KR101200298 B1 KR 101200298B1 KR 1020057015796 A KR1020057015796 A KR 1020057015796A KR 20057015796 A KR20057015796 A KR 20057015796A KR 101200298 B1 KR101200298 B1 KR 10120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s
antenna
moving object
plane
target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510A (ko
Inventor
한스 피터슨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ublication of KR2005010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4Goals of the type used for football, handball, hockey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63B2071/0611Automatic tennis linesmen, i.e. in-out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24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9Field sensors, e.g. rada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축구공이나 아이스하키 퍽과 같은 스포츠 용품인 움직이는 물체가 골라인으로부터 연장된 수직한 평면 또는 농구 바스켓의 상부 림에 의해 형성된 수평 평면에 형성된 득점 평면과 같은 공간인 평면을 통과하였는지 검출하는 장치용 시스템이 설명된다. 상기 시스템은 평평한 목표 평면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안테나 쌍을 구비하며, 각각의 안테나 쌍 중 두 개의 안테나는 평평한 목표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배치되며, 움직이는 물체 및/또는 각각의 안테나에 장착되는 전파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파 발신 수단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움직이는 물체 및/또는 각각의 안테나에 배열된 출력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소정의 조건과 함께 상기 출력을 수신하고 처리하며, 움직이는 물체가 평평한 목표 평면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조건들이 만족되었는지 그 결과 출력을 제공하는 처리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득점 검출기

Description

득점 평면을 통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득점 검출기{Goal detector for detection of an object passing a goal plane}
본 발명은 축구공이나 아이스하키의 퍽과 같은 스포츠 제품인 움직이는 물체가, 골라인(goal line)으로부터 연장된 수직한 평면이나 농구 바스켓의 상부 림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한 평면과 같이 형성된 득점 평면과 같은 공간상의 평탄한 면을 통과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운동 경기의 심판은 공이 득점 평면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공이 재빠르게 튕겨서 공이 득점 평면을 통과하였는지 통과하지 않았는지와 같은 이러한 상황의 정확한 판단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며, 특히, 경기에서 다른 움직임에 관련되거나 득점 평면을 심판이 잘 볼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것우에는 판단하기 어렵다. 비디오 카메라는 득점 평면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공간을 차지하며 해상도가 그다지 우수하지 않는 카메라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필요한 정보를 주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WO01/66201, FR 2 753 633, FR 2 726 370, WO99/34230, US 4 675 816, US 5 346 210 및 WO 98/3793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 시스템에 의해 경기장의 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이 분야에서 다수의 전자 시스템이 공지되었다. 이러한 위치 시스템은 공이나 선수가 경기장의 경계선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심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득점 평면의 통과 여부는 판단하기 상당히 곤란한테, 왜냐하면 운동 경기의 결과는 매우 결정적이며 물체의 크기는 작으면서 속도는 매우 빨라, 물체가 득점 평면을 통과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결정을 제공하는 위치 시스템은 위치 결정에 있어서 매우 정확해야 하며 동시에 위치 결정에 있어서 매우 빠르게 업데이트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1/100초의 업데이트 속도를 의미하는 72km/h 또는 20m/s의 속도로 물체가 이동하는 것은 위치 결정에 있어서 20cm의 오차를 배가시키게 되어, 운동경기에서 득점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허용될 수 없는 수준이 된다.
WO 00/47291 및 US4,375,289는 평면에 대하여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를 설명하는데, 이에 따르면 에너지가 여기된 코일은 움직이는 물체에 의해 교란되는 전자장을 생성한다. 이러한 교란은 물체가 에너지 여기된 코일 및 검출 코일에 의해 원을 형성하는 평면을 통과하였는지 및 언제 통과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코일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완전 득점 평면에 원을 그리는 코일을 필요로 하며, 어떠한 교정도 필요하지 않게 될 정도로 상기 코일의 정확한 위치로부터의 이탈에 매우 민감하여, 이러한 검출는 골키퍼나 다른 선수와 같이 득점 평면 근처나 그 내부에 있는 다른 물체에 의해 심각하게 교란된다. 또한, 득점 평면 근처의 선수들은 이와 같이 생성된 전자장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게 된다.
스포츠 물체의 위치를 충분히 정확하게 결정하며 득점 평면을 통과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빠른 업데이트 속도는 설치하고 유지하기에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모된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과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순간적인 해상도를 주는 선택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US 5,976,038은 이동하는 물체가 경기 판정 라인을 통과하면 출력(output)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디스크형-반사 안테나와 같은 방향성 수신 안테나, 특히 합산 신호와 차이 신호를 제공하도록 조합된 수평하게 인접하여 공급된 이중의 카세그레인 안테나(cassegrain antenna)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는 경기장 밖에 위치되며, 경기 판정 라인을 따라 배향된다. 상기 안테나 및 움직이는 물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충분히 놓은 공간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의 반사기(reflector)는 고려되어진 치수를 구비하여야 한다. 30인치, 76cm의 폭을 가진 반사기는 4인치, 10cm의 폭의 검출 구간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다른 오차와 함께 특허된 바와 같이 미식 축구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른 스포츠에서는 가용 불가하며 보다 큰 반사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순간적인 해상도와 충분한 공간으로써 득점 평면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술적으로 보다 단순화된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는데,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복수개의 안테나,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목표 평면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세쌍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쌍을 이룬 각각의 안테나는 평평한 목표 평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사이에서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는 움직이는 물체의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를 발신하는 전파 발신 수단을 가진 움직이는 물체, 즉 축구공이나 다른 스포츠 용품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기에 적합하다.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 쌍과 같은 복수개의 쌍의 안테나를 목표 평면 주변부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평면을 경계짓는 라인에 인접하게 배치하여, 상기 안테나와 움직이는 물체 사이의 거리는 그 절대치가 감소되어, 쌍을 이룬 안테나의 공간 해상도는 최대화된다. 따라서, 간단한 안테나도 채용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는 공간 해상도를 달성한다. 데이터 처리 수단은 상기 시스템의 다양한 안테나로부터 출력을 수집하거나 움직이는 물체의 수신 수단으로부터 출력을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과 비교하여 그 출력을 제공한다. 상기 출력은 상기 목표 평면을 물체의 중심이 통과할 때 제공되는데,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두 개의 출력의 합산에 의해 나누어진 두 개의 안테나로부터의 출력들 사이의 차이가 최소값이 될 때 상기 이동은 균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파 발신 수단을 가진, 축구공이나 아이스하키의 퍽과 같은 스포츠 물체와 같은 움직이는 물체,
평평한 목표 평면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쌍의 안테나로서, 상기 쌍 중 각각의 두 개의 안테나는 평평한 상기 목표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쌍의 안테나,
각각의 안테나 및/또는 움직이는 물체에 장착되는 전파 발신 수단,
상기 전파 발신 수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를 구비하며 각각의 안테나 및/또는 움직이는 물체에 출력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소정의 조건과 함께 상기 출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상기 움직이는 물체가 평평한 목표 평면을 통과하였는지에 대하여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 출력을 제공하는 처리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전파 발신 수단은 내부 전원, 예를 들어 전기 배터리, 또는 자기장의 외부 소스로부터 동력을 일으키는 유도 회로와 같은 외부 구동원을 구비한 움직이는 물체에 배치되는 트랜스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파 발신 수단은 US 5,976,038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정된 소스로부터 발산되는 전파를 반사하는 반사수단이다.
상기 처리수단은 각각의 쌍의 안테나의 출력의 합계와 차이를 계산하고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합계와 차이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시스템의 모든 안테나로부터의 출력을 처리한다. 이러한 비율이 최소가 될 때, 상기 전파 발신 수단은 두 개의 안테나 사이의 중간 평면을 통과한다. 쌍을 이룬 두 개의 안테나로부터의 출력은 방대한 출력에서의 차이를 위하여 보정되어, 상기 비율은 최소가 된다. 안테나의 모든 쌍으로부터 얻어진 비율은 공통적인 출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어 각각의 쌍의 오차와 경기 도중의 충격에 의한 오작동을 보상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전파 발신 수단은 복수개의 쌍의 안테나이며, 상기 수신기는 움직이는 물체 내부에 배치된다. 제3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조합되어 움직이는 물체의 통과는 보다 높은 신뢰도가 얻어질 수 있도록 두 개의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다.
각각의 쌍의 안테나들 사이의 목표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상호 이동은 3 내지 25 센티미터인 것이 유리한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센티미터인 것이 유리하다.
안테나 쌍의 수는 3 내지 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개이다.
안테나 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목표 평면의 수평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테나 쌍은 상기 수평선을 따라 균일한 거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선은 운동장 상의 골라인이어서, 안테나 쌍은 서브표면 위치를 구비하거나, 안테나 쌍은 상기 골대의 수평 크로스 바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쌍은 전파의 파형 길이의 1/2, 1/3, 또는 1/4와 같은 비율의 상호간의 거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전파의 파형의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최적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파의 파형 길이는 0.2 내지 20미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미터이다.
안테나의 모든 쌍 및 적어도 일부는 평평한 목표 평면을 경계짓는 골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골대는 수직한 두 개의 골 포스트와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평한 크로스 바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쌍은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바아 상에 배치되거나 골 포스트상에 배치되거나, 크로스 바아 및 두 개의 골 포스트 모두에 배치된다. 골대에 배치된 안테나 쌍은 상기 골 포스트 내부에 매립되거나 골대의 매끈한 표면이 보호되도록 수평한 크로스 바아상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에 보정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평평한 목표 평면에 배치된, 안테나에 의해 수신 가능한 전파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그 성능과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안테나의 다른 형상, 위치, 방향에서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시스템에 의해 일시적인 또는 상시적인 보정 루틴이 행해진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신기는 상기 골대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된 보정 장치는 안테나 쌍으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따른 출력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상기 보정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안테나 쌍은 안테나 쌍의 이상적인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하고 상기 시스템의 향상점이 조정되도록 인공위성 기반의 위성 항법 장치(GPS)와 같은 일반적인 위치 시스템에 의해 그 위치를 결정하도록 전용 수신기와 같은 수단을 구비한다.
신호처리를 촉진하고, 상기 출력,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결과물인 출력의 공간 해상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안테나 쌍은 상기 평평한 목표 평면에 나란한 제1평면에 배치된 제1안테나 및 상기 평평한 목표 평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2안테나를 가져서, 상기 제1평면 및 제2평면은 안테나의 거의 모든 쌍에 공통이 된다.
상기 전파 발신 수단 및/또는 움직이는 물체의 수신 수단은 상기 움직이는 물체에 대응하는 형상의 외장에 일반적으로 분산 배치된 안테나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물체의 중앙의 중심에 균일한 파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안테나 수단은 상기 움직이는 물체의 상부 레이어 재료의 내측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공간적 오차를 제거하도록 높은 수준의 정밀도로 간단한 제조작업이 행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움직이는 물체, 특히 축구공과 같은 공, 또는 상기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른 스포츠 경기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하여, 정밀하고 시기 적절한 득점 사진이 그 상황에서의 시각적인 평가를 위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다수의 안테나 쌍과 자동 보정 전송기를 구비한 축구 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볼이 통과하는 동안에 안테나 쌍의 출력 신호와, 공과, 안테나 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수의 안테나 쌍과 그에 장착된 자동 보정 전송기를 가진 골대의 크로스 바아의 상세도이다.
좌측 골 포스트(2), 우측 골 포스트(3) 및 그 사이의 수평한 크로스 바아(4)를 가지는 축구 골대(1)가 도 1에 도시된다. 상기 골대(1)는 골라인(미도시)의 중심에 배치된 포스트(2, 3)로써 경기장에 배치되며, 상기 크로스 바아(4)는 FIFA의 규정에 의해 상기 골대의 바로 위에 그리고 골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골라인, 포스트(2, 3), 및 상기 크로스 바아(4)는 평평한 목표 평면의 경계를 설정한다.
5쌍의 안테나(5)는 상기 크로스 바아(4)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2쌍(5)은 상기 포스트(2, 3) 상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쌍의 안테나(5)는 상기 목표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그 위치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일한 안테나(A, B)를 구비한다. 상기 안테나(A, B)는 그 중앙부가 골라인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공의 직경의 정확히 1/2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FIFA 규정에 따라 골 포스트(2, 3) 사이 및 크로스 바아(4) 아래에서 공 전체가 골라인을 통과하게 되면 득점이 인정된다. 따라서, 상기 공의 중앙이 안테나(5) 쌍의 중앙의 수직 평면에 있게 되면, 경기의 다른 규정이 적용되는 것우를 제외하고는 득점이 인정된다.
상기 안테나(A, B)의 단면은 세가지 위치에 도시된 공(6)을 가진 도 2에 도시되는데, 상기 공(6)은 그 중앙에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트랜스미터(7)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는 신호(V)와 상기 목표 평면에 수직한 공의 위치(X)와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상기 처리 수단(미도시)은 두 개의 안테나(A, B)로부터의 신호(SA, SB)로부터 출력(P)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47029562-pct00001
상기 신호의 처리는 10kHz 이상의 고 주파수로 수행되며, 안테나(A, B)로부터의 출력은 자동 보정 트랜스미터(8)로부터 전송된 전파에 의해 항상 보정되어, 공의 중앙이 안테나(5)의 쌍의 중앙 위치의 수직 평면에 있을 때, 상기 출력(P)은 0이 된다. 득점이 인정된 것을 가리키는 시스템으로부터의 결과 출력은 안테나(5)의 모든 쌍으로부터 출력 신호(P)를 포함하는 경로에 의해 처리 수단에서 생성된다.
골대(1)의 크로스 바아(4) 내의 자동 보정 트랜스미터(8) 및 안테나(5)의 쌍의 배열의 예를 도 3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안테나(5)와 트랜스미터(8)는 완전히 크로스바아(4)에 매립되어 상기 크로스 바아(4)의 매끈한 표면은 보호되어진다. 따라서, 경기자는 안테나(5) 및 전송기(8)가 경기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물리적인 접촉부에서의 골대의 구조상의 날카로운 돌출부나 모서리를 만나지 않게 된다. 안테나(5)의 인접한 쌍은 상기 전송기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전파의 파장의 1/2로 상호간의 거리(9)에 배치된다.
안테나(5)의 쌍은 공(6) 내부의 수신 수단이나 자동-보정 트랜스미터(8) 내부의 수신기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를 발신하는 발신 수단으로서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능하여, 상기 안테나(5)의 성능은 평가되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최종 출력은 이상적인 기능과 위치로부터의 시스템의 이탈이 조정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수단은 공(6)에 위치되고, 자동-보정 신호는 상기 자동 보정 트랜스미터(8)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수신 수단은 안테나(5)의 쌍에 있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수단은 안테나(5)의 쌍이며, 수신 수단은 상기 공(6) 내에 위치되어, 수신된 신호로부터 평가된 신호를 발신하는 제2발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제2발신 수단을 구비하고, 제2수신 수단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경기장에 배치되어 득점 평면과 같은 목표 평면을 공(6)이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 안테나(5)의 각각의 쌍의 전방부의 안테나(5A)는 하나의 주파수의 전파를 선택적으로 발신하며, 예를 들어 상기 공(6)의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파장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후방의 안테나(5B)는 다른 주파수의 전파를 발신하거나, 또는 두 개의 안테나(5A, 5B)로부터의 신호들은 다른 기술적인 방식으로 구별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자동 보정 트랜스미터(8)는 안테나(5)의 쌍으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기이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결합되어, 공(6)은 수신 수단과 제1 및 제2발신 수단을 구비하며, 안테나(5)의 쌍은 발신 수단과 수신 수단 사이에서 스위칭되며, 상기 자동 보정 트랜스미터(8)는 수신 수단과 발신 수단 사이에서 동시에 스위칭되는데, 이러한 스위칭은 높은 처리 주파수에 매칭되는 높은 주파수로 된다. 선택적으로, 제3실시예의 상기 시스템은 발신 및 수신용의 별도의 안테나(5)의 쌍을 구비하며, 자동 보정 전송기(8)의 이중 세트가 제공되어, 각각의 트랜스미터(8)는 발신이나 수신만을 위해 전용된다. 제3실시예의 장점은 득점 평면을 공(6)이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이 상기 시스템의 신뢰성을 위하여 이중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공(6)의 중앙에 수신기 및/또는 발신기를 위치시키는 것은 적절한 해결책이 아닌데, 그 이유는 이러한 위치는 접근하기에 쉽지 않기 때문이며, 상기 공(6) 내부에 장착되는 아이템은, 경기자, 경기장 또는 골대에 충격하여 공이 변형되는 동안 변위된다. 상기 수신기 및/또는 발신기는 라텍스 풍선의 외측상의 공(6) 내부의 내측 라텍스 풍선의 내측에 장착된 4개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상기 안테나는 구형 표면상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10-밀리미터 또는 그 이하인 시스템의 공간 해상도가 달성된다. 수신기 및/또는 발신기의 무거운 부분은 그에 의해 대응하여 균형 맞추어지는 공(6)의 마주보는 밸브에 위치된다. 상기 안테나는 서로 외측부의 패치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금속 와이어와 같은 공(6)의 외측부 내부나 내측면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Claims (17)

  1. 움직이는 물체,
    평평한 목표 평면의 주변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수평한 크로스 바아와 2개의 골 포스트를 포함하는 골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쌍의 안테나로서, 상기 쌍 중 각각 두 개의 안테나는 상기 평평한 목표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쌍의 안테나,
    각각의 안테나 및 움직이는 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전파 발신 수단,
    상기 전파 발신 수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안테나 및 움직이는 물체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소정의 조건과 함께 상기 출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상기 움직이는 물체가 평평한 목표 평면을 통과하였는지 결정하도록 상기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 출력을 제공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시스템에 보정 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평평한 목표 평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보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안테나의 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목표 평면의 수평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쌍은 상기 수평선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쌍은 상기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전파의 파장의 1/2의 상호간 거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대 상에 배치된 안테나의 쌍은 상기 골대의 매끈한 표면이 보호되도록 골 포스트 및 수평한 크로스 바아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안테나의 각각의 쌍은 상기 평평한 목표 평면에 나란한 제1평면에 배치된 제1안테나와 상기 평평한 목표 평면에 나란한 제2평면에 배치된 제2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물체의 전파 발신 수단 및 수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움직이는 물체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외장에 균일하게 분포된 안테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단은 움직이는 물체의 상부 레이어 재료로 된 내측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테나 쌍들 사이의 상호간 거리는 3 내지 25 센티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안테나 쌍의 개수는 3 내지 2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수단은 움직이는 물체상에 장착되며, 상기 수신 수단은 다수의 안테나 쌍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수단은 다수의 안테나 쌍에 장착되며, 상기 수신 수단은 움직이는 물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수신 수단 및 발신 수단은 움직이는 물체에 장착되며, 대응하는 수신 수단 및 발신 수단은 상기 평평한 목표 평면의 주변부를 따라 다수의 안테나 쌍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는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진 프레임은 목표 평면을 통하여 움직이는 물체의 경로에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 구비되는 움직이는 물체.
KR1020057015796A 2003-02-28 2004-03-01 득점 평면을 통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득점 검출기 KR101200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300325 2003-02-28
DKPA200300325 2003-02-28
PCT/DK2004/000137 WO2004076003A1 (en) 2003-02-28 2004-03-01 Goal detector for detection of an object passing a goal pl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510A KR20050109510A (ko) 2005-11-21
KR101200298B1 true KR101200298B1 (ko) 2012-11-12

Family

ID=3292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796A KR101200298B1 (ko) 2003-02-28 2004-03-01 득점 평면을 통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득점 검출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67113B2 (ko)
EP (1) EP1596945B1 (ko)
JP (1) JP2006519040A (ko)
KR (1) KR101200298B1 (ko)
AT (1) ATE477030T1 (ko)
BR (1) BRPI0407889A (ko)
DE (2) DE04715880T1 (ko)
EA (1) EA008370B1 (ko)
MX (1) MXPA05008978A (ko)
WO (1) WO2004076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55766T3 (en) * 2005-03-09 2015-04-27 Fraunhofer Ges Forschung Target detector for detecting an object passing a target surface
US8079925B2 (en) 2006-10-12 2011-12-20 Cairos Technologies Ab Concept for activating a game device
DE102007017549A1 (de) * 2006-10-12 2008-04-17 Cairos Technologies Ag Konzept zur Aktivierung eines Spielgeräts
DE102007009232B3 (de) * 2007-02-26 2008-09-04 Cairos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Magnetfeldes in einem Torraum zur Torentscheidung
DE102007015493A1 (de) * 2007-03-30 2008-10-02 Cairos Technologies Ag Bewegungsbereich für einen mobilen Gegenstand und Auswertungsvorrichtung zum Feststellen einer Position eines mobilen Gegenstands
CN101883613B (zh) * 2007-10-12 2015-04-22 弗兰霍菲尔运输应用研究公司 用于检测通过球门平面的物体的球门检测器
KR100933056B1 (ko) * 2007-10-16 2009-12-22 최미연 축구공
GB2462624A (en) * 2008-08-14 2010-02-17 Arthur Stewart Dunlop Goal detection apparatus
WO2010020854A2 (en) * 2008-08-19 2010-02-25 Al-Jazzaf, Abdulaziz Goal wall
US10751579B2 (en) 2009-11-19 2020-08-25 Wilson Sporting Goods Co. Football sensing
US8870690B2 (en) * 2009-11-19 2014-10-28 Wilson Sporting Goods Co. American-style football including electronics
US10668333B2 (en) 2009-11-19 2020-06-02 Wilson Sporting Goods Co. Football sensing
US9636550B2 (en) 2009-11-19 2017-05-02 Wilson Sporting Goods Co. Football sensing
US10821329B2 (en) 2009-11-19 2020-11-03 Wilson Sporting Goods Co. Football sensing
US20120244969A1 (en) 2011-03-25 2012-09-27 May Patents Ltd. System and Method for a Motion Sensing Device
DE102011120368A1 (de) 2011-12-07 2013-06-13 Pixargus Gmbh Torerkennungssystem,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Tors
US20130167290A1 (en) * 2011-12-30 2013-07-04 Ariel BEN EZRA Sensor activated ball and sport accessory with computer functionalities
DE102012020376A1 (de) 2012-10-18 2014-04-24 Goalcontrol Gmbh Torerkennungs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Tors
EP2814114B1 (en) * 2013-06-12 2017-09-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it of a movable object through a detection plane
US11161027B2 (en) 2013-07-03 2021-11-02 Glo-Flite Llc Infrared hockey puck and goal detection system
US20150011339A1 (en) * 2013-07-03 2015-01-08 Jamilla Kounellas Illuminating Hockey Puck System
US10507374B2 (en) 2013-07-03 2019-12-17 Jamilla Kounellas Infrared hockey puck and goal detection system
NO20141499A1 (no) * 2014-05-13 2015-09-21 Geir Kroken Treningsutstyr for ball omfattende elastisk snor
US20160136504A1 (en) * 2014-06-02 2016-05-19 Conte Cuttino Sport-Related Goal Line or Boundary Indicator
US10345118B2 (en) 2016-09-13 2019-07-09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location determinations
US10434391B2 (en) 2017-04-24 2019-10-0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to track sport implements
FR3067126B1 (fr) * 2017-05-31 2019-07-26 Vbsv Systeme de detection de franchissement de ligne de but
DE102018126605A1 (de) 2018-09-29 2020-04-02 Goalcontrol Gmbh Ballerkennungs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Ereignisses mit einem Ball während eines Ballspiels
US11395953B2 (en) 2020-05-28 2022-07-26 Glo-Flite Llc Enhanced infrared hockey puck and goal det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2543C3 (de) * 1977-07-19 1980-08-07 Precitec Gesellschaft Fuer Praezisionstechnik Und Elektronik Mbh & Co Entwicklungs- Und Vertriebs-Kg, 7570 Baden-Baden 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sich im Gebiet einer Grenzfläche befindenden Objekten
SU971370A1 (ru) * 1980-01-30 1982-11-07 За витель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истрации попадани в ворота при игре в шайбу
JPS5790172U (ko) * 1980-11-26 1982-06-03
US4675816A (en) 1985-08-26 1987-06-23 Brandon Ronald E Electronic method of locating a football
US4956775A (en) * 1985-10-01 1990-09-11 Klamer R B Object sensor for detecting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for games
JPS6434384A (en) * 1987-07-31 1989-02-03 Yamatake Honeywell Co Ltd Score totalizing and display apparatus in gateball
US5346210A (en) 1992-08-28 1994-09-13 Teem Systems, Inc. Object locator system
DE4233341C2 (de) * 1992-10-05 1997-03-13 Helmut Staudt Einrichtung zur Erkennung der Position eines Balles
FR2726370B1 (fr) 1994-10-28 1997-01-10 Vallortigara Alain Systeme de controle du positionnement dans le domaine du sport, d'une balle et des joueurs
US5498000A (en) * 1995-04-17 1996-03-12 Cuneo; Gregory Goaltender simulator system
JPH08332256A (ja) * 1995-06-07 1996-12-17 Senoo Kk 運動競技演出方法及びその装置
FR2753633A1 (fr) 1995-11-23 1998-03-27 Viennot Emmanuel Francois Andr Systeme d'assistance a l'arbitrage au jeu de football
US5615880A (en) * 1996-05-06 1997-04-01 Booth; Jason P. Electronic goal detecting system
EP0969903B1 (en) 1997-02-27 2010-05-12 TKS, Inc. Local area multiple object tracking system
US5748073A (en) * 1997-05-29 1998-05-05 Crawford; James D. Electronic goal detector
US5976038A (en) * 1997-12-10 1999-11-02 Toy Builders Apparatus for detecting moving ball
EP1042686A2 (en) 1997-12-24 2000-10-11 Television New Zealand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position determinations
GB9821105D0 (en) * 1998-09-29 1998-11-18 Intelligent Sports Technology Goal posts
AU2311500A (en) 1999-02-09 2000-08-29 Integrated Design Limited Position sensing
WO2001066201A1 (de) 2000-03-06 2001-09-13 Cairos Technologies Ag Einrichtung zur erfassung der position und/oder bewegung von objekten und/oder lebewe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77030T1 (de) 2010-08-15
US7867113B2 (en) 2011-01-11
EP1596945B1 (en) 2010-08-11
WO2004076003A9 (en) 2006-10-12
WO2004076003A1 (en) 2004-09-10
JP2006519040A (ja) 2006-08-24
DE602004028576D1 (de) 2010-09-23
DE04715880T1 (de) 2008-04-03
EP1596945A1 (en) 2005-11-23
KR20050109510A (ko) 2005-11-21
MXPA05008978A (es) 2006-02-10
US20060247076A1 (en) 2006-11-02
EA200501375A1 (ru) 2006-02-24
BRPI0407889A (pt) 2006-03-01
EA008370B1 (ru)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298B1 (ko) 득점 평면을 통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득점 검출기
JP5078868B2 (ja) ゴール面を通過する物体検出用のゴール検出器
JP2011500112A (ja) ゴール面を通過する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ゴール検出器
AU724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ipulation of objects in a television picture
US1116281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location determinations
US20030125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of objects, and application to real time display of the position of players, equipment and officials during a sporting event
US20110156868A1 (en) System und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analyse eines wettkampfverlaufes
JP2006523839A (ja) スポーツ用具の位置特定用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