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874B1 -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874B1
KR101199874B1 KR1020100119611A KR20100119611A KR101199874B1 KR 101199874 B1 KR101199874 B1 KR 101199874B1 KR 1020100119611 A KR1020100119611 A KR 1020100119611A KR 20100119611 A KR20100119611 A KR 20100119611A KR 101199874 B1 KR101199874 B1 KR 10119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apping
broadcast
user terminal
interface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016A (ko
Inventor
최병환
김준환
김기형
노형주
임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Priority to KR102010011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8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와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상기 플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행위가 수행되었음이 감지되면, 타 방송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재핑 인터페이스를 상기 플레이어 상에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타 방송 채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웹 사이트에서 여러 방송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방송 콘텐츠 중 하나를 시청하던 중, 재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파악하고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바로 선택 및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ZAPPING INTERFACE SUPPORTING WEB BASED BROADCAS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플레이어의 일측에 재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타 방송 채널로의 즉각적인 채널변경이 가능하도록 재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방송 형태로 방송 콘텐츠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 콘텐츠는 텔레비전을 통해 시청하게 되나, 일부 시청자들의 경우에는 인터넷 방송뿐만 아니라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시청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를 찾아 접속하여야 한다. 즉, 각 방송국에서 제작한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방송국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 콘텐츠 시청의 경우, 텔레비전과는 달리 리모콘 등의 채널 변경용 입력장치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방송국 웹사이트내에서도 사용자가 다른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시청하던 방송 콘텐츠의 시청을 중단하고 일일이 검색을 통해 원하는 다른 방송 콘텐츠를 찾아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여러 방송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방송 콘텐츠의 시청 중, 타 방송 채널에서 방송하는 방송 콘텐츠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타 방송 채널로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해주는 헤드엔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웹 페이지상에 표시되는 플레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플레이어 상에서 타 방송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타 방송 채널을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는 플레이어 상의 일측에 표시되며, 상기 타 방송 채널에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제목이 표시되는 복수의 재핑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재핑셀은 상하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배치되며, 각 재핑셀은 미리 선택된 임의의 재핑셀로부터 이격될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선명도도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엔드부는,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행위가 수행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재핑셀 중 사용자로부터 방송 시청이 선택된 재핑셀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와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상기 플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행위가 수행되었음이 감지되면, 타 방송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재핑 인터페이스를 상기 플레이어 상에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타 방송 채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타 방송 채널에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제목이 표시되며 다단계로 배치된 복수의 재핑셀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재핑셀 내에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재핑셀 내에 표시된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은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재핑셀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새로운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이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내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가 스트리밍되거나,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의 제거를 위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행위가 수행되면,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가 상기 플레이어 상에서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웹 사이트에서 여러 방송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방송 콘텐츠 중 하나를 시청하던 중,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재핑 인터페이스를 플레이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재핑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 제목을 보고 원하는 방송 콘텐츠가 재핑 인터페이스의 특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미리 약속된 입력행위를 수행하면 해당 방송 콘텐츠가 플레이어에 바로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청을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으며, 원하는 방송 채널로 바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하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웹/백엔드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a는 도 2의 재핑 제공부에 의해 재핑 인터페이스가 플레이어 상에 표시된 상태의 화면도,
도 3b는 재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이 변경된 상태의 화면도,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재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방송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동안,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는 플레이어에서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즉각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재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재핑 기능의 활성화시, 플레이어 상에 타 방송 채널에서 현재 방송중인 방송 콘텐츠 정보가 표시되는 재핑 인터페이스(420)가 표시되고,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통해 타 방송 채널로 즉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재핑 기능 및 재핑 인터페이스(4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방송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위한 헤드엔드부(110)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 및 각종 관리를 위한 웹/백엔드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 시스템 관리자의 관리를 받을 수 있다.
헤드엔드부(110)는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아 전송 환경 및 사용자 단말 기종 별로 적합한 형태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스트리밍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헤드엔드부(110)는 후술할 방송 편성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방송 편성표 또는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통해 선택한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40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웹/백엔드부(120)는 사용자에게 방송 편성 정보와 플레이어(403)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플레이어(403)는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플레이어(403) 상에 표시하는 재핑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웹/백엔드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시청을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받고, 회원 관리, 과금 관리, 방송 스케줄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어(403)는 웹 페이지와 별도로 미리 다운로드 되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는 지상파 방송국, 케이블 방송국 또는 기타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 등으로 다양한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실시간 방송 콘텐츠라 함은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등에서 실시간으로 서비스되는 방송 프로그램, 즉 생방송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3G, WiFi, WiBro 등의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웹 기반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통신망을 통해 헤드엔드부(110) 또는 웹/백엔드부(120)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웹 패드,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는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400)은 실시간 방송 콘텐츠의 편성 정보 확인 등을 위한 웹 브라우저, 암호화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DRM 에이전트, 그리고 다른 사용자 단말(400)과 P2P 스트리밍 방식으로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주고 받기 위한 P2P 에이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0)은 시스템(100) 관리자가 웹 기반 방송 서비스의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직접 연결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웹/백엔드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웹/백엔드부(120)는 웹 서버(121), 데이터베이스부(123) 및 관리 서버(125)를 포함한다.
웹 서버(121)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40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한다. 사용자는 웹 서버(121)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방송 편성 정보 확인,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 선택, 요금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웹 서버(121)에서 웹 페이지에 삽입되어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되는 플레이어(403)는 헤드엔드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아래 두 가지 방법으로 플레이어(403)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하나는, 사용자 단말(400)이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처음 접속하면, 플레이어(403)를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플레이어(403)의 다운로드를 선택하면, 플레이어(403)가 사용자 단말(400)로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400)이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할 때마다 플레이어(403)가 웹 페이지와 함께 사용자 단말(400)의 웹 브라우저상에서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사용자 단말(400)이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방송 콘텐츠의 시청을 선택할 때마다, 웹 페이지에 플레이어(403)를 삽입하여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플레이어(403)는, 화면 크기 조절 기능, 화면 배율 조절 기능, 팝업 기능, 및 재핑 기능 들을 구비한다. 이중 재핑 기능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하거나, 플레이어(403) 상에서 미리 약속된 영역을 클릭하거나, 플레이어(403) 상의 임의의 영역을 마우스, 스타일러스펜, 또는 손 등을 위치시키면,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재핑 인터페이스(420)에는 헤드엔드부(110) 또는 웹 서버(121)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채널 정보 중 방송 콘텐츠 제목이 표시된다.
도 3a는 도 2의 재핑 인터페이스가 플레이어 상에 표시된 상태의 화면도이고, 도 3b는 재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이 변경된 상태의 화면도이다.
재핑 인터페이스(4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플레이어(403)의 화면상에 표시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계로 배치된 재핑셀(425)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재핑셀(425)에는 타 방송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의 제목이 표시될 수 있다.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은 타 재핑셀(425)에 비해 크기가 크고, 재핑셀(425) 내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 제목도 타 재핑셀(425)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 제목보다 크기가 크다. 뿐만 아니라,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 내의 방송 콘텐츠 제목은, 색상도 선명하고 컬러로 표시된다. 또한,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은 테두리를 따라 강조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중앙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재핑셀(425)들은,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의 크기보다 작으며, 중앙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더욱 작아진다. 또한 각 재핑셀(425)내의 방송 콘텐츠의 제목은, 중앙영역의 방송 콘텐츠 제목에 비해 크기도 작고 색상도 단색으로 표시되며 선명도도 떨어진다. 그리고 중앙으로부터 멀게 배치된 재핑셀(425)일수록 재핑셀(425)의 선명도가 떨어진다. 또한, 방송 콘텐츠 제목이 중앙의 재핑셀(425)에 도달하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의 마크 또는 이름이 부가되어 방송 콘텐츠의 제목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이 다른 재핑셀(425)에 비해 크고 선명하게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특정 버튼을 선택하거나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터치하면,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어 스트리밍됨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미리 약속된 소정의 입력을 수행하면,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플레이어(403)에 표시된다.
이러한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각 재핑셀(425)에는 각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이 하나씩 표시되며, 각 방송 콘텐츠 제목은 상부의 재핑셀(425)에서 하부의 재핑셀(425)로, 또는 하부의 재핑셀(425)에서 상부의 재핑셀(425)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진행순서를 따라 마지막 재핑셀(425)에 표시되었된 방송 콘텐츠 제목은 재핑 인터페이스(420)에서 사라지고, 첫번째 재핑셀(425)에는 다른 방송 채널에서 방송중인 다른 방송 콘텐츠 제목이 표시된다.
이때,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각 재핑셀(425)에 표시되는 각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은, 미리 설정된 각 방송 채널의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방송 시청률이 높은 방송 채널의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재핑셀(425)에 표시되는 순서는 설계자나 시청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일측에는 중앙의 재핑셀(42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화살표가 표시될 수 있다. 상부의 화살표를 클릭하면, 각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고, 하부의 화살표를 클릭하면 각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425)을 크고 선명하게 표시하였으나,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첫번째 배치된 재핑셀(425) 또는 마지막에 배치된 재핑셀(425)을 크고 선명하게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재핑 인터페이스(420)는 사용자에 의해 타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면 플레이어(40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약속된 입력행위를 수행하면 재핑 인터페이스(420)가 제거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재핑 인터페이스(420)가 활성화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재핑 인터페이스(420)가 자동으로 제거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베이스부(123)는, 방송 편성 정보, 회원 정보, 결제 정보, 방송 스케줄 관리 정보 등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방송 편성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국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콘텐츠 중 일부는 저작권 등의 문제로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될 수 없는 경우 등이 있다. 이 경우 시스템 관리자는 방송 편성 정보에서 해당 부분을 삭제하고, 헤드엔드부(1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관리 서버(125)는 관리자 단말(500)의 명령 및 설정에 따라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웹 기반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400)은, 웹 브라우저(401), 플레이어(403), 표시부(405), 입력부(407), 통신부(409)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401)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웹 서버(121)와 통신하며, 웹 서버(121)에세 제공하는 HTML 문서나 파일과 연동하여 웹 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웹 서버(121)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플레이어(403)는, 웹/백엔드부(120)로부터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다. 플레이어(403)는, 웹 브라우저(401)를 통해 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가 표시될 때, 웹 페이지에 연동하여 웹 페이지 상에 활성화되며, 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플레이어(403)는 재핑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플레이어(403)의 특정 부분에 마우스를 갖다대거나 손가락을 갖다대면, 플레이어(403)는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플레이어(403)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403)는 방송 콘텐츠 제목을 웹 서버(121)에서 제공받은 방송 편성표를 참조하여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각 재핑셀(425)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어(403)는 방송 편성 정보를 웹 서버(121)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거나, 헤드엔드부(110)에서 스트리밍되는 방송 콘텐츠와 함께 전달받을 수도 있다.
표시부(405)는 사용자 단말(400)이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말하며,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가 표시된다. 표시부(405)는 사용자 단말(4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LED, TFT LCD(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AMOLED(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407)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 단말(4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크기가 큰 사용자 단말(400)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태블릿 PC, PDA, 웹 패드,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 소형 단말의 경우에는, 버튼,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409)는 통신망을 통해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과 통신가능하도록 지원하며, 통신망에 부합되는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플레이어의 재핑 기능을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400)이 웹 서버(121)에 접속하면, 방송 편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S500). 방송 편성 정보에서 사용자가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방송보기를 선택하면(S510), 헤드엔드부(110)는 해당 방송 콘텐츠를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해준다(S520). 이와 동시에, 사용자 단말(400)에서는 웹 브라우저(401)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플레이어(403)가 구동되고, 헤드엔드부(110)로부터 제공된 방송 콘텐츠가 플레이어(403)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플레이어(403)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사용자가 미리 약속된 입력행위, 예를 들면, 입력부(407)를 이용하여 플레이어(403)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행위를 수행한다(S530). 그러면, 플레이어(403)는 이를 감지하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플레이어(403) 상에 표시한다(S540). 그리고 플레이어(403)는 웹 서버(121) 또는 헤드엔드부(110)으로부터 각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의 제목을 제공받아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각 재핑셀(425)에 표시한다.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각 재핑셀(425)에 표시된 타 채널의 제목은 일정 시간마다 상부 또는 하부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중앙의 재핑셀(425)에 원하는 방송 제목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등의 입력행위를 수행한다(S550).
그러면, 플레이어(403)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헤드엔드부(110)로 선택된 방송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헤드엔드부(11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그런 다음, 헤드엔드부(110)는 사용자 단말로 해당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한다(S560). 한편, 플레이어(403)는 사용자가 타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지 아니하면, 사용자가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끄기 위한 입력행위를 수행하는지를 감지하여 재핑 인터페이스(420)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한다(S555). 플레이어(403)는 재핑 인터페이스(420)가 활성화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재핑 인터페이스(420)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저장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번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110 : 헤드엔드부
120 : 웹/백엔드부 121 : 웹 서버
123 : 데이터베이스부 403 : 플레이어
420 : 재핑 인터페이스 425 : 재핑셀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해주는 헤드엔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레이어가 삽입되며,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플레이어 상에서 타 방송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타 방송 채널을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는 플레이어 상의 일측에 표시되며, 상기 타 방송 채널에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제목이 표시되는 복수의 재핑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재핑셀은,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과 상기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될수록 단계적으로 크기가 작아지고 선명도도 저하되는 재핑셀을 포함하며,
    실시간으로 방송 시청률이 높은 방송 채널의 순서에 따라 시청률이 높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이 중앙에 가깝게 배치된 재핑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엔드부는,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행위가 수행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재핑셀 중 사용자로부터 방송 시청이 선택된 재핑셀에 표시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5. 사용자 단말로 웹 기반 방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와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상기 플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행위가 수행되었음이 감지되면, 타 방송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재핑 인터페이스를 상기 플레이어 상에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타 방송 채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되는 단계; 및,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재핑셀 내에 표시된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은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재핑셀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새로운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이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내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타 방송 채널에서 방송되는 방송 콘텐츠 제목이 표시되며 다단계로 배치된 복수의 재핑셀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재핑셀 내에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재핑셀은,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과 상기 중앙에 배치된 재핑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될수록 단계적으로 크기가 작아지고 선명도도 저하되는 재핑셀을 포함하며,
    실시간으로 방송 시청률이 높은 방송 채널의 순서에 따라 시청률이 높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 제목이 중앙에 가깝게 배치된 재핑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기 타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가 스트리밍되거나,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의 제거를 위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행위가 수행되면, 상기 재핑 인터페이스가 상기 플레이어 상에서 제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방법.
KR1020100119611A 2010-11-29 2010-11-29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11A KR101199874B1 (ko) 2010-11-29 2010-11-29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11A KR101199874B1 (ko) 2010-11-29 2010-11-29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16A KR20120058016A (ko) 2012-06-07
KR101199874B1 true KR101199874B1 (ko) 2012-11-09

Family

ID=4660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611A KR101199874B1 (ko) 2010-11-29 2010-11-29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8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16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1421B1 (e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heterogeneous content
US20180356955A1 (en)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CN113422999B (zh) 显示方法及显示设备
EP2788885B1 (en) System and method of page sharing by a device
EP309652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video comment threading
US20120079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media guidance
RU26302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асписаниями в портативном терминале
US200900470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b Browser-Based Multi-Channel Content Player
CN104427376A (zh) 信息显示装置、信息显示方法以及计算机程序
US8843964B2 (en) Interactive matrix cell transformation user interface
US20140245125A1 (en) Creation of a content display area on a web page
KR20120083090A (ko) 재생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20190037270A (ko) 정적 및 시간 지식 그래프를 기반으로 용어를 명확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055099B2 (en) User-programmable channel store for video
US201702858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yback of a media asset using a touch screen
US20160342574A1 (en) Allotment of placement locations for supplemental content in dynamic documents
JP5907713B2 (ja) 表示装置、情報端末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679640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KR101187388B1 (ko) 추천 방송 콘텐츠 가이드를 제공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99874B1 (ko) 재핑 인터페이스 지원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8015A (ko)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820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dering media content
JP5841100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0100616A4 (en) Remote Content Download
JP6211041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および配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