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740B1 -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9740B1 KR101199740B1 KR1020050113642A KR20050113642A KR101199740B1 KR 101199740 B1 KR101199740 B1 KR 101199740B1 KR 1020050113642 A KR1020050113642 A KR 1020050113642A KR 20050113642 A KR20050113642 A KR 20050113642A KR 101199740 B1 KR101199740 B1 KR 101199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rill
- cabinet body
- blocking unit
- b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2700/00—Safes or accessories thereof
- E05G2700/02—Strong boxes, wall safe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볼통공(21',22')이 각각 다수개씩 천공되는 제1 및 제2 판(21,22)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너(20)와, 상기 리테이너(2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판(21,22)의 사이에서 상기 볼통공(21',22')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안착되는 볼(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어잠금 안전장치는 캐비넷본체(30)의 내부공간(3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캐비넷본체(30)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40)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4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운동되는 로드바아(44)를 구비하는 록킹기구(42)와, 상기 로드바아(44)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도어(40)가 캐비넷본체(30)에 체결되도록 상기 캐비넷본체(30)에 형성되는 록킹홈(34)과, 상기 록킹홈(34)과 대응되는 캐비넷본체(30)의 외면과 상기 록킹홈(34)의 사이에 형성되는 강화홈(36)에 안착되는 청구항 1항에서 청구항 3항중 어느 한 항의 드릴차단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잠금, 안전, 볼베어링, 드릴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잠금장치가 채용된 금고의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잠금장치를 비정상적으로 파괴하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드릴차단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드릴차단유니트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잠금 안전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서 드릴의 공격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리테이너 21,22: 제1 및 제2 판
24: 볼 30: 캐비넷본체
32: 내부공간 34: 록킹홈
36: 강화홈 40: 도어
42: 록킹기구 44: 로드바아
46: 가이드바아 50: 드릴차단유니트
본 발명은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고와 같이 도어의 잠금상태가 중요한 부분에서 도어잠금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고, 금융자동화기기 등과 같이, 경제적 가치가 있는 현금, 수표 등이 보관되는 것에서는 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본체에 도어가 보다 견고하게 잠금되어야 내부공간에 있는 현금 등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잠금장치가 채용된 금고의 요부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금고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본체(1)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에는 금고의 경우 현금 등이 직접 보관되고, 금융자동화기기의 경우 내부에 설치된 장치의 지폐카세트에 현금 등이 보관 된다. 상기 캐비넷본체(1)의 내부공간(3) 일측면 선단에는 록킹홈(5)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본체(1)의 내부공간(3)은 도어(7)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7)는 그 일단부가 상기 캐비넷본체(1)에 힌지유니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7)의 내면에는 상기 록킹홈(5)과 인접한 위치에 가이드바아(7')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7)의 내면에는 록킹기구(9)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기구(9)는 그 일부가 상기 도어(7)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정상적인 조작에 의해 잠금/해제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록킹기구(9)는 일반적으로 금고의 경우 다이얼록과 핸들등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기구(9)에는 로드바아(9')가 구비되는데, 상기 로드바아(9')는 록킹기구(9)의 동작에 의해 록킹기구(9)의 내외부로 입출된다. 상기 로드바아(9')는 록킹기구(9)에 의해 동작되면 그 선단이 상기 록킹홈(5)에 입출된다. 상기 로드바아(9')가 상기 록킹홈(5)에 안착된 상태가 도어(7)가 캐비넷본체(1)에 잠금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잠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자가 드릴(10)을 사용하여 상기 캐비넷본체(1)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을 통해 록킹홈(5)으로 핀(10') 등을 삽입하여 상기 로드바아(9')를 타격하면, 상기 로드바아(9')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도어(7)의 잠금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해제되어, 상기 도어(7)를 개방시 킬 수 있다. 따라서, 탈취자가 캐비넷본체(1) 내부의 현금 등을 탈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릴과 같은 공구를 사용한 캐비넷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드릴차단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릴과 같은 공구를 차단하는 드릴차단유니트를 사용하여 금고 등의 도어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도어잠금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볼통공이 각각 다수개씩 천공되는 제1 및 제2 판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 및 상기 제2판 각각의 볼통공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안착되는 볼을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판은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판의 회전중심에 해당되는 볼통공에 안착된 볼의 기하학적 중심은 상기 제1 및 제2 판의 회전중심과 일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비넷본체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캐비넷본체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운동되는 로드바 아를 구비하는 록킹기구와, 상기 로드바아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도어가 캐비넷본체에 체결되도록 상기 캐비넷본체에 형성되는 록킹홈과, 상기 록킹홈과 대응되는 캐비넷본체의 외면과 상기 록킹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강화홈에 안착되는 청구항 1항에서 청구항 3항중 어느 한 항의 드릴차단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릴차단유니트는 전체적으로 원판상이고, 상기 드릴차단유니트가 안착되는 강화홈도 이에 대응되는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화홈은 상기 캐비넷본체의 내측벽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드릴차단유니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차폐판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 의하면, 금고의 캐비넷본체에 드릴로 록킹홈까지 통공을 천공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도어의 잠금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드릴차단유니트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리테이터(20)는 제1판(21)과 제2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은 각각 원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에는 각각 다수개의 볼통공(21',22')이 형성된다. 상기 볼통공 (21',22')은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원판 형상인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은 각각 그 회전중심에 볼통공(21',22')중 하나의 중심이 일치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판(21,22)에 각각 7개의 볼통공(21',22')이 천공되는데, 그 중 하나가 제1 및 제2 판(21,22)의 회전중심과 일치하게 되고 나머지는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볼통공(21',22')의 직경은 아래에서 설명될 볼(2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볼통공(21',22')을 통해 상기 판(21,22)의 표면에 볼(24)의 외면이 위치되도록 볼(24)이나 볼통공(21',22')의 직경이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의 사이에는 볼(24)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볼(24)은 각각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의 서로 대응되는 볼통공(21',22')과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사이의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볼(24)은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너(20)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볼(24)의 배치는 상기 리테이너(20)의 회전중심과 그에 배치된 볼(24)의 기하학적 중심이 일치하도록 하고, 나머지 볼(24)들은 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하나의 원을 형성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드릴차단유니트는 상기 볼(24)이 마치 바퀴와 같은 역할을 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드릴차단유니트가 상기 리테이너(20)의 형상인 원판 형상과 형합되는 형상을 가진 홈 내에 위치된다면 상기 드릴차단유니트에 힘에 가해지면 상기 볼(24)이 상기 홈의 내면을 따라 구 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드릴차단유니트는 상기 리테이너(20)의 회전중심에 있는 볼(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외부에서 드릴과 같은 공구가 상기 드릴차단유니트에 힘을 가하면 상기 리테이너(20)는 상기 볼(24)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그 회전중심에 설치된 볼(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드릴에 의해 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드릴이 파손되도록 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볼(124,224)의 갯수가 상기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많다. 물론 도 5a에 도시된 예보다 도 5b에 도시된 예가 볼(224)의 갯수가 더 많다.
하지만, 도 5의 두 예에서도, 리테이너(120,220)의 회전중심에 있는 볼(124,224)의 기하학적 중심은 리테이너(120,220)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머지 볼(124,224)들은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반드시 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원을 그리는 것은 아니다. 즉, 드릴차단유니트가 설치된 위치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만 있다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시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캐비넷본체(3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본체(30)는 일반적으로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내부공간(32)이 상기 캐비넷본체(30)의 전면으로 개구된다.
상기 캐비넷본체(30)의 일측벽 내면에는 록킹홈(34)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 홈(34)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기구(42)의 로드바아(44) 선단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록킹홈(34)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캐비넷본체(30)의 일측벽 내부에는 강화홈(36)이 형성된다. 상기 강화홈(36)은 상기 캐비넷본체(30)의 일측벽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록킹홈(34)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캐비넷본체(30)의 외면과 상기 록킹홈(34)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강화홈(36)은 상기 캐비넷본체(30)의 내측벽을 요입되게 가공하고 별도의 차폐판(37)을 덧대어 차폐한 것이다. 상기 차폐판(37)은 일반적으로 상기 캐비넷본체(30)에 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덧대어진 차폐판(37)에는 상기 록킹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덧대어진 차폐판(37)은 실질적으로 캐비넷본체(30)의 측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강화홈(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드릴차단유니트(50)가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강화홈(36)은 상기 드릴차단유니트(50)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즉, 원판상의 드릴차단유니트(50)와 대응되게 강화홈(36)은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2)은 도어(4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캐비넷본체(30)의 전면 일측단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록킹홈(34)이 형성된 반대쪽 측벽측에 힌지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도어(40)에는 록킹기구(42)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기구(42)는 상기 도어(40)를 상기 캐비넷본체(30)에 잠금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록킹기구(42)는 잠금과 해제를 위한 구성을 구비하는데, 사용자가 록킹기구(42)를 조작하기 위한 부 분과 실제로 잠금과 해제를 수행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록킹기구(42)중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실제로 잠금과 해제를 수행하는 부분중 요부인 로드바아(4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드바아(44)는 상기 록킹기구(42)의 조작에 의해 그 선단이 상기 록킹홈(34)에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즉, 상기 로드바아(44)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34)에 들어가면, 도어(40)가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로드바아(44)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34)에서 빠져나오면 도어(40)가 잠금해제상태로 된다.
상기 도어(40)의 내면에는 상기 록킹홈(3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바아(46)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아(46)는 상기 로드바아(44)의 이동궤적을 안내하고, 로드바아(44)가 정해진 이동방향 이외로는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캐비넷본체(30)에 형성된 강화홈(36)에는 드릴차단유니트(50)가 설치된다. 상기 드릴차단유니트(5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것으로, 외부에서 드릴을 이용해서 상기 록킹홈(34)에 수납되어 있는 로드바아(44)의 선단을 파손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 드릴이 상기 록킹홈(34)까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와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도어잠금 안전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기구(42)를 조작하면 상기 로드바아(44)가 전진하여 그 선단이 상기 록킹홈(3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 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기구(42)를 조작하여 상기 로드바아(44)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34)에서 빠져나오게 하면, 도어(40)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40)를 열어 상기 내부공간(32)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32)이 개방되면, 그 내부에 필요한 것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0)가 닫히고 상기 로드바아(44)의 선단이 상기 록킹홈(34)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자가 드릴(10)을 사용하여 상기 캐비넷본체(30)를 관통하는 통공을 천공하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화홈(36)에 안착된 드릴차단유니트(50)에 의해 드릴(10)에 의한 천공이 방지된다.
즉, 상기 드릴(10)이 상기 강화홈(36)까지 천공을 하여 침입하더라도, 상기 드릴차단유니트(50) 때문에 더 이상 천공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상기 볼(24) 또는 상기 리테이너(20)가 드릴(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드릴차단유니트(50)를 관통하여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드릴(10)의 선단이 상기 볼(24)에 접촉하였다면, 상기 볼(24)에 대해 상기 드릴(10)이 헛돌게 된다. 만약, 상기 드릴(10)이 볼(24)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접촉되면 드릴(10)이 미끄러지면서 파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릴(10)이 상기 리테이너(20)의 회전중심에 해당되는 볼(24)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면, 상기 드릴차단유니트(5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24)을 중심으로 상기 리테이너(20)가 회전하면서 천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리테이너(20)의 회전중심에 있는 볼(24)이외의 다른 볼(24)의 중심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드릴(10)의 선단이 닿게 되면 드릴(10)은 헛돌게 된다.
하지만, 상기 드릴(10)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4)과 볼(24) 사이의 공간에 그 선단 중심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20)의 회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드릴(10)은 볼(24)과 함께 헛돌거나, 상기 볼(24)에서 미끄러지면서 휘어져 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릴(10)을 사용하여 캐비넷본체(30)을 관통하여 상기 록킹홈(34)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드릴차단유니트와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리테이너를 구성하는 판에 형성된 볼통공에 각각 볼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되어 드릴차단유니트가 구성되므로, 드릴을 사용하여 리테이너를 관통하는 통공을 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드릴을 사용하여 금고 등에 통공을 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드릴차단유니트를 도어의 잠금을 위한 로드바아 선단이 위치되는 록킹홈에 대응되는 캐비넷본체 내에 설치함에 의해 외부로부터 로드바아를 파손하기 위해 접근하는 공구에 의한 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에서는 금고 등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비정상적으로 파손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볼통공이 각각 다수개씩 천공되는 제1 및 제2 판으로 구성되는 리테이너와,상기 리테이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1판 및 상기 제2판 각각의 볼통공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안착되는 볼을 포함하는 드릴차단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판은 원판상으로 형성되는 드릴차단유니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판의 회전중심에 해당되는 볼통공에 안착된 볼의 기하학적 중심은 상기 제1 및 제2 판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드릴차단유니트.
- 캐비넷본체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캐비넷본체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운동되는 로드바아를 구비하는 록킹기구와,상기 로드바아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도어가 캐비넷본체에 체결되도록 상기 캐비넷본체에 형성되는 록킹홈과,상기 록킹홈과 대응되는 캐비넷본체의 외면과 상기 록킹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강화홈에 안착되는 청구항 1항에서 청구항 3항중 어느 한 항의 드릴차단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차단유니트는 전체적으로 원판상이고, 상기 드릴차단유니트가 안착되는 강화홈도 이에 대응되는 원판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홈은 상기 캐비넷본체의 내측벽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드릴차단유니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차폐판에 의해 차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 안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3642A KR101199740B1 (ko) | 2005-11-25 | 2005-11-25 |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3642A KR101199740B1 (ko) | 2005-11-25 | 2005-11-25 |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5203A KR20070055203A (ko) | 2007-05-30 |
KR101199740B1 true KR101199740B1 (ko) | 2012-11-08 |
Family
ID=3827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3642A KR101199740B1 (ko) | 2005-11-25 | 2005-11-25 |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974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68305A1 (fr) | 1984-07-24 | 1986-01-31 | Fichet Bauche |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outils perforants et paroi composite munie de ce dispositif |
JP2004150234A (ja) | 2002-11-01 | 2004-05-27 | Kumazawa Tekko:Kk | 金庫の盗難防止装置 |
-
2005
- 2005-11-25 KR KR1020050113642A patent/KR1011997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68305A1 (fr) | 1984-07-24 | 1986-01-31 | Fichet Bauche |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outils perforants et paroi composite munie de ce dispositif |
JP2004150234A (ja) | 2002-11-01 | 2004-05-27 | Kumazawa Tekko:Kk | 金庫の盗難防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5203A (ko) | 2007-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38929B2 (en) | Door locking apparatus and an enclosure having the same | |
US6889534B2 (en) | Controlled access lock | |
KR101199740B1 (ko) | 드릴차단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도어잠금 안전장치 | |
US4688405A (en) | Concealed post lock | |
KR101372371B1 (ko)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
KR101263281B1 (ko) |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매체자동처리기 | |
US20020078722A1 (en) | Lock protector for dispensing machines | |
KR101305019B1 (ko)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
KR101268178B1 (ko) | 안전강화구조 | |
KR200420902Y1 (ko) | 금고함의 도어록킹장치 | |
GB2449555A (en) | Cylinder lock with blocking tumblers | |
KR101199696B1 (ko) | 도어잠금 안전장치 | |
JP3989915B2 (ja) | 自動販売機等の扉用ロック装置 | |
FI128051B (fi) | Lukko | |
GB2432876A (en) | Roller-shutter door locking arrangement | |
KR101631873B1 (ko)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
KR200374671Y1 (ko) |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도어 잠금장치 | |
JP2969117B1 (ja) | 自販機等の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 |
KR200366377Y1 (ko) |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잠금장치 이중커버 | |
JP3499540B2 (ja) |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 |
JP6913337B2 (ja) | 遊技機の施錠装置 | |
KR200371745Y1 (ko) | 열쇠 및 이를 사용하는 자물쇠 | |
JP3992675B2 (ja) | 錠前、並びに、サムターン | |
KR101667101B1 (ko) |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 |
KR20230040803A (ko) |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