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931B1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931B1
KR101198931B1 KR1020110065406A KR20110065406A KR101198931B1 KR 101198931 B1 KR101198931 B1 KR 101198931B1 KR 1020110065406 A KR1020110065406 A KR 1020110065406A KR 20110065406 A KR20110065406 A KR 20110065406A KR 101198931 B1 KR101198931 B1 KR 10119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vice
radiating
conductor
unit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길
배기형
김요식
여수철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8Arrangements for establishing polarisation or beam width over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32Vertical arrangement of element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송수신 회로부의 급전부에 접속되는 제1 방사부; 상기 제1 방사부의 타단에 제공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제1 방사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 방사부를 상기 제1 방사부에 접속시키면 제1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제2 방사부의 접속을 차단하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제2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장치는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방사부의 전기적 길이가 달라지므로,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방사부와 제2 방사부의 구성에 따라, 고차 모드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광대역 특성과 무지향 방사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형상 휩 안테나의 형태를 가지면서도 다중 대역,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용 모노폴 안테나로는 일반적으로 휩(whip) 안테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휩 안테나는 구조가 단순하지만, 협대역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차 모드 발생으로 인해 동작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무지향 방사 패턴을 갖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휩 안테나의 협대역 특성 개선을 위해 발룬 및 임피던스 변환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발룬 및 임피던스 변환기를 부가할 경우, 휩 안테나 구조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대역폭을 개선하더라도 고차 모드 발생을 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작하는 전체 대역의 주파수에서 무지향 방사 패턴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휩 안테나는 단순한 구조의 장점이 있는 반면 협대역 특성으로 인해 수신율 개선이 어렵고, 대역폭의 확장이나 무지향 방사 패턴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부피와 무게를 증가가 불가피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외형상 휩 안테나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광대역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동작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무지향 방사 패턴을 확보하기 용이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적어도 이중 공진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기 용이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단이 송수신 회로부의 급전부에 접속되는 제1 방사부;
상기 제1 방사부의 타단에 제공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제1 방사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 방사부를 상기 제1 방사부에 접속시키면 제1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제2 방사부의 접속을 차단하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제2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제1 방사부는 내부 도체; 상기 내부 도체를 둘러싸게 제공되는 자성 유전체; 및 상기 자성 유전체를 둘러싸게 제공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송수신 회로부의 접지면에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방사부는,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자성 유전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생 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방사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1/4 파장에 이르는 지점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방사부의 구성에서, 상기 내부 도체와 외부도체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 위상차 전류 분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방사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 제공된 접이부(folding portion); 및 상기 접이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방사부는 상기 제2 연장부 상에 제공되는 인덕터와 저항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접지면의 전류 밀도 및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방사 패턴의 왜곡 현상을 억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는 원통 형상, 평판 형상, 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제2 방사 소자 및 스위치부의 조합을 통해 대역폭이 170% 이상 개선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장치는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방사부의 전기적 길이가 달라지므로,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방사부를 구성함에 있어, 외부 도체를 접지면에 연결함과 아울러 외부 기생 도체를 부가함으로써, 고차 모드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광대역 특성과 무지향 방사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사부에 인덕터와 저항을 배치하여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제1, 제2 방사부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임피던스 정합과 이중 공진을 형성하여 대역폭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제1 방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스위치부가 제1, 제2 방사부를 접속시킨 상태에서의 방사 특성을 종래의 휩 안테나의 방사 특성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스위치부가 제1, 제2 방사부의 접속을 차단한 상태에서의 방사 특성을 종래의 휩 안테나의 방사 특성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휩 안테나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전류 밀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휩 안테나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전류 분포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스위치부 작동 여부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100)의 제1 방사부(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 주파수에 관해서는 보안의 필요성으로 인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송수신 회로부(109)에 접속되는 제1 방사부(101), 스위치부(102) 및 상기 스위치부(102)를 통해 상기 제1 방사부(10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방사부(103)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부(102)의 동작에 따라,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102)에 의해 상기 제2 방사부(103)가 상기 제1 방사부(101)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전기적 길이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치부(102)가 상기 제2 방사부(103)를 상기 제1 방사부(101)에 접속시킨 때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제1 주파수 대역이라 한다면, 상기 스위치부(102)가 상기 제1, 제2 방사부(101, 103)의 접속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2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100)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방사부(101, 103)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방사부(101)만이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실질적인 전기적 길이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 방사부(101, 103)가 접속되면 상기 제1, 제2 방사부(101, 103) 전체의 길이가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실질적인 전기적 길이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더 긴 전기적 길이, 즉, 파장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더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1 방사부(101)는, 내부 도체(111)와 외부 도체(115), 상기 내부/외부 도체(111, 115)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 유전체(113)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 유전체(113)가 상기 내부 도체(111)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외부 도체(115)는 상기 자성 유전체(113)를 둘러싸게 배치되면서, 상기 내부 도체(111), 자성 유전체(113) 및 외부 도체(115)가 동축 정렬을 이루게 배치된다. 상기 내부 도체(111)와 외부 도체(115)는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 분포, 즉, 180도 위상차를 가지는 전류 분포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도체(111)와 외부 도체(113) 사이의 간격에 따라 임피던스 측면에서는 서로 결합되는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내부 도체(111)와 외부 도체(115) 사이에 상기 자성 유전체(113)가 개재되면서 동축 정렬된 구졸르 개시하고 있으므로, 상기 내부 도체(111)와 외부 도체(115)는 원통 형상을 가지게 되지만, 평판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체(111)와 외부 도체(115)가 평판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인 경우, 상기 내부 도체(111), 자성 유전체(113) 및 외부 도체(115)가 동축 정렬되지는 않으며, 단지 상기 자성 유전체(113)의 내측과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부(101)는 그 일단이 상기 송수신 회로부(109)의 급전부에 집적 접속되며, 상기 외부 도체(115)의 경우, 상기 송수신 회로부(109) 측에 제공되는 커넥터의 접지부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체(115)가 커넥터의 접지부에 연결되는 경우, 접지면(199) 전류 분포 및 밀도의 변화를 초래하며, 이를 통해 방사 패턴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 도체(115)를 접지면(199)에 연결하여 고차 모드의 전류 분포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외부 도체(115)를 상기 접지면(199)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접지면(199)의 전류 밀도 및 전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사 패턴의 왜곡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방사부(101)는 상기 외부 도체(115) 외에도 상기 외부 도체(115)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자성 유전체(113)의 일부분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생 도체(117)를 더 배치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거나 고차 모드 전류 분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좀더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102)는 상기 제1 방사부(101)의 타단에,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방사부(101)의 내부 도체(111)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02)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1 방사부(101) 동작 주파수 대역의 1/4 파장에 이르는 지점이다. 즉, 상기 스위치부(10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0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동작 주파수 대역, 즉, 상기 제1, 제2 주파수 대역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위치부(102)의 작동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전원선이 상기 스위치부(102)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방사부(103)는 제1 연장부(131), 접이부(folding portion)(133) 및 제2 연장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방사부(135)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로드(ro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접이부(133)를 포함함으로써 접이형 안테나(folded antenna)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연장부(131)는 상기 스위치부(102)로부터 상기 제1 방사부(101)의 내부 도체(111)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내부 도체(111)와 일직선 상에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부(133)의 일단은 상기 제1 연장부(131)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연장부(135)가 상기 접이부(133)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구조이다. 이로써, 상기 제2 연장부(135)는 상기 제1 연장부(131)의 일측에 나란하게,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장부(131)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연장부(135)의 단부는 상기 스위치부(102)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2 방사부(103)는 상기 제2 연장부(135) 상에 제공되는 인덕터와 저항(137a, 137b)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덕터와 저항(137a, 137b)은 상기 제2 방사부(103)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게 되며, 이중 공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와 저항(137a, 137b)에 의한 이중 공진은 서로 근접하는 두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대역폭을 확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덕터와 저항(137a, 137b)은 상기 안테나 장치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인덕터만 또는 저항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스위치부(102)에 의해 상기 제2 방사부(103)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방사부(101)만이 방사체로 작동하여 고주파수 대역, 즉, 앞서 언급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 도체(115)를 접지면에 연결하여 고차 모드 발생을 억제하면서 임피던스 정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방사부(101), 제2 방사부(103) 및 스위치부(102)의 조합을 통해 안테나 대역폭은 170% 이상 개선된다. 상기 스위치부(102)가 상기 제2 방사부(103)를 상기 제1 방사부(101)에 접속시킨 상태에서의 반사 손실이 도 7의 (a)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제2 방사부(103)와 상기 제1 방사부(101)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에서의 반사 손실이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다. 5dB의 반사 손실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비 대역폭이 170% 이상임을 반사 손실을 측정하여 나타내는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102)를 이용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100)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02)에 의해 상기 제2 방사부(103)가 상기 제1 방사부(101)에 접속되면, 상기 제1, 제2 방사부(101, 103)가 모두 방사체로 작동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저주파수 대역, 즉,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 도체(115)가 접지면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인덕터와 저항(137a, 137b)이 함께 임피던스 정합 및 이중 공진을 일으켜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테나 장치(100)가 저주파수 대역, 즉,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의 방사 패턴이 도 3의 (c)와 (d)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종래의 휩 안테나의 방사 패턴이 도 3의 (a)와 (b)에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안테나 장치(100)가 고주파수 대역, 즉,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의 방사 패턴이 도 4의 (c)와 (d)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종래의 휩 안테나의 방사 패턴이 도 4의 (a)와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 특성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 특성이 종래의 안테나 장치와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고주파수 대역에서 무지향 방사 특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휩 안테나 장치의 경우, 하나의 안테나 장치만으로 서로 다른 두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룬이나 임피던스 변환기 등을 활용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더라도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방향성이 증가하면서 특정 지향 방향 외에는 부엽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외형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장치이지만,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며, 특히,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방사 파워와 최소 방사 파워 사이의 편차가 5dB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무지향 방사 특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각각 종래의 휩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전류 밀도와 전류 분포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5의 (a)는 종래의 휩 안테나에서 나타나는 전류 밀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의 (b)는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전류 밀도를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도 6의 (a)는 종래의 휩 안테나에서 나타나는 전류 분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의 (b)는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전류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외부 도체(115)를 상기 접지면(199)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접지면(199)의 전류 밀도 및 전류 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도 5와 도 6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외부 도체(115)가 상기 접지면(199)에 연결되기 전후의 전류 밀도와 전류 분포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사 패턴의 왜곡 현상, 특히 고차 모드의 전류 분포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안테나 장치 101: 제1 방사부
111: 내부 도체 113: 자성 유전체
115: 외부 도체 102: 스위치부
103: 제2 방사부 131: 제1 연장부
133: 접이부 135: 제2 연장부
137a, 137b: 인덕터, 저항

Claims (11)

  1.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송수신 회로부의 급전부에 접속되는 제1 방사부;
    상기 제1 방사부의 타단에 제공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제1 방사부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사부는, 제1 방사부는, 내부 도체; 상기 내부 도체의 둘레에 제공되는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외부 기생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 방사부를 상기 제1 방사부에 접속시키면 제1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제2 방사부의 접속을 차단하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제2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방사부는 상기 내부 도체를 둘러싸게 제공되는 자성 유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자성 유전체를 둘러싸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송수신 회로부의 접지면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생 도체는 상기 자성 유전체의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1/4 파장에 이르는 지점에서 상기 스위치부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와 외부도체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 위상차 전류 분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 제공된 접이부(folding portion); 및
    상기 접이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부는 상기 제2 연장부 상에 제공되는 인덕터와 저항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접지면의 전류 밀도 및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방사 패턴의 왜곡 현상을 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는 원통 형상, 평판 형상, 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방사부 및 스위치부의 조합을 통해 대역폭이 170% 이상 개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110065406A 2011-07-01 2011-07-01 안테나 장치 KR10119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406A KR101198931B1 (ko) 2011-07-01 2011-07-01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406A KR101198931B1 (ko) 2011-07-01 2011-07-01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931B1 true KR101198931B1 (ko) 2012-11-07

Family

ID=4756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406A KR101198931B1 (ko) 2011-07-01 2011-07-01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4760A (zh) * 2022-05-16 2022-07-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c/uhf双频段宽带复合全向天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4760A (zh) * 2022-05-16 2022-07-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c/uhf双频段宽带复合全向天线
CN114824760B (zh) * 2022-05-16 2023-12-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c/uhf双频段宽带复合全向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872B1 (ko) 용량적으로 결합된 복합 루프 안테나
US6975278B2 (en) Multiband branch radiator antenna element
JP5777885B2 (ja) 多重帯域内蔵型アンテナ
FI113911B (fi) Menetelmä signaalin kytkemiseksi ja antennirakenne
US20120229360A1 (en) Indirect fed antenna
JP5725571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機
KR101103208B1 (ko)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US8907857B2 (en) Compact multi-antenna and multi-antenna system
TWI536665B (zh) 調頻天線
KR20110043637A (ko) 컴팩트 멀티밴드 안테나
JP2010010960A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端末
CN210489828U (zh) 一种隔离式地辐射天线及mimo天线系统
US9306275B2 (en) Multi-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WO2014125832A1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装置
CN110829026A (zh) 一种隔离式地辐射天线及mimo天线系统
CN106169653B (zh) 手持终端8天线mimo系统
JP7074637B2 (ja) ブロードバンド・アンテナ・システム
WO2012113026A1 (en) Wideband radiating elements
KR101198931B1 (ko) 안테나 장치
KR101523026B1 (ko) 다중대역 옴니 안테나
JP5018628B2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装置
KR101118038B1 (ko) 다중 대역 및 광대역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JP4971212B2 (ja) ヘリカルホイップアンテナ
CN112787094A (zh) 小尺寸双频天线和通信设备
KR100861865B1 (ko) 무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