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873B1 -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873B1
KR101198873B1 KR1020100034485A KR20100034485A KR101198873B1 KR 101198873 B1 KR101198873 B1 KR 101198873B1 KR 1020100034485 A KR1020100034485 A KR 1020100034485A KR 20100034485 A KR20100034485 A KR 20100034485A KR 101198873 B1 KR101198873 B1 KR 10119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et
connector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034A (ko
Inventor
노현탁
Original Assignee
(주)록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록키 filed Critical (주)록키
Priority to KR102010003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12/42Joints for furniture tubing connecting furniture tubing to non-tubula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7Racks or shelf units with fram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50Metal corner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6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hree-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비넷의 사각 형태를 이루기 위해 기둥 및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양단부 상하면에 구멍(120)이 각각 천공되고 양측단이 개구되는 개구부(110)를 갖는 사각 형태의 각프레임(100)과; 상기 각프레임(100)의 단부측과 결합되는 것으로 정육면체를 갖으며 각 면의 외주연으로 단턱(212)이 형성되고 중앙면에 결합공(211)이 천공되는 몸체(210)와; 전체적으로 하방측이 개구되면서 일단측은 개구되어 상기 각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구멍(120)을 통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221)이 형성되고, 타단은 막혀지며 중앙에 결합공(222)이 천공되어지되 그 막혀지는 타단측은 상기 몸체(210)의 단턱(212) 내측으로 끼워진 후 몸체(210)의 결합공(211)과 체결되어지는 연결구(22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에 의해, 상기 각프레임(100) 각각을 연결하여 캐비넷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의 가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20)의 양단내측면으로 가이드홈(22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2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230)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230)를 상방에서 하방측으로 덮으며 "∩" 형태를 갖도록 커버하되 양하단면이 하방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가압부재(24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납 캐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A PREFABRICATED ACCEPTANCE CABINET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자장비, 공구 또는 각종 서류종류 등의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한 케비넷에 관한 것으로서, 케비넷의 외곽 즉 사각 형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되는 외곽프레임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그 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측면으로 연장되며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 조건 및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 장비, 공구 등의 수에 따라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용 각종 장비, 또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공구 등을 수납 보관하기 위해 캐비넷을 이용하여 조립, 보관 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캐비넷은 전체의 구조가 최초 생산단계에서 일정한 크기 및 규격으로 셋팅화 되어 고정 생산 되어지는데, 이러한 캐비넷을 현장 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크기로 변경하여 사용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새로운 캐비넷을 구하여 설치하거나, 기존의 캐비넷을 폐기한 후 새로운 용량이 큰 캐비넷을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케비넷으로부터 벗어나 현장 조건 및 수납되어 질 공구나 장비의 양에 따라 좌우 또는 전후 및 상하로의 선택적인 연장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캐비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비넷의 사각 형태를 이루기 위해 기둥 및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양단부 상하면에 구멍(120)이 각각 천공되고 양측단이 개구되는 개구부(110)를 갖는 사각 형태의 각프레임(100)과; 상기 각프레임(100)의 단부측과 결합되는 것으로 정육면체를 갖으며 각 면의 외주연으로 단턱(212)이 형성되고 중앙면에 결합공(211)이 천공되는 몸체(210)와; 전체적으로 하방측이 개구되면서 일단측은 개구되어 상기 각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구멍(120)을 통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221)이 형성되고, 타단은 막혀지며 중앙에 결합공(222)이 천공되어지되 그 막혀지는 타단측은 상기 몸체(210)의 단턱(212) 내측으로 끼워진 후 몸체(210)의 결합공(211)과 체결되어지는 연결구(22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에 의해, 상기 각프레임(100) 각각을 연결하여 캐비넷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의 가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20)의 양단내측면으로 가이드홈(22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2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230)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230)를 상방에서 하방측으로 덮으며 "∩" 형태를 갖도록 커버하되 양하단면이 하방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가압부재(2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장비나 공구 또는 전자장비, 각종 서류문서 등을 수납 보관하기 위한 캐비넷의 제공시,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캐비넷으로부터 벗어나 현장 조건 또는 수납되는 공구, 장비 등의 양 및 규격에 따라 기준 캐비넷으로부터 전후 좌우 또는 상하로의 선택적 연장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장소 및 수납물품의 양에 구애되지 않고 작업 현장 및 작업실의 조건에 따라 능동적인 가변 설치 및 가감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현장공간의 효율적 사용은 물론 캐비넷 설치 부품의 절감과 설치 작업의 간소화 및 이로부터 설치에 따른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캐비넷의 내부 구조를 제외한 외곽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캐비넷의 외곽 프레임을 이루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각프레임간 연결요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연결부재의 요소 중 연결구내에 포함되는 슬라이더 및 가압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연결부재와 각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연결부재내의 가압부재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의 조작에 의해 각프레임 하단내측면과 긴밀히 접하며 고정 결합되기 위한 작업 과정에서 가압부재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 조작에 의해 가압부재 및 슬라이딩플레이트가 하강하며 각프레임의 하단내측면과 긴밀히 접하며 연결부재와 각프레임간의 결합상태가 공고히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에 의한 기준으로 설치된 캐비넷에서 측면으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장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캐비넷 외곽구조 사시도면
도 8은 도 1에 의한 기준으로 설치된 캐비넷에서 측면 및 상방향으로 각각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캐비넷을 연장 설치할 수 있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면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프레임(100)과 연결부재(200)를 이용하여 캐비넷(1)을 형성하되 기준으로 되는 캐비넷(1)으로부터 전후 좌우 및 상하로의 가변 또는 연장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각프레임(100)은 기존의 캐비넷(1)을 이루는 뼈대 즉 외곽의 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각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를 취하는 사각파이프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그 길이는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으로의 위치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길이에 의해 캐비넷(1)을 구성하는 가로 및 세로의 규격이 정하여 질 것이다.
각프레임(100)은 중공(中空) 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양단부측은 각각 개구되는 개구부(110)를 갖되 각프레임(100)의 단부측 상하면 동일 위치상에 각각 구멍(120)이 천공되도록 하였다.
상기 각 구멍(120)은 이후 설명하게 되는 연결부재(200)의 일요소를 이루는 연결구(220)의 상면측에 천공되는 체결공(221)과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각프레임(100)에 의해 캐비넷(1)의 전체적 형상 즉 직사각형태를 이루는 함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프레임(100)의 각 단부측에 각각 끼워지며 전체적 틀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0)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결부재(200)는 몸체(210)와 연결구(220)로 이루어지는데, 연결구(220)는 상기 각프레임(100)의 단부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210)와 결합 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재(200)의 구성 중 하나인 연결구(2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를 갖되 전체적으로 하방측은 개구되는 형태이고 일측단은 개구되어지되 타측단은 막혀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였다.
따라서 그 전체적 단면 형상은 "∩"와 유사하고 상면측으로는 체결공(221)이 천공되도록 하여, 각프레임(100)에 끼워진 후 상기 각프레임(100)의 상하면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120)과 일치 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하여, 연결구(220)와 각프레임(100)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의 연결구(220)와 각프레임(100)간 결합은 상기 결합공(211) 및 체결공(221)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할수도 있고,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프레임(100)의 하측 내면과 밀착되도록 하면서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예컨데, 연결구(220)의 양단내측면으로 가이드홈(22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2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230)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230)를 상방에서 하방측으로 덮으며 "∩" 형태를 갖도록 커버하되 양하단면이 하방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가압부재(240)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각프레임(100)의 구멍(120)과 연결구(220)의 체결공(221)을 관통하며 나사 결합 되는 볼트가 상기한 가압부재(240)의 상면을 지속적으로 누르며 슬라이더(230)를 가이드홈(223)을 따라 하강시켜 그 슬라이더(230)의 하단면이 개구된 연결구(220)의 하단면을 지나쳐 각프레임(100)의 하단 내면과 밀접하게 접하도록 하여, 각프레임(100)과 연결구(220)간 결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230)는 양단측이 각각 슬라이딩플레이트(231)가 수평플레이트(23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2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220)의 가이드홈(223)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230)가 상하 슬라이딩 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22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몸체(210)를 이루게 되는데, 그 몸체(2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육면체로 이루어져 있고 각 면의 외주면을 따라 단턱(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면의 중앙에는 결합공(21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각프레임(100) 및 몸체(210)와 연결구(220) 등을 이용하여 캐비넷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몸체(210)의 일면으로 상기한 연결구(220)의 일단이 접하며 결합하게 되는데,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10) 일면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단턱(212) 내측으로 연결구(220)의 일단(즉 개구되는 부분이 아니라 막혀지는 단부를 의미함)이 가결합 되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210)의 일면과 접하는 막혀 지는 부분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는 결합공(222)과 몸체(210)의 결합공(211)간을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게 된다.
몸체(210)는 정육면체이므로 캐비넷을 이루고자하는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연결구(220)를 이용하여 몸체(210)와 결합하게 되고, 그 결합된 연결구(220)는 사각파이프 형태를 갖는 각프레임(100)의 일단측 내부로 삽입 되어진 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220)가 각프레임(100) 일단측 개구부(110) 내부로 끼워지도록 한 다음, 각프레임(100)의 상면이나 하면측에 관통되며 천공되어 있는 구멍(120)과 연결구(220)의 상면 체결공(221)이 일치되도록 위치 조정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측이 전체적으로 개구되는데 연결구(220)의 체결공(221)이 경우에 따라 각프레임(100)의 하방측으로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나, 각프레임(100)의 상하면에 각각 동일 위치상에 구멍(120)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작업상 어려움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구멍(120)과 체결공(221)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연결구(220) 내부에 존재하는 슬라이더(230)를 커버하고 있는 가압부재(240)를 밀게 된다.
즉, 상기한 슬라이더(230)는 중앙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232) 양단으로 직교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231)가 연결구(220) 양단 내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23)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는데, 그 수평플레이트(232)를 "∩"형태로 감싸며 커버하고 있는 가압부재(240)는 상기 볼트 등의 체결수단의 조임에 의해 슬라이더(230) 및 가압부재(240)는 전체적으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어지면서 가압부재(240)의 최하단측이 각프레임(100)의 내주면측과 밀접하게 접하며 가압하는 형태를 도 1에서와 같이 이루게 되어 각프레임(100)과 연결부재(200)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작업은 캐비넷(1)의 네귀에서 각각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캐비넷(1)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면에서 캐비넷(1)의 도어나 기타 부속구성물에 대하여는 종래의 기존 구성에 의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 및 도면부호를 생략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해 기준이 될 수 있는 캐비넷(1)의 결합 작업이 완료된 후, 필요에 따라 캐비넷(1)을 연장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즉 좌우 또는 전후나 필요에 따라 상방향측으로 또는 하방향측으로의 연장 설치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상기한 몸체(210) 중에서 연결구(220)가 결합되지 않은 몸체(210)의 어느 한면(즉 작업자가 캐비넷을 연장 설치하고자 하는 방향에 있는 몸체의 어느 선택되는 면)으로 상기 연결구(220)을 전술한 방법에 의해 결합한 후 각프레임(100)을 연결 결합하면서 기준이 되는 캐비넷(1)으로부터 측면 또는 상방이나 전후면 어느 한방향으로 별도의 캐비넷(1) 설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더 이상 캐비넷(1)의 연장 설치를 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 7 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육면 중에서 연결구(220)가 결합 되지 않은 면은 커버부재(300)를 그 해당면을 커버링하게 된다.
커버부재(300)의 중앙으로는 구멍(도면부호 미기재)을 천공한 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210)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이와는 달리 커버부재(300)의 단부측이 몸체(210)의 단턱(212) 내측으로 강제 압입되도록 하여 커버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구성되는 캐비넷(1)의 상방향으로는 손잡이부(400)를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 또한 분리가 용이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몸체(210) 및 이와 이격되어 있는 타 몸체(210)의 상방향측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는 지지부재(410)를 각각 결합하여 대향되도록 하고, 그 지지부재(410)의 상측방향에서 대향되는 지지부재(410)간을 연결하는 연결봉(420)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토록 하여 손잡이부(400)의 결합이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기준이 되는 캐비넷(1)을 각프레임(100)과 연결부재(200) 등을 이용하여 조립 한 다음, 필요에 따라 전후, 좌우 또는 상방향이나 작업 현장에 따라 하방향측으로의 캐비넷 연장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그 작업 또한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분리시에도 비교적 간편한 작업을 통해 그 해체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연장 설치되는 캐비넷(1)은 동일 규격으로 결합되어질 필요는 없게 되는데, 예컨데 각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장단(長短)으로 하여 수납되어질 장비나 공구 및 그 수량 등에 대응하여 적정한 길이나 폭을 갖는 다양한 용적을 갖는 캐비넷(1) 설치가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1; 캐비넷 100; 각프레임
110; 개구부 120; 구멍
200; 연결부재 210; 몸체
211; 결합공 212; 단턱
220; 연결구 221; 체결공
222; 결합공 223; 가이드홈
230; 슬라이더 231; 슬라이딩 플레이트
232; 수평 플레이트 240; 가압부재
300; 커버부재 400; 손잡이부
410; 지지부재 420; 연결봉

Claims (3)

  1. 삭제
  2. 케비넷의 사각 형태를 이루기 위해 기둥 및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양단부 상하면에 구멍(120)이 각각 천공되고 양측단이 개구되는 개구부(110)를 갖는 사각 형태의 각프레임(100)과; 상기 각프레임(100)의 단부측과 결합되는 것으로 정육면체를 갖으며 각 면의 외주연으로 단턱(212)이 형성되고 중앙면에 결합공(211)이 천공되는 몸체(210)와; 전체적으로 하방측이 개구되면서 일단측은 개구되어 상기 각프레임(1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구멍(120)을 통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221)이 형성되고, 타단은 막혀지며 중앙에 결합공(222)이 천공되어지되 그 막혀지는 타단측은 상기 몸체(210)의 단턱(212) 내측으로 끼워진 후 몸체(210)의 결합공(211)과 체결되어지는 연결구(22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0)에 의해, 상기 각프레임(100) 각각을 연결하여 캐비넷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의 가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20)의 양단내측면으로 가이드홈(22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22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230)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230)를 상방에서 하방측으로 덮으며 "∩" 형태를 갖도록 커버하되 양하단면이 하방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가압부재(24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납 캐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30)는 양단측이 각각 슬라이딩플레이트(231)가 수평플레이트(232)와 직교 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231)는 상기 연결구(220)의 가이드홈(223)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230)가 상하 슬라이딩 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납 캐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KR1020100034485A 2010-04-14 2010-04-14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KR10119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85A KR101198873B1 (ko) 2010-04-14 2010-04-14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85A KR101198873B1 (ko) 2010-04-14 2010-04-14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34A KR20110115034A (ko) 2011-10-20
KR101198873B1 true KR101198873B1 (ko) 2012-11-07

Family

ID=4502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485A KR101198873B1 (ko) 2010-04-14 2010-04-14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21B1 (ko) * 2015-06-16 2017-02-02 장근배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102231863B1 (ko) * 2019-06-25 2021-03-24 박문조 공기 청정기용 블록 조립식 프레임
KR102226937B1 (ko) * 2019-08-05 2021-03-12 김우용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8193A1 (fr) 1979-10-25 1981-05-06 Societe Generale Des Eaux Minerales De Vittel Système pour monter soi-même des meubles ou autres objets et panneaux, meubles et objets divers réalisés avec ce système
JP2003049814A (ja) * 2001-08-07 2003-02-21 Makiko Suematsu 角パイプジョイント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8193A1 (fr) 1979-10-25 1981-05-06 Societe Generale Des Eaux Minerales De Vittel Système pour monter soi-même des meubles ou autres objets et panneaux, meubles et objets divers réalisés avec ce système
JP2003049814A (ja) * 2001-08-07 2003-02-21 Makiko Suematsu 角パイプジョイント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34A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US7758112B2 (en) Foldable chair capable of being overlapped with other chairs vertically
US20020017839A1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KR101198873B1 (ko) 조립식 수납 케비넷을 이루는 결합구조
KR101458745B1 (ko)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WO2015149695A1 (zh) 固定支撑机构、折叠机构及折叠桌
KR101409772B1 (ko) 조립식 수납함
CN105041808A (zh) 一种易拆装沙发的连接件
US6352167B1 (en) Combination of tool box with fuel tank
EP2753459B1 (de) Systemmodul
CN210439535U (zh) 室内装配式装饰条扣件
JP3227179U (ja) カーテンレール構造
CN203197189U (zh) 电机外壳铆合工装
CN202551562U (zh) 分离式壳体及电源适配器
CN203019864U (zh) 按键式名片盒
KR101400418B1 (ko) 수장고용 수납장
CN218208968U (zh) 一种方便拆装的钢格板
CN213183309U (zh) 一种建筑设计用模型拼装结构
JP4871587B2 (ja) 電気機器収納箱
CN213878913U (zh) 一种配电箱扣压门
JPH05201335A (ja) 物品搬送具
CN103009866B (zh) 立式名片盒
CN217159041U (zh) 一种方便拆装的配电箱
CN212537947U (zh) 一种机头组件及集成灶
CN203802004U (zh) 一种卡扣式组合陈列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