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629B1 -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629B1
KR101198629B1 KR1020090132429A KR20090132429A KR101198629B1 KR 101198629 B1 KR101198629 B1 KR 101198629B1 KR 1020090132429 A KR1020090132429 A KR 1020090132429A KR 20090132429 A KR20090132429 A KR 20090132429A KR 101198629 B1 KR101198629 B1 KR 101198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tack
manifold
fuel ce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861A (ko
Inventor
류아림
김정환
문상진
유정균
박미영
이기풍
이태원
노길태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6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04Processes or apparatus for grouping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48Molten electrolytes used at high temperature
    • H01M2300/0051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스택; 상기 스택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상기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택은,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가 서로 적층되면, 매니폴더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매니폴더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위전지들과 외부 매니폴더 사이에 틈이 생겨서 연료나 공기가 새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융탄산염 연료전지가 원활하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매니폴더, 일체, 개질기

Description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STACK AND MOLTEN CARBONATE FUEL CEL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스택 및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는, 천연가스, 나프타, 메탄올, 석탄기화가스 등의 다양한 연료를 수소로 개질하여 연료극에 공급하고, 대기중의 공기를 공기극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65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된다. 따라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속도가 빨라 전극재료로 고가의 백금 대신 니켈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고온에서 작동되므로, 단위전지들과 내부개질기가 적층된 연료전지 스택 내부에서 전기화학 반응과 연료개질 반응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즉, 전기화학 반응에서 생성되는 열을, 흡열반응인 연료개질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도면으로, 단위전지(11)들 로부터 외부 매니폴더(14A, 14B, 14C)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실선화살표는 연료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10)은, 단위전지(11)들과, 일정간격을 두고 단위전지(11)들 사이에 적층된 내부개질기(12)들과, 스택(10)의 최 상측과 최 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단위전지(11)들을 안쪽으로 가압하는 엔드플레이트(13, 13')들과, 단위전지(11)들과 내부개질기(12)들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매니폴더(14A, 14B, 14C)들과, 내부개질기(12)들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15)을 포함한다.
단위전지(11)들과 내부개질기(12)들의 외측을 외부매니폴더(14A, 14B, 14C)들이 감싸는 방법은 한국공개특허 2009-0075455에 그 일례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단위전지(11)는, 연료극과 연료를 연료극으로 공급하는 통로가 구비된 제1분리판과, 공기극과 공기를 공기극으로 공급하는 통로가 구비된 제2분리판과, 연료극과 공기극 사이에 위치한 전해질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매트릭스에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탄산염 전해질이 함유된다.
상기 내부개질기(12)는, 연료를 개질시키는 개질촉매를 구비한다.
상기 엔드플레이트(13')에는 연료유출구(미도시)와 공기유출구(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내부개질기(12)를 스택(10)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부 매니폴더(14A, 14B, 14C)들이 필요하다.
이하, 상술한 종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작동을 설명한다.
일단, 연료공급관(15)을 통해 내부개질기(12)들로 실선화살표를 따라 연료가 공급된다. 내부개질기(12)는 연료를 개질한다. 개질된 연료(수소)는 외부매니폴더(14B)를 통해 단위전지(11)들의 각 연료극에 공급된다. 공급된 연료는 단위전지(11)들의 각 연료극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킨다. 전기화학적 반응이 끝나고 남은 연료는 외부 매니폴더(14A)와 엔드플레이트(13')의 연료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공기는, 단위전지(11)들로 점선화살표를 따라 공급된다. 공급된 공기는, 단위전지(11)들의 각 공기극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킨다. 전기화학적 반응이 끝나고 남은 공기는, 외부매니폴더(14C)와 엔드플레이트(13')의 공기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65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되므로, 단위전지(11)들이 팽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전지(11)들과 외부매니폴더(14A, 14B, 14C)들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연료가 단위전지(11)들로 유입되어 연료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도중에 틈을 통해 스택(10)의 외부로 샐 수 있다. 또한, 공기가 단위전지(11)들로 유입되어 공기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도중에 틈을 통해 스택(10)의 외부로 샐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와 공기의 누설이 생기고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원활하게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연료가 지정된 곳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틈새로 누출되게 되면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 다.
본 발명은 내부개질기를 구비하면서 별도의 외부매니폴더는 구비하지 않는 스택 및 상기 스택을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전지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가 서로 적층되면 매니폴더들이 형성되는 스택 및 상기 스택을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은,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가 서로 적층되면 매니폴더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단위전지는 제1분리판, 제2분리판, 전해질매트릭스가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제2분리판과 전해질매트릭스가 서로 반복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분리판은 연료극 및 공기극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분리판은 연료극 및 공기극 모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분리판에는 연료통로 또는 공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리판에는 연료통로 및 공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개질기에는 개질통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분리판, 제2분리판, 전해질매트릭스, 내부개질기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관통공, 제2관통공, 제3관통공, 제4관통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분리판, 제2분리판, 전해질매트릭스, 내부개질기가 서로 적층되면, 상기 각 제1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1매니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2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2매니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3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3매니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4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4매니폴더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매니폴더는 상기 내부개질기로 연료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2매니폴더는 상기 연료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전기화학적 반응 후 남은 연료를 외부로 유출시키고, 상기 제3매니폴더는 상기 내부개질기에서 개질된 연료를 상기 연료통로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4매니폴더는 상기 공기통로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상기 스택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상기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택; 상기 스택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상기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택은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개질기가 서로 적층되면 매니폴더들이 형성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별도의 외부 매니폴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위전지들과 외부매니폴더 사이에 틈이 생겨서 연료나 공기가 새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융탄산염 연료전지가 원활하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또한 연료가스 누설에 의한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스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선화살표는 연료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20)는, 스택(100), 스택(10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21),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2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100)은, 서로 적층된 단위전지(110)들과, 단위전지(110)들 사이에 적층 된 내부개질기(120)와, 스택(10)의 최 상측과 최 하측에서 단위전지(11)들을 안쪽으로 가압하는 엔드플레이트(미도시)들로 구성되며, 단위전지(110)들과 내부개질기(120)가 서로 적층되면, 매니폴더들(M1, M2, M3, M4)이 형성된다.
물론, 스택(100)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단위전지(110)들 을 구비하고, 내부개질기(120)를 2개 이상 구비하여 단위전지(110)들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단위전지(110)는, 제1분리판(111), 제2분리판(112), 전해질매트릭스(113)를 포함한다. 또는, 단위전지(110)는, 제1분리판(111'), 제2분리판(112), 전해질매트릭스(113)로 구성된다.
제1분리판(111, 111')은 연료극 또는 공기극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제2분리판(112)은, 연료극 및 공기극 모두를 구비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스택(100)의 최 상측에 위치한 단위전지(110) 위에 단위전지를 더 적층하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스택(100)의 최 상측에 위치한 단위전지(110)에서 제1분리판(111') 대신 제2분리판(112)과 전해질매트릭스(113)를 계속적으로 교차하여 적층하면 된다(도 13 참조).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스택(100)의 최 하측에 위치한 단위전지(110) 아래에 단위전지를 더 적층하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스택(100)의 최 하측에 위치한 단위전지(110)에서 제1분리판(111) 대신 제2분리판(112)과 전해질매트릭스(113)를 계속적으로 교차하여 적층하면 된다(도 13 참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분리판들 중 연료극만을 구비한 제1분리판(11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연료극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극만을 구비하는 제1분리판(111)은, 내부개질기(120)의 상면과, 스택(100)의 최 하측에 적층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극(A)만을 구비한 제1분리판(111)은, 상면 좌측에 제1관통공(111a)과 제2관통공(111b)을 구비하고, 상면 우측에 제3관통공(111c)을 구비하고, 상면 상측에 제4관통공(111d)를 구비하고, 상면 중앙부에 연료통로(111e)를 구비한다. 연료통로(111e)의 상측으로, 제1분리판(111)의 상면에는 연료극(A)이 결합된다. 연료통로(111e)는 위에서 보면 사각형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분리판들 중 공기극만을 구비한 제1분리판(11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공기극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극(C)만을 구비한 제1분리판(111')은 내부개질기(120)의 하면과 스택(100)의 최 상측에 적층된다.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극(C)만을 구비한 제1분리판(111')은, 본체(중앙의 사각형 형상)의 상면 좌측에 제1관통공(111a')과 제2관통공(111b')을 구비하고, 본체의 상면 우측에 제3관통공(111c')을 구비하고, 본체의 상면 상측에 제4관통공(111d')를 구비하고, 하면 중앙부에 공기통로(111e')를 구비한다. 공기통로(111e')는 위에서 보면 사각형이다. 공기통로(111e')의 하측으로, 제1분리판(111)의 하면에는 공기극(C)이 결합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제2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연료극과 공기극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리판(112)은, 상면 좌측에 제1관통공(112a)과 제2관통공(112b)을 구비하고, 상면 우측에 제3관통공(112c)을 구비하고, 상면 상측에 제4관통공(112d)를 구비하고, 상면 중앙부에 연료통로(112e)를 구비하고, 하면 중앙부에 공기통로(112f)를 구비한다. 연료통로(112e)는 위에서 보면 사각형이다. 공기통로(112f)는 위에서 보면 사각형이다.
연료통로(112e)의 상측으로 제2분리판(112)의 상면에는 연료극(A)이 결합된다. 공기통로(112f)의 하측으로 제2분리판(112)의 하면에는 공기극(C)이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매트릭스(113)는 연료극(A)과 공기극(C) 사이에 적층된다.
전해질매트릭스(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좌측에 제1관통공(113a)과 제2관통공(113b)을 구비하고, 상면 우측에 제3관통공(113c)을 구비하고, 상면 상측에 제4관통공(113d)를 구비한다.
전해질매트릭스(113)는, 수소이온의 전달체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산소와 수소의 직접 접촉을 막는다. 또한, 전해질매트릭스(113)는, 연료극(A)으로 공급된 연료와 공기극(C)으로 공급된 공기가 제1분리판(111)과 제2분리판(112) 사이 또는, 제1분리판(111')과 제2분리판(112) 사이로 유출되지 못하게 가스켓 역할을 한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내부개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내부개질기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개질기(120)는, 상면 좌측에 제1관통공(121)과 제2관통공(122)을 구비하고, 상면 우측에 제3관통공(123)을 구비하고, 상면 상측에 제4관통공(124)를 구비하고, 하면 중앙부에 개질통로(125)를 구비한 다. 개질통로(125)의 내벽에는 개질촉매가 코팅된다.
엔드플레이트(미도시)는, 연료유입구, 연료유출구, 공기유출구를 구비한다.연료유입구는, 연료공급부(21)와 튜브(미도시)로 연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전지(110)들과 내부개질기(120)가 서로 적층되면, 매니폴더들(M1, M2, M3, M4)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별도의 외부매니폴더(14A, 14B, 14C, 도 1참조)들이 필요 없게 된다.
제1매니폴더(M1)는, 도 5, 도 7, 도 9, 도 11, 도 4에 도시된 제1관통공들(111a, 111a', 112a, 121, 113a)이 일직선상으로 놓여져 형성된다. 이때, 엔드플레이트들이 각각 스택(100)의 최 상측과 최 하측에 배치되어 제1분리판(111)들, 제2분리판(112)들, 전해질매트릭스(113)들을 안쪽으로 가압하고, 전해질매트릭스(113)가 가스켓 역할을 하므로, 제1관통공들(111a, 111a', 112a, 121, 113a)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 제1매니폴더(M1)는, 연료공급부(21)에서 엔드플레이트의 연료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연료를, 내부개질기(120)의 개질통로(125)로 유입시킨다. 내부개질기(120)가 복수개이면, 복수개의 개질통로(125)들로 연료를 유입시킨다.
제2매니폴더(M2)는, 도 5, 도 7, 도 9, 도 11, 도 4에 도시된 제2관통공들(111b, 111b', 112b, 122, 113b)이 일직선상으로 놓여져 형성된다. 이때, 엔드플레이트들이 각각 스택(100)의 최 상측과 최 하측에 배치되어 제1분리판(111)들, 제2분리판(112)들, 전해질매트릭스(113)들을 안쪽으로 가압하고, 전해질매트릭스(113)가 가스켓 역할을 하므로, 제2관통공들(111b, 111b', 112b, 122, 113b) 사 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 제2매니폴더(M2)는, 연료통로들(111e,112e)을 통해 배출되는 전기화학적 반응 후 남은 연료를 엔드플레이트의 연료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3매니폴더(M3)는, 도 5, 도 7, 도 9, 도 11, 도 4에 도시된 제3관통공들(111c, 111c', 112c, 123, 113c)이 일직선상으로 놓여져 형성된다. 이때, 엔드플레이트들이 각각 스택(100)의 최 상측과 최 하측에 배치되어 제1분리판(111)들, 제2분리판(112)들, 전해질매트릭스(113)들을 안쪽으로 가압하고, 전해질매트릭스(113)가 가스켓 역할을 하므로, 제3관통공들(111c, 111c', 112c, 123, 113c)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제3매니폴더(M3)의 상부구멍과 하부구멍(미도시)은 엔드플레이트들에 의해 막힌다. 이로 인해, 개질통로(125)로부터 빠져나온 개질된 연료가 스택(1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연료통로들(111e,112e)로 유입될 수 있다. 제3매니폴더(M3)는, 내부개질기(120)에서 개질된 연료를 연료통로들(111e,112e)로 유입시킨다.
제4매니폴더(M4)는, 도 5, 도 7, 도 9, 도 11, 도 4에 도시된 제4관통공들(111d, 111d', 112d, 124, 113d)이 일직선상으로 놓여져 형성된다. 이때, 엔드플레이트들이 각각 스택(100)의 최 상측과 최 하측에 배치되어 제1분리판(111)들, 제2분리판(112)들, 전해질매트릭스(113)들을 안쪽으로 가압하고, 전해질매트릭스(113)가 가스켓 역할을 하므로, 제4매니폴더(M4)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 제4매니폴더(M4)는, 공기통로들(111e',112f)로부터 유출되는 전기화학적 반응 후 남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부(21)는 튜브(미도시)를 통해 엔드플레이트의 연료유입구로 연료를 공급한다.
공급된 연료는 제1매니폴더(M1)를 통해 내부개질기(120)로 실선화살표를 따라 유입된다.
내부개질기(120)는 연료를 개질한다.
개질된 연료(수소)는 제3매니폴더(M3)를 통해 연료통로들(111e, 112e)로 유입된다. 연료통로들(111e, 112e)로 유입된 개질된 연료는 연료통로들(111e, 112e)의 상측에 각각 위치한 연료극(A)에 공급된다.
공기공급부(22)는 덕트(미도시)를 통해 공기통로들(111e', 112f)로 공기를 점선화살표를 따라 공급한다. 공기통로들(111e', 112f)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통로들(111e', 112f)의 하측에 각각 위치한 공기극(C)에 공급된다.
연료극(A)에 공급된 연료와 공기극(C)에 공급된 공기는 전해질매트릭스(113)를 매개로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전기가 생산된다.
전기화학적 반응 후 남은 연료는 연료통로들(111e, 112e), 제2매니폴더(M2), 엔드플레이트의 연료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전기화학적 반응 후 남은 공기는 공기통로들(111e', 112f), 제4매니폴더(M4), 엔드플레이트의 공기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도 1은 종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단위전지들로부터 외부매니폴더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분리판들 중, 연료극만을 구비한 제1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분리판들 중, 공기극만을 구비한 제1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제2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내부개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내부개질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의한 용융탄산염 전지의 스택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9)

  1. 제1분리판과 제2분리판사이에 전해질 매트릭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전지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전지사이에 적층되는 내부 개질기와;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들중에서 최상측 및 최하측 단위전지를 안쪽으로 가압하여 결합하는 엔드 플레이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2분리판, 전해질 매트릭스 및 내부 개질기의 상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동일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단위전지들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개질기가 적층될 때 상기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이 외부 매니폴더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는, 제1분리판, 제2분리판, 전해질매트릭스가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제2분리판과 전해질매트릭스가 서로 반복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판은 연료극 및 공기극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분리판은 연료극 및 공기극 모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판에는 연료통로 또는 공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리판에는 연료통로 및 공기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개질기에는 개질통로가 구비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판, 제2분리판, 전해질매트릭스, 내부개질기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관통공, 제2관통공, 제3관통공, 제4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판, 제2분리판, 전해질매트릭스, 내부개질기가 서로 적층되면,
    상기 각 제1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1매니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2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2매니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3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3매니폴더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4관통공들이 일직선으로 놓여져 제4매니폴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매니폴더는 상기 내부개질기로 연료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2매니폴더는 연료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전기화학적 반응 후 남은 연료를 외부로 유출시키고, 상기 제3매니폴더는 상기 내부개질기에서 개질된 연료를 상기 연료통로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4매니폴더는 공기통로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스택;
    상기 스택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상기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9. 삭제
KR1020090132429A 2009-12-29 2009-12-29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KR10119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29A KR101198629B1 (ko) 2009-12-29 2009-12-29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29A KR101198629B1 (ko) 2009-12-29 2009-12-29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861A KR20110075861A (ko) 2011-07-06
KR101198629B1 true KR101198629B1 (ko) 2012-11-07

Family

ID=4491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429A KR101198629B1 (ko) 2009-12-29 2009-12-29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45B1 (ko) 2013-07-24 2014-09-11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연료 전지
KR20150077754A (ko) 2013-12-30 2015-07-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온 연료전지용 앤드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25B1 (ko) * 2015-05-11 2017-01-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KR102575027B1 (ko) 2023-04-07 2023-09-07 주식회사 시너지 고분자 접착필름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단위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45B1 (ko) 2013-07-24 2014-09-11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연료 전지
KR20150077754A (ko) 2013-12-30 2015-07-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온 연료전지용 앤드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861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794B1 (ko) 간접 내부 개질기를 구비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US8329358B2 (en) Bipolar plat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having the same
US8182956B2 (en) Fuel cell stack with internal fuel manifold configuration
EP2519993B1 (en) Fuel cell stack
US80973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formed fuel to cascaded fuel cell stacks
US9373862B2 (en) Thermal management in a fuel cell stack
JPH05190187A (ja) 燃料セルスタック
CN108110300B (zh) 固体氧化物燃料电池电堆及为其分配气体的气流分配板
EP1363342B1 (en) Fuel cell
KR101198629B1 (ko)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EP2519992B1 (en) Fuel cell
EP3240074B1 (en) Module and module accommodation device
JPH08102326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KR100645190B1 (ko) 직접 내부 개질형 분리판을 구비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JP7202107B2 (ja) 電気化学セルスタック、燃料電池および水素製造装置
JP5228342B2 (ja) 燃料改質器および燃料電池
KR101238892B1 (ko) 연료 전지
US8753784B2 (en) Separator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JP2009129701A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7322265B2 (ja) 電気化学セルスタック、燃料電池および水素製造装置
US20220407104A1 (en) Fuel cell manifold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the same
KR101028650B1 (ko) 하이브리드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단위 전지
KR101547128B1 (ko) 매니폴드 헤더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2012238622A (ja) 燃料電池
KR20110022441A (ko) 연료전지 스택 및 이에 적용된 연료전지용 세퍼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