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628B1 -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628B1
KR101198628B1 KR20100054201A KR20100054201A KR101198628B1 KR 101198628 B1 KR101198628 B1 KR 101198628B1 KR 20100054201 A KR20100054201 A KR 20100054201A KR 20100054201 A KR20100054201 A KR 20100054201A KR 101198628 B1 KR101198628 B1 KR 10119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liding door
carrier
strip
pow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579A (ko
Inventor
권영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5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62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6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포함하는 안티핀치 스트립을 파워슬라이딩 도어에 보다 적은 부품수를 이용하여 견고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센서를 포함하는 안티핀치 스트립의 구성 부품수를 크게 줄이는 동시에 그 조립구조도 단순화시킴으로써, 적은 부품수를 채택함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조립구조를 단순화시킴에 따른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ANTI-PINCH STRIP FOR POWER SLIDING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포함하는 안티핀치 스트립을 파워슬라이딩 도어에 보다 적은 부품수를 이용하여 견고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승합 차량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 승객의 신체 일부가 끼임에 따라 상해를 입거나, 물건 등이 끼임에 따라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자 신체 또는 물건 등이 끼이는 것을 센서에서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를 순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안티핀치 스트립이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되고 있다.
즉, 상기 안티핀치 스트립은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중,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여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반전시키는 센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출입구와 인접하는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앞단 측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종래의 안티핀치 스트립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안티핀치 스트립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도면부호 100은 상부플레이트(101)와 하부플레이트(102)를 리벳(103)으로 리벳팅하여 일체로 연결시킨 스틸 캐리어로서, 도어프레임의 앞단 측면에서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센서(200)가 내장된 웨져스트립(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200)는 저항값 변화를 인지하여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와이어(201)가 내장된 앞쪽 통전고무(202)와, 와이어(201)가 내장된 뒤쪽 통전고무(203)와, 이들을 둘러싸며 일체로 성형되는 비통전고무(20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앞쪽 통전고무(202)와 뒤쪽 통전고무(203)간에는 중공부(205)가 형성된다.
상기 웨져스트립(300)은 상하로 길다란 스트립 구조로서, 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성형된 것이며, 일측단부에는 센서(200)가 내장되는 중공의 결합홀(301)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스틸캐리어(100)가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홈(30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센서(200)는 웨져스트립(300)의 결합홀(301)내에 내장되어 센서(200)의 비통전고무(204)의 외표면이 웨져스트립(30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상태가 되고, 이렇게 센서(200)가 내장된 웨져스트립(300)의 체결홈(302)에 스틸캐리어(100)의 일측단이 압입 체결된다.
이에,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 장애물 등이 끼이면서 웨져스트립(300)에 닿게 되면, 웨져스트립(300)내의 센서(200)에 그 충격이 전달되고, 이와 동시에 센서 단면이 압축되어 앞쪽 통전고무(202)와 뒤쪽 통전고무(203)가 서로 닿게 된다.
즉, 중공부(205)에 의하여 서로 떨어져 있던 앞쪽 통전고무(202)와 뒤쪽 통전고무(203)가 압축되면서 서로 접촉됨으로써, 전류가 흐르고 있던 와이어(201)에 저항값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센서(200)에서 저항값 변화를 통해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됨)에 신호를 주면, 제어부에서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부에 정지신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동작이 정지됨으로써, 승객의 신체 일부가 끼임에 따른 상해 내지 장애물 등의 끼임에 따른 파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틸캐리어(100)의 소정 위치에는 표면에 스폰지 패드(104)가 부착된 커넥터 브라켓(105)이 장착되고, 이 커넥터 브라켓(105)에는 커넥터(106)가 조립되는 바, 센서(200)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신호전달 와이어(210)가 커넥터 브라켓(105)을 거쳐 커넥터(106)에 연결된다.
즉, 상기 신호전달 와이어(210)의 일측단은 센서(20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센서(200)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웨져스트립(300)의 하단을 통해 위쪽으로 다시 연장되어 커넥터(106)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웨져스트립(300)의 하단을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는 신호전달 와이어(210)를 스틸캐리어(100)의 표면에 절연테이프(310)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되, 신호전달 와이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연테이프(310)를 3~5곳 정도가 부착하게 된다.
또한, 스틸캐리어(100)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인트(107)가 삽입되고, 스틸캐리어(100)의 하부에는 도어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수단으로서 열을 가하면 녹는 접착물질인 핫멜트(108)가 부착되며, 이 핫멜트(108)는 신호전달 와이어(210)의 하단부를 접착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센서를 감싸는 웨져스트립,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가 일체로 된 스틸캐리어를 비롯하여,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리벳, 신호전달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절연테이프, 스틸캐리어를 장착시키기 위한 조인트 및 핫멜트, 다수개의 가조립 패스너, 커넥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넥터 브라켓 등 많은 부품들이 사용됨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또한 조립 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조립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웨져스트립의 결합홀내에 센서가 내장되는 바, 외부충격에 따라 센서가 웨져스트립의 결합홀내에서 회전되면서 제위치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여, 센서의 감지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웨져스트립을 고정시키고 있는 스틸캐리어의 절곡부(웨져스트립의 체결홈에 끼워진 부분과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부분의 사이 구간)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휘어지는 불량 현상이 발생하면, 동시에 웨져스트립과 함께 센서의 감지방향도 틀어져서, 결국 센서의 감지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센서를 포함하는 안티핀치 스트립의 구성 부품수를 줄이는 동시에 그 조립구조도 단순화시킴으로써, 적은 부품수를 채택함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조립구조를 단순화시킴에 따른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앞단부에는 센서 안착단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파워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는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된 캐리어베이스와; 전단부에는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센서 안착단에 안착되는 장착단이 일체로 형성된 센서와; 상기 센서 안착단에 안착된 센서의 배면을 커버하며 조립되는 수평판과, 센서의 후면을 커버하는 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된 캐리어커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구현예로서, 상기 캐리어베이스와 캐리어커버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센서 안착단과, 상기 센서의 장착단과, 상기 캐리어커버의 수평판에는 서로 일치되는 스크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센서 안착단 및 상기 캐리어커버의 수평판에는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센서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의 장착단에는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센서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중간 위치에는 커넥터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하단부에는 센서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신호전달 와이어를 차단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과 가이드판 사이 구간에는 신호전달 와이어를 거치시키기 위한 후크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센서와, 이 센서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출 성형된 캐리어베이스 및 캐리어커버만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안티핀치 스트립의 구성부품에 비하여 부품수를 크게 축소시킴으로써, 센서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더불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신호전달 와이어 및 커넥터를 거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구조물들을 캐리어베이스의 사출시 일체로 성형시킴에 따라, 기존의 커넥터 브라켓을 비롯한 절연테이프, 핫멜트 등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여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구조의 단순화를 실현할 수 있고, 조립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센서를 둘러싸고 있던 웨져스트립을 배제하고, 센서의 비통전 고무를 그대로 노출시켜 사용함으로써,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민감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으로서, 캐리어커버를 배제한 상태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5은 도 2의 C-C선을 취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캐리어커버를 배제한 상태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안티핀치 스트립은 도 8에서 보듯이, 차량의 출입구와 인접하는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앞단 측면부쪽에 장착되어,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시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여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반전시키는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캐리어베이스(10)와, 센서(20)와, 캐리어커버(30) 등의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베이스(10)는 파워슬라이딩 도어프레임의 상하길이에 맞게 상하로 길다란 구조로 제작되며,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이다.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단면 구조를 보면, 그 앞단부는 센서(20)와 마주보는 센서 안착단(11)으로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파워슬라이딩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단(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에는 센서(20)와 이 센서(20)를 커버하기 위한 캐리어커버(30)와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 체결홀(4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사출 성형시, 센서 안착단(11)에는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센서 고정용 돌기(16)가 일체로 돌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사출 성형시, 캐리어베이스(10)의 고정단(12)의 중간 위치쯤에는 커넥터(44)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13)가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사출 성형시, 센서(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신호전달 와이어(28)를 차단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판(14)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13)과 가이드판(14)의 사이 구간에는 신호전달 와이어(28)를 걸거나 끼워서 거치시킬 수 있는 후크(15)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렇게 캐리어베이스(10)의 사출 성형시, 센서 고정용 돌기(16)를 비롯하여 기존의 커넥터 브라켓을 대신하는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13)와, 핫멜을 대신하는 가이드판(14)과, 절연테이프를 대신하는 후크(15) 등을 일체로 성형해줌으로써, 기존의 커넥터 브라켓, 핫멜, 절연테이프의 구성부품을 배제하는 동시에 그 조립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베이스(10)와 센서(20)를 사이에 두고, 센서(20)를 커버하는 기능을 하는 캐리어커버(30)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구비되는 바, 이 캐리어커버(30)의 단면 구조를 보면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에 안착되는 센서(20)의 외측면을 커버하며 조립되는 수평판(32)과, 센서(20)의 후면을 커버하며 캐리어베이스(10)쪽으로 수직 절곡된 수직판(3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캐리어커버(30)의 수평판(32)에는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42)과 일치하는 스크류 체결홀(42)이 형성되고, 특히 캐리어커버(10)의 사출 성형시 캐리어커버(30)의 수평판(32)의 내표면에는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센서 고정용 돌기(36)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캐리어베이스(10)와 캐리어커버(30)의 사이에는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는 센서(2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센서(20) 구조를 보면,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는 감지부(22)가 전단부에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과 캐리어커버(30)의 수평판(32) 사이에 안착되는 장착단(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센서(20)는 종래의 센서와 달리 웨져스트립내에 내장되지 않고, 그 감지부(22)가 그대로 노출된 구조를 갖는 바, 실질적으로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부(22)의 후부에는 센싱 기능이 없는 장착단(2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센서(20)의 장착단(24)은 센서의 감지 기능을 하지 않고, 센서(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비통전고무로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이 장착단(24)에는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 및 캐리어커버(30)의 수평판(32)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42)과 일치하는 스크류 체결홀(42)이 관통 형성되고, 또한 센서(20)의 장착단(24)의 양측면에는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고정용 돌기(16) 및 캐리어커버(30)의 센서 고정용 돌기(36)가 삽입되는 요홈(26)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센서(20)의 감지부(22)의 단면 구조를 보면, 외부는 비통전고무(27)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서 앞쪽에는 와이어(21)가 내장된 앞쪽 통전고무(23)가, 그리고 뒤쪽에는 와이어(21)가 내장된 뒤쪽 통전고무(25)가 배열되며, 앞쪽 통전고무(23)와 뒤쪽 통전고무(25)간에는 중공부(29)가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이렇게 비통전고무(27)를 그대로 외부로 노출시킴에 따라, 기존에 웨져스트립(300)에 의하여 비통전고무가 둘러싸인 구조에 비하여, 장애물 감지를 위한 감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장애물 감지 충격이 웨져스트립(300)을 거쳐 센서의 비통전고무로 전달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애물 감지 충격이 비통전고무(27)에 직접 전달되어 장애물 감지를 위한 감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워슬라이딩 도어에 장애물 등이 끼이면, 이때의 충격으로 센서 단면이 압축되면서 앞쪽 통전고무(23)와 뒤쪽 통전고무(25)가 서로 닿게 되고, 중공부(29)에 의하여 서로 떨어져 있던 앞쪽 통전고무(23)와 뒤쪽 통전고무(25)가 압축되면서 서로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고 있던 와이어(21)에 저항값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센서(20)에서 저항값 변화를 통해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됨)에 신호를 주면, 제어부에서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구동부에 정지신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파워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동작이 정지됨으로써, 승객의 신체 일부가 끼임에 따른 상해 내지 장애물 등의 끼임에 따른 파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20)의 장착단(24)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홈(26)에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고정용 돌기(16) 및 캐리어커버(30)의 센서 고정용 돌기(36)가 삽입된 다음, 센서의 장착단(24)과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 및 캐리어커버(30)의 수평판(32)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42)에 스크류(40)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센서(20)의 조립 고정이 이루어지고, 특히 센서(20)의 요홈(26)내에 캐리어베이스(10) 및 캐리어커버(30)의 센서 고정용 돌기(16,36)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센서(20)는 제위치에서 벗어남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10 : 캐리어베이스 11 : 센서 안착단
12 : 고정단 13 :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
14 : 가이드판 15 : 후크
16 : 센서 고정용 돌기 20 : 센서
21 : 와이어 23 : 앞쪽 통전고무
22 : 감지부 24 : 장착단
25 : 뒤쪽 통전고무 26 : 요홈
27 : 비통전고무 28 : 신호전달 와이어
29 : 중공부 30 : 캐리어커버
32 : 수평판 34 : 수직판
36 : 센서 고정용 돌기 40 : 스크류
42 : 스크류 체결홀 44 : 커넥터
46 : 스폰지패드

Claims (7)

  1. 삭제
  2. 센서와의 체결을 위한 캐리어부재;
    전단부에는 장애물의 끼임을 감지하는 감지부(22)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캐리어부재와의 체결을 위하여 체결기구가 관통 및 삽입되는 장착단(24)이 일체로 형성된 센서(20);
    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부재는:
    앞단부에 센서의 장착단(24)이 안착되는 센서 안착단(1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파워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는 고정단(12)이 일체로 형성된 캐리어베이스(10)와;
    상기 센서 안착단(11)에 안착된 센서(20)의 외측면을 커버하며 조립되는 수평판(32)과, 센서(20)의 후면을 커버하는 수직판(34)이 일체로 형성된 캐리어커버(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와 캐리어커버(30)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과, 상기 센서(20)의 장착단(24)과, 상기 캐리어커버(30)의 수평판(32)에는 서로 일치되는 스크류 체결홀(42)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센서 안착단(11) 및 상기 캐리어커버(30)의 수평판(32)의 내표면에는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센서 고정용 돌기(16,3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서(20)의 장착단(24)의 양측면에는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센서 고정용 돌기(16,36)가 삽입되는 요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중간 위치에는 커넥터(44)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1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하단부에는 센서(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신호전달 와이어(28)를 차단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판(1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베이스(10)의 커넥터 장착용 가이드(13)과 가이드판(14)의 사이 구간에는 신호전달 와이어(28)를 거치시키기 위한 후크(15)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KR20100054201A 2010-06-09 2010-06-09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KR10119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4201A KR101198628B1 (ko) 2010-06-09 2010-06-09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4201A KR101198628B1 (ko) 2010-06-09 2010-06-09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579A KR20110134579A (ko) 2011-12-15
KR101198628B1 true KR101198628B1 (ko) 2012-11-07

Family

ID=4550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4201A KR101198628B1 (ko) 2010-06-09 2010-06-09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51A1 (ko)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비토넷에이피 비접촉식 끼임 방지 장치
KR20220109176A (ko) 2021-01-28 2022-08-04 (주)비토넷에이피 비접촉식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한 안티핀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658B1 (ko) * 2020-09-10 2023-01-03 (주)비토넷에이피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인체 끼임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829A (ja) *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挟み込み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829A (ja) *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挟み込み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51A1 (ko)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비토넷에이피 비접촉식 끼임 방지 장치
KR20220109176A (ko) 2021-01-28 2022-08-04 (주)비토넷에이피 비접촉식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한 안티핀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579A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332B2 (en) Vehicle slide door pinch sensor assembly
EP3173270B1 (en) Structure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vehicle glass door
US10015843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US7743559B2 (en) Modular support for automobile doors, door assembly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dular support on a door frame
KR101198628B1 (ko) 자동차의 파워슬라이딩 도어용 안티핀치 스트립
WO1999034081A1 (fr) Dispositif d'ouverture et de fermeture automatique
US20100122496A1 (en) Sliding Panel For A Sliding Window Assembly
KR101373292B1 (ko) 차량의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 조립체
JP2017213987A (ja) タッチセンサユニット
US8375633B2 (en) Vehicular sliding door structure
US20060096383A1 (en) Lead wire routing structure for pressure-sensitive sensor of vehicle door
JP2007056522A (ja) スライドドアの挟み込み検出構造
KR100736966B1 (ko) 안티핀치 스트립센서 장착구조
JP6914172B2 (ja) タッチセンサユニット
US20120119538A1 (en) Door trim for vehicle
JP5694800B2 (ja) 異物検出装置
US11110779B2 (en) Roller blind arrangement having a grounding element
JP3641127B2 (ja) 圧力検出装置
JP2013179007A (ja) 長尺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271786B2 (ja) サンルーフのディフレクタ構造
KR101619397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JP4189463B2 (ja) ポジションセンサー付き自動車用スライドシート
CN214498799U (zh) 导轨组件、移动门和淋浴房
JP4835337B2 (ja) ロアコーナ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4670636B2 (ja) 車両のリヤ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