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592B1 - 과전압 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과전압 방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592B1
KR101198592B1 KR1020120051343A KR20120051343A KR101198592B1 KR 101198592 B1 KR101198592 B1 KR 101198592B1 KR 1020120051343 A KR1020120051343 A KR 1020120051343A KR 20120051343 A KR20120051343 A KR 20120051343A KR 101198592 B1 KR101198592 B1 KR 10119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input
signal
switc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호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엘아이
Priority to KR102012005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592B1/ko
Priority to US13/861,949 priority patent/US89710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for d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Abstract

과전압 방지 회로가 게시된다. 본 발명의 과전압 방지 회로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단; 입력 전송단;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에 형성되는 입력 스위치로서, 스위치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에 의하여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되는 상기 입력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송단의 전송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블락으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전송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때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전압 방지 회로에서는, 외부의 입력 전압에 과전압이 발생되면, 입력 스위치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입력 전압의 전송 전압으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과전압 방지 회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과전압 발생시에, 메인 회로로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과전압 방지 회로{OVER VOLTAGE PROTECTION CIRTCUIT}
본 발명은 과전압 방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부터의 과전압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전기, 전자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수신되는 입력 전압이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과전압이 유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과전압의 유입은 전자 기기의 내부의 메인 회로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과전압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과전압 방지 회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과전압 발생시에, 메인 회로로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과전압 방지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과전압 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전압 방지 회로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단; 입력 전송단;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에 형성되는 입력 스위치로서, 스위치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에 의하여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되는 상기 입력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송단의 전송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블락으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전송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때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은 상기 전송 전압을 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피드백 신호 발생부로서,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전송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때, 비활성화되는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는 구동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 수단; 및 액티브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전송 전압에 커플링시키며, 상기 액티브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을 고정 전원에 커플링시키는 액티브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전압 방지 회로에서는, 외부의 입력 전압에 과전압이 발생되면, 입력 스위치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입력 전압의 전송 전압으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과전압 방지 회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과전압 발생시에, 메인 회로로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과전압 방지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과전압 방지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는 입력 수신단(NRI), 입력 전송단(NRC), 입력 스위치(SWI) 및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을 구비한다.
상기 입력 수신단(NRI)은 입력 전압(VIN)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전송단(NRC)은 내부의 메인 회로에 전송되는 전송 전압(VRC)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메인 회로'는 '보호하고자 하는 회로'를 의미한다.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 신호(XSC)가 "H"로 활성화 상태일 때,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입력 전압(VIN)이 상기 전송 전압(VRC)로 전송된다.
반면에, 스위치 제어 신호(XSC)의 "L"로의 비활성화에 의하여,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두 접합이 각각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에 접속되며,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에 게이팅되는 앤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은 상기 전송 전압(VRC)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상기 전송 전압(VRC)이 기준 전압(VREF)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은 구체적으로 피드백 신호 발생부(110) 및 제어 신호 발생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110)는 상기 전송 전압(VRC)을 감지하여, 피드백 신호(XFB)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피드백 신호(XFB)는 상기 전송 전압(VRC)이 상기 기준 전압(VREF) 이상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110)는 비교 수단(111)을 구비한다. 상기 비교 수단(111)은 구동 전압(VDR)을 상기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XFB)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전압(VDR)은 상기 전송 전압(VRC)에 따른 레벨을 가지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 수단(111)은 상기 구동 전압(VDR)을 비반전 입력단(+)으로 수신하고,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반전 입력단(-)으로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신호(XFB)는 상기 구동 전압(VDR) 즉, 상기 전송 전압(VRC)이 상기 기준 전압(VREF) 이상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110)는 액티브 스위치(11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액티브 스위치(113)는 액티브 신호(XAC)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전송 전압(VRC)에 커플링시킨다. 즉, 상기 액티브 스위치(113)는 액티브 신호(XAC)가 "H"로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에서,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전송 전압(VRC)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전송 전압(VRC)은 상기 구동 전압(VDR)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액티브 스위치(113)는 액티브 신호(XAC)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VDR)을 고정 전원(본 실시예에서는, 접지 전압(VSS))에 커플링시킨다. 즉, 상기 액티브 스위치(113)는 상기 액티브 신호(XAC)가 "L"로 활성화되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비교 수단(111)의 반전 입력단(-)이 플로팅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130)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상기 피드백 신호(XFB)의 "L"로의 비활성화에 따라, "L"로 비활성화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130)는 신호 제어 수단(131)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 제어 수단(131)은 상기 피드백 신호(XFB)의 "L"로의 비활성화에 따라 "L"로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신호 제어 수단(131)은 데이터 입력단(D)으로 상기 피드백 신호(XFB)를 수신하며, 출력단(Q)으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제공하고, 클락단(CK)으로 클락 신호(XCLI)를 수신하며, 리셋단(R)으로 리셋 펄스(RS)를 수신하는 플립 플럽으로 구현된다.
이때, 상기 클락 신호(XCLI)는 상기 피드백 신호(XFB)에 커플링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락 신호(XCLI)가 상기 피드백 신호(XFB)에 커플링되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신호 제어 수단(131)을 구현하는 플립 플럽의 클락단(CK)으로 외부에서 별도의 신호가 클락 신호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외부 인가 신호의 수가 감소되어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발생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130)는 지연 수단(133)을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연 수단(133)은 상기 피드백 신호(XFB)를 지연하여 상기 클락 신호(XCLI)로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호 제어 수단(131)을 구현하는 플립 플럽의 데이터 입력단(D)으로 인가되는 상기 피드백 신호(XFB)에 비하여, 클락단(CK)으로 인가되는 상기 클락 신호(XCLI)는 지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신호(XFB)에 노이즈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피드백 신호(XFB)와 상기 클락 신호(XCLI)의 노이즈 발생 시점이 겹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과전압 방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된다.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과전압 방지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점 t11에서, 리셋 펄스(RS)가 발생된다.
이후, 과전압의 입력 전압(VIN)이 수신되면, 상기 전송 전압(VRC)이 과전압(Over Voltage)으로 발생된다(t12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신호(XFB)는 "L"로 비활성화된다(t13 참조), 그리고, 이후 발생되는 클락 신호(XCLI)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L"로 비활성화된다(t14 참조).
그 결과,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턴오프"되며, 상기 전송 전압(VRC)은 과전압의 입력 전압(VIN)으로부터의 연결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에서는, 외부의 입력 전압에 과전압이 발생되면, 상기 입력 스위치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의 전송 전압으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과전압 발생시에, 메인 회로로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제2 실시예는 도 1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클락 신호의 제공 방식에서 차이점을 지닌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는 입력 수신단(NRI), 입력 전송단(NRC), 입력 스위치(SWI) 및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을 구비한다.
상기 입력 수신단(NRI)은 입력 전압(VIN)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전송단(NRC)은 내부의 메인 회로에 전송되는 전송 전압(VRC)을 가진다.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 신호(XSC)가 "H"로 활성화 상태일 때,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입력 전압(VIN)이 상기 전송 전압(VRC)로 전송된다.
반면에, 스위치 제어 신호(XSC)의 "L"로의 비활성화에 의하여,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두 접합이 각각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에 접속되며,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에 게이팅되는 앤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은 상기 전송 전압(VRC)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상기 전송 전압(VRC)이 기준 전압(VREF)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은 구체적으로 피드백 신호 발생부(210) 및 제어 신호 발생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210)는 상기 전송 전압(VRC)을 감지하여, 피드백 신호(XFB)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피드백 신호(XFB)는 상기 전송 전압(VRC)이 상기 기준 전압(VREF) 이상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210)는 비교 수단(211)을 구비한다. 상기 비교 수단(211)은 구동 전압(VDR)을 상기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XFB)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전압(VDR)은 상기 전송 전압(VRC)에 따른 레벨을 가지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 수단(211)은 상기 구동 전압(VDR)을 비반전 입력단(+)으로 수신하고,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반전 입력단(-)으로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신호(XFB)는 상기 구동 전압(VDR) 즉, 상기 전송 전압(VRC)이 상기 기준 전압(VREF) 이상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210)는 액티브 스위치(21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액티브 스위치(213)는 액티브 신호(XAC)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전송 전압(VRC)에 커플링시킨다. 즉, 상기 액티브 스위치(213)는 액티브 신호(XAC)가 "H"로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에서,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전송 전압(VRC)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전송 전압(VRC)은 상기 구동 전압(VDR)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액티브 스위치(213)는 액티브 신호(XAC)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VDR)을 접지 전압(VSS)에 커플링시킨다. 즉, 상기 액티브 스위치(213)는 상기 액티브 신호(XAC)가 "L"로 활성화되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비교 수단(211)의 반전 입력단(-)이 플로팅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230)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상기 피드백 신호(XFB)의 "L"로의 비활성화에 따라, "L"로 비활성화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230)는 신호 제어 수단(231)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 제어 수단(231)은 상기 피드백 신호(XFB)의 "L"로의 비활성화에 따라 "L"로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신호 제어 수단(231)은 데이터 입력단(D)으로 상기 피드백 신호(XFB)를 수신하며, 출력단(Q)으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제공하고, 클락단(CK)으로 클락 신호(XCLE)를 수신하며, 리셋단(R)으로 리셋 펄스(RS)를 수신하는 플립 플럽으로 구현된다.
도 4는 도 3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과전압 방지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점 t21에서, 리셋 펄스(RS)가 발생된다.
이후, 과전압의 입력 전압(VIN)이 수신되면, 상기 전송 전압(VRC)이 과전압(Over Voltage)으로 발생된다(t22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신호(XFB)는 "L"로 비활성화된다(t23 참조), 그리고, 이후 수신되는 클락 신호(XCLE)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L"로 비활성화된다(t24 참조).
그 결과,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턴오프"되며, 상기 전송 전압(VRC)은 과전압의 입력 전압(VIN)으로부터의 연결이 차단된다.
이후, 상기 전송 전압(VRC)이 하강하여 과전압 상태에서 벗어나면, 상기 피드백 신호(XFB)는 다시 "H"로 활성화된다(t25 참조).
그리고, 이후에 수신되는 클락 신호(XCLE)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도 다시 "H"로 활성화된다(t26 참조)
그러면, 상기 입력 스위치(SWI)도 다시 턴온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VIN)은 상기 전송 전압(VRC)으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에서도, 외부의 입력 전압에 과전압이 발생되면, 상기 입력 스위치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의 전송 전압으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과전압 발생시에, 메인 회로로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
도 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제3 실시예는 도 1의 제1 실시예 및 도 3의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비교적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는 입력 수신단(NRI), 입력 전송단(NRC), 입력 스위치(SWI) 및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을 구비한다.
상기 입력 수신단(NRI)은 입력 전압(VIN)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전송단(NRC)은 내부의 메인 회로에 전송되는 전송 전압(VRC)을 가진다.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 신호(XSC)가 "H"로 활성화 상태일 때,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입력 전압(VIN)이 상기 전송 전압(VRC)로 전송된다.
반면에, 스위치 제어 신호(XSC)의 "L"로의 비활성화에 의하여,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스위치(SWI)는 두 접합이 각각 상기 입력 수신단(NRI)과 상기 입력 전송단(NRC)에 접속되며,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에 게이팅되는 앤모스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은 상기 전송 전압(VRC)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상기 전송 전압(VRC)이 기준 전압(VREF)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은 구체적으로 비교 수단(311)을 구비한다. 상기 비교 수단(311)은 구동 전압(VDR)을 상기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전압(VDR)은 상기 전송 전압(VRC)에 따른 레벨을 가지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 수단(211)은 상기 구동 전압(VDR)을 비반전 입력단(+)으로 수신하고,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반전 입력단(-)으로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XSC)는 상기 구동 전압(VDR) 즉, 상기 전송 전압(VRC)이 상기 기준 전압(VREF) 이상으로 상승할 때, "L"로 비활성화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BKGC)은 액티브 스위치(31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액티브 스위치(313)는 액티브 신호(XAC)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전송 전압(VRC)에 커플링시킨다. 즉, 상기 액티브 스위치(313)는 액티브 신호(XAC)가 "H"로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에서,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전송 전압(VRC)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전송 전압(VRC)은 상기 구동 전압(VDR)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액티브 스위치(313)는 액티브 신호(XAC)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VDR)을 접지 전압(VSS)에 커플링시킨다. 즉, 상기 액티브 스위치(213)는 상기 액티브 신호(XAC)가 "L"로 활성화되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구동 전압(VDR)을 상기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비교 수단(211)의 반전 입력단(-)이 플로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에서도, 외부의 입력 전압에 과전압이 발생되면, 상기 입력 스위치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압의 전송 전압으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에 따른 과전압 방지 회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과전압 발생시에, 메인 회로로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과전압 방지 회로에 있어서,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단;
    입력 전송단;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에 형성되는 입력 스위치로서, 스위치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에 의하여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되는 상기 입력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송단의 전송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블락으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전송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때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은
    상기 전송 전압을 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피드백 신호 발생부로서,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전송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때, 비활성화되는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는
    구동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 수단; 및
    액티브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전송 전압에 커플링시키며, 상기 액티브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을 고정 전원에 커플링시키는 액티브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는 클락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신호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수단은
    데이터 입력단이 상기 피드백 신호에 커플링되며, 출력단으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클락단으로 상기 클락 신호를 수신하는 플립 플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클락 신호로 발생하는 지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
  5. 삭제
  6. 과전압 방지 회로에 있어서,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단;
    입력 전송단;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에 형성되는 입력 스위치로서, 스위치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에 의하여 상기 입력 수신단과 상기 입력 전송단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되는 상기 입력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송단의 전송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블락으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전송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때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 블락은
    상기 전송 전압을 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피드백 신호 발생부로서,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전송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할 때, 비활성화되는 상기 피드백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는 클락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신호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 제어 수단은
    데이터 입력단이 상기 피드백 신호에 커플링되며, 출력단으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클락단으로 상기 클락 신호를 수신하는 플립 플럽이며, 상기 클락 신호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클락 신호로 발생하는 지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방지 회로.
KR1020120051343A 2012-05-15 2012-05-15 과전압 방지 회로 KR10119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43A KR101198592B1 (ko) 2012-05-15 2012-05-15 과전압 방지 회로
US13/861,949 US8971001B2 (en) 2012-05-15 2013-04-12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43A KR101198592B1 (ko) 2012-05-15 2012-05-15 과전압 방지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592B1 true KR101198592B1 (ko) 2012-11-07

Family

ID=4756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343A KR101198592B1 (ko) 2012-05-15 2012-05-15 과전압 방지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71001B2 (ko)
KR (1) KR1011985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74Y1 (ko) * 2003-09-18 2003-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원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4425A (en) * 1992-02-20 1993-08-25 Ibm Crt display reduces raster size during standby mode
JP3201873B2 (ja) * 1993-04-23 2001-08-27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抵抗感圧型タブレットの座標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584502B2 (ja) * 1994-10-07 2004-11-04 ソニー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
US5539299A (en) * 1994-10-31 1996-07-23 Motorola Inc. Protection switch for a battery powered device
KR100636526B1 (ko) 2004-01-06 2006-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말기의 과전압 및 과전류 방지 회로
US7279956B2 (en) * 2004-07-09 2007-10-09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izing static leakage of an integrated circuit
KR20060077556A (ko)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과전압 및 누설 전류 차단 장치
KR100809688B1 (ko) 2006-03-31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 방지 제어 회로 및 과전압 방지 제어 방법
TW200812191A (en) * 2006-05-09 2008-03-01 Rohm Co Ltd Charging circuit
KR20080021254A (ko) 2006-09-01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전압 차단 회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EP2048567B1 (en) * 2007-08-17 2014-05-0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EMC protection circuit
KR101079945B1 (ko) 2009-07-14 2011-11-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전압보호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74Y1 (ko) * 2003-09-18 2003-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71001B2 (en) 2015-03-03
US20130308236A1 (en)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0261B2 (en) USB power delivery dead-battery control
US9977475B2 (en) Over voltage protection for a communication line of a bus
CA2753682A1 (en) Integrated variable output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JP4105082B2 (ja) 入力バッファ
US8947146B2 (en) Pulse-based flip flop
EP3251150B1 (en) Self-sensing reverse current protection switch
NO20190390A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ultrasound system
KR101198592B1 (ko) 과전압 방지 회로
US9442545B2 (en) Serv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operation timing after being powered up
US20180083627A1 (en) Switch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748890B2 (en) Negative voltage tolerant IO circuitry for IO pad
US20140320106A1 (en) Power supply circuit
US20170324238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20200303946A1 (en) Power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228201B2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remote control self-recovery power-off mechanism
US20140210537A1 (en) Electronic device
TWI585566B (zh) 直流電源控制系統及電路
US9507361B2 (en) Initial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s and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9660615B2 (en) Flip-flop devices with clock sharing
KR102594299B1 (ko) 인에이블 타이밍에서 기준 전압을 목표 레벨로 신속하게 제어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
US10151787B1 (en) Audible ground fault buzzer circuit
KR102163807B1 (ko) 오버슈트를 저감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승압 전압 발생회로
KR101619939B1 (ko) 전원 순간 불안정에 의한 오동작을 감소시키는 파워-온 리셋 회로
US9733683B2 (en) Motherboar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154118B1 (en) Pulse dela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