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123B1 -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 Google Patents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123B1
KR101198123B1 KR1020110004514A KR20110004514A KR101198123B1 KR 101198123 B1 KR101198123 B1 KR 101198123B1 KR 1020110004514 A KR1020110004514 A KR 1020110004514A KR 20110004514 A KR20110004514 A KR 20110004514A KR 101198123 B1 KR101198123 B1 KR 10119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priority
group
patents
qf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385A (ko
Inventor
손소영
주용한
김만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1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망 기술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계층적 QFD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계층적 QFD를 이용하여 특허 데이터를 바탕으로 객관성이 입증된 연구 개발 우선순위 설정 및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유망 기술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계층적 QFD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METHOD FOR SETTING PRIOR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METHOD FOR SETTING PRIOR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DEVELOPING BUSINESS MODEL}
본 발명은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계층적 QFD를 이용하여 특허 데이터를 바탕으로 객관성이 입증된 연구 개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유망 기술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계층적 QFD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이다.
국가, 기업 및 대학 등은 연구 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 R&D) 사업을 진행할 시에 현재의 기술 동향이나 사업성 등 다수의 요소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는 기획 단계를 통해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와 같은 기획 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해당 연구 개발에 인력이나 예산 등의 자원을 배분한다.
연구 래발 사업의 진행은 막대한 인력, 예산, 시간 등의 자원이 소요되므로 연구 개발 우선순위 선정에 있어서 정확성에 따른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지만, 현재는 연구 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연구 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기획 단계가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선정된 연구 개발 우선순위의 신뢰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연구 개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의 고안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계층적 QFD 방법론을 이용하여 미래 메가 트랜트(mega trend)와 고객의 소리(voice of customer), 해당 기술 서비스 또는 제품, 중분류 기술, 세부 기술 분류들 간의 유기적 관계성을 파악하여 결과적으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해당 분야 기술 서비스/제품 개발을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세부 기술의 연구 개발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계층적 QFD를 역 활용한 해당 분야 유망 기술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은, (a)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해당 분야의 고객의 소리와 해당 분야의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1단계 QFD를 구성하여, 해당 분야의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는 단계; (b)해당 분야의 중분류 기술을 파악한 후에 기술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 군과 중분류 기술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2단계 QFD를 구성하여,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는 단계; (c)해당 분야의 세부 기술을 파악한 후에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과 세부 기술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3단계 QFD를 구성하여, 해당 분야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여 유망 기술 군을 파악하는 단계; 및 (d)해당 분야의 전체 국내 특허 중에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해당 분야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대비 유망 기술 군의 특허수의 비율과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대비 유망 기술 군의 특허수의 비율을 비교하여 차이가 큰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여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은, (a)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해당 분야의 고객의 소리와 해당 분야의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1단계 QFD를 구성하여, 해당 분야의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는 단계; (b)해당 분야의 중분류 기술을 파악한 후에 기술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 군과 중분류 기술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2단계 QFD를 구성하여,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는 단계; (c)해당 분야의 세부 기술을 파악한 후에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과 세부 기술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3단계 QFD를 구성하여, 해당 분야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는 단계; (d)해당 분야의 전체 국내 특허 중에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해당 분야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대비 유망 기술 군의 특허수의 비율과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대비 유망 기술 군의 특허수의 비율을 비교하여 차이가 큰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여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a)단계 내지 (c)단계를 역 이용하여 해당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미래 고객의 요구를 고려한 기술 개발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유망 기술 분야를 바탕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기술 기획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2는 도 1의 QF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계층적 QF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가 트랜드(mega trand)를 반영한 해당 분야 고객의 소리(voice of customer, 이하 VoC)를 설정하고 해당 기술 서비스/제품을 파악한 후에, 전문가 및 일반 사용자 설문의 응답을 컴퓨터로 불러 들여와 1단계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구성한다.(S101, S102, S103)
상기 1단계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VoC 항목들과 해당 분야 기술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interrelation)을 표준화하여 파악하고, VoC 항목들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는 해당 분야 기술 서비스/제품 우선순위 군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해당 분야의 중분류 기술을 파악한 후에, 특허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2단계 QFD를 구성한다.(S104, S105)
상기 2단계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1단계 QFD에서 우선순위 군으로 선택된 해당 분야 기술 서비스/제품과 해당 분야의 중분류 기술들 간의 연관성을 삼극 특허와 미국 특허의 동시 출현(co-word) 빈도를 특허 검색 엔진을 통하여 표준화하여 파악하고, 해당 분야 기술 서비스/제품의 중요도를 표준화된 특허 피인용도, 특허 최신성, 특허 파급효과, 제품의 시장전망, 이전의 1단계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기술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의 곱으로 산출한 후 이를 중분류 기술들과의 연관성과 함께 고려하여, 해당 분야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해당 분야의 세부 기술을 파악한 후에, 특허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3단계 QFD를 구성한다.(S106, S107)
상기 3단계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이전의 2단계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우선순위 군으로 선택된 해당 분야 중분류 기술과 해당 분야 세부 기술들 간의 연관성을 삼극 특허와 미국 특허의 동기 출현(co-word) 빈도를 특허 검색 엔진을 통하여 표준화하여 파악하고, 중분류 기술들의 중요도를 표준화된 특허 피인용도, 특허 최신성, 특허 파급효과, 이전의 2단계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중분류 기술들의 우선순위의 곱으로 산출한 후 이를 세부 기술들과의 연관성과 함께 고려하여, 해당 분야 세부 기술들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한다.
또한, 각 단계별 계산 과정에서 가중치 요소가 들어가 있는 부분인 1단계 QFD의 전문가와 일반 사용자들의 설문응답 비중, 2, 3단계 QFD의 삼극특허와 미국특허의 비중, 2, 3단계 중요도 항목 중 특허 최신성은 가중치 변화를 통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며, 큰 변화가 없는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민감도 분석 이후에도 큰 변화가 없는 세부기술의 우선순위 군의 국내 기술수준 파악을 위하여, 해당 분야의 국내 특허 전체 중에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해당 분야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대비 유망 기술 군의 특허수의 비율과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대비 유망 기술 군의 특허수의 비율을 비교하는 차이(gab) 분석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차이 분석을 통하여 국내 특허와 외국 특허의 비율이 차이가 큰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게 되며, 이들을 기술 개발이 시급한 기술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상기 1단계 QFD, 2단계 QFD 및 3단계 QFD를 역 이용하여 해당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을 도출한다.(S108)
상기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과정에서는, 3단계 QFD에서 해당 분야 세부 기술 우선순위의 상위에 랭크된 기술을 선택한 후에 이들과의 관계와 중요도가 높은 해당 분야 중분류 기술 군을 선택하고, 선택된 해당 분야 중분류 기술 군과의 관계와 중요도를 고려하여 해당 기술 서비스/제품 군을 2단계 QFD에서 선택한 후에, 이와 같이 선택된 해당 기술 서비스/제품과 관계가 높고 중요도가 높은 메가 트랜드를 구하여 이를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 단계의 세부 내용에 대하여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는 HOQ(house of quality)로 표현될 수 있으며, HOQ는 제1영역 내지 제6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HOQ의 제1영역은 고객 요구사항 리스트(what)를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고객 요구사항 리스트는 고객의 불만, 불평, 개선사항 등을 설문 조사를 포함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상기 HOQ의 제2영역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적 요구사항(HOW)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HOQ의 제3영역은 기술적 요구사항들의 상관 관계 매트릭스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HOQ의 제4영역은 고객 요구사항과 기술적 요구사항 간의 상호 관계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HOQ의 제5영역은 관련 경쟁자들의 고객 선호 차트를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제품에 대한 고객의 평가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HOQ의 제6영역은 요소에 할당된 resource에 의한 기술과 가격 평가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에 있어서의 1단계 QFD, 2단계 QFD 및 3단계 QFD를 포함하는 계층적 QFD를 도시하였다.
1단계(k=1)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what(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소리)와 how(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interrelationship; IR)은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산정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2
는 1단계 QFD에서 i행과 j열의 연관성이며, Sij는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i행과 j열의 연관성 점수의 평균 응답 값이고, Gij는 일반 집단이 평가한 i행과 j열의 연관성 점수의 평균 응답 값이며, i는 what(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소리)의 종류(행)이고, j는 how(서비스/제품)의 종류(열)이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3
는 전문가 집단에 대한 가중치로서 0보다는 크고 1보다는 작으며, i는 1, 2,..., n1이고, j는 1,2,..., n2이다.
또한, 1단계(k=1)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0에서 1의 스케일(scale)로 표준화된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4
을 아래 수학식 2의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5
에 대입하여 아래 수학식 3을 얻는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6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7
또한, 1단계(k=1)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what의 중요도는 아래 수학식 4를 통해 구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8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11003676558-pat00009
는 i(what(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소리)의 종류(행))에 대해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0
는 i(what(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소리)의 종류(행))에 대해 일반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1
는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가중치이다.
또한, 1단계(k=1)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how의 상대적 우선순위는 아래 수학식 5를 통해 구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2
그리고, 2단계(k=2) QFD 및 3단계(k=3)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what(2단계 QFD에서는 서비스/제품, 3단계 QFD에서는 중분류 기술)과 how(2단계 QFD에서는 중분류 기술, 3단계 QFD에서는 세부 기술) 간의 연관성(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3
)은, what과 how의 조합에 의한 삼극 특허의 빈도뿐만 아니라 삼극 특허의 검색에 있어서 샘플(sample) 수의 부족을 감안하여 미국 특허의 검색 빈도를 같이 파악한 후에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표준화한 값의 가중 평균치로 구하며, 아래 수학식 6과 같다. 이때, 삼극 특허 및 미국 특허의 사용은 세계적으로 인정된 특허의 사용을 위한 것이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4
상기 수학식 6에서, TPF는 삼극특허(triadic patent families)이고, USP는 미국 특허(US patent)이며, α1은 TFT의 가중치로서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
또한, 2단계(k=2)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what(서비스/제품) 중요도 (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5
)는 피인용도(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6
), 최신성(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7
), 파급효과(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8
), 시장전망(
Figure 112011003676558-pat00019
), 전단계 우선순위(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0
)의 곱으로 산정되고, 3단계(k=3)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what(중분류기술) 가중치(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1
)는 피인용도(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2
), 최신성(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3
), 파급효과(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4
), 전단계 우선순위(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5
)의 곱으로 산정되며, 아래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6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7
상기 수학식 7에서,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8
(피인용도)는 삼극특허의 피인용 횟수를 바탕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29
(최신성)은 특허의 등록현황을 발행년도의 추세(단위 기간별 등록된 특허 수의 추세)를 바탕으로 제시될 수 있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0
(파급 효과)는 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제시될 수 있다. 이때, 연결망 분석은 집단 내 구성원들이 서로 간에 얼마나 많은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1
(시장 전망)은 전문가 집단과 일반 집단의 설문으로 제시될 수 있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2
(전단계 우선순위)는 전단계 how의 우선순위를 사용한다.
상기 피인용도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3
는 아래 수학식 8과 같이 what의 i(행)에 대한 피인용의 횟수를 삼극 특허의 전체 피인용의 횟수로 나눠 줌으로써 산정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4
상기 수학식 8에서,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5
는 i(행)의 피인용 횟수이다.
상기 최신성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6
은 아래 수학식 9와 같이 특허가 처음 등록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세 구간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7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8
Figure 112011003676558-pat00039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0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1
상기 수학식 9에서, FY는 처음 특허 발생년도이고, LY는 마지막 특허 발생년도이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2
는 FY와 F1의 기간 내에 i번째 what 항목의 삼극특허 갯수이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3
는 F2와 F3의 기간 내에 i번째 what 항목의 삼극특허 갯수이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4
는 F2와 F3의 기간 내에 i번째 what 항목의 삼극특허 갯수이고, α2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5
의 가중치이며, α3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6
의 가중치이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7
이며, i는 1, 2, ..., n1이다.
상기 파급 효과(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8
)는 2단계(k=2) QFD, 3단계(k=3) QFD의 what 항목들을 대상으로 특허 동시 출현 중분류 또는 세부 기술 매트릭스(co-word matrix)를 구성하고, 이를 대상으로 연결망 분석을 실시한다. 위세 중앙성은 네트워크 상에서 각 중분류 또는 세부 기술(노드)의 중요성을 측정하며, 본 발명에서는 2단계(k=2) QFD와 3단계(k=3) QFD에서의 what 항목들로 노드가 정의된다. 위세 중앙성에서는 연결망 안에서 다른 노드들과의 연결 빈도가 높고, 중앙성이 큰 다른 노드들과 연결되어 있는 정도가 높을수록 위세 중앙성이 높다고 정의된다. 이때, 2단계(k=2) QFD와 3단계(k=3) QFD의 what의 파급효과(
Figure 112011003676558-pat00049
)는 아래의 수학식 10을 통해 도출해낼 수 있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0
상기 수학식 10에서, λ는 상수이며, M(i)는 i번째 연결점과 연결된 노드의 집합이고, i는 동시 출현 중분류 또는 세부 기술 매트릭스(co-word matrix)의 행이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1
은 동시 출현 중분류 또는 세부 기술 매트릭스의 열이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2
는 k단계 QFD에서 i(행), j(열) 동시 출현 중분류 또는 세부 기술 쌍(pair)들의 검색 빈도 매트릭스이다.
상기 시장 전망(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3
)은 아래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4
상기 수학식 11에서,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5
는 i행 서비스/제품의 시장전망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6
은 i(행) 제품/서비스 시장전망에 대하여 일반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고,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7
는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시장전망 중요도의 가중치이다.
그리고, 2단계(k=2) QFD 및 3단계(k=3)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전 단계 우선순위는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8
를 사용한다.
그리고, 2단계(k=2)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how의 상대적 우선순위는 상기 수학식 6과 수학식 7을 통해 산정하며, 3단계(k=3)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how의 상대적 우선순위는 상기 수학식 6과 수학식 8을 이용하여 수학식 12를 통해 산정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59
그리고, 3단계(k=3) QFD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0
들을 대상으로 유망 기술 군(emerging group,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1
)을 선정한다. 이때,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2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3
중에 점수가 높은 M개의 세부 요소 기술이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4
또는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5
값의 변화를 주어 상기와 같이 도출한 유망 기술의 선택이 얼마나 민감한지 평가한 후에 큰 변화가 없을 시에 유망 기술로 정한다.
국내의 기술수준 파악은 아래 수학식 13과 같이 3단계 QFD의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해당 분야 제품/서비스의 세부기술들의 총 특허건수(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6
) 대비 유망 기술의 특허 건수(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7
)의 비율에서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해당 제품/서비스의 세부 기술들의 총 특허건수(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8
) 대비 유망 기술 특허 건수(
Figure 112011003676558-pat00069
)의 비율을 빼어 차이 값(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0
)을 산정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1
상기 수학식 13에서,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2
값이 미리 정한 수준 이상인 경우에 해당 분야 세부기술을 국내 유망 연구개발 분야 기술로 결정한다.
상기 1단계 QFD, 2단계 QFD, 3단계 QFD를 역 이용하여 해당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과정에서는, 3단계(k=3) QFD를 통해서 얻어진 유망 세부기술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3
)과의 연관성(interrelationship)와 중요도(W)가 높은 2단계 QFD의 유망 중분류기술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4
) 및, 2단계 QFD의 유망 중분류 기술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1단계 QFD의 유망 제품/서비스 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5
) M개를 아래의 수학식 14를 통해 선정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6
상기 수학식 14에서, m은 유망 기술군으로 선정된 이전 단계 기술이며, k는 1 또는 2이다.
또한, 1단계 QFD의 유망 제품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7
)과 관련된 메가 트랜드 중에서 아래의 수학식 15를 통해 도출한 값 중에 점수가 높은 M가지 메가 트랜드를 선정한다.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8
상기 수학식 15에서, m은 1단계 QFD의 유망 제품군(
Figure 112011003676558-pat00079
)으로 선정된 제품이다.
이와 같은 1단계 QFD, 2단계 QFD, 3단계 QFD를 역 이용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1단계 기술 제품과 관련된 중요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9)

  1. 컴퓨터 내에서 수행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렌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과,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에 대한 미리 정해진 집단의 평가의견을 고려하여 1단계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구성하고, 상기 1단계 QFD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 군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포함되는 중분류 기술과, 상기 (a)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 군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2단계 QFD를 구성하고, 상기 2단계 QFD를 이용하여 상기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도출하되, 상기 연관성은 미리 결정된 국가들에 진행된 특허의 동시 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중분류 기술에 속하는 세부 기술과, 상기 (b)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 군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3단계 QFD를 구성하고, 상기 3단계 QFD를 이용하여 상기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결정하고 상기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에 속하는 유망기술 군을 결정하되, 상기 연관성은 상기 미리 결정된 국가들에 진행된 특허의 동시 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파악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부 기술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와, 상기 유망기술 군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의 비율과, 상기 세부 기술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와, 상기 유망기술 군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의 비율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세부 기술을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과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0
    )은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1
    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여기서, i는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을 나타내는 행으로서 1, 2, ...., n1이고, j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을 나타내는 열로서 1, 2, ..., n2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2
    는 연관성이며, Sij는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연관성의 평균 응답값이고, Gij는 일반 집단이 평가한 연관성의 평균 응답 값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3
    는 전문가 집단에 대한 가중치로서 0보다는 크고 1보다는 작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과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을 표준화하여 파악하고,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 항목들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우선 순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과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은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4
    에 의해 표준화하여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 항목들의 중요도(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5
    )는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6
    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여기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7
    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에 대해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8
    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에 대해 일반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089
    는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가중치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는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0
    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중분류 기술과 상기 (a)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 군 간의 연관성을 미리 결정된 국가들에 진행된 특허의 동시 출현 빈도를 표준화하여 파악하고,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중요도(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1
    )를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2
    에 의해 산정하여, 상기 중분류 기술에 속하는 우선순위 군을 도출하며,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세부 기술과 상기 (b)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군 간의 연관성을 미리 결정된 국가들에 진행된 특허의 동시 출현 빈도를 표준화하여 파악하고, 상기 중분류 기술의 중요도(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3
    )를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4
    에 의해 산정하여, 상기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이때,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5
    는 피인용도,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6
    는 최신성,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7
    은 파급효과,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8
    는 시장전망,
    Figure 112012036364649-pat00099
    는 이전 단계에서 파악된 우선순위이고, i는 메가 트랜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을 나타내는 행으로서 1, 2, ...., n1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중분류 기술과,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 군 간의 연관성과,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세부 기술과, 상기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 간의 연관성은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0
    에 의해 표준화하여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여기서, TPF는 삼극 특허이고, USP는 미국 특허이며, α1는 가중치로서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며, j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을 나타내는 열로서 1, 2, ..., n2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에 있어서 상기 피인용도는 삼극 특허의 피인용 횟수로 제시되며, 최신성은 특허의 등록 현황을 등록 연도의 추세를 바탕으로 제시되고, 상기 파급 효과는 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제시되며, 상기 (b)단계에 있어서 시장 전망은 전문가 집단과 일반 집단의 평가의견으로 제시되고, 상기 (b)단계에 있어서 이전 단계에서 파악된 우선순위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이며, 상기 (c)단계에서 이전 단계에서 파악된 우선순위는 상기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에 있어서 피인용도는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1
    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여기서, (b)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2
    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피인용 횟수이며 (c)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3
    는 상기 중분류 기술의 피인용 횟수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에 있어서 최신성은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4
    와 같이 특허가 처음 등록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세 구간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 순위 설정 방법. (여기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5
    ,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6
    ,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7
    ,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8
    이며, FY는 특허가 처음 발생한 연도이고, LY는 특허가 마지막 발생한 년도이며, 상기 (b)단계에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09
    는 FY와 F1의 기간 내에 i번째 서비스/제품의 삼극특허 개수이고 (c)단계에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0
    는 FY와 F1의 기간 내에 i번째 중분류 기술의 삼극특허 개수이며, (b)단계에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1
    는 F2와 F3의 기간 내에 i번째 서비스/제품의 삼극특허 개수이고 (c)단계에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2
    는 F2와 F3의 기간 내에 i번째 중분류 기술의 삼극특허 개수이며, (b)단계에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3
    는 F2와 F3의 기간 내에 i번째 서비스/제품의 삼극특허 개수이고 (c)단계에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4
    는 F2와 F3의 기간 내에 i번째 중분류 기술의 삼극특허 개수이며, α2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5
    의 가중치이며, α3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6
    의 가중치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7
    이며, i는 1, 2, ..., n1임.)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을 대상으로 특허의 동시 출현 중분류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여 위세 중앙성이 높은 순위로 서비스/제품을 파급 효과가 높다고 정의하고, 상기 (c)단계에 있어서 상기 중분류 기술을 대상으로 특허의 동시 출현 중분류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여 위세 중앙성이 높은 순위로 중분류 기술을 파급 효과가 높다고 정의하며, 상기 (b)단계와 (c)단계의 파급 효과는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8
    에 의해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여기서, λ는 상수이며, (b)단계에서 M(i)는 i번째 연결점과 연결된 서비스/제품의 집합이고 (c)단계에서 M(i)는 i번째 연결점과 연결된 중분류 기술의 집합이며, (b)단계에서 i는 동시 출현 중분류 기술 매트릭스의 행이고 (c)단계에서 i는 동시 출현 세부 기술 매트릭스의 행이며, (b)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19
    은 동시 출현 중분류 기술 매트릭스의 열이고 (c)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0
    은 동시 출현 세부 기술 매트릭스의 열이며, (b)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1
    는 2단계 QFD에서 행, 열 동시 출현 중분류 기술 쌍의 검색 빈도 매트릭스이고 (c)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2
    는 3단계 QFD에서 행, 열 동시 출현 세부 기술 쌍의 검색 빈도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시장전망은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3
    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여기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4
    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시장 전망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5
    은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시장 전망에 대하여 일반 집단이 평가한 중요도의 평균값이고,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6
    는 전문가 집단이 평가한 시장전망 중요도의 가중치임.)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는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7
    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여기서, (b)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8
    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과 상기 중분류 기술 간의 연관성을 표준화한 결과이고 (c)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29
    는 상기 중분류 기술과 세부 기술 간의 연관성을 표준화한 결과이며, (b)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0
    는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중요도이고 (c)단계에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1
    는 상기 중분류 기술의 중요도임.)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전문가 집단의 평가에 대한 가중치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를 평가하여 미리 정해진 변화 이하인 경우에 유망 기술 군에 포함시키며,
    (d)단계에서는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2
    에 의해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상기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3
    )와 상기 유망 기술 군의 특허수(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4
    )의 비율에서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상기 세부 기술의 총 특허수(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5
    )와 상기 유망 기술군의 특허수 (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6
    )의 비율을 빼어 차이 값(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7
    )을 산정한 후에 상기 차이 값이 미리 정한 수준 이상일 때 상기 세부 기술을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a)단계 내지 (c)단계를 역이용하여 해당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e)단계가 추가로 수행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3단계 QFD에서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중분류 기술 군을 선택하고, 선택한 중분류 기술 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서비스/제품 군을 2단계 QFD에서 선택한 후에, 선택한 서비스/제품 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메가 트랜드가 반영된 해당 분야의 고객의 의견을 선택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3단계 QFD에서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8
    )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중분류 기술 군(
    Figure 112012036364649-pat00139
    )을 선택하고, 선택한 중분류 기술 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해당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군(
    Figure 112012036364649-pat00140
    )을 2단계 QFD에서 선택하는데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41
    를 이용하며,
    선택한 서비스/제품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메가 트랜드가 반영된 해당 분야의 고객의 의견을 선택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데 있어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42
    를 통해 산정한 값 중에 점수가 높은 순위로 M가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여기서,
    Figure 112012036364649-pat00143
    는 K+1단계 QFD에서 행과 열의 연관성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144
    는 k+1단계 QFD에서 세부 기술 또는 중분류 기술 또는 서비스/제품의 중요도이며,
    Figure 112012036364649-pat00145
    는 1단계 QFD에서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중요도이며, 1단계 QFD는 k가 1이고, 2단계 QFD는 k가 2임.)
  18. 컴퓨터 내에서 수행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기술 분야에 있어서 메가트렌드를 반영한 고객의 의견과,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 간의 연관성에 대한 미리 정해진 집단의 평가의견을 고려하여 1단계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구성하고, 상기 1단계 QFD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서비스/제품의 우선순위 군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기술 분야에 포함되는 중분류 기술과, 상기 (a)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 군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2단계 QFD를 구성하고, 상기 2단계 QFD를 이용하여 상기 중분류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도출하되, 상기 연관성은 미리 결정된 국가들에 진행된 특허의 동시 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중분류 기술에 속하는 세부 기술과, 상기 (b)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 군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3단계 QFD를 구성하고, 상기 3단계 QFD를 이용하여 상기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을 결정하고 상기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에 속하는 유망기술 군을 결정하되, 상기 연관성은 상기 미리 결정된 국가들에 진행된 특허의 동시 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파악하는 단계;
    (d) 상기 세부 기술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와, 상기 유망기술 군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외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의 비율과, 상기 세부 기술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와, 상기 유망기술 군에 속하는 특허들 중에 내국인이 특허권자인 특허 건수의 비율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세부 기술을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를 역 이용하여 해당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3단계 QFD에서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 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중분류 기술 군을 선택하고, 선택한 중분류 기술 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서비스/제품 군을 2단계 QFD에서 선택한 후에, 선택한 서비스/제품 군과의 연관성과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메가 트랜드가 반영된 해당 분야의 고객의 의견을 선택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KR1020110004514A 2010-08-18 2011-01-17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KR101198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06 2010-08-18
KR20100079806 2010-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85A KR20120017385A (ko) 2012-02-28
KR101198123B1 true KR101198123B1 (ko) 2012-11-12

Family

ID=4583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14A KR101198123B1 (ko) 2010-08-18 2011-01-17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452B1 (ko) * 2012-11-28 2014-04-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한 연구개발 우선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408B1 (ko) 2016-10-28 2021-11-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nD cost-down 항목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1889824B1 (ko) 2017-02-17 2018-08-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nD 품질 검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19B1 (ko)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19B1 (ko)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방과학기술 연구개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제30권 제2호, 이정동 외3인, 페이지122-132, 2004.12.31. 발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452B1 (ko) * 2012-11-28 2014-04-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한 연구개발 우선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85A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Data envelopment analysis application in sustainability: The origins,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s
Clark et al. Foreign country priorities in the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a measure and an exploratory test on British firms
Parte-Esteban et al. Determinants of technical efficiency in the Spanish hotel industry: regional and corporate performance factors
Ip et al. The evaluation of hotel website functionality by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US11941645B1 (en) Methods and systems to extract signals from large and imperfect datasets
Purvis et al. The shape of mammalian phylogeny: patterns, processes and scales
KR101265976B1 (ko) 정량적 정보 기반의 산업기술시장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urniawan et al. Merging Pearson Correlation and TAN-ELR algorithm in recommender system
Jun et al. Visualization of brand positioning based on consumer web search in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ntana et al. Switching behavior in the Italian electricity retail market: Logistic and mixed effect Bayesian estimations of consumer choice
Goel et al. What can search predict
Zuraidi et al. A study of using AHP method to evaluate the criteria and attribute of defects in heritage building
KR101198123B1 (ko)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방법, 및 연구 개발의 우선순위 설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Du et al. Analysis of university fitness center data uncovers interesting patterns, enables prediction
Zhang et al. Integrated framework of knowledge-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user-centered residential design
Golmohammadi et al. Importance analysis of travel attributes using a rough set‐based neural network: The case of Iranian tourism industry
CN107093092A (zh) 数据分析方法和装置
Cirella et al. Measuring sustainability: An application using the index of sustainable functionality in South East Queensland, Australia
KR20090016043A (ko) 마케팅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06318011A (ja) 需要分析・提案システム
He et al. 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based framework to evaluate public space quality
Schaffhausen et al. Assessing quality of user-submitted need statements from large-scale needfinding: effects of expertise and group size
Bensiek et al. Maturity model for improving virtual engineering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ubramanian et al. Predictive Modeling and Mobility Pattern Analysis
Rizalde et al. Forecasting hotel occupancy rate in riau province using ARIMA and ARIMA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