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752B1 -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752B1
KR101197752B1 KR1020080092887A KR20080092887A KR101197752B1 KR 101197752 B1 KR101197752 B1 KR 101197752B1 KR 1020080092887 A KR1020080092887 A KR 1020080092887A KR 20080092887 A KR20080092887 A KR 20080092887A KR 101197752 B1 KR101197752 B1 KR 10119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video
storage
target devic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319A (ko
Inventor
정동신
이주열
오승재
한세희
권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3Automatically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e.g. when a recording by reservation has been programmed for two programs in the same time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의 녹화 및 재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를 제어하는 장치는, 소정 동영상의 예약 녹화에 필요한 녹화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녹화 스케줄을 기초로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된 경우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 녹화 시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되면, 다른 저장 장치에 상기 동영상을 분산 녹화하는 녹화 수행부와, 상기 동영상의 예약 녹화가 시작 전에 저장 장치들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와, 상기 녹화되는 동영상의 녹화 정보, 녹화가 끝난 동영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CDS 관리부를 포함한다.
동영상, SRS, CDS, 분산 녹화, 연속 재생, 재생 목록

Description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ersion record and play of moving picture}
본 발명은 동영상의 녹화 및 재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AV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홈 네트워크와 같은 특정 네트워크 도메인 내부의 특정 장치로 전달되어 저장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HDD와 같은 저장장치를 갖는 장치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녹화 기술로는 녹화 시점에 주어진 EPG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시간, 채널 및 기타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예약 녹화를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방송 데이터의 저장 방법으로는 예약 시점에 지정해 둔 녹화 대상 장치의 리스트 중 하나를 선정하여 녹화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그램 녹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RS(Scheduled Recording Service)를 이용하여 UI로부터 예약 녹화에 필요한 사용자의 입력 값들을 기반으로 하는 녹화 스케줄(Record Schedule)을 생성한다. 여기서, SRS는 UPnP AV 표준으로 개발된 서비스로, UPnP 장치들이 방송 녹화를 위해 이용하게 된다.
그 다음, 생성된 녹화 스케줄은 1개 이상의 녹화 태스크(Record Task)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데, 녹화 태스크 인스턴스(Record Task Instance)는 특정 녹화 스케줄에 종속적이며, 녹화 스케줄이 갖고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HDD1은 SRS에 의해 주어진 시간에 시작된 녹화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저장 매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CDS(Content Directory Service)는 UPnP AV 표준으로 정해진 서비스로, 녹화될 녹화정보 또는 녹화가 끝난 데이터에 대한 관련 정보를 가상의 디렉토리와 같은 형태로 관리한다. 여기서, 녹화에 관련된 정보는 컨테이너(Container) 라는 디렉토리와 같은 개념의 객체(object)와 아이템(Item)이라는 파일 개념의 객체로 구성된다.
또한, PVR1(Personal Video Recorder1)은 SRS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저장 장치이며, PVR2는 PVR1과 네트워크에 연결 되어 있는 다른 저장 장치이다.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SRS를 통해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은 녹화 스케줄에 의해 정보가 관리되다가 시작 시간이 되면 담당 녹화 테스크가 동작하면서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과정은 구현에 따라 정확한 시작 시간 보다 약 몇 분 앞서 수행 될 수 있다.
또한,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SRS는 사용자가 선정해둔 녹화 대상 장치를 순서대로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 저장 장치를 선정하며, 선정된 저장 장치 중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선정된 장치에 녹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PVR1(Personal Video Recorder1)은 튜너(Tuner) 또는 기타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정해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저장하게 된다.
녹화 스케줄 객체는 예약 녹화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녹화 처리 과정을 관리하게 되는데, 녹화 도중 저장공간의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 될 경우, 파일 저장을 중단하고 CDS 내에 해당 녹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이템 객체를 만들며 예약 녹화를 종료한다. 이 경우, 생성된 CDS의 아이템 객체는 사용자가 예상했던 전체 프로그램이 아닌 임의의 시점에서 종료된 불완전한 녹화 데이터가 된다.
이에, 종래의 방송 데이터의 저장 방법은 녹화 시점에 발생한 저장공간 부족 문제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요청했던 프로그램 데이터를 SRS가 녹화하는 시점에 발생된 에러 상황으로 인해 비정상 종료된 경우, 네트워크의 다른 저장장치가 유휴(Idle) 상태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녹화가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녹화 대상 장치들 중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선정된 장치에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수행하다가 저장공간이 부족하여 다음 선호 저장장치에 저장한 경우, 분산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아 녹화 시점에 분산 저장된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와 같이 재생 시점에 연결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걸쳐 분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분산 저장하는 데이터에 대해 재생 시점에 연결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명시적으로 위치를 선택해 주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 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녹화 도중 저장공간의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저장장치에 동영상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분산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연결 재생시켜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UPnP 기반의 예약 녹화 환경에서 저장공간 부족 시 녹화 중이던 동영상이 다른 저장 장치로 분산 녹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정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목록을 기초로 분산 녹화된 동영상을 연결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를 제어하는 장치는, 소정 동영상의 예약 녹화에 필요한 녹화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녹화 스케줄을 기초로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된 경우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 녹화 시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되면, 다른 저장 장치에 상기 동영상을 분산 녹화하는 녹화 수행부와, 상기 동영상의 예약 녹화가 시작 전에 저장 장치들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와, 상기 녹화되는 동영상의 녹화 정보, 녹화가 끝난 동영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CDS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를 제어하는 방법은, 소정 동영상의 예약 녹화에 필요한 녹화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녹화 스케줄을 기초로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된 경우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의 예약 녹화가 시작 전에 저장 장치들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저장장치에 상기 동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저장 시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 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에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에러 상황에 대한 아이템 객체를 생성하고, 제2 저장장치에 상기 동영상을 분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동영상 파일 녹화 시 저장 장치의 공간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되면 SRS가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되는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네트워크에 분산된 저장 장치에 해당 동영상 파일을 분산 저장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녹화 목록을 기초로 하여 녹화된 동영상 파일이 네트워크의 어떤 저장 장치에 존재하는지 별도의 검색하지 않고도, 녹화 시점에 분산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하나의 파일과 같이 연결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제어 장치(100)는 녹화 수행부(110), CDS 관리부(120),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130), 재생 목록 관리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동영상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방송 데이터)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 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녹화 수행부(110)는 SRS를 이용하여 소정 동영상의 예약 녹화에 필요한 사용자의 입력 값들을 기반으로 하는 녹화 스케줄(Record Schedule)을 생성하고, 생성된 녹화 스케줄을 기초로 해당 동영상의 녹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SRS는 UPnP AV 표준으로 개발된 서비스로, UPnP 장치들이 방송 녹화를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녹화 수행부(110)는 녹화 스케줄을 기초로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한 경우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예약 녹화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녹화 수행부(110)는 소정 동영상의 저장 완료 및 에러에 의한 저장 종료 시 아이템 객체를 생성한다. 여기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된다.
CDS 관리부(120)는 녹화될 동영상의 녹화 정보 또는 녹화가 끝난 동영상에 대한 관련 정보를 가상의 디렉토리 형태로 관리한다. 여기서, 가상의 디렉토리는 컨테이너라는 디렉토리와 같은 개념의 객체와 아이템이라는 파일 개념의 객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CDS 관리부(120)는 녹화 수행부(110)가 생성한 예약 녹화 객체를 재생 목록 컨테이너 객체의 형태로 관리하며, 예약 녹화의 과정이 완료 및 에러에 의해 예약 녹화가 종료된 경우 생성된 아이템 객체를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관리한다. 여기서,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의 하위 객체로 저장된다.
또한, 예약 녹화 객체가 생성되면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130)는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는 CDS 관리부(120)에서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한다.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130)는 제어부(160)와 통신하면서 예약 녹화가 시작 되기 전에 사용자가 예약 녹화 시점에 선정한 녹화 대상 장치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저장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를 선택한다.
또한,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130)는 녹화 스케줄 객체의 XML 기술 내용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녹화 스케줄 객체가 녹화 대상 장치 그룹(recordDestinationGroup) 이라는 태그(Tag)를 사용하게 되면, 태그 내부에 나열된 녹화 대상 장치들을 하나의 그룹(group)으로 인식하여 순차적인 동영상 녹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재생 목록 관리부(140)는 분산 저장되는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목록을 UPnP에서 규정한 객체 집합(object class) 중 하나인 재생 목록 아이템(play list item)으로 관리한다. 여기서, 재생 목록은 분산 녹화된 소정 동영상의 실제 파일을 말 하는 것으로, 각각의 재생 목록을 통해 하나의 동영상을 연결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화 대상 장치 그룹 내에서 포함된 저장장치들에 순차적으로 동영상이 분산 저장되면, CDS 관리부(120)의 재생 목록 아이템이 업데이트 된다. 이에, CDS 관리부(120)의 재생 목록 아이템을 기초로 재생 시점에 해당 재생 목록(play list)을 검색함으로써, 분산 저장되었던 모든 동영상에 연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예약 녹화된 동영상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HDD및 다양한 형태의 저장 매체를 말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동영상 파일 재생 요청 시 CDS에 저장된 재생 목록 아이템을 참조하여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추적하여, 각각 분산되어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연속적으로 재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60)는 동영상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110 내지 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분산 데이터를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저장장치로 PRV1 및 PRV2가 존재하며, 저장 장치 별 선호도가 가장 높은 장치는 PRV1이고, 두번째로 선호도가 높은 장치는 PRV2라고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수행부(110)는 SRS를 이용하여 UI로부터 예약녹화에 필요한 사용자의 입력 값들을 기반으로 하는 녹화 스케줄(Record Schedule)을 생성한다. 여기서, 녹화 스케줄은 1개 이상의 녹화 태스크(Record Task)에 의해 동작 된다.
그 다음, 녹화 수행부(110)는 녹화 스케줄을 기초로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한 경우 예약 녹화 객체를 CDS 에 생성한다. 여기서, 예약 녹화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 객체 형태로 CDS에 생성된다.
그 다음,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130)는 예약 녹화가 진행되기 전에 사용자가 선정해둔 녹화 대상 장치를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 저장 장치를 선정하며, 선정된 저장 장치 중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선정된 장치에 대한 정보는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CDS에서 관리된다.
그 다음,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하여 예약 녹화가 진행되면, 선호도를 기반으로 선정된 장치(예를 들어, PRV1의 HDD1)에 해당 동영상(예를 들어, 배트멘)이 녹화되고, 녹화 도중 저장공간의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된 경우, SRS에 에러의 발생됨이 보고되어 녹화 수행부(110)는 CDS에 저장된 녹화 스케줄 객체를 기초로 장치 별 선호도가 두번째인 저장장치(예를 들어, PRV2의 HDD1)를 검색하고, 검색된 저장장치에 해당 동영상을 녹화한다. 여기서, 녹화 수행부(110)의 SRS는 에러 발생 시 CDS 내에 재생 목록 아이템을 생성하고, 첫번째 파일 이름이 포함된 URL을 재생 목록 아이템에 업데이트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녹화 대상 장치의 선정을 위한 녹화 스케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스케줄에 녹화 대상 장치를 하나의 그룹(410)으로 설정함으로써, 소정 동영상 녹화 중 저장 공간 부족 시 그룹으로 설정된 다른 저장 장치에 해당 동영상을 분산하여 녹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제1 HDD, 제2 HDD, 및 제3 HDD를 하나의 녹화 대상 장치 그룹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 소정 동영상의 예약 녹화 시간이 되면 선호도를 기초로 설정된 저장 장치를 확인하고, 해당 저장 장치(제1 HDD)에 동영상을 저장한다. 만일, 동영상 녹화 중 제1 HDD의 공간이 부족할 경우, 기 설정된 제2 HDD에 동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대상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녹화 스케줄에 저장 가능한 저장 장치들(420)을 설정해 놓음으로써, 소정 동영상 녹화 중 저장 공간 부족 시 그룹으로 설정된 다른 저장 장치에 해당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제1 HDD 및 제2 HDD를 저장 가능한 저장 장치로 기록해 둠으로써, 저장 장치(제1 HDD)에 동영상을 저장하다가 공간이 부족할 경우, 기 설정된 제2 HDD에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CDS 내부의 재생 목록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2개의 파일로 분산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목록의 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가 완료된 동영상들의 재생 목록을 관리하는 루트 컨테이너(root container)가 존재하고, 그 하위에 각각 녹화된 동영상의 제목을 기반 으로 하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play list Container)가 존재하며, 각 재생 목록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해당 재생 목록 아이템(play list item)이 포함 되어 있다.
여기서, 각 재생 목록 아이템(510)은 하나의 CDS 아이템 XML로 구성될 수 있으며, <dc:title> 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것은 실제 사용자가 재생 시 사용하게 될 파일 이름이 될 수 있으며, 실제 재생 목록(520)은 <res> 태그 사이에 존재하는 URL에 의해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재생 목록은 분산 녹화된 소정 동영상의 실제 파일을 말하는 것으로, 각각의 재생 목록을 통해 하나의 동영상을 연결 재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중 동영상이 제1 저장장치에 정상적으로 저장된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이용 가능한 제1 저장장치(150) 및 제2 저장장치(600)가 존재하며, 제1 저장장치(150)는 녹화 수행부(110) 및 CDS 관리부(120)를 포함하는 PVR1 장치 내에 있는 저장부를 말한다.
또한, 녹화 수행부(110) 내의 SRS를 통해 사용자의 예약 녹화가 이미 완료 되었으며, 예약 녹화에 대응되는 녹화 스케줄이 존재하며, 각 녹화 스케줄을 실제로 수행하는 녹화 태스크에 의해 예약 녹화 객체가 CDS에 생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에, 실제 녹화가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 정보, 채널정보 및 녹화 대상 장치 정보 등은 이미 UI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녹화 스케줄 객체에 포함되어 존재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 녹화 설정값을 기초로 녹화 수행부(110)의 SRS는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한다(S610). 여기서, 예약 녹화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를 통해 관리된다.
그 다음, 녹화가 시작되기 전에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는 사용자가 예약 녹화 시점에 선정한 녹화 대상 장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저장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예를 들어, 제1 저장장치)를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된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는 CDS 관리부(120)를 통해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된다. 녹화 수행부(110)는 저장 장치의 저장 공간 부족 시 상기 녹화 스케줄 객체를 참조하여 다음 저장 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저장 공간 부족에 대한 에러 발생 시 대비할 수 있다.
그 다음, SRS는 녹화 스케줄 객체에 지정되어 있는 녹화 대상 장치의 순서 및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가 선택한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를 선택한다(S620). 여기서, 저장 장치는 선호도가 가장 높은 동일한 장치(예를 들어, PVR1) 내부의 HDD(즉, 제1 저장장치(150))가 선택된다.
그 다음, 예약 녹화가 시작되어 선택된 제1 저장장치(150)에 동영상이 저장된다(S630, S640). 여기서, 저장하는 방법은 장치 제조업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생성되는 동영상 파일의 이름은 SRS에 의해 URL 형태로 지정되기 때문에,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제1 저장장치에 접근하여 동영상 파일을 읽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제1 저장장치(150)에 동영상 저장이 완료되면, SRS는 아이템 객체 생성한다(S650). 여기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되는데,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의 하 위 객체로 저장된다.
그 다음, 제1 저장 장치(150)에 동영상 파일의 저장이 완료됨과 동시에 녹화 수행이 종료된다(S66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중 동영상 파일이 제1 및 제2 저장장치에 분산 저장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이용 가능한 제1 저장장치(150), 제2 저장장치(600) 및 제3 저장장치(700)가 존재하며, 선호도는 제1 저장 장치, 제2 저장장치 및 제3 저장장치 순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 녹화 설정값을 기초로 녹화 수행부(110)의 SRS는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한다(S710). 여기서, 예약 녹화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를 통해 관리된다.
그 다음, 녹화가 시작되기 전에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는 사용자가 예약 녹화 시점에 선정한 녹화 대상 장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저장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예를 들어, 제1 저장장치)를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된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는 CDS 관리부(120)를 통해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된다. 녹화 수행부(110)는 저장 장치의 저장 공간 부족 시 상기 녹화 스케줄 객체를 참조하여 다음 저장 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저장 공간 부족에 대한 에러 발생 시 대비할 수 있다.
그 다음, SRS는 녹화 스케줄 객체에 지정되어 있는 녹화 대상 장치의 순서 및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가 선택한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를 선 택한다(S720). 여기서, 저장 장치는 선호도가 가장 높은 동일한 장치(예를 들어, PVR1) 내부의 HDD(즉, 제1 저장장치(150))가 선택된다.
그 다음, 예약 녹화가 시작되어 선택된 제1 저장장치(150)에 동영상이 저장된다(S730, S740). 여기서, 저장하는 방법은 장치 제조업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생성되는 동영상 파일의 이름은 SRS에 의해 URL 형태로 지정되기 때문에,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제1 저장장치에 접근하여 동영상 파일을 읽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저장장치(15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여 에러가 발생되면(S750), 녹화 수행부(110)의 SRS에 에러가 발생됨이 보고된다. 이에, SRS는 CDS에서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되는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다음 선호도가 높은 저장 장치를 체크하고, 이와 동시에 아이템 객체 생성한다(S760). 여기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되며,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의 하위 객체로 저장된다. 또한, CDS 관리부(120)는 첫번째 파일 이름이 포함된 URL을 재생 목록 아이템에 업데이트한다.
그 다음, 체크된 선호도가 두번째로 높은 제2 저장 장치(예를 들어, PC)(600)에 예약 녹화가 시작되고, 이에 제2 저장장치(600)에 동영상이 저장된다(S770, S780). 그 다음, 제2 저장장치(600)에 동영상 저장이 완료되면, SRS는 아이템 객체를 생성한다(S790). 여기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된다.
이에, 녹화 수행이 종료되고(S800), CDS 관리부(120)는 녹화 수행이 종료되 면 재생 목록 아이템에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URL을 반영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중 동영상 파일이 제1 및 제3 저장장치에 분산 저장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이용 가능한 제1 저장장치(150), 제2 저장장치(600) 및 제3 저장장치(700)가 존재하며, 선호도는 제1 저장 장치, 제2 저장장치 및 제3 저장장치 순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 녹화 설정값을 기초로 녹화 수행부(110)의 SRS는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한다(S810). 여기서, 예약 녹화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를 통해 관리된다.
그 다음, 녹화가 시작되기 전에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는 사용자가 예약 녹화 시점에 선정한 녹화 대상 장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저장 장치 중 사용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 장치 별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예를 들어, 제1 저장장치)를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된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는 CDS 관리부(120)를 통해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된다. 녹화 수행부(110)는 저장 장치의 저장 공간 부족 시 상기 녹화 스케줄 객체를 참조하여 다음 저장 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저장 공간 부족에 대한 에러 발생 시 대비할 수 있다.
그 다음, SRS는 녹화 스케줄 객체에 지정되어 있는 녹화 대상 장치의 순서 및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가 선택한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를 선택한다(S820). 여기서, 저장 장치는 선호도가 가장 높은 동일한 장치(예를 들어, PVR1) 내부의 HDD(즉, 제1 저장장치(150))가 선택된다.
그 다음, 예약 녹화가 시작되어 선택된 제1 저장장치(150)에 동영상이 저장된다(S830, S840). 여기서, 저장하는 방법은 장치 제조업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생성되는 동영상 파일의 이름은 SRS에 의해 URL 형태로 지정되기 때문에, 상기 URL 정보를 통해 제1 저장장치에 접근하여 동영상 파일을 읽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저장장치(15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여 에러가 발생되면(S850), 녹화 수행부(110)의 SRS에 에러가 발생됨이 보고 된다. 이에, SRS는 CDS에서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되는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다음 선호도가 높은 저장 장치를 체크하고, 이와 동시에 아이템 객체 생성한다(S860). 여기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되며,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의 하위 객체로 저장된다. 또한, CDS 관리부(120)는 첫번째 파일 이름이 포함된 URL을 재생 목록 아이템에 업데이트 한다.
그 다음, 선호도가 두번째로 높은 제2 저장 장치(예를 들어, PC)(600)에 예약 녹화를 수행한다(S870). 그러나, 제2 저장 장치(600)가 네트워크로부터 연결이 끊겼거나, 장치 장체의 문제로 수행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네트워크 연결이 실패할 경우(S880), SRS에 제2 저장장치(6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실패되었음이 보고된다. 이에, SRS는 CDS에서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되는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다음 선호도가 높은 저장 장치를 체크한다.
그 다음, 체크된 선호도가 세번째로 높은 제3 저장 장치(예를 들어, PVR2)(700)에 예약 녹화가 시작되고, 이에 제3 저장장치(700)에 동영상이 저장된 다(S890, S900). 그 다음, 제3 저장장치(700)에 동영상 저장이 완료되면, SRS는 아이템 객체를 생성한다(S910). 여기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된다.
이에, 녹화 수행이 종료되고(S920), CDS 관리부(120)는 녹화 수행이 종료되면 재생 목록 아이템에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URL을 반영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연속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예약 녹화 설정값을 기초로 녹화 수행부(110)의 SRS는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한다(S1010). 여기서, 예약 녹화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를 통해 관리된다.
그 다음, SRS는 녹화 스케줄 객체에 지정되어 있는 녹화 대상 장치의 순서 및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130)가 선택한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을 저장할 저장 장치를 선택한다(S1020). 여기서, 저장 장치는 선호도가 가장 높은 동일한 장치(예를 들어, PVR1) 내부의 HDD(즉, 제1 저장장치(150))가 선택된다.
그 다음, 예약 녹화가 시작되어 선택된 제1 저장장치(150)에 동영상이 저장된다(S1030). 이 때, 제1 저장장치(15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여 에러가 발생되면(S1040), 녹화 수행부(110)의 SRS에 에러가 발생됨이 보고 되고, 이에SRS는 CDS에서 녹화 스케줄 객체의 형태로 관리되는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다음 선호도가 높은 저장 장치를 선택한다(S1050). 만일, 저장 공간의 부족하지 않아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1050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 다음 SRS는 동영상 파일 생성 후 녹화를 수행한다(S1060). 여기서,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저장 공간이 남아 있는 시점까지 녹화가 진행된다.
한편, 녹화 수행 도중에 저장공간이 부족하게 되면, SRS는 녹화를 종료한 후 아이템을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되며,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컨테이너의 하위 객체로 저장된다. 또한, CDS 관리부(120)는 첫번째 파일 이름이 포함된 URL을 재생 목록 아이템에 업데이트 한다.
그 다음, 체크된 선호도가 두번째로 높은 제2 저장 장치(예를 들어, PC)(600)에 예약 녹화가 시작되고, 이에 제2 저장장치(600)에 동영상이 저장된다.
그 다음, 제2 저장장치(600)에 동영상 저장이 완료되면, SRS는 아이템 객체를 생성한다(S1070). 여기서, 아이템 객체는 재생 목록 아이템 객체의 형태로 CDS 관리부(120)에 의해 관리된다.
이에, 녹화 수행이 종료되고(S1080), CDS 관리부(120)는 녹화 수행이 종료되면 재생 목록 아이템에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URL을 반영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분할 저장된 소정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요청한 경우(S1090), 제어부(160)는 CDS에 저장된 재생 목록 아이템을 참조하여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추적하여, 각각 분산되어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연속적으로 재생시킨다(S1100, S1110).
한편, 사용자에 의해 분할 녹화된 소정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요청되지 않을 경우, 단계 S1090 내지 단계 S1110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그램 녹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분산 데이터를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녹화 대상 장치의 선정을 위한 녹화 스케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CDS 내부의 재생 목록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중 동영상이 제1 저장장치에 정상적으로 저장된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중 동영상 파일이 제1 및 제2 저장장치에 분산 저장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중 동영상 파일이 제1 및 제3 저장장치에 분산 저장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연속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동영상 제어 장치 110 : 녹화 수행부
120 : CDS 관리부 130 :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
140 : 재생 목록 관리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3)

  1. 소정 동영상의 예약 녹화가 시작 전에 저장 장치들을 구비하는 녹화 대상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저장 장치들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녹화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녹화 대상 장치 선택부;
    상기 소정 동영상의 예약 녹화에 필요한 녹화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녹화 스케줄을 기초로 예약 녹화 시간에 도달된 경우 예약 녹화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예약 녹화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의 녹화 중에 상기 선택된 녹화 대상 장치가 구비한 저장 장치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 재생 목록 아이템을 생성하고, 상기 재생 목록 아이템의 첫번째 파일 이름이 포함된 URL을 상기 재성 목록 아이템에 업데이트 하고, 상기 선호도에 따라 차순위로 선택되는 녹화 대상 장치가 구비한 저장 장치에 상기 동영상을 분산 녹화하는 녹화 수행부; 및
    상기 녹화되는 동영상의 녹화 정보, 녹화가 끝난 동영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녹화 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재생 목록 아이템에 분산 녹화된 파일의 URL을 반영하는 CDS 관리부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분산 녹화를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수행부는 상기 동영상의 저장이 완료되거나 저장 공간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되어 저장이 종료되는 경우 아이템 객체를 생성하는, 동영상의 분산 녹화를 제어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수행부는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되면 상기 녹화 대상 장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동영상을 분산 저장할 다른 저장 장치를 검색하는, 동영상의 분산 녹화를 제어하는 장치.
KR1020080092887A 2006-04-20 2008-09-22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197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325406P 2006-04-20 2006-04-20
US60/793,254 2006-04-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686A Division KR100871562B1 (ko) 2006-04-20 2006-12-15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319A KR20080092319A (ko) 2008-10-15
KR101197752B1 true KR101197752B1 (ko) 2012-11-06

Family

ID=4015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87A KR101197752B1 (ko) 2006-04-20 2008-09-22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7752B1 (ko)
CN (1) CN101427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1113B (zh) * 2018-09-28 2022-03-29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云存储的数据管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1129B (en) * 1998-04-30 2000-05-21 Hyundai Electronics I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image data outputted from image semsor having bayer pattern
KR100456020B1 (ko) * 2002-02-09 2004-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브이 기기의 기록매체 사용방법
US7474832B2 (en) * 2002-11-21 2009-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video recording with storage space distributed among remote personal video recorders
JP2005079891A (ja) * 2003-08-29 2005-03-24 Toshiba Corp 録画装置および録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7565A (zh) 2009-05-06
CN101427565B (zh) 2011-08-03
KR20080092319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55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ient aggrega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in a networked personal video recording system
KR101055423B1 (ko) 외부 디바이스의 인덱싱 정보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US8438601B2 (en) Resource management for a networked personal video recording system
US7689510B2 (en) Methods and system for use in network management of content
US7457511B2 (en) Independent buffer positions for a networked personal video recording system
US20050002640A1 (en) Networked personal video recording system
KR100871562B1 (ko)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288081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ing application for obtaining meta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of obtaining metadata
WO2006066052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e in network management of content
KR20090017533A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과 컴퓨터·프로그램
EP18367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storage medium along with downloaded data
CN101099200A (zh) 使用本地存储从记录介质再现数据的方法和装置
WO2010106745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
US20080294693A1 (en) Receiv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content receiving method, and content recording method
KR20090012928A (ko) UPnP 디바이스가 화면 상의 복수의 재생 영역을 통해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644803A2 (en) A networked personal video recording system
KR101197752B1 (ko) 동영상의 분산 녹화 및 재생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A26555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edia data
WO2010098085A1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652065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再生装置
CN101091212B (zh) 再现记录在存储介质上的数据及下载的数据的方法和设备
JP5962742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再生装置
JP2010277649A (ja) 記録制御装置、ハイブリッド記録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82221B1 (ko) 녹화 프로그램 관리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