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712B1 - 다리미 - Google Patents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712B1
KR101197712B1 KR1020110007323A KR20110007323A KR101197712B1 KR 101197712 B1 KR101197712 B1 KR 101197712B1 KR 1020110007323 A KR1020110007323 A KR 1020110007323A KR 20110007323 A KR20110007323 A KR 20110007323A KR 101197712 B1 KR101197712 B1 KR 101197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iron
auxiliary heating
handle
ir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089A (ko
Inventor
황나리
Original Assignee
황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나리 filed Critical 황나리
Priority to KR102011000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7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4Arrangements of the heating means within the iron; 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conducting or storing the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0Hand irons of special external sha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4Handles; Handle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6Cas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8Sole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는, 의복을 다림질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다리미 본체; 및 상기 다리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미에 대한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 본체는, 상기 다리미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는 메인가열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메인가열판측으로 인입된 제1위치 및 상기 메인가열판으로부터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가열판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보조가열판; 및 상기 보조가열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유지수단 및 상기 보조가열판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보조가열판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리미{IRON}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가열되는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다리미는 열을 이용하여 옷감의 주름을 펴는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옷감에 접촉되어 주름을 펴기 위한 가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판은 상기 옷감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식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평평한 단일의 금속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일례로 셔츠의 단추와 단추 사이의 좁은 공간을 다림질하는 경우에, 상기 가열판의 너비가 상대적으로 너비가 상기 공간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다림질 과정에서 상기 단추에 의하여 상기 가열판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단추와 단추 사이의 공간을 다림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너비가 상대적으로 작은 가열판의 전방측 단부를 구부러지게 형성하여, 좁은공간을 다림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측 단부만에 옷감에 접촉되도록 하여 옷감의 좁은 공간을 간섭없이 다림질하도록 하는 다리미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안된 다리미의 경우, 상기 다리미의 전방측 단부만이 접촉되도록 상기 다리미를 기울어지게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림질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전방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열판이 들려진 상태에서 다림질이 수행되기 때문에, 노출된 가열판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옷감의 좁은 공간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다림질하기 위한 다리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리미는, 의복을 다림질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다리미 본체; 및 상기 다리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미에 대한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 본체는, 상기 다리미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는 메인가열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메인가열판측으로 인입된 제1위치 및 상기 메인가열판으로부터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가열판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보조가열판; 및 상기 보조가열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유지수단 및 상기 보조가열판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보조가열판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다리미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부는, 내부에 용수가 수용되는 용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핸들부 몸체; 상기 핸들부 몸체의 일 단부측에 상기 핸들부 몸체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제1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걸림수단; 상기 핸들부 몸체의 타 단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제2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걸림수단; 상기 핸들부 몸체의 일 단부측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다리미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미 본체에 형성된 본체측 접속부와 접속되어, 상기 용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용수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공급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핸들부측 접속부; 상기 핸들부 몸체의 상기 용수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다리미 본체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용수 조절노브; 및 상기 핸들부측 접속부로부터 상기 본체측 접속부로 이어지는 용수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용수공급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 본체의 상측면에는, 상기 핸들부가 눕혀진 상태로 그 일부가 삽입 및 수용되는 핸들부 수용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가열판 구동장치의 상기 유지수단은, 일단에는 상기 보조가열판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단이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관통되는 걸림로드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로드; 일단은 상기 걸림로드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인출버튼이 고정되고, 상기 인출버튼으로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로드에 의한 상기 보조가열판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위치로 상기 걸림로드를 회전시키는 연결로드; 및 상기 걸림로드 회전샤프트에 마련되며, 일단은 상기 걸림로드에 대하여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된 상기 걸림로드를 상기 보조가열판이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가열판 구동장치의 상기 인출수단은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보조가열판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가열판을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이며, 상기 보조가열판에는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가열판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보조가열판이 인출된 제2위치에서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으로 더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옷감의 좁은 부분에 대하여 다림질을 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좁은 보조가열판을 전방으로 인출시켜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다리미를 이용하여 옷감의 넓은 영역 및 좁은 영역을 용이하게 다림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리미의 다리미 본체와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다리미의 보조가열판 구동장치의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
도 5는 도 2의 핸들부의 저면도.
도 6은 도 2의 핸들부의 측면도.
도 7은 도 1의 다리미의 보조가열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다림질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의 다리미의 다리미 본체에 핸들부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다리미의 다리미 본체와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은 도 1의 다리미의 보조가열판 구동장치의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핸들부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핸들부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1)는 다리미 본체(10)와, 핸들부(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다리미 본체(10)는 옷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옷감을 다림질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과, 메인가열판(15)과, 보조가열판(16)과, 보조가열판 구동장치(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다리미 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하며, 고온의 물체가 접촉되어도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내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이 배치되며, 하우징(11)의 하측에는 메인가열판(15) 및 보조가열판(16)이 배치되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된다.
하우징(11)의 상측면에는 핸들부(15)가 눕혀진 상태로 그 일부가 삽입 및 수용되기 위한 핸들부 수용홈(12)이 하방을 향하여 함몰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핸들부(15)의 일부가 걸려 핸들부(15)를 다리미 본체(10)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형성되고, 제1걸림부(131)에 인접한 위치에는 핸들부(15)의 일부와 접속되어 핸들부(15)에 수용된 용수가 다리미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본체측 접속부(14)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에는 보조가열판(16)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인출버튼(181)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열온도 조절노브(182)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의 측면에는 다리미 본체(10)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단자부(17)가 마련된다.
한편, 메인가열판(15) 및 보조가열판(16)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가능하게 하우징(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열전도성이 우수하며 수분에 의한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큰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메인가열판(15)은 하우징(11)의 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리미 본체(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는 경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가열판(16)은 메인가열판(15)의 전방 단부 측에, 메인가열판(15)측으로 인입된 제1위치 및 메인가열판(15)으로부터 다리미 본체(10)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메인가열판(15)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보조가열판(16)의 너비는 메인가열판(15)의 너비 중 가장 작은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보조가열판(16)은 메인가열판(15)의 중심선을 따라서 보조가열판(16)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한편, 보조가열판 구동장치(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버튼(181)에 가압력이 작용되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보조가열판(16)을 상기 제2위치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가열판(16)을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유지수단 및 보조가열판(17)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수단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조가열판 구동장치(30)의 상기 유지수단은, 걸림로드(31)와, 걸림로드 회전샤프트(36)와, 연결로드(32)와, 복원스프링(351)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걸림로드(31)의 일단에는 보조가열판(16)에 형성되는 걸림브래킷(161)의 걸림홈(162)에 선택적으로 걸려, 보조가열판(16)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단(311)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브래킷(161)은 보조가열판(16)의 상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걸림로드(3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걸림로드 회전샤프트(36)가 관통되며, 걸림로드(31)는 걸림로드 회전샤프트(3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연결로드(32)는 일단이 걸림로드(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인출버튼(281)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연결로드(32)는 인출버튼(281)에 인가되는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로드(31)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단(311)을 걸림홈(162)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된다. 즉, 연결로드(32)는 걸림로드(31)에 의한 보조가열판(16)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위치로 걸림로드(31)를 회전시킨다.
복원스프링(351)은 회전샤프트(36)가 관통된 상태에서, 일단을 걸림로드(31)에 형성되는 걸림로드측 지지돌기(312)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단은 하우징(11)의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측 지지돌기(341)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복원스프링(351)은 일례로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따라서, 걸림로드(31)가 해제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 인출버튼(281)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에, 복원스프링(351)은, 보조가열판(16)을 구속가능한 상태인 구속위치로, 걸림로드(31)를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11)의 내부에는 걸림로드(31)가 복원스프링(351)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구속위치에서 벗어나는 것, 즉 상기 구속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로드(31)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하우징측 제한돌기(34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가열판 구동장치(30)의 상기 인출수단은, 보조가열판(16)에 대한 걸림로드(31)의 구속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보조가열판(16)을 다리미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보조가열판(16)에 고정되는 스프링(352)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가열판(16)에는, 다리미 본체(10)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보조가열판(16)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부(163) 및 보조가열판(16)이 인출된 상기 제2위치에서 다리미 본체(10)의 전방으로 보조가열판(16)이 더 인출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62)가 형성된다.
이때, 보조가열판(16)과 접촉되는 메인가열판(15)에는 가이드부(163)가 맞닿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핸들부(20)는 다리미 본체(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리미 본체(10)를 이용하여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는 파지위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핸들부(20)는 핸들부 몸체(21)와, 제1걸림수단(231)과, 제2걸림수단(232)과, 핸들부측 접속부(24)와, 용수 조절노브(284)와, 용수공급버튼(282)과, 핸들부 탈착버튼(281)과, 용수수용공간 개방부(28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핸들부 몸체(21)는 핸들부(20)의 외형을 형성하며, 라운드 지게 형성되고, 핸들부 몸체(21)의 내부에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용수가 수용되기 위한 용수수용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핸들부 몸체(21)의 일 측면에는 핸들부 수용홈(12)에 핸들부(20)가 눕혀져 수용되는 경우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본체측 접속부(14)에 의하여 핸들부(20)의 수용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측 접속부(14)가 삽입되는 접속부 삽입홈(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걸림수단(231)은, 핸들부 몸체(20)의 일 단부측,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부 몸체(20)의 전방부의 단부측에 핸들부 몸체(2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1걸림수단(231)이 인출된 상태에서 다리미 본체(10)의 제1걸림부(131)에 선택적으로 걸린다.
이때, 핸들부 몸체(21)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핸들부 탈착버튼(281)은 제1걸림수단(231)과 연결되어, 일례로 사용자가 핸들부 탈착버튼(281)을 가압하는 경우, 제1걸림수단(231)이 핸들부 몸체(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1걸림부(131)에 대한 제1걸림수단(231)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핸들부 탈착버튼(281)의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제1걸림수단(231)이 다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핸들부 탈착버튼(281)에 의한 제1걸림수단(231)의 조작은 일례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버튼에 의한 인입 및 인출 조작 매커니즘은 탄성부재를 이용한 일반적인 조작 매커니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걸림수단(232)은 핸들부 몸체(21)의 타 단부측, 즉 후방부 단부측에 형성되며, 다리미 본체(10)의 제2걸림부(132)에 걸리도록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부측 접속부(24)는 핸들부 몸체(21)의 일 단부측의 저면에 형성되며, 핸들부 몸체(21) 내부의 상기 용수수용공간과 연통된다. 그리고, 핸들부측 접속부(24)는 핸들부(20)가 다리미 본체(10)에 장착된 상태, 즉 제1걸림수단(231) 및 제2걸림수단(232)이 각각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에 걸린상태에서, 다리미 본체(10)의 본체측 접속부(14)에 접속되어, 상기 용수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용수를 다리미 본체(10)에 공급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다리미 본체(10)에 공급된 상기 용수는 상기 가열수단 또는 가열판(15,16)에 의하여 수증기로 가열된 다음, 가열판(15,16)에 형성된 수증기 토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옷감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용수조절노브(284)는 상기 용수수용공간으로부터 다리미 본체(10)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핸들부 몸체(21)의 전방부측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용수공급버튼(282)은 핸들부측 접속부(24) 및 본체측 접속부(14)로 이어지는 용수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용수조절노브(284)에 인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용수수용공간 개방부(282)는, 상기 용수수용공간에 상기 용수를 보충하는 경우에, 상기 용수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부 몸체(11)의 상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1)에서, 용수수용공간 개방부(282)가 전방측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용수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며, 용수수용공간 개방부(282)가 후방측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용수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1)를 이용하여 다림질을 하기 위하여 다리미 본체(10)에 핸들부(20)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다리미 본체(10)의 상측에 핸들부(20)를 정렬시킨다. 이때, 핸들부(20)의 제1걸림수단(231) 및 제2걸림수단(232)이 각각 다리미 본체(10)의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와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걸림부(132)에 제2걸림수단(232)을 건 다음, 제1걸림부(131)에 제1걸림수단(232)이 걸리도록 한다. 핸들부(20)의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가 다리미 본체(10)에 고정되면, 다리미 본체(10)에 대하여 핸들부(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걸림수단(231)이 제1걸림부(131)에 걸리는 과정에서, 제1걸림수단(231)이 제1걸림부(131)에 접촉되면, 제1걸림수단(231)이 다리미 본체(10)의 내부로 잠시 인입된 다음 다시 인출되어 제1걸림부(131)에 걸리게 된다.
도 7은 도 1의 다리미의 보조가열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다림질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미(1)를 이용하여 옷감(C)을 다림질 하는 과정에서 버튼(B1)과 버튼(B2) 사이의 좁은 공간을 다림질하는 경우, 가열된 보조가열판(16)을 인출시켜 상기 좁은 공간에 대한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출버튼(181)에 대하여 가압력을 가하면, 상기 가압력이 보조가열판 구동장치(30)로 전달되고, 전달된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보조가열판 구동장치(30)는 전방을 향하여 보조가열판(16)이 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림질이 종료된 경우, 보조가열판(16)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보조가열판 구동장치(30)의 상기 유지수단에 보조가열판(16)의 일부가 걸림으로써, 보조가열판(16)이 메인가열판(15)을 향하여 인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보조가열판(16)이 냉각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보조가열판(16)을 다리미판과 같은 부재에 지지되도록 한 다음, 다리미 본체(10)를 전방을 향하여 밀어줌으로써, 보조가열판(16)이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리미(1)에 의한 다림질이 종료되는 경우, 핸들부(20)를 다리미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다리미(1)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들부(20)의 탈착버튼(282)을 가압하면, 핸들부(20)의 제1걸림수단(231)이 핸들부 몸체(21)의 내부로 인입되며, 제1걸림수단(231) 및 제1걸림부(131)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 다음, 제2걸림수단(231) 및 제2걸림부(131)의 걸림을 해제시킴으로써, 다리미 본체(10)에 대한 핸들부(20)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다리미의 다리미 본체에 핸들부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리미 본체(10)와 핸들부(20)의 결합을 분리한 상태에서, 핸들부(20)를 측방을 향하여 눕힌 다음, 다리미 본체(10)에 형성된 핸들부 보관홈(12)에 핸들부(20)를 삽입시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다리미(1)의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핸들부 보관홈(12)의 형상은, 핸들부(2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핸들부(20)가 핸들부 보관홈(12)에 수용된 상태에서, 다리미 본체(10)의 본체측 접속부(14)가 핸들부(20)의 접속부 삽입홈(213)에 삽입되어, 핸들부(20)가 핸들부 보관홈(12)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옷감의 좁은 부분에 대하여 다림질을 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좁은 보조가열판(16)을 전방으로 인출시켜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다리미를 이용하여 옷감의 넓은 영역 및 좁은 영역을 용이하게 다림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명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다리미 10 : 다리미 본체
11 : 하우징 12 : 핸들부 수용홈
15 : 메인가열판 17 : 보조가열판
20 : 핸들부 21 : 핸들부 몸체
30 : 보조가열판 구동장치

Claims (3)

  1. 의복을 다림질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다리미 본체; 및
    상기 다리미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미에 대한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 본체는,
    상기 다리미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는 메인가열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메인가열판측으로 인입된 제1위치 및 상기 메인가열판으로부터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가열판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보조가열판; 및
    상기 보조가열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유지수단 및 상기 보조가열판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보조가열판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다리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다리미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부는,
    내부에 용수가 수용되는 용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핸들부 몸체;
    상기 핸들부 몸체의 일 단부측에 상기 핸들부 몸체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제1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걸림수단;
    상기 핸들부 몸체의 타 단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제2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걸림수단;
    상기 핸들부 몸체의 일 단부측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다리미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미 본체에 형성된 본체측 접속부와 접속되어, 상기 용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용수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공급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핸들부측 접속부;
    상기 핸들부 몸체의 상기 용수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다리미 본체로 공급되는 상기 용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용수 조절노브; 및
    상기 핸들부측 접속부로부터 상기 본체측 접속부로 이어지는 용수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용수공급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 본체의 상측면에는, 상기 핸들부가 눕혀진 상태로 그 일부가 삽입 및 수용되는 핸들부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미.
  3. 제 1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열판 구동장치의 상기 유지수단은,
    일단에는 상기 보조가열판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단이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관통되는 걸림로드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로드;
    일단은 상기 걸림로드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인출버튼이 고정되고, 상기 인출버튼으로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로드에 의한 상기 보조가열판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위치로 상기 걸림로드를 회전시키는 연결로드; 및
    상기 걸림로드 회전샤프트에 마련되며, 일단은 상기 걸림로드에 대하여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상기 해제위치로 회전된 상기 걸림로드를 상기 보조가열판이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가열판 구동장치의 상기 인출수단은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보조가열판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가열판을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이며,
    상기 보조가열판에는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가열판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보조가열판이 인출된 제2위치에서 상기 다리미 본체의 전방으로 더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미.
KR1020110007323A 2011-01-25 2011-01-25 다리미 KR101197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23A KR101197712B1 (ko) 2011-01-25 2011-01-25 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23A KR101197712B1 (ko) 2011-01-25 2011-01-25 다리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89A KR20120086089A (ko) 2012-08-02
KR101197712B1 true KR101197712B1 (ko) 2012-11-05

Family

ID=4687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323A KR101197712B1 (ko) 2011-01-25 2011-01-25 다리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7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066B1 (ko) 2004-10-08 2006-05-08 정성길 분리가능한 가열판을 갖는 다리미
KR200449283Y1 (ko) 2008-06-17 2010-06-30 김시용 접히는 열판을 갖는 다리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066B1 (ko) 2004-10-08 2006-05-08 정성길 분리가능한 가열판을 갖는 다리미
KR200449283Y1 (ko) 2008-06-17 2010-06-30 김시용 접히는 열판을 갖는 다리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89A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36266U (zh) 便携式手持蒸汽发生设备
CN1922354B (zh) 包括一熨斗和一便携式基座的熨烫器具
US20060191299A1 (en) Garment steamer
EP2458080A1 (en) A steam ironing system
KR101197712B1 (ko) 다리미
US7188442B2 (en) Ironing device
EP2472000B1 (en) Cordless iron
CN101109146B (zh) 立式熨烫机及用于立式熨烫机的熨烫组件
US20050278988A1 (en) Ironing device
JPH01314600A (ja) コードレス式蓄熱アイロン用電源装置
CN214831350U (zh) 挂烫机
JP7037849B2 (ja) 衣類スチーマ
US8881435B2 (en) Iron with detachable soleplate
US7690139B2 (en) Household pressing iron having an improved cord guide device
CN204023262U (zh) 熨斗装置
JP5408121B2 (ja) アイロン装置
KR200428417Y1 (ko) 아이언
EP2472001B1 (en) Cordless iron
JP2021087592A (ja) スチーマー
US2736789A (en) Iron attachment
CN112442826B (zh) 洗衣设备及其控制方法
JP6166611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RU2817939C2 (ru) Гла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7295293U (zh) 一种熨斗座
JP3009175B2 (ja) アイロ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