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381B1 -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381B1
KR101197381B1 KR1020110083592A KR20110083592A KR101197381B1 KR 101197381 B1 KR101197381 B1 KR 101197381B1 KR 1020110083592 A KR1020110083592 A KR 1020110083592A KR 20110083592 A KR20110083592 A KR 20110083592A KR 101197381 B1 KR101197381 B1 KR 10119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ar mast
mast
radar
vibration
finit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이광일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화된 규격의 레이다 마스트의 실제 진동에 따른 계측값과 제품제작을 위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유한요소해석값을 취합하고, 설계시 이들의 데이터에 대한 설계보정을 통해 레이다 마스트가 제작된 후, 실제 레이다 마스트와 설계상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진동데이터 오차율을 감소시키므로써 각 선종마다 실시되는 레이다 마스트의 계측을 수행하기 위한 시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이다 마스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선종에 대한 표준형태의 레이다 마스트 샘플을 제작하고 진동하중에 영향을 받는 각각의 지점에 센서를 부착하여 진동에 대한 특성을 계측하는 실측단계와; 실제로 제작될 레이다 마스트를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모델링하고, 프로그램에 의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에서 진동하중에 영향을 받는 각 지점에 대해 요한요소법에 의한 구조물 진동특성을 파악하여 해석을 수행하는 FE해석 단계와; 상기 샘플의 실측된 계측값과 FE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석값을 대비하여 이들간의 편차를 도출한 후, 도출된 편차에 의해 실제로 제작될 레이다 마스트의 설계값을 보정하는 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설계값에 의해 설계프로그램으로 레이다 마스트를 설계하고, 설계된 레이다 마스트를 제작하는 제작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Radar mast production method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평균화된 규격의 레이다 마스트의 실제 진동에 따른 계측값과 제품제작을 위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유한요소해석값을 취합하고, 설계시 이들의 데이터에 대한 설계보정을 통해 레이다 마스트가 제작된 후, 실제 레이다 마스트와 설계상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진동데이터 오차율을 감소시키므로써 각 선종마다 실시되는 레이다 마스트의 계측을 수행하기 위한 시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항해 중인 선박의 주변에 타 선박과 제반 장애물 등의 존재와 위치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레이다, 교신장치 등의 항해 통신장비가 설치된다. 상기 항해 통신장비는 상기 주변 선박, 장애물 등의 확인 및 통신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선박의 상부구조에 상당한 길이의 마스트(이하, 레이다 마스트)를 설치하고, 마스트의 상부에 근거리 레이다 장비인 X-Band 레이다와 원거리 레이다 장비인 S-Band 레이다 장비 등이 설치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다 마스트의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레이다 마스트는 상당한 길이의 포스트(1)가 세워져 설치된 구조로 인해 선박의 가동 및 외부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진동에 상당히 취약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진동은 포스트(1)의 상부에서 X-Band, S-Band 등의 스캐너(2, 3)와 라이팅 포스트(4) 등의 설비에 인가되어 설비의 정밀한 구동을 저해하게 되며, 심각하게는 라이팅 포스트(4), 플랫폼(5), 콤파스 데크(6) 등의 구조물 파손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잦았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이다 마스트는 설계시 진동요인(선박의 구동, 기타 설비의 구동에 따른 기전력, 외부의 환경적 요인)에 대해 상당한 대응력을 갖도록 설계값(구조물의 규격 및 형태, 결합관계 등)이 설정된 후 제품으로 제작된다.
도 2는 종래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과정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요인에 대한 대응력을 갖도록 한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과정은 설계프로그램을 통해 레이다 마스트의 각 구성품에 대해 3D 모델링(각 선종마다 미리 정해진 규격)을 수행하고,(S1)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에 가상의 진동을 부여하여(S2) 레이다 마스트의 진동에 대한 특성을 유한요소법(有限要素法, Finite Elements Method)으로 해석하게 된다.(S3)
이후, 상기 해석된 데이터에 의해 제품을 설계하고,(S4) 이 설계에 따라 실제 레이다 마스트를 제작하게 된다.(S5) 이와같이 제작된 레이다 마스트는 진동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여 진동에 대한 대응력을 산출하기 위한 진동계측이 수행되고,(S6) 진동계측에 의해 확인된 취약 지점에 보강재 등을 설치하여 전술한 진동의 영향에 대한 구조보강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7)
상기와 같은 종래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과정은 실제 레이다 마스트를 제작한 후 이를 모델테스트하여 보강재 등을 설치하기 때문에 별도의 모델테스트와 보강재를 설치하는데 상당한 시간손실과 경비가 지출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설계상의 레이다 마스트와 진동해석을 위한 모델테스트를 수행하는 실제 제작된 레이다 마스트의 진동특성에 대한 대응치가 상당히 상이하기 때문에 발생되며, 이로인해, 내, 외부의 진동하중과 일반적인 구조물의 각 응력에 의한 데이터로만 해석된 진동 대응력 등은 실제 제작된 레이다 마스트의 진동 대응력과 상당한 차이점이 발생되는 결과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평균화된 규격의 레이다 마스트의 실제 진동에 따른 계측값과 제품제작을 위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유한요소해석값을 취합하고, 설계시 이들의 데이터에 대한 설계보정을 통해 레이다 마스트가 제작된 후, 실제 레이다 마스트와과 설계상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진동데이터 오차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레이다 마스트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선종에 대한 표준형태의 레이다 마스트 샘플을 제작하고 진동하중에 영향을 받는 각각의 지점에 센서를 부착하여 진동에 대한 특성을 계측하는 실측단계와; 실제로 제작될 레이다 마스트를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모델링하고, 프로그램에 의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에서 진동하중에 영향을 받는 각 지점에 대해 요한요소법에 의한 구조물 진동특성을 파악하여 해석을 수행하는 FE해석 단계와; 상기 샘플의 실측된 계측값과 FE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석값을 대비하여 이들간의 편차를 도출한 후, 도출된 편차에 의해 실제로 제작될 레이다 마스트의 설계값을 보정하는 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설계값에 의해 설계프로그램으로 레이다 마스트를 설계하고, 설계된 레이다 마스트를 제작하는 제작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실측단계는 샘플이 각 선종별 레이다 마스트의 규격을 취합하고, 취합된 규격을 통합하고 평균값을 도출하여 레이다 마스트를 구성하는 콤파스 데크, 메인 포스트, 플랫폼, 라이팅 포스트의 구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실측단계는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임팩트 지점()을 플랫폼(56) 상에서 S-band 스케너가 결합되는 지점으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FE해석 단계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를 콤파스 데크, 메인 포스트, 플랫폼, 라이팅 포스트로 구분한다.
특히, 상기 FE해석 단계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콤파스 데크가 선교의 지붕이 되어 선교의 벽면에 구속된 조건을 병진 3방향 운동구속, 회전 3방향 비구속으로 부여하고, 선교의 지붕 전체가 아닌 상기 메인 포스트가 설치된 지점에서 사각의 구역으로 발췌된 일부 구간만 모델링되어 해석된다.
또한, 상기 FE해석 단계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콤파스 데크, 메인 포스트, 플랫폼, 라이팅 포스트 중 구조물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기둥의 구성은 쉘 형태의 2차원 요소로 모델링하고, 구조물을 보강지지하는 론지, 거더, 파이프의 구성은 빔 형태의 1차원 요소로 모델링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표준 형태로 제작된 레이다 마스트를 실측하여 얻어진 진동특성값을 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레이다 마스트와과 설계상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진동데이터 오차율을 최소화하므로써,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 후 별도의 실측과 이에 따른 보강재 설치 등의 과정이 배재되거나 간략하게 수행되어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 상의 시간적,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다 마스트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을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의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에서 샘플에 진동을 부여하고 고유진동수를 계측한 그래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에서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모델링 상태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에서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유한요소 해석에 의해 고유진동수를 검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에서 샘플의 실측된 고유진동수와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고유진동수를 대비한 대비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을 위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샘플실측부(10), 유한요소 해석부(20), 설계부(30), 제작부(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목적하는 선박에 설치되기 위한 레이다 마스트(M)가 진동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갖도록 제작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샘플실측부(10)는 레이다 마스트의 샘플(50), 센서(51), 신호처리장치(52), 출력장치(5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샘플(50)은 각 선박의 종류별로 제작될 수 있지만, 레이다 마스트의 구성자체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여러 선종에 적용되는 레이다 마스트의 규격을 취합하고 평균적인 형태의 구성으로 제작한 후, 선종에 설치될 레이다 마스트의 규격에 대해 규격수치를 가감하여 진동에 대한 하중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샘플(50)은 레이다 마스트의 구성과 같이 선교의 지붕이 되는 콤파스 데크(54), 메인 포스트(55), 플랫폼(56), 라이팅 포스트(57)의 구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56) 상부에 설치되는 S-band 스캐너와 X-band 스캐너는 레이다 장비로 기성품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샘플에는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샘플(50)을 실측하기 위해서는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임팩트 지점(58)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 임팩트 지점(58)은 플랫폼(56) 상에서 S-band 스케너가 결합되는 지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센서(51)는 샘플(50)의 임팩트 지점(58)에 충격 등을 인가하여 진동을 부여할 때 샘플(50)의 각 구성부 고유진동수를 계측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같은 센서(51)는 샘플(50)을 구성하는 콤파스 데크(54), 메인 포스트(55), 플랫폼(56), 라이팅 포스트(57)에 1이상의 개수로 설치된다.
상기 신호처리장치(52)는 센서(5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디지탈 변환하며 수신하여 출력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와 관련하여 상기 출력장치(53)는 센서(51)의 계측값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유한요소 해석부(20)는 목적하는 선종에 설치될 레이다 마스트(M)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는 PC형태가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설계부는 유한요소 해석부(20)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레이다 마스트(M)의 제작도면을 작성하기 위한 설계프로그램이 PC형태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계부(30)는 후술될 보정단계에서 상기 샘플(50)의 고유진동수를 계측하여 얻어진 계측값과 상기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에 대해 유한요소법에 의한 진동특성이 해석된 해석값을 비교판단하여 유리한 값으로 보정된 수치를 반영하여 설계값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31)를 포함한다.
상기 제작부(40)는 상기 설계값에 의해 실제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하기 위한 생산라인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작부는 선박의 제작사마다 기본적으로 갖추어진 통상의 설비로 이상의 기재를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다 마스트 제작과정의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하기 위해 여러선종에 대한 레이다 마스트(M)의 규격을 취합하고,(S10) 이들 레이다 마스트(M) 규격에 대해 가장 평준화된 형태 및 규격의 레이다 마스트 샘플을 제작한다.(S11)
이때, 상기 레이다 마스트 샘플(50)은 전술한 것과 같이 여러규격을 평준화하여 단일의 것을 제작하거나, 각 선종별 규격에 대응되는 다수의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레이다 마스트 샘플(50)에 진동에 대한 영향을 받는 각각의 지점에 센서(51)를 설치하고, 샘플(50) 상의 임팩트 지점(58)을 설정한 후 임팩트 지점(58)에 목적하는 충격을 가하여 각 구성부의 진동을 계측하게 된다.(S12)
여기서, 상기 임팩트 지점(58)은 충격에 대한 진동이 최적의 형태로 각 구성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플랫폼(56) 상에서 S-band 스케너 설치기둥이 결합된 지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상기 샘플에 진동을 부여하여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고유진동수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5a는 메인 포스트(55)의 종방향 고유진동수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메인 포스트(55)의 횡방향 고유진동수 및 라이팅 포스트(57)의 횡방향 고유진동수에 대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5c는 플랫폼(56)의 비틀림에 대한 고유진동수 그래프, 도 5d는 메인 포스트(55)의 벤딩(휨)에 대한 고유진동수 그래프이다.
한편, 상기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하기 위해 실제로 제작될 레이다 마스트(M)를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모델링하게 된다.(S20) 진동하중에 영향을 받는 각 지점에 대해 요한요소법에 의한 구조물 진동특성을 파악하여 해석하게 된다.(S21)
이때, 상기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60)에 대한 유한요소법(FEM)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60)를 콤파스 데크(61), 메인 포스트(62), 플랫폼(63), 라이팅 포스트(64)로 구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60)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콤파스 데크(61)가 선교의 지붕이 되어 선교의 벽면에 구속된 조건을 병진 3방향 운동구속, 회전 3방향 비구속으로 부여하게 된다. 특히, 상기 조건으로 보다 편리한 모델링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선교의 지붕 전체가 아닌 상기 메인 포스트(62)가 설치된 지점에서 사각의 구역으로 발췌된 일부 구간만 모델링되어 해석되어도 상기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 결과는 동일하다.
한편, 상기 유한요소법을 적용하기 위한 구성은 전술한 것과 같이 콤파스 데크(61), 메인 포스트(62), 플랫폼(63), 라이팅 포스트(64)이며, 이들 구성은 도 6a 내지 도 6d에서와 같이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모델링 요소를 1차원 및 2차원 요소로 구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와 같이 콤파스 데크(61)는 구조물을 보강지지하는 론지, 거더의 구성을 빔(beam) 형태의 1차원 요소로 모델링하고, 구조물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는 쉘(shell) 형태의 2차원 요소로 모델링한다.
도 6b와 같이 메인 포스트(62)는 주 기둥형태로 파이프 요소에 해당되기 때문에 쉘 형태의 2차원 요소로 모델링하게 된다.
도 6c에서와 같이 플랫폼(63)은 콤파스 데크(61)와 같이 플레이트를 쉘 형태의 2차원 요소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론지, 플랫바 등을 빔 형태의 1차원 요소로 모델링하게 된다.
도 6d에서와 같이 플랫폼(63) 상부의 라이팅 포스트(64)는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되고 지지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들은 모두 1차원 요소로 모델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60)에 전술한 것과 같이 임팩트 지점에 충격을 인가하여 진동특성을 검출하게 되었다.
도 7a 내지 도 7e는 상기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를 유한요소법 해석에 의해 진동특성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7a는 상기 메인 포스트(62) 종방향 고유진동수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7b는 상기 메인 포스트(62)의 횡방향 고유진동수에 대한 그래프, 도 7c는 상기 라이팅 포스트(64) 횡방향 고유진동수에 대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7d는 상기 플랫폼(63)의 비틀림에 대한 고유진동수 그래프, 도 7e는 메인 포스트(62)의 벤딩(휨)에 대한 고유진동수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유한요소 해석법에 의해 확인된 진동특성은 도 8에서와 같이 정리되어 도출된다.(S30)
도 8은 상기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의 유한요소법에 의해 해석된 고유진동수와 샘플의 실측에 의해 검출된 고유진동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한요소법에 의해 해석된 고유진동수와 샘플의 실측에 의해 검출된 고유진동수는 대략 1.4% ~ 12%의 편차가 발생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편차는 후술될 설계과정을 위해 보정되어 실제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할 때 각 구성부의 설계치수 및 합금, 재질 등의 제작요건이 된다.
상기와 같이 샘플(50)의 실측된 계측값과 유한요소법 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석값은 전술된 것과 같이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하기 위한 설계값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된다.(S40)
이후, 상기 보정된 설계값은 제품의 설계에 반영되어 제품 설계가 실시(S50)됨과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된다.(S41) 이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는 여러 선박을 제작할 때 선종별로 설치되는 레이다 마스트(M)의 제작 규격의 기준이 되어 레이다 마스트(M)의 제작 후 별도의 모델 테스트 및 보강재 설치과정을 배재시키게 되거나 또는 최소한의 공정으로 감축시켜 시수절감 및 제작원가 등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레이다 마스트(M)의 제품 설계가 완료되면, 설계된 도면 등에 의해 제작현장에서는 레이다 마스트(M)를 실품으로 제작하게 된다.(S60)
10: 샘플실측부
20: 유한요소 해석부
30: 설계부
40: 제작부
50: 샘플

Claims (6)

  1.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다 마스트 샘플(50)을 제작하고 진동하중에 영향을 받는 각각의 지점에 센서(51)를 부착하여 진동에 대한 특성을 계측하는 실측단계와;
    실제로 제작될 레이다 마스트(M)를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모델링하고, 프로그램에 의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60)에서 진동하중에 영향을 받는 각 지점에 대해 유한요소법에 의한 구조물 진동특성을 파악하여 해석을 수행하는 유한요소해석 단계와;
    상기 샘플(50)의 실측된 계측값과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석값을 대비하여 이들간의 편차를 도출한 후, 도출된 편차에 의해 실제로 제작될 레이다 마스트(M)의 설계값을 보정하는 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설계값에 의해 설계프로그램으로 레이다 마스트(M)를 설계하고, 설계된 레이다 마스트(M)를 제작하는 제작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한요소해석 단계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모델링된 레이다 마스트(60)를 콤파스 데크(61), 메인 포스트(62), 플랫폼(63), 라이팅 포스트(64)로 구분하며,
    상기 유한요소해석 단계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콤파스 데크(61)가 선교의 지붕이 되어 선교의 벽면에 구속된 조건을 병진 3방향 운동구속, 회전 3방향 비구속으로 부여하고, 선교의 지붕 전체가 아닌 상기 메인 포스트(62)가 설치된 지점에서 사각의 구역으로 발췌된 일부 구간만 모델링되어 해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측단계는
    샘플(50)이 각 선종별 레이다 마스트의 규격을 취합하고, 취합된 규격을 통합하고 평균값을 도출하여 레이다 마스트를 구성하는 콤파스 데크(54), 메인 포스트(55), 플랫폼(56), 라이팅 포스트(57)의 구성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측단계는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임팩트 지점(58)을 플랫폼(56) 상에서 S-band 스케너가 결합되는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한요소해석 단계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콤파스 데크(61), 메인 포스트(62), 플랫폼(63), 라이팅 포스트(64) 중 구조물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기둥의 구성은 쉘(shell) 형태의 2차원 요소로 모델링하고, 구조물을 보강지지하는 론지, 거더, 파이프의 구성은 빔(beam) 형태의 1차원 요소로 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KR1020110083592A 2011-08-22 2011-08-22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KR10119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592A KR101197381B1 (ko) 2011-08-22 2011-08-22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592A KR101197381B1 (ko) 2011-08-22 2011-08-22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381B1 true KR101197381B1 (ko) 2012-11-05

Family

ID=4756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592A KR101197381B1 (ko) 2011-08-22 2011-08-22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9789A (zh) * 2022-06-24 2022-08-12 渤海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用于散货船上翼形风帆的安装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271A (ja) * 2007-06-06 2008-12-18 Toyota Central R&D Labs Inc 振動解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271A (ja) * 2007-06-06 2008-12-18 Toyota Central R&D Labs Inc 振動解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9789A (zh) * 2022-06-24 2022-08-12 渤海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用于散货船上翼形风帆的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usa et al. Bridge deflection evaluation using strain and rotation measurements
US11187681B2 (en) Method for evaluating state of member
JP4825599B2 (ja) 損傷検出方法、損傷検出装置、損傷検出システム
KR100687084B1 (ko) 유한요소 해석 및 민감도 해석에 의한 교량 케이블의 장력추정방법
Foti Dynamic identification techniques to numerically detect the structural damage
CN204666090U (zh) 一种适用于悬挑脚手架的综合应变监测系统
KR101672777B1 (ko) 비전을 활용한 콘크리트 전주 점검 검사 장치 및 시스템
CN110646159A (zh) 现浇清水混凝土风洞高精度控制测量的施工方法
CN105277435A (zh) 复合材料薄壁加筋结构轴压稳定性测试分析方法
CN103523169A (zh) 一种双壳体船舶制造方法
KR101197381B1 (ko) 선박용 레이다 마스트의 제작방법
CN114234819B (zh) 基于三维激光扫描的钢筋部品质量自动化检测方法
CN104594508A (zh) 多维空间钢结构安装节点定位施工方法
JP6949544B2 (ja) 配筋検査システム及び配筋検査方法
CN112081361A (zh) 一种高层建筑快速安装的脚手架、监测方法及实施方法
KR101954824B1 (ko) 비계용 연결브라켓 최종강도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N106126905A (zh) 一种连续刚构桥悬浇施工过程中的测控方法
JP449896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内部ひずみの測定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AU2016240373B2 (en) Tools for calibrating an ultrasonic testing device
CN108804755A (zh) 通过测量来校准包括主结构和至少一个支撑结构的模型的支撑结构的刚度的方法
WO2024111093A1 (ja) 劣化判定方法、劣化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1153719A (ja) 振動特性解析システム
KR102036492B1 (ko) 콘크리트 전주의 구조 건전성 판정 방법
CN118036127A (zh) 装配式地铁站纵向弯曲模式识别方法、系统、设备和介质
CN117236146B (zh) 一种建筑结构性能评估方法、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