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330B1 -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 - Google Patents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330B1
KR101197330B1 KR1020100093967A KR20100093967A KR101197330B1 KR 101197330 B1 KR101197330 B1 KR 101197330B1 KR 1020100093967 A KR1020100093967 A KR 1020100093967A KR 20100093967 A KR20100093967 A KR 20100093967A KR 101197330 B1 KR101197330 B1 KR 10119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oxane
collecting
collecting pipe
capture
bio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364A (ko
Inventor
허광범
박정극
이정빈
이남훈
이채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9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5Compounds of silicon, phosphorus, germanium or arse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 B01D2257/7022Aliphatic hydrocarbons
    • B01D2257/7025M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5Bio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2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meth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록산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는 바이오 가스 및 실록산을 흡수하는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되는 제1 포집관, 제1 포집관을 통과한 바이오 가스 및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되는 제2 포집관 및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을 연결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되, 제1 밸브를 개방하면,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이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되어,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의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이 흡수된 실록산 포집 용매가 혼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SILOXANE}
본 발명은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 상황의 지속과 기후변화협약의 진전 등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중 바이오 가스 발전은 매립가스, 음식물폐기물 및 하수 슬러지 등을 혐기상태에서 발효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바이오 가스 중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바이오 가스는 주성분인 메탄과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종류의 가스를 포함한다.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가스 중 실록산(Siloxane)은 연소과정에서 이산화규소 위주의 무기성 규소 침적물로 전환된다. 침적물은 가스엔진을 비롯한 터빈, 실린더, 배기 밸브 등에 침적된다. 이러한 침적물은 설비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마모 및 손상, 출력의 저하, 오일이나 부품의 교체주기 및 수명 단축 등으로 자원화 시설의 효율저하 및 비용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침적물은 배가스처리시스템에서 촉매의 활성을 저해하여 손상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바이오 가스 내 실록산 측정 분석을 위한 표준화된 시료채취방법이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실록산의 농도의 정밀한 측정을 위해 실록산을 포집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을 따르면 실록산 포집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오 가스 및 실록산을 흡수하는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되는 제1 포집관, 제1 포집관을 통과한 바이오 가스 및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되는 제2 포집관 및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을 연결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되, 제1 밸브를 개방하면,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이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되어,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의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이 흡수된 실록산 포집 용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따르면 실록산 포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실록산 포집 용매를 상호 연결된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으로 유입하는 단계, (b) 상호 연결된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c) 바이오 가스를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d) 분리된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을 하나의 공간으로 상호 연결하여 실록산 포집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 및 방법은 바이오 가스 내에 포함된 실록산을 정밀하게 포집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수분 내지 대체수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2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실록산 포집 장치는 임핀저(110), 제1 내지 제4 이동관(121 122 123 124), 제1 내지 제3 포집관(131 132 133), 제1 및 제2 밸브(141 142) 및 용매 주입부(151)를 포함한다.
임핀저(110)는 바이오 가스를 제1 이동관(121)으로 배출한다. 임핀저(110)는 바이오 가스 발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바이오 가스를 유입한다. 여기서, 바이오 가스는 매립가스, 음식물 폐기물 및 하수 슬러지 등을 이용한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이다.
임핀저(110)는 유량계 또는 펌프 등과 연결되어, 임핀저(110)는 유입되는 바이오 가스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임핀저(110)는 흡습제를 포함함으로써, 임핀저(110)를 통과하는 바이오 가스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이동관(121 122 123 124)은 바이오 가스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제1 이동관(121)은 임핀저(110)로부터 배출되는 바이오 가스가 제1 포집관(131)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다. 제2 이동관(122)은 제1 포집관(131)에서 1차적으로 실록산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가 제2 포집관(132)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다. 제3 이동관(123)은 제2 포집관(132)에서 2차적으로 실록산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가 제3 포집관(133)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다. 제4 이동관(124)은 제3 포집관(133)에서 3차적으로 실록산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제1 내지 제3 포집관(131 132 133)은 바이오 가스 내에 포함된 실록산이 포집 된다.
제1 포집관(131)은 용매 주입부(151)를 통해서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된다. 실록산 포집 용매는 바이오 가스 내에 포함된 실록산을 흡수하는 용매이다. 예를 들어, 실록산 포집 용매로는 메탄올, 핵산, 아세톤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포집관(131)에 유입된 실록산 포집 용매는 제1 밸브(141) 및 제2 밸브(142)를 개방함으로써, 제2 포집관(132) 및 제3 포집관(133)으로 분포된다.
제1 포집관(131)에는 제1 이동관(121)을 통해서 임핀저(110)로부터 배출되는 바이오 가스가 유입된다. 제1 포집관(131)에 분포한 실록산 포집 용매는 제1 포집관(131)으로 유입된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실록산을 1차 흡수한다. 따라서, 제1 포집관(131)은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을 1차적으로 흡수한 실록산 포집 용매인 1차 실록산 용매를 수용하게 된다.
제2 포집관(132)에는 제1 포집관(131)에서 1차적으로 실록산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가 유입된다. 제2 포집관(132)에 분포한 실록산 포집 용매는 유입된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실록산을 2차 흡수한다. 따라서, 제2 포집관(132)은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을 2차적으로 흡수한 실록산 포집 용매인 2차 실록산 용매를 수용하게 된다.
제3 포집관(133)에는 제2 포집관(132)에서 2차적으로 실록산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가 유입된다. 제3 포집관(133)에 분포한 실록산 포집 용매는 유입된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실록산을 3차 흡수한다. 따라서, 제3 포집관(133)은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을 3차적으로 흡수한 실록산 포집 용매인 3차 실록산 용매를 수용하게 된다. 제3 포집관(133)에서 3차적으로 실록산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는 제4 이동관(124)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제1 및 제2 밸브(141 142)는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을 연결 또는 분리한다. 제1 밸브(141)는 제1 포집관(131)과 제2 포집관(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한다. 제1 밸브(141)가 개방되면, 제1 포집관(131) 및 제2 포집관(132)은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밸브(141)가 폐쇄되면, 제1 포집관(131) 및 제2 포집관(132)은 각각 개별적인 공간으로 분리된다.
제2 밸브(142)는 제2 포집관(132)과 제3 포집관(133)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한다. 제2 밸브(142)가 개방되면, 제2 포집관(132) 및 제3 포집관(133)은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밸브(142)가 폐쇄되면, 제2 포집관(132) 및 제3 포집관(133)은 각각 개별적인 공간으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제1 밸브(141) 및 제2 밸브(142)가 모두 개방된 상태이면, 제1 포집관(131), 제2 포집관(132) 및 제3 포집관(133)은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밸브(141) 및 제2 밸브(142)가 모두 폐쇄된 상태이면, 제1 포집관(131), 제2 포집관(132) 및 제3 포집관(133)은 각각 상호 분리되어 3개의 개별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록산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관을 3개를 이용하지만, 포집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당업자의 필요에 의해서 포집관의 개수는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의 개수 또한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용매 주입부(151)는 제1 포집관(131)과 연결된다. 또한 용매 주입부(151)는 실록산 포집 용매가 저장된 외부의 저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용매 주입부(151)는 외부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실록산 포집 용매를 제1 포집관(131)으로 유입할 수 있다. 용매 주입부(151)는 예를 들어, 튜브 또는 밸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은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에 수용된 실록산 포집 용매에 흡수된다. 이를 이용하여 실록산 포집 장치는 실록산을 포집 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 각각에 수용된 1차 내지 3차 실록산 용매를 제1 밸브(141) 및 제2 밸브(142)를 개방함으로써, 혼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된 실록산 용매를 통해서,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정확한 양의 실록산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이다.
도2에 도시된 구성부 중 도1과 기능이 동일한 구성부의 경우,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실록산 포집 장치는 냉각 장치(211), 냉각 통로(212) 및 냉각 제어부(213)를 더 포함한다.
냉각 장치(211)는 냉각 매체를 저장한다. 냉각 매체는, 예를 들어, 냉각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매체는 냉각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냉각 매체는 암모니아, 탄산가스 등과 같이 주변의 열을 빼앗아,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어떠한 물질도 될 수 있다. 냉각 장치(211)는 저장된 저온의 냉각 매체를 냉각 통로(212)로 배출한다. 또한, 냉각 장치(211)는 냉각 통로(212)를 순환하여 되돌아온 주변의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 매체를 유입한다. 냉각 장치(211)는 순환하여 되돌아온 고온의 냉각 매체의 열을 발산시켜 다시 저온의 냉각 매체로 변화시킨다.
냉각 통로(212)는 냉각 매체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냉각 통로(212)는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의 외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냉각 통로(212)는 제1 포집관(131) 내지 제2 포집관(132)의 하부 및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통로(212)는 냉각 매체가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의 하부 및 측면을 순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각 제어부(213)는 냉각 매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냉각 장치(211)를 제어한다. 냉각 제어부(213)는 냉각 매체의 온도를 실록산 및 실록산 포집 용매의 휘발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냉각 장치(21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냉각 제어부(213)는 실록산 포집 용매가 메탄인 경우, 메탄이 휘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의 온도가 4℃로 유지되도록 냉각 장치(211)를 제어할 수 있다. 냉각 제어부(213)는 실록산 포집 용매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록산 포집 용매의 종류에 따라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의 온도가 각각 다르게 유지되도록 냉각 장치(2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록산 포집 장치는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의 하부 및 측면에 위치한 냉각 통로(212)를 따라서 냉각 장치(211)에서 배출된 냉각 매체가 순환한다. 이와 같은 냉각 매체의 순환에 의해서, 실록산 포집 장치의 온도가 낮은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포집관(131) 내지 제3 포집관(133)에 수용된 실록산 포집 용매의 온도가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실록산 포집 용매가 낮은 온도로 유지됨으로써, 실록산 포집 용매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1] 및 [표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를 이용하여 실록산을 포집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표1]은 실록산 1000ppb를 2±0.2℃에서 200ml/mim 속도로 주입하였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가 1시간 30분 동안 실록산을 포집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 횟수 실록산 포집 농도(ppb)
1회 930
2회 910
3회 920
4회 890
5회 905
표2]는 실록산 500ppb를 2±0.2℃에서 200ml/mim 속도로 주입하였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가 1시간 30분 동안 실록산을 포집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 횟수 실록산 포집 농도(ppb)
1회 450
2회 440
3회 432
4회 436
5회 460
표1] 및 [표2]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를 통해서 실록산을 포집한 결과, 각각 약 91.1% 및 약 88.7%정도의 높은 포집율이 나타난다.
[표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에 실록산을 주입시켰을 때의 최소검출농도를 평가한 표이다.
[표3]에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50ppb의 실록산을 주입하고, 실록산 포집 용매로 6ml의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실록산 포집 장치를 통해 채취된 시료는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컬럼은 Varian CP-Sil 5/MS(1um film thickness, 60m, 0.32mm I.D.)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GC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물질을 태워서 구성 원소 별로 구분하고, MS는 질량 분석기로 GC에서 구분된 원소를 하나하나 식별하는 것이다. GC/MS 검출기의 온도는 200℃, 시료 주입량 split ratio는 2이다.
실시 횟수 실록산 포집 농도(ppb)
1회 48
2회 47
3회 52
4회 53
5회 51
표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장치의 실록산 포집 용매 종류에 따른 실록산 포집 농도를 나타낸 표이다.
[표4]에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100ppb의 실록산을 주입하고, 실록산 포집 용매는 종류별로 각각 6ml를 사용하였다. 실록산 포집 장치를 통해 채취된 시료는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컬럼은 Varian CP-Sil 5/MS(1um film thickness, 60m, 0.32mm I.D.)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GC/MS 검출기의 온도는 200℃, 시료 주입량 split ratio는 2이다.
실시 횟수 벤질알콜의 실록산 포집 농도(ppb) 메탄올의 실록산 포집 농도(ppb) 핵산의 실록산 포집 농도(ppb) 디젤의 실록산 포집 농도(ppb)
1회 70 98 54 48
2회 72 97 48 49
3회 68 100 62 47
4회 75 101 57 51
5회 64 102 55 45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록산 포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단계 S310에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냉각 매체를 순환시킨다. 실록 산 포집 장치는 냉각 매체를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 외부에 위치한 냉각 통로를 통해서 순환 시킨다.
단계 S320에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실록산 포집 용매를 유입한다. 실록산 포집 장치는 실록산 포집 용매를 제1 포집관으로 유입시킨다. 이때, 실록산 포집 장치는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모두 개방한다. 따라서, 제1 포집관으로 유입된 실록산 포집 용매가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에 모두 분포되도록 한다. 실록산 포집 장치는 실록산 포집 용매가 제1 포집관 내지 제2 포집관에 모두 분포되면, 밸브를 모두 폐쇄한다. 즉, 실록산 포집 장치는 각 포집관마다 실록산 포집 용매가 개별적으로 수용되도록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을 분리한다.
단계 S330에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바이오 가스를 유입한다. 실록산 포집 장치는 흡습제를 포함하는 임핀저를 통과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를 제1 포집관으로 유입한다. 이때, 바이오 가스는 높은 압력으로 임핀저는 통과하여 제1 포집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제1 포집관으로 유입된 바이오 가스를 제2 포집관 및 제3 포집관을 통과시킨 후 외부로 배출한다. 바이오 가스는 높은 압력에 의해서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바이오 가스는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을 통과 시,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에 분포되어 있는 실록산 포집 용매와 반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응에 의해서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실록산은 실록산 포집 용매에 흡수될 수 있다. 즉, 실록산 포집 장치는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실록산이 실록산 포집 용매에 흡수됨으로써, 실록산을 포집 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에 포집된 실록산을 혼합한다. 실록산 포집 장치는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 사이에 위치한 밸브를 모두 개방한다. 이와 같이 밸브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을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록산 포집 장치는 제1 포집관 내지 제3 포집관에 수용된 실록산을 흡수한 실록산 포집 용매를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실록산 포집 장치는 바이오 가스에 포함된 실록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정확한 실록산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임핀저 121 122 123 124 : 이동관
131 132 133: 포집관 141 142: 밸브
151: 용매 주입부 211: 냉각 장치
212: 냉각 통로 213: 냉각 제어부

Claims (18)

  1. 바이오 가스 및 실록산을 흡수하는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되는 제1 포집관;
    상기 제1 포집관을 통과한 상기 바이오 가스 및 상기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되는 제2 포집관; 및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연결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이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의 상기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이 흡수된 실록산 포집 용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면,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은 각각 개별적인 공간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면, 상기 바이오 가스는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연결하는 제1 이동관을 통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관을 통과한 상기 바이오 가스 및 상기 실록산 포집 용매가 유입되는 제3 포집관을 더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관 및 상기 제3 포집관을 연결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면, 상기 제2 포집관을 통과한 바이오 가스가 상기 제3 포집관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제2 이동관을 더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제2 포집관 및 상기 제3 포집관에서 상기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이 흡수된 실록산 포집 용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제1 포집관 내지 상기 제3 포집관에서 상기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이 흡수된 실록산 포집 용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포집 용매를 냉각 시키는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 매체가 순환하는 통로인 냉각 통로를 더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통로는 상기 제1 포집관 및 제3 포집관의 하부 및 측면에 상기 냉각 매체가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관 내지 상기 제3 포집관에 유입된 상기 실록산 포집 용매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관과 연결되며, 흡습제를 장착하여 상기 바이오 가스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포집관으로 수분이 제거된 바이오 가스를 주입하는 임핀저를 더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장치.
  12. (a) 실록산 포집 용매를 상호 연결된 제1 포집관 및 제2 포집관으로 유입하는 단계;
    (b) 상호 연결된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c) 바이오 가스를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d) 분리된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하나의 공간으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실록산 포집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또는 상기 (d)단계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관과 상기 제2 포집관을 연결하는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이 하나의 공간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개방된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각각 개별적인 공간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연결하는 이동관을 통해서 상기 바이오 가스가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에 수용된 상기 바이오 가스의 실록산을 흡수한 실록산 포집 용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a-1)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에 유입된 상기 실록산 포집 용매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 외부에서 냉각 매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제1 포집관 및 상기 제2 포집관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 포집 방법.
KR1020100093967A 2010-09-28 2010-09-28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 KR10119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67A KR101197330B1 (ko) 2010-09-28 2010-09-28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67A KR101197330B1 (ko) 2010-09-28 2010-09-28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64A KR20120032364A (ko) 2012-04-05
KR101197330B1 true KR101197330B1 (ko) 2012-11-05

Family

ID=4613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967A KR101197330B1 (ko) 2010-09-28 2010-09-28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1561B (zh) * 2020-11-26 2022-04-01 山东东岳有机硅材料股份有限公司 高效去除氯硅烷水解副产氯化氢中硅氧烷的装置及方法
CN114295430A (zh) * 2022-02-15 2022-04-08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气体分段捕集装置及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858A (ja) 2004-07-23 2006-02-09 Takuma Co Ltd 消化ガス中のシロキサン化合物除去システムおよび除去方法
JP2011206740A (ja) 2010-03-30 2011-10-20 Mitsui Zosen Environment Engineering Corp 被処理ガスの精製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858A (ja) 2004-07-23 2006-02-09 Takuma Co Ltd 消化ガス中のシロキサン化合物除去システムおよび除去方法
JP2011206740A (ja) 2010-03-30 2011-10-20 Mitsui Zosen Environment Engineering Corp 被処理ガスの精製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64A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echota et al. Development of measurement techniques for determination main and hazardous components in biogas utilised for energy purposes
Martín‐Gómez et al. Isotope‐ratio infrared spectroscopy: a reliable tool for the investigation of plant‐water sources?
Schultz et al. Identification and correction of spectral contamination in 2H/1H and 18O/16O measured in leaf, stem, and soil water
Rabou et al. Tar in biomass producer gas, the Energy research Centre of the Netherlands (ECN) experience: an enduring challenge
Stolper et al. Combined 13C–D and D–D clumping in methane: Methods and preliminary results
US70299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mbustion source emissions
Wang et al. Characteristics of gaseous pollutants from biofuel-stoves in rural China
KR20170122812A (ko) 탄소 동위체 분석 장치 및 탄소 동위체 분석 방법
Papurello et al. Proton transfer reaction mass spectrometry technique for the monitoring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a fuel cell quality clean-up system
Hepburn et al. Development of on-line FTIR spectroscopy for siloxane detection in biogas to enhance carbon contactor management
KR101197330B1 (ko) 실록산 포집 장치 및 실록산 포집 방법
CN103743772B (zh) 一种固体有机物热解特性快速分析的系统与方法
Foppiano et al. Siloxane compounds in biogas from manure and mixed organic waste: Method development and speciation analysis with GC-ICP-MS
Leglise et al. Bulk organic aerosol analysis by proton-transfer-reaction mass spectrometry: an improved methodology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mass, O: C and H: C elemental ratios, and the average molecular formula
Leroy-Dos Santos et al. A dedicated robust instrument for water vapor generation at low humidity for use with a laser water isotope analyzer in cold and dry polar regions
CN114755349A (zh) 一种大气挥发性有机物低温双柱色谱自动分析系统及方法
RU256720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JP7004952B2 (ja) 黒鉛化装置、試料採取・調製システム及び試料採取・調製方法
CN108645955A (zh) 一种复合催化剂循环重整-解析性能的评估装置及方法
Andersson et al. Operational experience and initial results from the first test period at CO2 Technology Centre Mongstad
Corbetta et al. Gas R&D on gas recirculation and recuperation for the Resistive Plate Chamber detectors
Stubenberger et al. Nitrogen release behavior of different biomass fuels under lab-scale and pilot-scale conditions
KR20100037931A (ko) 온라인 시료포집 및 주입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집 및 주입방법
CN202661321U (zh) 多通道气体混流装置
Mohan et al.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 concentrations in coal liquefaction resids by phosphorus-31 NMR spectr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