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143B1 -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 Google Patents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143B1
KR101197143B1 KR1020100039092A KR20100039092A KR101197143B1 KR 101197143 B1 KR101197143 B1 KR 101197143B1 KR 1020100039092 A KR1020100039092 A KR 1020100039092A KR 20100039092 A KR20100039092 A KR 20100039092A KR 101197143 B1 KR101197143 B1 KR 10119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pon
trough
holding
submarin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412A (ko
Inventor
미카엘 ?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2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8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 F41F3/10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from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63G8/32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of torpedo-launching means; of torpedo stores or hand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7Ammunition handling dollies or transfer c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8Ammunition racks, e.g.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9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무기를 보관하기 위한 잠수함용 무기트로프는 보관위치에서 무기 주위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홀딩브라켓을 포함한다. 설치수단은 무기의 길이방향에서 확실히 설치되게 무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상에서 무기를 고정하는 홀딩브라켓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잠수함용 무기트로프{Weapons trough for a submarine}
본 발명은 청구항1의 전제부에 특정된 특징을 구비한 잠수함용 무기트로프에 관한 것이다.
무기트로프는 잠수함에서 무기저장장치로 알려져 있고 잠수함에서 어뢰튜브를 통해 사용되는, 예를 들어, 어뢰, 미사일 및 기뢰와 같은 무기의 보관을 위해 제공된다. 또한, 어뢰튜브를 장전하기 위한 무기트로프에는 무기트로프 상에 보관될 무기가 제공되고, 무기트로프는 무기가 무기트로프로부터 어뢰튜브로 옮겨질 수 있도록 어뢰튜브 뒤에 위치된다.
무기트로프에 보관되는 동안, 그 위에 위치된 무기는 몇 개의 텐션벨트에 의해 고정되고 이런 방식으로 무기에 대한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대해 확실하지 않은 핏으로 고정된다. 텐션벨트의 조임과 해제는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약간의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데 이는 무기를 어뢰튜브에 다시 배치할 때, 특히, 전시에는 매우 불리하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된 무기의 튼튼하고 신속한 고정 및 이러한 고정의 신속한 해제를 허용하는 무기트로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1에 특정된 특징을 구비한 무기트로프에 의해 달성된다. 이 무기트로프의 더욱 유리한 형성은 도면 뿐만 아니라 종속항,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종속항의 특징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그 자체로 또한 조합하여 청구항1에 따른 발명적인 해결을 구체화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는 잠수함에서의 적용을 위한 것으로 예상된다. 적어도 하나의 무기의 보관은 어뢰튜브를 통해 배치되도록 설계되고, 일반적으로 투로프에 보관된 무기의 수는 이들 무기의 길이에 따른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무기트로프에 무기를 고정하기 위해 트로프튜브 그 자체에 고정하기 위한 무기의 외주면에 나타난 돌출부를 사용하고 무기트로프상의 보관위치에서 각각의 무기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홀딩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홀딩브라켓 상에는 무기 위에 형성된 돌출부에 확실하게 설치되게 무기의 길이방향에서 무기를 고정하는 홀딩브라켓설치수단이 배치된다. 이에 의해, 트로브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속되는 일반적으로 단단하게 형성된 홀딩브라켓이 이들 위에 연장되고, 그 자체로 무기트로프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해 무기트로프에 놓여있는 무기를 보호하는 확실한 설치수단을 나타낸다.
무기를 고정하기 위해, 홀딩브라켓 상에 배치된 설치수단은 무기의 적어도 길이방향에서 무기의 돌출부 주위와 결합하거나 무기의 돌출부에 형성된 오목부로 무기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것이다. 설치수단은 무기를 고정하는 위치 및 무기를 해제하는 위치로 적절하고 간단한 메커니즘을 통해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를 구비한 이러한 수단에 의해 지금까지의 무기트로프에 비해 어뢰튜브를 배치할 때 무기인수시간이나 재배치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 예상되는 바와 같이, 무기의 돌출부로 홀딩캐치가 결합하는 것은 무기의 길이방향에서 확실히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고, 홀딩캐치가 무기트로프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방식으로 홀딩브라켓 상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면, 무기트로프에 있어서 무기의 신속한 고정과 해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의 이러한 설계로, 무기의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홀딩캐치가 회전될 수 있는 무기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유용하게는, 홀딩캐치는 무기트로프에서 떨어진 홀딩브라켓의 측에 연계될 수 있고, 무기의 방향에서 무기를 고정하기 위해 홀딩브라켓에 의해 둘러싸인 간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무기를 해제하는 홀딩캐치의 의도치 않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무기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홀딩캐치가 잠겨질 수 있는 로크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미 기재한 바와 같이, 어떤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 상에 몇 개의 무기를 보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무기트로프에 각각의 무기가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맞서 보관된다. 따라서, 적어도 보관된 무기의 수에 대응하는 홀딩브라켓의 수가 무기트로프에 제공되어야 하고, 무기트로프 상에 이들 홀딩브라켓의 위치가 무기의 수 뿐만 아니라 개개의 무기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리하게는, 많은 구멍이 무기트로프의 길이방향측에 형성되고, 1이상의 홀딩브라켓이 이들 구멍과 나사로 결합된다. 이는 무기트로프의 길이에 대해, 무기트로프 상의 어떠한 위치에서라도 본질적으로 홀딩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다.
확실히 설치되게 무기를 고정하는 위치로부터 무기를 해제시키는 위치로 혹은 그 반대로 홀딩캐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홀딩캐치는 바람직하게는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 액츄에이션로드에 움직이게 연결된다. 홀딩캐치가 배치된 몇 개의 홀딩브라켓들이 무기트로프 상에 제공된다면, 어떤 경우라도, 액츄에이션로드에 모든 홀딩캐치를 유리하게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액츄에이션로드를 회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핸들이 홀딩캐치에서 떨어진 끝에 배치된다. 이 핸들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핸들휠, 액츄에이션로드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정렬된 액츄에이션레버 또는 유사하게 적절한 핸들성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은 무기트로프의 전면 끝의 영역에 배치된다. 무기트로프의 전면 끝에 대해서는, 무기트로프로부터 어뢰튜브로 무기를 재배치하는 경우 어뢰튜브에서 떨어진 무기트로프의 끝의 경우가 유용하다. 이는, 예를 들어, 무기를 무기트로프로부터 어뢰튜브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상하면, 어뢰튜브로 무기의 재배치절차를 초기화하기 위해 무기에 다른 동작 개개의 제시를 감추지 않고 핸들을 액츄에이팅하는 것에 의해 1이상의 홀딩캐치를 해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길이방향에 대하여 무기트로프 상에 홀딩브라켓의 위치가 무기트로프 상에 보관된 무기의 수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액츄에이션로드의 길이는 유리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이를 위한 액츄에이션로드가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따라서 홀딩브라켓 상에 배치된 홀딩캐치의 다른 위치를 채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션로드는 2이상의 튜브로 설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1튜브는 대응되게 크기가 맞춰진 내부직경을 가진 다른 튜브와 결합된다. 액츄에이션로드의 길이는 얼마나 길게 튜브들이 긴 튜브와 결합되는지에 기인하고, 튜브들은, 예를 들어, 고정핀에 의해 다수의 삽입위치에서 서로 유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의 더욱 바람직한 설계에 있어서, 홀딩캐치는 일반적으로 회전면에 정렬되고 액츄에이션로드가 놓인 오목부를 가지고, 액츄에이션로드 상에 형성된 편심륜은 오목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오목부는 홀딩캐치를 통해 홀딩캐치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액츄에이션로드를 회전시키는 경우, 오목부에 배치된 편심륜은 무기를 확실히 설치되게 고정하는 회전위치 또는 무기를 해제하는 회전위치로, 회전방향에 따라 홀딩캐치를 민다. 또한, 오목부와 편심륜의 적절히 대응하는 크기와 설계로, 홀딩캐치는 편심륜에 의해 확실히 설치되게 2개의 회전위치에 잠길 수 있다.
유용하게는, 무기트로프 상에 제공된 홀딩캐치들은 무기의 보관시 우연히 분리되지 않을 것을 보증해야 한다. 이런 분리를 방지하게 위해 브라켓은 액츄에이션로드가 장착된 브라켓 상에서 무기트로프의 전면 끝에 배치되고 액츄에이션로드용 회전로크가 브라켓 상에 배치된다. 액츄에이션로드의 장착을 위해 제공되는 브라켓은 바람직하게는 무기트로프의 전면 끝의 영역에 배치되고, 이 영역 상에 액츄에이션로드의 핸들도 배치된다. 따라서, 핸들 및 액츄에이션로드의 회전로크가 서로의 바로 근방에 배치되고 이들은 특히 액츄에이션로드를 액츄에이팅함으로써 간단히 도달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회전로크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탄지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 고정핀을 포함하고, 보호위치에서 액츄에이션로드 상에 형성된 오목부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회전로크는 바람직하게는 브라켓과 고정핀 사이에 지지될 수 있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액츄에이션로드용 베어링으로 고정핀이 가압되고 액츄에이션로드의 오목부로 결합되고 이 수단에 의해 액츄에이션로드는 고정핀에 의해 확실히 설치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브라켓 상에 설계되고 배치된다. 회전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축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해 액츄에이션로드의 오목부에서 고정핀을 당기는 것만이 필요하다.
홀딩캐치가 해제되는 경우 특히 신속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무기를 무기트로프로 또는 무기트로프로부터 옮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홀딩브라켓은 바람직하게는 무기트로프에 보관된 무기를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트로프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의 경계를 나누는 측면영역에서 무기트로프에 보관된 무기를 지탱하면서 보관된 무기 위의, 무기트로프와 대향되게 놓인 영역에서 무기에서 소정 거리를 가진 홀딩브라켓을 예상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는 특히 잠수함에서 적용하기 위한 것에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무기트로프가 사용되는 잠수함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런 잠수함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의 적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무기트로프가 없는 잠수함과 비교해 어뢰튜브를 재배치하고 무기를 분리하는데 드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든다.
도 1은 무기가 장착된 무기트로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무기트로프의 단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른 부분단면도로서, 무기를 해제하는 위치에서 홀딩브라켓에 배치된 홀딩캐치뿐만 아니라 아래에 배치된 무기 및 무기트로프에서 떨어진 홀딩브라켓의 영역을 크게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확실히 설치되게 무기를 고정하는 위치에서의 홀딩캐치를 구비한 도 3에 따른 배치도이다.
도 5는 측면에서 본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와 비교해 변경된 회전위치에서의 액츄에이션로드를 구비한 도 5에 따른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는 이하에서 도면에 나타낸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무기트로프는 그 위에 보관될 무기(4)를 위한 트루프형 레스트(2)를 포함하고, 여기에 도시된 무기(4)는 어뢰의 경우이다. 홀딩브라켓(8) 뿐만 아니라 3개의 홀딩브라켓(6)이 레스트(2)의 범위를 정하는 무기트로프의 2개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노출되어 놓여 있는 보관된 무기(4)의 영역을 덮는다.
홀딩브라켓(6)은 2개의 브라켓부(10)에 의해 형성되고 하나씩 무기트로프의 옆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다수의 구멍(11)이 홀딩브라켓(6, 8)을 각각 고정하기 위해 옆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에서 무기트로프의 옆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홀딩브라켓(6, 8)은 무기트로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어떠한 위치에서라도 나사로 구멍(11)에 조여진다.
부라켓부(10)는 보관될 무기(4)가 주어질 때, 보관될 무기(4)의 꼭대기 위에 놓인 영역에서 접속부(1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접속부(12)는 무기(4)에서 떨어진 브켓부(10)의 외측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홀딩브라켓(8)은 2개의 브라켓부(14)를 포함한다. 브라켓부(14) 중 하나는 레스트(2)의 범위를 정하는 무기트로프의 2개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의 각각에 고정된다. 브라켓부(14)는, 길게 늘인 방식으로 설계되고 무기트로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16)에 의해 무기(4)가 보관된 채 무기(4)의 꼭대기 영역 위에 놓인 영역에서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접속부(16)는 또한 무기(4)에서 떨어진 브라켓부(14)의 외측에서 고정된다.
홀딩브라켓(8)은 접속부(16)가 무기(4)에 형성된 돌출부(18)을 덮는 방식으로 무기트로프에 배치된다(도 2). 돌출부(18)는 길게 늘인 방식으로 설계되고 무기(4)의 길이방향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무기(4)의 돌출부(18) 상의 홈은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고 홈은 돌출부(18)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홀딩브라켓(8)의 접속부(16)는 일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방식으로 홈이 나게 설계된다. 홀딩캐치(20)는 접속부(16)의 홈에서 무기(4)의 횡단면에서 축(22)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된다(도 3 및 도 4). 무기(4)는 홀딩캐치(20)가 돌출부(18) 위의 위치로부터 돌출부(18) 상에 형성된 홈과 결합하는 위치로 회전하도록 무기트로프(2)의 레스트(2)에 배치되고, 이 수단에 의해 무기(4)는 홀딩캐치(20)에 의해 무기(4)의 길이방향에서 확실히 설치되어 고정된다.
액츄에이션로드(24)는 홀딩캐치(20)를 액츄에이팅하거나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 액츄에이션로드(24)는 홀딩브라켓(8)의 접속부(16)로부터 무기(4)의 단부(26)에 가까운 무기트로프의 끝까지 연장되어 홀딩브라켓(8)과 무기트로프의 끝 사이에 배치되고, 무기트로프의 끝에 배치된 브라켓(30)뿐만 아니라 외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쉬(28)에서 무기의 단부(26)에 가까운 홀딩브라켓(6) 중 하나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액츄에이션로드(24)로부터 액츄에이션레버(32)는 브라켓(30)에서 돌출하는 엑츄에이션로드(24)의 끝에 배치된다. 또한, 액츄에이션로드(24)는 액츄에이션레버(32)와 떨어져 있는 끝에서 편심륜(eccentric, 34)을 포함한다. 이 편심륜(34)은 홀딩캐치(20) 상에 형성된 오목부(36)와 결합한다. 편심륜(34)과 오목부(36)는, 액츄에이션로드(24)가 도 3 및 도 4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편심륜(34)이 무기(4)에 가까운 오목부(36)의 낮은 측을 밀고 이런 방식으로 무기(4)의 돌출부(18) 상에 형성된 홈으로 홀딩캐치(20)를 밀도록 설계되고 배치된다. 이런 수단에 의해 무기(4)는 길이방향에서 확실히 설치되어 무기트로프에 고정된다(도 4). 반대방향으로 액츄에이션로드(2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편심륜(34)은 무기(4)에서 떨어진 오목부(36)의 상부측을 누르고 이런 수단에 의해 홀딩캐치(20)로 인한 무기(4)의 확실한 설치 고정이 해제된다(도 3).
홀딩캐치(20)가 제공된 홀딩브라켓(8)은 길이방향에 대해 다른 위치에서 무기트로프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액츄에이션로드(24)의 길이는 이에 알맞게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션로드(24)는 양 끝에 비슷한 원통형 로드부(40, 42)가 각각 삽입된 원통형 로드부(38)를 포함한다. 양 끝 부분에서 로드부(38)는 로드부(38)의 길이방향에서 교대로 다수의 구멍(44)을 포함하고, 여기서 구멍(44)은 로드부(38)의 2차원 대향측에서 각각 짝을 이루어 배치된다. 이에 대응해, 2차원적으로 대향되게 배치된 다수의 구멍(46)은 로드부(38)로 삽입되는 로드부(40, 42)의 끝 부분 상에도 형성된다. 로드부(38)에서 로드부(40, 42)의 확실한 설치 고정은 로드부(38, 40, 42)의 구멍(44, 46)을 관통하는 고정핀(48)을 통해 이루어진다.
회전로크(50)는 액츄에이션로드(24)의 의도치 않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브라켓(30)에 제공된다(도 7). 이 회전로크(50)는 브라켓(30)에 배치된다. 고정위치에서 액츄에이션로드(24) 상에 형성된 가로지르는 구멍(54)과 결합되는 고정핀(52)을 포함한다. 고정핀(52)은 회전로크(50)에서 가이드부(56)에 가이드된다. 구모양의 스프링(58)이 고정핀(52) 주위에 배치된다. 이 구모양 스프링(58)은 고정핀(52) 상에 형성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원형으로 넓혀져 형성된 어깨부 상의 가이드부(56)에 압력이 부가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액츄에이션로드(24) 상에 형성된 고정핀(52)을 원형 스프링(58)의 압력에 대해 가로지르는 구멍(54)에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액츄에이션헤드(60)는 액츄에이션로드(24)에서 떨어진 끝에서 고정핀(52) 상에 형성된다.
2 : 레스트 4 : 무기
6, 8 : 홀딩브라켓 10 : 브라켓부
11 : 구멍 12 : 접속부
14 : 브라켓부 16 : 접속부
18 : 돌출부 20 : 홀딩캐치
22 : 축 24 : 액츄에이선로드
26 : 단부 28 : 가이드부쉬
30 : 브라켓 32 : 액츄에이션레버
34 : 편심륜 36 : 오목부
28, 40, 42 : 로드부 44, 46 : 구멍
48 : 고정핀 50 : 회전로크
54 : 가로지르는 구멍 56 : 가이드부
58 : 원형스프링 60 : 액츄에이션헤드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무기(4)를 보관하기 위한 잠수함용 무기트로프에 있어서,
    무기트로프는 보관위치에서 무기(4)의 주위를 둘러싸고 설치수단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홀딩브라켓(8)을 포함하고, 무기(4)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8) 상에서 무기(4)의 길이방향에서 확실히 설치되게 무기(4)를 고정하는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2. 제1항에 있어서, 확실히 설치하기 위해, 무기트로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회전하는 방식으로 홀딩브라켓(8) 상에서 무기(4)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홀딩캐치(20)가 장착되는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3. 제1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측에서 다수의 구멍(11)을 포함하고, 홀딩브라켓(8)이 이 구멍들에서 나사로 결합될 수 있는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4. 제2항에 있어서, 홀딩캐치(20)는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액츄에이션로드(24)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는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5. 제4항에 있어서, 액츄에이션로드(24)는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6. 제4항에 있어서, 무기트로프의 전면 끝의 영역에 배치된 핸들은 액츄에이션로드(24)의 한 끝에 형성되고, 이 끝은 홀딩캐치(20)에서 떨어져 있는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7. 제2항에 있어서, 홀딩캐치(20)는 액츄에이션로드(24)가 안내되는 회전면에 정상적으로 정렬된 오목부(36)를 포함하고, 액츄에이션로드(24)에 형성된 편심륜(34)은 오목부(36)에 배치된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8. 제7항에 있어서, 브라켓(30)은 무기트로프의 전면 끝에 배치되고, 이 브라켓(30)에 액츄에이션로드(24)가 배치되고, 액추에이션로드(24)를 위한 회전로크(50)는 브라켓(30)에 배치되는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9. 제8항에 있어서, 회전로크(50)는 고정위치에서 액츄에이션로드(24)에 형성된 오목부와 결합하는 스프링이 탄지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고정핀(52)을 포함하는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10. 제1항에 있어서, 홀딩브라켓(8)은 무기트로프에 보관된 무기를 다룰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무기트로프를 포함하는 잠수함.
KR1020100039092A 2009-05-07 2010-04-27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KR101197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0323.0 2009-05-07
DE102009020323A DE102009020323B4 (de) 2009-05-07 2009-05-07 Waffenmulde für ein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412A KR20100121412A (ko) 2010-11-17
KR101197143B1 true KR101197143B1 (ko) 2012-11-09

Family

ID=4254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092A KR101197143B1 (ko) 2009-05-07 2010-04-27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49119B1 (ko)
KR (1) KR101197143B1 (ko)
DE (1) DE102009020323B4 (ko)
ES (1) ES2544496T3 (ko)
PL (1) PL224911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5349B4 (de) * 2009-06-18 2016-10-20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DE102011008395A1 (de) 2011-01-12 2012-07-12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ktiengesellschaft Waffenkupplung zum Festlegen einer Waffe in einer Waffen-Transport- und Staueinrichtung
DE102014213795A1 (de) 2014-07-16 2016-01-21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Waffentransportsystem für ein Unterseeboot
DE102014015970A1 (de) 2014-10-31 2016-05-04 Thyssenkrupp Ag Halterung und Waffenrohr mit einer Haltung
FR3028024B1 (fr) * 2014-11-05 2016-12-23 Dcns Dispositif d'ejection d'arme pour un tube lance-arme ; tube lance-arme et sous-marin associes
DE102015202553A1 (de) * 2015-02-12 2016-08-18 Thyssenkrupp Ag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 zur Lagerung einer Waffe
DE102015204742A1 (de) 2015-03-16 2016-09-22 Thyssenkrupp Ag Variable Haltevorrichtung
DE102016214613A1 (de) * 2016-08-05 2018-02-08 Thyssenkrupp Ag Waffenmulde mit einer Waffenhalterung mit selbstregelndem Anpressdruck
DE102016216864A1 (de) 2016-09-06 2018-03-08 Thyssenkrupp Ag Haltevorrichtung für ein Waffenroh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8484A (en) 1957-08-29 1960-05-31 David C Garland Torpedo loading band
WO1991004905A1 (en) 1989-09-26 1991-04-18 Kockums Ab Method and device for moving torpedo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2664A (en) * 1964-10-30 1966-07-26 Paraskewik William Universal missile adapter
US4184801A (en) * 1978-06-16 1980-01-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ual loading and stowage apparatus
US4685412A (en) * 1986-02-14 1987-08-11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DE10342145A1 (de) * 2003-09-12 2005-04-07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8484A (en) 1957-08-29 1960-05-31 David C Garland Torpedo loading band
WO1991004905A1 (en) 1989-09-26 1991-04-18 Kockums Ab Method and device for moving torped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20323A1 (de) 2010-11-18
KR20100121412A (ko) 2010-11-17
EP2249119B1 (de) 2015-06-03
ES2544496T3 (es) 2015-09-01
EP2249119A3 (de) 2014-04-02
DE102009020323B4 (de) 2011-01-13
EP2249119A2 (de) 2010-11-10
PL2249119T3 (pl)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143B1 (ko) 잠수함용 무기트로프
CN106110535B (zh) 配备有改进的弹簧加载凸轮的绳索上的夹具
JP5964864B2 (ja) 特に風力タービンにおける電線のための固定システム
US6021689A (en) Push-pull control cable assembly with quick-release terminal fittings therefor
CN105216564B (zh) 挂车联接器和用于挂车联接器的负载支架装置
EP2800692B1 (en) Three-ring parachute canopy release
US11112202B2 (en) Firearm securement system
US20100230572A1 (en) Adjustable Length Lanyard
US20170089382A1 (en) Shackle pin split nut assembly
US9655488B2 (en) Catch device for a vacuum cleaner suction pipe
FI121553B (fi) Tukielin kranaatin tukemiseksi takaaladattavan aseen putkeen ja menetelmä tukielimen kiinnittämiseksi kranaattiin
RU2482419C2 (ru) Опорный узел для удержания снаряда и способ его крепления
US9365400B1 (en) Automatic rope brake and lowering device
US20160010932A1 (en) Gas-operated firearm
US11719268B2 (en) Closing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US11719502B2 (en) Arrangement for releasably securing a weapon
KR20110092460A (ko) 발사체의 구속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관 조립체
JP2006153257A5 (ko)
US20030099510A1 (en) Apparatus for releasably interconnecting structural components of rotational symmetry
KR20120081947A (ko) 무기 이송 및 저장장치 내에 무기고정을 위한 무기연결구
KR101283944B1 (ko) 잠수함의 무기 저장장치
KR100971770B1 (ko) 수중운동체의 케이블 전개장치
US8887614B1 (en) Stacked buoyant payload launcher
KR100539099B1 (ko) 경사면을 이용한 발사체 수송 고정장치
US20210396487A1 (en) Device for deploying a deployable element, in particular a handle, for a weap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