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036B1 - 온도휴즈 - Google Patents

온도휴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036B1
KR101197036B1 KR1020110123977A KR20110123977A KR101197036B1 KR 101197036 B1 KR101197036 B1 KR 101197036B1 KR 1020110123977 A KR1020110123977 A KR 1020110123977A KR 20110123977 A KR20110123977 A KR 20110123977A KR 101197036 B1 KR101197036 B1 KR 10119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use
fuse element
terminal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식
이강성
우병찬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11012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39Means for influencing the rupture process of the fusible element
    • H01H85/0073Expansion or rupture of the insulating support for the fusibl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접착 필름(10)의 상기 제 3 관통 구멍(13)을 한 쌍의 단자(4, 5)의 휴즈요소접합부(6, 7)만 노출시키는 2개의 관통구멍(13a, 13a)으로 개량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단자(4, 5)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들, 상기 한 쌍의 단자(4, 5)에 양단이 접속된 휴즈 요소(16), 및 상기 기판 필름(1)에 의해 구획형성된 부분이 빈 공간으로서 존재하지 않게 되어, 상기 휴즈 요소(16)가 수직하향으로 가압을 받게 되어도, 상기 휴즈 요소(16)가 변형/균열되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온도에서 단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휴즈{thermal fuse}
본 발명은 과잉 승온에 의한 기기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온도 휴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2차 전지의 기술개발의 진전이 현저하다. 특히, 휴대전화, PHS, 노트북 컴퓨터 등의 기기에 사용되는 전지로서, 소형이고 한 번의 충전으로 장시간 사용 가능한 2차 전지의 개발과 실용화가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지가 소형이고 수명이 길게 됨으로써, 전지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의 단락 등에 의해서 급격한 방전에 따른 열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전지가 파손 또는 폭발하는 등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2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락시 등의 발열에 의해서 단선되는 온도 휴즈가 사용된다.
이 온도 휴즈로서는 휴즈 요소를 사용한 온도 휴즈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휴즈 요소가 전지 또는 전원기기내의 발열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절연층을 거쳐서 접촉하여 장착된다. 전지 또는 전원기기가 발열했을 때, 이들이 위험한 온도 레벨에 도달하기 전에 휴즈 요소를 용단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전지의 방전 또는 전지로의 충전이 차단되어, 전지의 이상 발열이 방지된다. 또한, 전원기기의 열파괴가 방지된다.
종래의 온도 휴즈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리드 도체와, 절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박형이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한 온도 휴즈가 한국특허등록 제10-757623호개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공보에 개시된 온도 휴즈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기판으로서 띠형상 또는 판형상의 기판 필름(1)이 준비된다. 기판 필름(1)에 제 1 관통 구멍(2, 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관통 구멍(2, 3)은 후술하는 공정에서, 기판 필름(1)상에 적층되는 다른 필름과의 위치 정렬을 실행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특히, 기판 필름(1)이 띠형상체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부가 복수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생산성이 대폭 향상된다.
기판 필름(1)은 절연성을 갖는다. 기판 필름으로서는, 수지, 또는 세라믹 기판, 또는 절연 처리된 표면을 가지는 금속판 등이 사용된다.
도 2에 있어서, 제 1 단자(4)와 제 2 단자(5)를 갖는 한 쌍의 단자(4, 5)가 제 1 관통 구멍(2, 3) 사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서로 비접촉으로 기판 필름(1)상에 배치된다. 단자(4, 5)의 선단부의 폭은 다른 부분보다 좁다. 이것에 의해서, 소자 자체의 소형화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단자(4, 5)의 형상으로서는 판형상, 막대형상, 선형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단자부로서는 판형상이 바람직하고, 이 구성에서 생산성이나 특성면이 향상된다.
단자(4, 5)의 구체적 구성재료로서는 도전성 재료가 이용되고, 특히 금속재료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단자(4, 5) 자체의 폭은 필름 접합부(8, 9) 및 휴즈 요소 접합부(6, 7)의 폭보다 길다. 이것에 의해서, 단자의 폭의 제어로 단자부의 저항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4, 5)가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휴즈 요소 접합부(6, 7)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4, 5)가 서로 대향하는 영역은 각각의 단자(4, 5)와 기판 필름(1)이 대향하는 면, 또는 기판 필름(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자의 표면을 의미한다. 휴즈 요소 접합부(6, 7)가 설치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와 휴즈 요소의 접합성이 향상된다. 휴즈 요소 접합부(6, 7)는 도금, 스퍼터링법, 증착법 등의 박막 형성 기술, 또는 금속 시트를 붙이는 등의 기법으로 제작된다.
필름 접합부(8, 9)가 단자(4, 5)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단자부와 기판 필름(1) 사이, 및 후술하는 접착 필름과 단자 사이의 접합강도가 향상된다.
필름 접합부(8, 9)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필름 접합부(8, 9)의 표면에 커플링제 등의 도포에 의해서, 접합강화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커플링제로서는 실리콘 유기 화합물, 또는 티탄늄 유기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기판 필름(1)과 후술하는 접착 필름의 쌍방에 있어서 단자(4, 5)가 고정되는 경우, 각 필름과 단자(4, 5)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자(4, 5)와 각 필름의 접합강도가 향상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접착 필름(10)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필름(1)상에 얹어 놓는다. 그 후,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 사이에 단자(4, 5)가 끼워진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필름(10)에 제 2 관통 구멍(11, 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1, 12)사이에 둥근 각진부를 갖는 제 3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관통 구멍(13)의 외형은 대략 사각형이다. 제 2 관통 구멍(11, 12)이 기판 필름(1)의 제 1 관통 구멍(2, 3)에 중첩하도록,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이 위치 결정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4, 5)의 휴즈 요소 접합부(6, 7)가 제 3 관통 구멍(13)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휴즈 요소 접합부(6, 7)와 필름 접합부(8, 9)의 쌍방이 제 3 관통 구멍(13)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즈 요소 접합부(6, 7)만이 제 3 관통 구멍(13)으로부터 노출되는 구성도 사용된다. 필름 접합부(8, 9)가 제 3 관통 구멍(13)으로부터 노출됨으로써, 후의 접합공정에서 적어도 접착 필름(10)이 제 3 관통 구멍(13)내로 밀어올려 온다. 그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접합부(8, 9)의 일부가 제 3 관통 구멍(13)으로부터 노출되는 것 같은 구성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접착 필름(10)은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4, 5)가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때의 고정 방법에 있어서, 우선 표면과 이면에서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을 거쳐서 서로 마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다음에, 단자(4, 5)의 양단부 사이에 전류를 흘려, 이것에 의해서 단자(4, 5) 자체를 발열시켜,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을 녹인다. 그 용융물에 의해서, 단자(4, 5)가 기판 필름(1)과 접착필름(10)에 고정되는 동시에,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이 서로 접합된다. 이 때, 접착 필름(10)의 관통 구멍(13)과 측부 사이의 영역(10a)은 가열과 가압에 의해서 다른 영역보다도 폭이 넓어져 있고, 또한 단자(4, 5) 상에서, 관통 구멍(13)측으로 원호형상으로 밀어올려지고[즉, 단자(4, 5)의 선단부쪽으로 밀어올려지고], 또한 관통 구멍(13)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향해서도 원호형상으로 밀어올려져 있다. 또한, 기판 필름(1)은 단자(4, 5)의 다른 회로 패턴 등 과의 접합부쪽으로 원호형상으로 밀어올려져 있다. 이와같이, 단자(4, 5)의 종방향으로 접착 필름(10)과 기판 필름(1)이 원호형상으로 밀어올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의 단자(4, 5)의 접합면적을 가열전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자(4, 5)의 접합강도가 향상된다.
단자(4, 5)와 접착 필름(10)이 직접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접착 필름(10)의 열용융재에 의해서 단자(4, 5)와 접착 필름(10)이 접합하고 있다. 접착 필름(10)의 열용융재의 일부는 원호형상으로 밀어올린 부분(10a)과는 별도로, 가하는 압력에 의해서 단자(4, 5)의 종방향으로 흘러 나간다. 이 흘러 나간 열용융재에 의해서, 외부와 관통 구멍(13)과 기판 필름(1)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의 밀봉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기판 필름(1)과 단자(4, 5)가 직접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도, 열에 의해서 녹은 기판 필름(1)의 열용융재의 일부가 기판 필름과 단자(4, 5) 사이를 접합함과 동시에, 또한 기판 필름의 열용융재의 일부가 단자(4, 5)의 종방향으로 흘러 나간다. 이것에 의해서 밀봉성이 향상된다.
단자(4, 5)의 측부에서 단자(4, 5)의 자체발열에 의해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의 쌍방이 녹고, 그들 쌍방의 용융재가 섞인 혼합용융물이 단자(4, 5)의 측방에 있어서의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의 간극을 메운다. 또한, 그 혼합용융물이 관통 구멍(13)이 존재하는 내측과 그 반대측인 외측의 각각의 방향을 향하여, 구형상으로 튀어 나온 압출부(10b)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밀봉성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3)내에 노출한 단자(4, 5)의 선단부[휴즈 요소 접합부(6, 7)]상에 용접 플럭스(14, 15)가 설치된다. 이 용접 플럭스(14, 15)는 단자(4, 5)와 후술하는 휴즈 요소를 적절하게 접합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또한, 용접 플럭스(14, 15)의 각각의 플럭스가 따로따로 설치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플럭스가 일체적으로 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4, 5)에 걸쳐 저융점 가용 합금 등에 의해서 구성된 휴즈 요소(16)의 하나 또는 복수를 실장한다. 그 후, 용접 등에 의해서 단자(4, 5)[휴즈 요소 접합부(6, 7)]와 휴즈 요소(16)를 접합한다. 용접으로서는 납땜 인두에 의한 용접, 전기 용접, 레이저 용접, 또는 소프트빔 용접이 이용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즈 요소(16)를 피복하도록 고형 플럭스(17)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 고형 플럭스(17)가 휴즈 요소(16)를 완전히 피복하거나, 노출하고 있는 휴즈 요소(16)의 표면적의 50% 이상이 고형 플럭스(17)에 의해서 피복된다. 이것에 의해서, 충분한 용단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열에 의해서 용융된 상태 또는 용매에 녹여진 상태로 휴즈 요소(16)상에 도포되고, 그 후 고화됨으로써 고형 플럭스(17)가 설치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커버 필름(18)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필름(10)상에 싣는다. 커버 필름(18)은 위치 결정용 제 4 관통 구멍(19, 20)과, 제 4 관통 구멍(19, 20) 사이에 형성되고 다른 부분보다도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오목부(21)를 갖는다. 이 오목부(21)에 의해서, 휴즈 요소(16)의 주위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확실한 휴즈 요소(16)의 절단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관통 구멍(13)과 오목부(21)가 대향하도록, 커버 필름(18)을 접착 필름(10)상에 설치하고, 제 4 관통 구멍(19, 20)을 제 1 관통 구멍(2, 3) 및 제 2 관통 구멍(11, 12)에 중첩하도록 배치한다. 도 10에 있어서, 오목부(21)를 형성함으로써, 융기부(22)가 형성된다. 융기부(22)상에 인쇄 등에 의해서, 품번 및 안전부품으로서의 표시 등이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필름(18)의 융기부(22)의 주위에, 초음파 용접의 혼을 가압하여, 커버 필름(18)과 접착 필름(10)을 용착한다.
도 12와 도 13의 각각은 도 11에 도시하는 온도 휴즈를 P1 및 P2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2과 도 13에 있어서, 기포(38)는 기판 필름(1)과 커버 필름(18) 사이에서 형성되고, 외계와 차단된 공간(이하 밀봉공간)내에 형성된다. 용융물(39)은 밀봉공간내로 압출되어 있다.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과, 커버 필름(18)을 모아, 상술과 같이 초음파 용접이 실행된다.
단자(4, 5)의 종방향을 따르도록, 또한 온도 휴즈의 본체를 끼우도록 형성된 용착부(23a)와 온도 휴즈의 본체를 끼우도록 용착부(23a)에 대략 직교하는 용착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분인 부분이 절단된다. 이렇게 하여 온도 휴즈가 완성된다.
즉, 온도 휴즈는 한 쌍의 단자(4, 5)와, 그 한쌍의 단자 사이에 설치된 휴즈 요소(16)와, 그 휴즈 요소(16)를 피복하는 고형 플럭스(17)와, 그 고형 플럭스(17)를 피복하는 커버 필름(18)과, 접착 필름(10)을 구비한다. 접착 필름은 제 3 관통 구멍(13)을 갖고, 그 제 3 관통 구멍(13)중에 고형 플럭스(17)가 노출되어 있다. 커버 필름(18)은 접착 필름(10)과, 노출한 고형 플럭스(17)를 피복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4, 5)는 휴즈 요소 접합부(6, 7)와 필름 접합부(8, 9)를 갖는다. 휴즈 요소(16)는 각각의 휴즈 요소 접합부(6, 7) 사이에 접합되어 있다. 접착 필름(10)은 각각의 필름 접합부(8, 9)에 접착되어 있다. 휴즈 본체부(50)는 노출한 한 쌍의 단자(4, 5)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휴즈 본체부(50)는 그 한 쌍의 단자 사이에 설치된 휴즈요소(16)와, 그 휴즈 요소(16)를 피복하는 고형 플럭스(17)와, 고형 플럭스를 제외한 영역에 설치된 접착 필름과, 그 고형 플럭스(17)를 피복함과 동시에 접착 필름 위에 설치된 커버 필름(18)을 구비한다. 휴즈 본체부(50)는 케이스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고형 플럭스(17)는 직접 휴즈 요소(16)에 도포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즉, 커버 필름(18)에 형성된 오목부(21)내에 사전에 고형 플럭스(17)를 고체의 상태로 설치해 놓는다. 다음에, 커버 필름(18)을 접착 필름(10)상에 얹어 놓고, 그 후에 가열하여 고형 플럭스(17)를 녹여, 휴즈 요소(16)상에 도포한다. 그 후에, 커버 필름(18)을 초음파 용접으로 접착 필름(10)에 접합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구성에 의해서, 박형화되고 소형화된 온도 휴즈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온도 휴즈가 박형화되고 소형화되더라도, 그 온도 휴즈의 특성과 생산성과 신뢰성과 품질 등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이 온도 휴즈를 사용한 팩 전지는 소형화된 팩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그 팩 전지는 우수한 온도 휴즈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온도 휴즈에는, 상기 한 쌍의 단자(4, 5)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들, 상기 한 쌍의 단자(4, 5)에 양단이 접속된 휴즈 요소(16), 및 상기 기판 필름(1)에 의해 구획형성된 빈공간이 존재하게 되며, 이 공간으로 인하여 상기 휴즈 요소(16)가 수직하향으로 가압을 받게 되면, 상기 휴즈 요소(16)가 상기 공간 내로 처지게 되어, 변형되거나 균열되게 되어서, 원하는 온도에서 단선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 필름(10)의 상기 제 3 관통 구멍(13)을 한 쌍의 단자(4, 5)의 휴즈요소접합부(6, 7)만 노출시키는 2개의 관통구멍(13a, 13a)으로 개량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단자(4, 5)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들, 상기 한 쌍의 단자(4, 5)에 양단이 접속된 휴즈 요소(16), 및 상기 기판 필름(1)에 의해 구획형성된 부분이 빈 공간으로서 존재하지 않게 되어, 상기 휴즈 요소(16)가 수직하향으로 가압을 받게 되어도, 상기 휴즈 요소(16)가 변형/균열되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온도에서 단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종래의 온도 휴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종래의 온도 휴즈의 부분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온도 휴즈의 부분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온도 휴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 내지 도 25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온도 휴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26은 도 25의 선(A-A)에서 절단하여 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휴즈가 도 15도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기판으로서 절연성을 갖는 띠형상 또는 판형상의 기판 필름(1)이 준비된다. 기판 필름(1)에 제 1 관통 구멍(2, 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제 1 단자(4)와 제 2 단자(5)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한 쌍의 단자(4, 5)가 제 1 관통 구멍(2, 3) 사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서로 비접촉으로 기판 필름(1)상에 배치된다. 단자(4, 5)의 선단부의 폭은 다른 부분보다 좁다. 단자(4, 5) 자체의 폭은 상기 단자(4, 5)의 선단부에 형성된 필름 접합부(8, 9) 및 휴즈 요소 접합부(6, 7)의 폭보다 길고, 휴즈 요소 접합부(6, 7)의 폭은 필름 접합부(8, 9)의 폭보다 길다.
한 쌍의 단자(4, 5)가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휴즈 요소 접합부(6, 7)가 마련되어 있고, 이어서 필름 접합부(8, 9)가 단자(4, 5)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기판 필름(1)과 후술하는 접착 필름의 쌍방에 있어서 단자(4, 5)가 고정되는 경우, 각 필름과 단자(4, 5)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자(4, 5)와 각 필름의 접합강도가 향상된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절연성 재료의 접착 필름(10)을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필름(1)상에 얹어 놓는다. 그 후,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 사이에 단자(4, 5)가 끼워진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필름(10)에 제 2 관통 구멍(11, 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1, 12) 사이에 둥근 각진부를 갖는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13a, 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13a, 13a)은 충전부(13b)를 가운데 두고 접착 필름(10)의 폭방향으로 서로에 이격되어 있으며, 그 외형은 대략 사각형이다. 제 2 관통 구멍(11, 12)이 기판 필름(1)의 제 1 관통 구멍(2, 3)에 중첩하도록,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이 위치 결정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4, 5)의 휴즈 요소 접합부(6, 7)가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13a, 13a)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다음에,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4, 5)가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때의 고정 방법에 있어서, 우선 표면과 이면에서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을 거쳐서 서로 마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다음에, 단자(4, 5)의 양단부 사이에 전류를 흘려, 이것에 의해서 단자(4, 5) 자체를 발열시켜,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을 녹인다. 그 용융물에 의해서, 단자(4, 5)가 기판 필름(1)과 접착필름(10)에 고정되는 동시에,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이 서로 접합된다.
다음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관통 구멍(13a, 13a)내에 노출한 단자(4, 5)의 선단부[휴즈 요소 접합부(6, 7)]상에 용접 플럭스(14, 15)가 설치된다. 이 용접 플럭스(14, 15)는 단자(4, 5)와 후술하는 휴즈 요소를 적절하게 접합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다음에,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4, 5) 위에 저융점 가용 합금 등에 의해서 구성된 휴즈 요소(16)의 양단이 얹어 놓여진다. 그 후, 용접 등에 의해서 단자(4, 5)[휴즈 요소 접합부(6, 7)]와 휴즈 요소(16)를 접합한다. 용접으로서는 납땜 인두에 의한 용접, 전기 용접, 레이저 용접, 또는 소프트빔 용접이 이용된다.
다음에,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즈 요소(16)를 피복하도록 고형 플럭스(17)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 고형 플럭스(17)가 휴즈 요소(16)를 완전히 피복하거나, 노출하고 있는 휴즈 요소(16)의 표면적의 50% 이상이 고형 플럭스(17)에 의해서 피복된다. 이것에 의해서, 충분한 용단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열에 의해서 용융된 상태 또는 용매에 녹여진 상태로 휴즈 요소(16)상에 도포되고, 그 후 고화됨으로써 고형 플럭스(17)가 설치된다.
다음에,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커버 필름(18)을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필름(10)상에 얹어 놓는다. 커버 필름(18)은 위치 결정용 제 4 관통 구멍(19, 20)과, 제 4 관통 구멍(19, 20) 사이에 형성되고 다른 부분보다도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오목부(21)를 갖는다. 이 오목부(21)에 의해서, 휴즈 요소(16)의 주위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확실한 휴즈 요소(16)의 절단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13) 및 충전부(13b)과 오목부(21)가 대향하도록, 커버 필름(18)을 접착 필름(10)상에 설치하고, 제 4 관통 구멍(19, 20)을 제 1 관통 구멍(2, 3) 및 제 2 관통 구멍(11, 12)에 중첩하도록 배치한다. 도 24에 있어서, 오목부(21)를 형성함으로써, 융기부(22)가 형성된다. 융기부(22)상에 인쇄 등에 의해서, 품번 및 안전부품으로서의 표시 등이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필름(18)의 융기부(22)의 주위에, 초음파 용접의 혼을 가압하여, 커버 필름(18)과 접착 필름(10)을 용착한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하는 온도 휴즈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6에 있어서, 기포(38)는 기판 필름(1)과 커버 필름(18) 사이에서 형성되고, 외계와 차단된 공간(이하 밀봉공간)내에 형성된다. 용융물(39)은 밀봉공간내로 압출되어 있다. 기판 필름(1)과, 접착 필름(10)과, 커버 필름(18)을 모아, 상술과 같이 초음파 용접이 실행된다.
단자(4, 5)의 종방향을 따르도록, 또한 온도 휴즈의 본체를 끼우도록 형성된 용착부(23a)와 온도 휴즈의 본체를 끼우도록 용착부(23a)에 대략 직교하는 용착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분인 부분이 절단된다. 이렇게 하여 온도 휴즈가 완성된다.
즉, 온도 휴즈는 한 쌍의 단자(4, 5)와, 그 한쌍의 단자 사이에 설치된 휴즈 요소(16)와, 그 휴즈 요소(16)를 피복하는 고형 플럭스(17)와, 그 고형 플럭스(17)를 피복하는 커버 필름(18)과, 접착 필름(10)을 구비한다. 접착 필름은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13a, 13a)을 갖고, 그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13a, 13a)에 고형 플럭스(17)가 노출되어 있다. 커버 필름(18)은 접착 필름(10)과, 노출한 고형 플럭스(17)를 피복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4, 5)는 휴즈 요소 접합부(6, 7)와 필름 접합부(8, 9)를 갖는다. 휴즈 요소(16)는 각각의 휴즈 요소 접합부(6, 7) 사이에 접합되어 있다. 접착 필름(10)은 각각의 필름 접합부(8, 9)에 접착되어 있다. 휴즈 본체부(50)는 노출한 한 쌍의 단자(4, 5)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휴즈 본체부(50)는 그 한 쌍의 단자 사이에 설치된 휴즈요소(16)와, 그 휴즈 요소(16)를 피복하는 고형 플럭스(17)와, 고형 플럭스를 제외한 영역에 설치된 접착 필름과, 그 고형 플럭스(17)를 피복함과 동시에 접착 필름 위에 설치된 커버 필름(18)을 구비한다. 휴즈 본체부(50)는 케이스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고형 플럭스(17)는 직접 휴즈 요소(16)에 도포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즉, 커버 필름(18)에 형성된 오목부(21)내에 사전에 고형 플럭스(17)를 고체의 상태로 설치해 놓는다. 다음에, 커버 필름(18)을 접착 필름(10)상에 얹어 놓고, 그 후에 가열하여 고형 플럭스(17)를 녹여, 휴즈 요소(16)상에 도포한다. 그 후에, 커버 필름(18)을 초음파 용접으로 접착 필름(10)에 접합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해서, 상기 온도 휴즈에는, 상기 한 쌍의 단자(4, 5)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들, 상기 한 쌍의 단자(4, 5)에 양단이 접속된 휴즈 요소(16), 및 상기 기판 필름(1)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에 충전부(13b)가 존재하게 되며, 이 충전부로 인하여 상기 휴즈 요소(16)가 수직하향으로 가압을 받아도, 상기 휴즈 요소(16)가 상기 충전부(13b)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되거나 균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1; 기판 필름, 4; 단자, 5; 단자, 10; 접착 필름, 16; 휴즈요소, 17; 고형 플럭스, 18; 커버 필름, 50; 휴즈 본체부

Claims (3)

  1. (a) 절연성을 갖는 기판, 퓨즈 요소, 커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설치된 절연성을 갖는 접착 필름을 갖는 퓨즈 본체부와,
    (b) 상기 퓨즈 본체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한쌍의 단자로서, 상기 한쌍의 단자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의 한쪽 단부는 상기 퓨즈 본체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2 단자의 한쪽 단부는 상기 퓨즈 본체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한쌍의 단자를 포함하는 온도 휴즈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의 다른쪽 단부는 제 1 퓨즈 요소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단자의 다른쪽 단부는 제 2 퓨즈 요소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접착 필름은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과 상기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 사이에 충전부을 갖고,
    상기 퓨즈 요소의 양단부와, 상기 제 1 퓨즈 요소 접합부와, 상기 제 2 퓨즈 요소 접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 3 관통 구멍 속에 위치하고,
    상기 퓨즈 요소는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퓨즈 요소의 한쪽 단부는 상기 제 1 퓨즈 요소 접합부에 접합하고,
    상기 퓨즈 요소의 다른쪽 단부는 상기 제 2 퓨즈 요소 접합부에 접합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퓨즈 요소와, 상기 제 1 퓨즈 요소 접합부와, 상기 제 2 퓨즈 요소 접합부를 피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퓨즈 본체부에 밀봉된 영역 전체의 폭이 상기 퓨즈 본체부에 밀봉되지 않은 영역의 폭보다도 작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퓨즈 본체부에 밀봉된 영역 전체의 폭이 상기 퓨즈 본체부에 밀봉되지 않은 영역의 폭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가 제 1 필름 접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자가 제 2 필름 접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 필름이 상기 제 1 필름 접합부 및 제 2 필름 접합부와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퓨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 접합부와 상기 제 2 필름 접합부의 표면과 이면은 상기 접착 필름과 상기 기판의 열용착에 의해서 상기 접착 필름과 상기 기판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퓨즈.
KR1020110123977A 2011-11-25 2011-11-25 온도휴즈 KR10119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977A KR101197036B1 (ko) 2011-11-25 2011-11-25 온도휴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977A KR101197036B1 (ko) 2011-11-25 2011-11-25 온도휴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036B1 true KR101197036B1 (ko) 2012-11-06

Family

ID=4756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977A KR101197036B1 (ko) 2011-11-25 2011-11-25 온도휴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0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579B1 (ko) 2004-07-06 2006-01-11 이종호 기판형 온도퓨즈
KR100757623B1 (ko) 2000-07-21 2007-09-1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온도 퓨즈, 팩 전지 및 온도 퓨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623B1 (ko) 2000-07-21 2007-09-1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온도 퓨즈, 팩 전지 및 온도 퓨즈의 제조 방법
KR100540579B1 (ko) 2004-07-06 2006-01-11 이종호 기판형 온도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623B1 (ko) 온도 퓨즈, 팩 전지 및 온도 퓨즈의 제조 방법
JP5638087B2 (ja) 導電接続を形成する方法
JP5552369B2 (ja) 温度ヒューズおよび温度ヒューズの製造方法
KR101182867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방법
US10770695B2 (en) Battery
KR101342603B1 (ko) 배터리 팩
JP518653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3929448B2 (ja) リード構造が改善されたサーミスタ及びこのサーミスタが搭載された二次電池
JP2006221919A (ja) 基板型抵抗体付きヒューズ及び電池パック
JP2011243504A (ja) 温度ヒューズおよび温度ヒューズの製造方法
US20230076491A1 (en)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KR101197036B1 (ko) 온도휴즈
KR101272178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1373681B (zh) 温度保险丝
JP4663758B2 (ja) 抵抗付き温度ヒューズ及び電池保護回路板
JP2008159351A (ja) 電池装置
JP2000164093A (ja) 温度ヒ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68252B1 (ko) 온도휴즈
JP2013182750A (ja) 温度ヒ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35190A (ja) 温度ヒ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54883B1 (ko) 시트형 온도퓨즈의 제조방법
JP5396304B2 (ja) 抵抗付き温度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5433455B2 (ja) 抵抗付き温度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H088033B2 (ja) 温度ヒューズ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15942640A (zh) 一种电池保护电路板及其焊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