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577B1 -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 Google Patents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577B1
KR101196577B1 KR1020100019324A KR20100019324A KR101196577B1 KR 101196577 B1 KR101196577 B1 KR 101196577B1 KR 1020100019324 A KR1020100019324 A KR 1020100019324A KR 20100019324 A KR20100019324 A KR 20100019324A KR 101196577 B1 KR101196577 B1 KR 10119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afety tape
safety
tape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380A (ko
Inventor
박점순
안영기
Original Assignee
박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순 filed Critical 박점순
Priority to KR102010001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57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닥으로 매듭형성된 로프에 안전테이프를 부착 구성함으로써 로프와 안전테이프가 한 몸체로 구성될 수 있어 설치성은 물론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을 유도하여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전테이프가 상기 로프의 매듭부 내측에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또는 로프의 둘레부에 안전테이프의 상부가 재봉작업에 의한 봉착부 또는 고주파 용접이나 열 융착에 의한 융착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안전테이프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고 안전테이프가 로프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여러 가닥으로 매듭부(11)가 형성된 로프(10)와;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상부가 부착되어 상기 로프(10)와 일체로 구성되는 안전테이프(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SAFETY ROPE WITH WARNING TAPE}
본 발명은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 등과 같은 위험한 공간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보행자 또는 작업자들의 접근을 금지하도록 설치하는 안전로프에 경고문구와 색채가 표현된 경고 테이프를 더 부착하여 안전로프와 경고 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강풍과 같은 외부의 환경요인에 의해 경고 테이프가 안전로프로부터 떨어지거나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의 경우 깊이 패인 웅덩이나 또는 마감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욕실이나 베란다, 엘리베이터, 난간 등은 항상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빠지게 되는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공간에 작업자의 접근을 금지하도록 안전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맨홀 공사 중이거나 또는 파인 웅덩이에 보행자가 빠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 공간 역시 안전수단을 설치하여 보행자를 위험공간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종래 위험공간에 설치되는 안전수단의 경우, 안전테이프, 로프와, 폴대, 휀스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안전수단이 위험공간의 둘레부를 포설하도록 하여 위험공간 측으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작업자 또는 보행자로 하여금 위험공간을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이 중, 안전테이프의 경우에는 위험공간의 둘레에 폴대를 세우고 이 폴대에 안전테이프를 감아 위험공간의 둘레에 설치하는 바, 통상 안전테이프가 얇은 재질의 비닐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장기간 동안 외부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햇빛이나 강풍, 강우, 눈 등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쉽게 늘어지게 되고 절단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안전테이프를 이용한 위험경고 효과를 지속적으로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안전테이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굵기가 굵은 로프를 폴대의 둘레부에 포설하여 폴대에 의해 로프가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로프는 일정 정도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어 작업자가 웅덩이, 난간, 개구부, 고압전기선 등 위험 공간으로 추락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가까이에서만 식별 가능할 뿐 어느 정도 떨어져 있거나 어두운 상태에서는 식별이 어렵다.
그리하여, 다른 방법으로서, 굵기가 굵은 로프를 폴대의 둘레부에 포설하여 폴대에 의해 로프가 지지되도록 한 다음, 작업자나 보행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로프에 펄럭이는 안전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매듭을 묶어 설치하고 있는 바, 이 역시 얇은 비닐 재질인 안전테이프의 문제점에 의해 안전테이프의 식별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테이프가 비닐지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바람에 쉽게 펄럭거리게 되고, 이러한 안전테이프의 펄럭거림 동작에 의해 로프에 묶인 안전테이프의 매듭이 풀어지거나 느슨하게 되어 로프에 매달린 여러 개의 안전테이프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또는 안전테이프가 로프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경고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안전테이프를 로프에 묶는 작업이 일일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로프와 안전테이프를 이용하여 안전수단을 위험공간 둘레에 설치하는 작업시간이 크게 지연되고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험 공간은 토목 건설 현장에서 작업의 진척에 따라 수시로 발생하거나 바뀌기 때문에 그때마다 위험경계 표식을 설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132299호인 위험지대표시용 테이프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직조 또는 합성수지제 테이프상의 곳곳에 투과공을 천공하고, 각 투과공의 안쪽에는 센서를 매입하며, 테이프의 양단부에는 연결구와 잭을 부착하고, 잭과 센서는 테이프내에 매입한 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잭을 경보기측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근자를 감지한 신호로 경보음을 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센서에 의해 접근자가 감지되어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하여 위험공간에 대한 인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경보음을 울리는 구성요소들이 얇은 직조 또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테이프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안전테이프가 지닌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어 사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위험공간에 로프와 안전테이프를 이용하여 안전수단을 설치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가닥으로 매듭 형성된 로프에 안전테이프를 부착 구성함으로써 로프와 안전테이프가 한 몸체로 구성될 수 있어 설치성은 물론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을 유도하여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전테이프가 상기 로프의 매듭부 내측에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또는 로프의 둘레부에 안전테이프의 상부가 재봉작업에 의한 봉착부 또는 고주파용접에 의한 용착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안전테이프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고 안전테이프가 로프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는, 여러 가닥으로 매듭부가 형성된 로프와; 상기 로프의 둘레부에 안전테이프의 상부가 부착되어 상기 로프와 안전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로프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는, 상기 안전테이프의 상부를 절개하여 2개 이상의 절개편을 형성하고, 이 2개 이상의 절개편을 상기 로프의 매듭부 내측으로 끼워 상기 로프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프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는, 상기 안전테이프의 상부를 로프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하여 포설부를 형성하고, 이 포설부의 끝단을 재봉하여 재봉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봉착부에 의해 상기 로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로프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는, 상기 안전테이프의 상부를 로프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하여 포설부를 형성하고, 이 포설부의 끝단을 고주파 또는 열로 융착하여 융착부에 의해 상기 로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는 상기 로프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는, 상기 안전테이프의 상부를 로프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하여 포설부를 형성하고, 이 포설부의 끝단을 접착식 테이프로 형성하여 접착식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써 상기 로프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본 발명인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는, 로프의 둘레부에 안전테이프 상부가 끼움방식 또는 재봉에 의한 봉착방식 또는 고주파나 열에 의한 융착방식, 접착테이프에 의한 접착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 로프와 안전테이프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맨홀이나 웅덩이와 같은 위험공간에 로프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로프와 안전테이프가 동시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설치성의 용이함을 유도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테이프가 끼움방식 또는 재봉에 의한 봉착방식 또는 고주파나 열에 의한 융착방식, 접착테이프에 의한 접착방식 등에 의해 로프에 견고하게 부착,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이 강하게 불더라도 안전테이프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또는 로프로부터 안전테이프가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공사현장에서의 작업자 또는 보행자들이 쉽게 웅덩이나 맨홀 또는 기타의 위험공간을 인식할 수 있음으로써 위험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의 구성요부인 안전테이프가 로프에 끼움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의 구성요부인 안전테이프가 로프에 봉착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의 구성요부인 안전테이프가 로프에 융착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의 구성 요부인 안전테이프가 고정부에 의하여 로프에 고정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의 구성 요부인 안전테이프가 묶음부에 의하여 로프에 고정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는, 공사현장의 웅덩이나 또는 마감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욕실이나 베란다, 엘리베이터, 난간 등과 같은 위험공간이나, 골목길의 맨홀 공사 중이거나 또는 파인 웅덩이와 같은 위험공간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위험공간을 알려주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여러 가닥으로 매듭부(11)가 형성된 로프(10)와,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상부가 부착되어 상기 로프(10)와 일체로 구성되는 안전테이프(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로프(10)는 위험공간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굵기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종래 로프의 굵기 정도이면 된다.
또한, 상기 안전테이프(20)에는 ‘안전제일’이나 ‘위험’, ‘접근금지’ 등과 같은 경고문구와 함께 사선방향으로 색체가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10)의 둘레부를 따라 로프(10)와 수직방향으로 여러 개 부착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는, 로프(10)의 둘레부에 안전테이프(20)의 상부가 부착되어 로프(10)와 안전테이프(20)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위험공간의 둘레부에 폴대를 설치하고 이 폴대에 상기 로프(10)를 둘러 로프(10)를 설치할 때 안전테이프(20)가 로프(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로프(10)를 설치하는 동작만으로 로프(10)와 안전테이프(20) 2개를 모두 설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설치성이 크게 향상되어 작업시간의 단축효과는 물론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안전테이프(20)의 상부가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안전테이프(20)가 로프(10)의 한 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안전테이프(20)가 로프(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로프(10)와 안전테이프(20)의 일체 구성에 의해 위험공간에 대한 인식효과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절개하여 2개 이상의 절개편(21)을 각각 형성하고, 이 2개 이상의 절개편(21)을 상기 로프(10)의 매듭부(11)의 내측으로 인입하여 매듭부(11)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끼워 상기 절개편(21)들이 로프(10)의 매듭부(11)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로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10)의 매듭부(11)가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절개편(21)들을 강압하여 눌러줌으로써 지지하여 주기 때문에 안전테이프(20)가 로프(10)의 둘레부에 지속적으로 견고하게 부착 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로프(10)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하여 포설부(22)를 형성하고, 이 포설부(22)의 끝단을 고주파 용접 또는 열융착하여 융착부(23)에 의해 상기 로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감아 상기 포설부(22)를 형성한 다음, 상기 포설부(22)의 끝단과 접하는 안전테이프(20)를 고주파용접이나 열융착으로 부착하여 융착부(2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로프(10)에 안전테이프(20)가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로프(10)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하여 포설부(22)를 형성하고, 이 포설부(22)의 끝단을 재봉하여 재봉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봉착부(24)에 의해 상기 로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감아 상기 포설부(22)를 형성한 다음, 포설부(22)의 끝단과 안전테이프(20)를 재봉하여 봉착부(2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로프(10)에 안전테이프(20)가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2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상부에 접착테이프를 형성하고, 로프(10)의 둘레부를 따라 접착테이프를 감아 붙여 상기 로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20)는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로프(10)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하여 포설부(22)를 형성하고, 이 포설부(22)의 끝단을 하나 이상의 핀으로 고정하여 형성되는 고정부(26)에 의해 상기 로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핀이라 함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서, 스테플러 형태 또는 안전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서 도 4의 봉착부 위치에 봉착부 대신 설치하여 안전테이프를 로프에 고정시킨 것이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20)는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로프(10)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하여 포설부(22)를 형성하고, 로프 둘레를 따라 포설부(22)와 로프를 묶는 하나 이상의 묶음부(27)에 의해 상기 로프(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묶음부는 면사, 합성섬유사, 금속사 등 다양한 재질의 실이나 노끈, 리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전테이프를 로프에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고정구나 고정 방법은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각각 별도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 또는 고정방법을 함께 적용 또는 형성하여 더욱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프(10) 또는 상기 안전테이프(20)에 발광부(30)가 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부는 야광, 형광 등 식별이 용이하도록 자체 발광하거나, 외부의 빛에 의하여 발광하게 되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형광테이프 등을 로프 또는 안전테이프에 부착하는 방법이나, 형광물질을 로프나 안전테이프에 도포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는 특정 부위로 한정되지 않고, 안전테이프 또는 로프 전체가 발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도 상기 발광부(30)는 LED 발광램프(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LED 발광램프와 연결된 전원 및 조절부는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인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10)와 안전테이프(2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상기 융착부(23) 또는 봉착부(24)의 내측에 LED 발광램프(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부(30)가 더 인입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30)의 LED발광램프(31)가 발광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나 또는 야간에 안전테이프(20)의 식별이 더욱 용이하여 어두운 골목길을 걷거나 또는 야간 작업의 작업자가 주변이 어둡더라도 쉽게 위험공간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극히 용이하게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
10 : 로프 11 : 매듭부
20 : 안전테이프 21 : 절개편
22 : 포설부 23 : 융착부
24 : 봉착부 25 : 결속부
26 : 고정부 27 : 묶음부
30 : 발광부 31 : LED발광램프

Claims (9)

  1. 위험공간에 설치되는 로프에 있어서,
    여러 가닥으로 매듭부(11)가 형성된 로프(10)와;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상부가 부착되어 상기 로프(10)와 일체로 구성되는 안전테이프(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로프(10)의 둘레부에 부착되는 안전테이프(20)는 상기 안전테이프(20)의 상부를 절개하여 2개 이상의 절개편(21)을 각각 형성하고, 이 절개편(21)들을 상기 로프(10)의 매듭부(11)의 내측으로 인입하여 끼워 상기 절개편(21)들이 로프(10)의 매듭부(11)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10) 또는 상기 안전테이프(20)에는 발광부(30)가 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30)는 LED 발광램프(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KR1020100019324A 2010-03-04 2010-03-04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KR10119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24A KR101196577B1 (ko) 2010-03-04 2010-03-04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24A KR101196577B1 (ko) 2010-03-04 2010-03-04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80A KR20110100380A (ko) 2011-09-14
KR101196577B1 true KR101196577B1 (ko) 2012-11-02

Family

ID=4495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324A KR101196577B1 (ko) 2010-03-04 2010-03-04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05B1 (ko) 2016-04-27 2017-01-02 한정현 통행 제한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322B1 (ko) * 2021-01-20 2021-11-05 (주)포유텍 전력선용 무풍압 위험표지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120A (ja) * 2000-05-29 2001-12-07 Shinei Doro Hyoshiki Kk 標識旗
KR200336134Y1 (ko) * 2003-09-01 2003-12-12 박경희 케이블정보 표찰지
KR100882599B1 (ko) * 2007-12-13 2009-02-12 장병용 이벤트용 발광 현수식 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120A (ja) * 2000-05-29 2001-12-07 Shinei Doro Hyoshiki Kk 標識旗
KR200336134Y1 (ko) * 2003-09-01 2003-12-12 박경희 케이블정보 표찰지
KR100882599B1 (ko) * 2007-12-13 2009-02-12 장병용 이벤트용 발광 현수식 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05B1 (ko) 2016-04-27 2017-01-02 한정현 통행 제한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80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2766B (zh) 錨,拉緊裝置,風力發電廠及用於拉緊在錨上之抗張繩索之方法
EP3401438B1 (en) Light-emitting warning rope
CN101913542B (zh) 幕墙单元吊装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196577B1 (ko) 안전테이프가 부착된 로프
KR20120081904A (ko) 발광로프
CN105275250B (zh) 一种易碎的机场桅杆拉线
KR200420918Y1 (ko) 휀스 부착형 광망 및 고정구
KR200475292Y1 (ko) 폐현수막을 이용한 반사띠가 구비된 로프
CN217781732U (zh) 一种具有分层分丝支撑结构的钢绞线系杆索体系
CN102611057A (zh) 跨越网
JP2012228001A (ja) 電柱間架設線の張替え工法及び係る工法に用いる張替え工具
CN211035118U (zh) 电力铁塔用施工材料及器械吊运装置
KR101544408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KR20150009702A (ko) 안전 난간대
KR200344387Y1 (ko) 신축건물의 발코니 안전난간 구조
KR20080112854A (ko) 다기능 보양 천막
JP2005273350A (ja) 保安資材と、該保安資材を使用した保安・防護工法
JP4474394B2 (ja) 防鳥具取付装置
JP3315098B2 (ja) ベランダ等における鳥害防止用ネットの張設方法
KR100919996B1 (ko)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난간
CN202810223U (zh) 一体式建筑安全网
CN218493060U (zh) 一种密目式安全立网
CN219298935U (zh) 一种组装式高压线下施工防护装置
CN214397149U (zh) 一种标杆布设装置
CN113646485A (zh) 带导光棒的视线诱导标及钢索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