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057B1 -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057B1
KR101196057B1 KR1020110022557A KR20110022557A KR101196057B1 KR 101196057 B1 KR101196057 B1 KR 101196057B1 KR 1020110022557 A KR1020110022557 A KR 1020110022557A KR 20110022557 A KR20110022557 A KR 20110022557A KR 101196057 B1 KR101196057 B1 KR 101196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leakage
load side
current
ground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879A (ko
Inventor
신재식
Original Assignee
신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식 filed Critical 신재식
Priority to KR102011002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0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02H3/066Reconnection being a consequence of eliminating the fault which caused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5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diodes as prot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4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8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87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using opto-coup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도로시설물용 누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누전 발생으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부하측의 누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전 점검한 후 그 점검결과에 따라 누전전류가 없을때에만 자동복귀 동작을 통해 부하측인 도로시설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누전전류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누전차단기의 스위치를 자동 복귀시키는데 따른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누전으로 차단된 스위치를 자동 복구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Automatic recovery type circuit breaker for checking short circuit in real time}
본 발명은 분전반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도로시설물(예; 가로등, 터널등, 중계기)용 누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전 발생으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부하측인 도로시설물의 누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전 점검하고 그 점검결과에 따라 누전전류가 없을때에만 자동복귀 동작을 통해 부하측인 도로시설물로 전원공급을 재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귀용 누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이나 터널등 또는 중계기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은 지하에 매설된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으로, 도로 시설물을 누전차단기가 구비된 전원분전기를 통하여 전원 케이블과 결속되게 구성되며, 이러한 도로시설물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에는 도로 시설물로의 전원공급을 자동 차단하여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누전이라 함은 분전반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도로시설물(예; 가로등주 및 터널등)에 공급되는 전원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연결부위의 침수 또는 습기로 인하여 도로시설물에 누전전류가 흐르는 것이다.
이때, 종래 도로시설물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는 기계식 또는 자동 복구형이 있으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제어방식은 분전함에서 약 40~50 개의 가로등, 터널등을 누전 발생여부에 따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계식 누전차단기의 경우에는 도로시설물(예; 가로등주, 터널등, 중계기)에서 누전 발생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그 복귀는 현장을 방문하여 직접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복귀형의 누전차단기는 본원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특허 제 701264 호(도로시설물용 전원분전기 및 그 제어방법)을 통해 누전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한편, 다음날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때 이를 감지하여 시설물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등록특허는 침수 등으로 인한 누전발생시 물이 빠진 다음날 자동으로 누전차단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와 같은 자동 복구형의 누전차단기는 누전상태가 해제되었는지의 사전점검없이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바로 누전차단이 자동 복귀되는 것으로, 이는 누전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서 2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등록특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등록특허가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누전 발생으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부하측의 누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전 점검한 후 그 점검결과에 따라 누전전류가 없을때에만 자동복귀 동작을 통해 부하측인 도로시설물로 전원공급을 재개함으로써, 누전전류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누전차단기의 스위치를 자동 복귀시키는데 따른 2차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는,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입력단의 전원을 출력단의 부하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배선차단부;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누설전류와 과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제 1,2 영상변류기;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2 영상변류기에 의해 누설전류 및 과부하 상태가 검출된 후 상기 배선차단부에 의해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부하측의 누전상태에 따라 누전점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점검부; 및, 상기 제 1,2 영상변류기에 의해 누설전류와 과부하 상태가 검출시 상기 배선차단부를 오프 제어하여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되, 상기 누전점검부로부터 출력되는 누전점검신호에 따라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결정하도록 상기 배선차단부의 온 또는 오프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누전점검부는, 상기 배선차단부의 입,출력측 전원공급라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에서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면서 수광부측의 입력단으로 로우 또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포토커플러; 상기 배선차단부의 입,출력측 전원케이블 중 또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와 교차되고, 상기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에서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면서 수광부측의 입력단으로 로우 또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포토커플러;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 출력측과 상기 배선차단부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에 대한 온/오프 전류를 제어하는 저항; 및,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 출력측과 상기 배선차단부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에서 상기 저항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를 부하측 전원공급라인의 역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다이오드;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측 입력단에는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오픈 콜렉터인 풀-업 저항(R1)과,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측에서 발생하는 순간성 잡음 및 불필요한 잡음을 차단하는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하측의 전원공급라인에 존재하는 누전전류의 감지는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 출력측과 상기 배선차단부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는 저항의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저항을 통해 흐르는 전류 감도는 상기 누전전류 감도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누전점검부에 의해 누전상태가 실시간 점검되어 그 점검결과 누전이 해제될 때 자동복구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누전발생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다음날 새로운 전원공급시 누전상태를 사전 점검하여 누전전류가 없을때에만 부하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누전이 해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전원공급의 차단상태를 유지하는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전 발생으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부하측의 누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전 점검한 후 그 점검결과에 따라 누전전류가 없을때에만 자동복귀 동작을 통해 부하측인 도로시설물로 전원공급을 재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누전전류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누전차단기의 스위치를 자동 복귀시키는데 따른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누전으로 차단된 스위치를 자동으로 복구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전체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에 적용되는 누전점검부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력전압 신호(a)과 누전점검 신호(b)의 파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전체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에 적용되는 누전점검부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력전압 신호(a)과 누전점검 신호(b)의 파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는 배선차단부(10), 제 1,2 영상변류기(CT1)(CT2), 누전점검부(20), 그리고 제어모듈(MPU)(30)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차단부(10)는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각각 연결되는 제 1,2 릴레이스위치(SW1)(SW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을 통해 입력단의 전원(AC 220V)을 출력단의 부하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도록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온/오프 스위칭동작은 상기 제어모듈(30)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영상변류기(CT1)는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출력측인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을 통해 부하측에서의 누전전류를 검출한 후 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모듈(3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영상변류기(CT2)는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출력측인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 중 어느 하나의 라인(L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L1)을 통해 부하측이 과부하 상태인지를 검출한 후 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모듈(3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전점검부(20)는 상기 제 1,2 영상변류기(CT1)(CT2)에 의해 누전전류가 검출된 후 상기 배선차단부(10)에 의해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이 연결되는 부하측에 대한 누전상태가 해소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 후 그 감지된 하이 또는 로우의 누전점검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모듈(30)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출력측에서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연결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전점검부(20)는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입,출력측 전원공급라인(L1)(L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된 전원공급라인(L1)에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되면서 수광부측 입력단으로 로우 또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어모듈(30)로 출력하는 제 1 포토커플러(U1)와,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입,출력측 전원케이블(L1)(L2) 중 또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포토커플러(U1)와 교차(cross)되면서 상기 연결된 전원공급라인(L2)에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면서 수광부측 입력단으로 누전점검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어모듈(30)로 출력하는 제 2 포토커플러(U2)를 포함하여 구성함은 물론,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발광부 출력측과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L1)(L2)에는 각각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발광부에 대한 온/오프 전류를 제어하는 저항(R2)(R3) 및,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를 부하측 전원공급라인의 역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다이오드(D1)(D2)가 직렬로 연결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를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교차 연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이 전압선(Hot Line)과 중성선(Natural Line)으로 구분됨에 있어, 부하측에 전압선과 중성선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을 모두 점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수광부측 입력단에는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오픈 콜렉터(open collector)인 풀-업(pull-up) 저항(R1) 및,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수광부측에서 발생하는 순간성 잡음 및 불필요한 잡음을 차단하는 커패시터(C1)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하측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존재하는 누전전류의 감지는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발광부측 출력단과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L1)(L2)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는 저항(R2)(R3)의 크기로 설정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저항(R2)(R3)을 통해 흐르는 전류 감도는 상기 누전전류 감도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미세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도 정밀하게 사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제 1,2 영상변류기(CT1)(CT2)에 의해 누설전류 또는 과부하 상태가 검출될 때 상기 배선차단부(10)를 오프 제어하여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자동 복귀 동작전에 상기 누전점검부(20)로부터 출력되는 로우 또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에 따라 누전존재여부를 판단하여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전원공급의 결정은 상기 배선차단부(10)에 포함되는 제 1,2 릴레이스위치(SW1)(SW2)의 온 또는 오프 스위칭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우선 도로시설물의 침수 등으로 인해 누전이 발생시,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연결되는 누전감지부인 제 1,2 영상변류기(CT1)(CT2)는 누전감지신호를 제어모듈(30)에 누전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모듈(30)은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연결되는 배선차단부(10)인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를 각각 오프 스위칭동작시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을 통해 입력단의 전원(AC 220V)이 출력단의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등록특허 제 701264 호의 누전복원과정에서와 같이 통전감지기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라인(전원케이블)(L1)(L2)으로의 전원공급이 단전된 것을 감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통전감지부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시점(다음날)에서 상기 단전된 전원공급라인(전원케이블)(L1)(L2)을 통해 새로운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감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새로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감지한 신호에 따라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하는 제어동작을 진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입,출력측인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는 누전점검부(2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전점검부(20)는 첨부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새로운 전원이 인가될 때, 부하측에 연결되는 상기 전원공급라인(L1)(L2)에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를 사전에 실시간 점검한 후 그 점검에 따른 로우 또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를 상기 제어모듈(30)에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가 오프 스위칭된 상태에서 부하측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누전전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을 통해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입력측으로 새로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누전점검부(20)에 포함되는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발광부측으로는 교류전압이 흐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 및 이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는 저항(R2)(R3)의 전류 감도는 누전전류 감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바, 상기 부하측의 전원공급라인(L1)(L2)에 누전전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는 각각 턴오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수광부측 입력단(도 2에서 A지점)에는 전원(VCC)에 의해 하이의 누전점검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U1)(U2)의 수광부측 입력단에서 발생하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로부터 부하측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L1)(L2)에 누전전류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배선차단부(10)에 포함되는 제 1,2 릴레이 스이치(SW1)(SW2)를 온 스위칭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부하측으로는 새롭게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가 오프 스위칭된 상태에서 부하측의 전원공급라인(L1)(L2) 중 어느 하나의 라인(L2)에 누전전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을 통해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입력측으로 첨부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새로운 전원이 공급시, 상기 하나의 전원공급라인(L2)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압은 상기 누전점검부(20)에 포함되는 제 1 포토커플러(U1)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포토커플러(U1)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R2)의 전류 감도는 누전전류 감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포토커플러(U1)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R2) 다이오드(D1)를 통해 부하측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L2)으로는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포토커플러(U1)는 턴온되면서, 상기 제 1 포토커플러(U1)의 수광부측 입력단(도 2에서 A지점)에는 첨부된 도 3의 (b)에서와 같은 파형인 로우의 누전점검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제 1 포토커플러(U1)의 수광부측 입력단에서 발생하는 로우의 누전점검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측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L2)에 누전전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배선차단부(10)에 포함되는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오프 스위칭동작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부하측에 새롭게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면서 전원인가에 따른 감전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를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가 오프 스위칭된 상태에서 부하측의 전원공급라인(L1)(L2) 중 어느 하나의 라인(L1)에 누전전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을 통해 상기 배선차단부(10)의 입력측으로 첨부된 도 3의 (a)에서와 같이 새로운 전원이 공급시, 상기 하나의 전원공급라인(L1)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압은 상기 누전점검부(20)에 포함되는 제 2 포토커플러(U2)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포토커플러(U2)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R3)의 전류 감도는 누전전류 감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포토커플러(U2) 및 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R3) 다이오드(D2)를 통해 부하측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L1)으로는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포토커플러(U2)는 턴온되면서, 상기 제 2 포토커플러(U2)의 수광부측 입력단(도 2에서 A지점)에는 첨부된 도 3의 (b)에서와 같은 파형인 로우의 누전점검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제 2 포토커플러(U2)의 수광부측 입력단에서 발생하는 로우의 누전점검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측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L1)에 누전전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배선차단부(10)에 포함되는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의 오프 스위칭동작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부하측에 새롭게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면서 전원인가에 따른 감전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를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누전점검부(20)에 의해 부하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공급라인(L1)(L2)에서 모두 누전전류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누전점검부(20)의 점검동작을 일정시간(예; 1초) 간격으로 수회(예; 10회) 반복하고, 상기 수회 반복되는 점검으로부터 누전전류가 검출되지 않을 때 자동 복귀동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면서 상기 배선차단부(10)에 포함되는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를 온 시켜 부하측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수치적인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30)은 제 2 영상변류기(CT2)에 의해 과부하가 검출시, 상기 누전점검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배선차단부(10)에 포함되는 제 1,2 릴레이 스위치(SW1)(SW2)를 오프시켜, 상기 부하측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누전점검부(20)에 의해 누전상태가 실시간 점검되어 그 점검결과 누전이 해제될 경우에만 자동복구기능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는 누전발생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한편, 다음날 새로운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경우에 누전상태를 사전 점검하여 누전전류가 없을때에만 부하측으로 전원을 공급 제어하게 되며, 만약 누전이 해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배선차단부 20; 누전점검부
30; 제어모듈 U1; 제 1 포토커플러
U2; 제 2 포토커플러

Claims (6)

  1.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입력단의 전원을 출력단의 부하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배선차단부;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원의 누설전류와 과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제 1,2 영상변류기;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2 영상변류기에 의해 누설전류 및 과부하 상태가 검출된 후 상기 배선차단부에 의해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원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부하측의 누전상태에 따라 누전점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점검부; 및, 상기 제 1,2 영상변류기에 의해 누설전류와 과부하 상태가 검출시 상기 배선차단부를 오프 제어하여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되, 상기 누전점검부로부터 출력되는 누전점검신호에 따라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결정하도록 상기 배선차단부의 온 또는 오프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누전점검부는 상기 배선차단부의 입,출력측 전원공급라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에서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면서 수광부측의 입력단으로 로우 또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포토커플러; 상기 배선차단부의 입,출력측 전원케이블 중 또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와 교차되고, 상기 연결되는 전원공급라인에서 누전전류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면서 수광부측의 입력단으로 로우 또는 하이의 누전점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포토커플러; 및,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 출력측과 상기 배선차단부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에 대한 온/오프 전류를 제어하는 저항;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점검부에는,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 출력측과 상기 배선차단부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에서 상기 저항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를 부하측 전원공급라인의 역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측 입력단에는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오픈 콜렉터인 풀-업 저항과,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측에서 발생하는 순간성 잡음 및 불필요한 잡음을 차단하는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의 전원공급라인에 존재하는 누전전류의 감지는 상기 제 1,2 포토커플러의 발광부 출력측과 상기 배선차단부의 출력측 전원공급라인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는 저항의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저항을 통해 흐르는 전류 감도는 상기 누전전류 감도보다 작게 설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누전점검부에 의해 누전상태가 실시간 점검되어 그 점검결과 누전이 해제될 때 자동복구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누전발생시 부하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다음날 새로운 전원공급시 누전상태를 사전 점검하여 누전전류가 없을때에만 부하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누전이 해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전원공급의 차단상태를 유지하는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KR1020110022557A 2011-03-14 2011-03-14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KR101196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557A KR101196057B1 (ko) 2011-03-14 2011-03-14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557A KR101196057B1 (ko) 2011-03-14 2011-03-14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879A KR20120104879A (ko) 2012-09-24
KR101196057B1 true KR101196057B1 (ko) 2012-11-01

Family

ID=4711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557A KR101196057B1 (ko) 2011-03-14 2011-03-14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11B1 (ko) 2014-02-18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695202B1 (ko) * 2015-01-20 2017-01-11 주식회사 소프트커널 전기적인 부하를 위한 누설전류 차단장치
KR101853936B1 (ko) * 2016-01-21 2018-06-20 주식회사 에스이티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800B1 (ko) 2005-01-08 2008-01-24 장석연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800B1 (ko) 2005-01-08 2008-01-24 장석연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879A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7494B2 (en) Electrica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safeguarding the protective function of a type A residual current device (RCD)
KR101421564B1 (ko) 예상 밖 동작 방지 기능이 있는 누전 검출 장치
US7103486B2 (en) Device for monitoring a neutral and earth break and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KR101442527B1 (ko) 감전사고방지용 누전차단장치
KR101052471B1 (ko) 전력계통에서 중성선 대체장치 및 그 방법
US9851403B2 (en)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ic installation
GB2518733A (en) Neutral line breakage detection circuit, method and corresponding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KR101196057B1 (ko)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KR100536106B1 (ko) 고주파 오동작 방지용 전자개폐장치와 그를 이용한 누전차단장치
JP6509029B2 (ja) 分電盤
JP2014204484A5 (ja) 負荷保護装置、電路切替装置
JP2012075250A (ja) 貰いロック付絶縁地絡監視装置
CN103944151B (zh) 一种不接地系统多回平行线路异名相两点接地的保护方法
JPH08205377A (ja) き電設備の保護装置
JP6834334B2 (ja) アーク故障検出システム
KR200442470Y1 (ko) 부하단락방지 및 감전보호장치
JP5191403B2 (ja) 微地絡区間標定システム
KR101522955B1 (ko) 결상 보호 차단기
KR20170114154A (ko) 감전사고방지를 위한 누전차단장치
KR20130063771A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1993558B1 (ko) 오결선 검출이 가능한 양방향 선택 지락 보호 계전기 및 시험 장치
US8755159B2 (en) System of current protection of a primary electrical distribution box
CN102288861A (zh) 高压电力电缆故障报警装置
CN202153250U (zh) 新型高压电力电缆故障报警装置
JP6797073B2 (ja) 運転制御装置及び発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