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785B1 -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785B1
KR101195785B1 KR1020087018211A KR20087018211A KR101195785B1 KR 101195785 B1 KR101195785 B1 KR 101195785B1 KR 1020087018211 A KR1020087018211 A KR 1020087018211A KR 20087018211 A KR20087018211 A KR 20087018211A KR 101195785 B1 KR101195785 B1 KR 10119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uty cycle
hops
network
d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868A (ko
Inventor
지앤 후앙
웨인 더블유. 츄
키카이 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8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노드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본원에 제공된다. 네트워크(100) 내의 모든 노드들(500)은 개인 에어리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PNC)로부터 장치로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사이클들을 대화식으로 스위칭할 것이다. PNC로부터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 사이클들을 변경시키면 듀티-사이클들의 공간 패턴들이 데이터 스루풋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네트워크 넓은 전력 소모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내에 형성하도록 한다.
듀티 사이클, 노드, 홉, 공간 패턴, 코디네이터

Description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 NODE TO DETERMINE A PROPER DUTY CYCLE WITHIN AN AD-HOC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애드-혹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 전력 소모 및 긴 배터리 수명은 차세대 애드-혹 무선 장치들의 성공에 중요하다. 이를 염두에 두고, 많은 애드-혹 네트워크들은 노드들이 주기적으로 슬립(sleep) 또는 전력 다운하도록 하여, 배터리 수명을 유지하여야 한다. 활동도 및 비활동도의 기간은 통상적으로 노드들 듀티 사이클(DC)이라 칭한다. 노드가 경험하는 데이터 트래픽의 양들은 합리적인 시간 기간(즉, 합리적인 데이터 전달 레이트를 가짐) 내의 데이터를 적절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특정 듀티-사이클을 필요로 할 것이다. 중 부하(Heavy load)는 풀 듀티-사이클(full duty-cycle)을 요구하는 반면에, 경 부하(light load)는 로우 듀티-사이클(low duty-cycle)을 위하여 허용된다. 노드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은 효율적인 동작에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로 된다.
상술된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노드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본원에 제공된다. 특히, 네트워크 내의 모든 노드들은 개인 에어리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personal area network coordinator; PNC)로부터 상기 장치로의 홉(hop)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사이클들을 대화식으로 스위칭할 것이다. PNC로부터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 사이클들을 변경시키면 듀티-사이클들의 공간 패턴들이 데이터 스루풋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네트워크 넓은 전력 소모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내에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DC)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조정 노드(coordinating node)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hop)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를 결정하고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업스트림 노드에 대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스트림 노드에 대한 상기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애드-혹 네트워크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의 더욱 상세한 블록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네트워크를 위한 슈퍼프레임 구조(superframe structure)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더욱 상세한 도면.
도 5는 노드의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도 5의 노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하면,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병기된다. 도 1은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네트워크(100)는 802.15.3 고속 데이터 레이트들을 위한 무선 개인용 에어리어 네트워크들 또는 IEEE 802.15.4 저 레이트 무선 개인용 에어리어 네트워크들로 정의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는 애드혹 주문형 거리 벡터 라우팅(AODV), 다이나믹 소스 라우팅(DSR), 시간적으로 순서화된 라우팅 알고리즘(TORA), 블루투스TM 표준(IEEE 표준 802.15.1).... 등과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을 이용하거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는 조정 장치(10)와 통신시 다수의 조정 장치(또한, 루트 노드, 루트 제로 노드, 개인 에어리어 네트워크(PAN) 코디네이터라 칭함)(10) 및 다수의 슬레이브 노드들(20)을 포함한다. 노드들(20)은 조정 장치들(10)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화를 통해서 상호 통신하는 장치들을 표시한다. 노드들(20)은 이동될 수 있거나(이동) 이들은 소정 장소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PAN 코디네이터(PNC)(210) 및 노드들(203-209)를 도시한 시스템(100)의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전송 프로토콜은 미국 출원 10/304428 및 지그비 릴리스 1.0.에 서술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모든 통신은 PNC(210)을 통과할 것이다. PNC(210)는 PAN 내에서 장치들의 타이밍 및 동기화시키며, 특정 네트워크 논리 어드레스를 할당하며, 내부 PAN 라우팅 메시지들에, 장치 발견 및 서비스 발견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역할을 하고 전력 제어를 위한 역할을 한다. 각 PNC(210)는 이 아래의 차일드 노드들의 최대 수(Cm)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각 차일드 노드는 최대 Cm 차일드 노드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2에서, PNC(210)은 이와 관련된 2개의 차일드 노드들(노드들 203 및 204)를 갖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차일드 노드(209)는 또한 이와 관련된 2개의 차일드 노드들(노드들 207 및 208)을 갖는다.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임의의 노드는 전체 네트워크 내에 허용된 최대 홉들의 수인 PNC 노드로부터 Lm까지의 임의의 수의 홉들일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노드들(207 및 208)은 PNC(210)로부터 3개의 홉들로 떨어져 있으며며, 노드들(205, 206, 및 209)은 루트 노드(210)로부터 2개의 홉들로 떨어져 있다. 최종적으로, 노드들(203 및 204)은 PNC(210)로부터 하나의 홉으로 떨어져 있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 방식을 도시한다. 장치들(201-208) 간의 통신 동안, 특정 전송 프로토콜은 네트워크(100)에 의해 사용되는 데, 각 PAN은 미국특허 출원 10/414,838에 서술된 바와 같이 특정 비-중첩 슈퍼프레임(301, 302) 내에서 통신한다. 도 2와 관련하여, PNC(210)과 관련된 노드들은 슈퍼프레임(301) 내의 모든 필요한 전송들을 완료하는 반면, 또 다른 피코넷과 관련된 노드들은 슈퍼프레임(302) 내의 모든 필요한 전송들을 완료한다. 슈퍼프레임 동안, 특정 PNC는 비콘 필드 내에서 PAN 타이밍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반면에 각 노드(코디네이터(PNC))를 포함)는 전송을 위하여 IEEE 802.15.3의 경쟁 액세스 기간(CAP), 경쟁프리 RLKS 슬롯, 채널 시간 할당(CTA) 설비의 부분을 가질 것이다. 보장된 시간 슬롯 동안, 특정 노드는 임의의 특정 노드로 실행되길 원하는 임의의 명령(COM)을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단일 노드 또는 노드들의 세트를 위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시간 슬롯 동안, 노드는 또한 비콘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비콘 인에이블된 애드-혹 센서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관계는 프록시미티(proximity)를 스캐닝하고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초대로서 작용하는 비콘들을 발견하는 노드로 개시된다. 노드가 네트워크 관계를 완료할 때, 이는 시간 동기화의 수단으로서 그리고 관계 초대의 신호로서 자신들의 비콘들을 송신하기 시작한다. 비콘 인터벌(BI) 및 슈퍼프레임 길이 또는 지속기간(SD)은 BI=2^(B0) 여기서 BO=0, 1, 2,...14 및 SD=2^(SO) 여기서 SO=1,2,..BO로서 비콘 순서(BO) 및 슈퍼프레임 순서(SO) 각각에 의해 결정된다. 듀티-사이클은 SD/BI로서 정의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다.
애드-혹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장치들이 연장된 기간들 동안 슬립하도록 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러므로, 노드가 전송할 데이터를 갖지 않거나 다른 노드의 전송들을 청취하길 원하지 않을 때, 노드는 슬립 모드로 들어가 자신의 송신기를 전력 다운시킨다. 이 노드는 노드가 비콘 신호를 다시 전송하도록 할 때 어웨이크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노드가 겪는 데이터 트래픽의 량들은 데이터 전달 비의 적절한 값을 성취하기 위하여 특정 듀티-사이클을 필요로 한다. 중 부하(Heavy load)는 풀 듀티-사이클(full duty cycle)을 요구하는 반면에(짧은 비콘 간격), 경 부하(light load)는 로우 듀티-사이클(low duty cycle)을 위하여 허용된다. 노드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은 효율적인 동작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슈를 처리하기 위하여, 네트워크(100) 내의 노드들은 개인 에어리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PNC)로부터 상기 장치로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사이클들을 대화식으로 스위칭할 것이다. PNC로부터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듀티 사이클들을 변경시키면 듀티-사이클들의 공간 패턴들이 데이터 스루풋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네트워크 넓은 전력 소모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내에 형성하도록 한다.
노드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들은 필요로 되는 데이터 전달비로부터 도출되는 필요로 되는 트래픽 부하(R), 현재 슈퍼프레임 순서(SO), 및 최대 홉 수(HMAX)에 기초한다. 데이터 전달비의 기능으로서 데이터 트래픽 부하는 시뮬레이션들, 측정들,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글로벌 전체 듀티-사이클(global full duty-cycle)(R1), 로우 듀티-사이클(low duty cycle)(R2) 및 듀티-사이클 그래디언트(duty-cycle gradient) 모드를 허용하기 위한 데이터 트래픽의 문턱값들은 커버리지 에어리어(A)에서 주어진 총 노드들(N)의 수에 대해서 결정된다.
(i) R이 문턱값 R1보다 클 때, 노드는 최대 듀티-사이클(DC=DMAX)로 스위치한다.
(ii) R이 문턱값 R2보다 작을 때, 노드는 최소 듀티-사이클(DC=DMIN)로 스위치한다.
(iii) R이 R1 및 R2 사이일 때(즉, R2<R<R1), 노드는 "듀티-사이클 그래디언트" 모드(DMIN<DC<DMAX))로 스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듀티 사이클은 PNC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듀티--사이클은 이웃하는 노드의 듀티 사이클에 기초한다. 특히, 이웃하는 노드의 SO가 얻어지고 나서 1씩 만큼 감소된다. 이 결과의 SO는 SO'=mSO"를 규정함으로써 정수 또는 분수의 포맷을 갖도록 허용된다.
도 5는 노드(5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500)는 논리 회로(501)에 차례로 결합된 송신기(503) 및 수신기(505)를 포함한다. 동작 파라미터들 데이터베이스(509)는 SO, R1, R2, DCMIN, DCMAX, DC, HMAX, 및 HMIN과 같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도록 제공된다. 클록 (507)은 정확한 시스템 시간에 노드(500)를 적절하게 시간 동기화시키도록 하는 타이밍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노드(500)에 대한 각종 형태들이 포함되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노드(500)는 프리스케일 사로부터 형성된다. MC13192 송수신기(송신기(504) 및 수신기(505))는 모토로라 HC08-8비트 프로세서(501)에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노드(50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노드(500)의 듀티 사이클은 루트 노드(PNC)에 대한 홉들의 수에 기초한다. 논리 흐름은 노드(500)가 특정 듀티 사이클(예를 들어, DC)로 동작하는 단계(601)에서 시작한다. 단계(603)에서 논리 회로(501)는 데이터베이스(509)에 액세스하고 PNC로부터 홉들(H)의 수를 결정한다. 단계(605)에서, 논리 회로(501)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자신의 현재 필요로 되는 데이터 스루풋 또는 부하를 결정한다. 이는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이전 시간 기간(예를 들어, 이전 10초에 걸쳐서 송신기(503)에 의해 송신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성취된다. 단계(607)에서, 논리 회로(501)는 현재 데이터 부하가 제 1 문턱값 R1보다 큰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논리 흐름은 듀티 사이클이 최대값(DMAX=1)으로 설정되는 단계(609)로 계속된다. 현재 데이터 부하가 R1보다 크지 않다라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논리 회로(501)가 현재 부하가 제 2 문턱값 R2보다 작은지를 결정하는 단계(611)로 계속된다. 단계(611)에서, 현재 부하가 R2보다 작다라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듀티 사이클이 최소값(DMIN)으로 설정되고 논리 흐름이 단계(601)로 리턴되는 단계(613)로 계속된다.
데이터 부하가 R1보다 크지 않고 R2보다 적다면, 논리 흐름은 듀티 사이클이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PNC로 조정되는 단계(615)로 계속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듀티 사이클은 네트워크 전개 전 설정된 디폴트값으로부터 SO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서 조정된다. SO는 H가 0 및 HMAX 간에서 증가 또는 감소됨에 따라서 SOmin 및 SOmax간에서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H=0일 때, SO는 SOmax 로 설정되고 H=HMAX일 때, SO는 SOmin=SOmax-HMAX로 설정된다. H가 0 및 HMAX 사이일 때, SO는 SOmax 및 SOmin 간에 선형적으로 감소된다. 특히, 주어진 홉 카운트(H)에 대해서, SO=m(SOmax-H), 여기서 H=0,1...HMAX. 예를 들어, SOmax=7일 때, HMAX=4, H=2를 갖는 노드의 SO 값은 m=1이면 5와 동일한데, 여기서 m은 상수이다. DC=SD/B1=2^(SO)/2^(BO)이기 때문에, SO 감소는 듀티 사이크를 감소시키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따른 노드(50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노드(500)의 듀티 사이클은 자신의 패런트 노드의 듀티 사이클에 기초한다. 특히, 노드(500)의 듀티 사이클은 자신의 패런트 노드로부터 증분적으로 감소된다. 노드 흐름은 노드(500)가 특정 듀티 사이클(예를 들어, DC)로 동작하는 단계(701)에서 시작한다. 단계(703)에서, 논리 회로(501)는 데이터베이스(509)에 액세스하고 업스트림 노드(패런트)의 SO의 현재 값을 얻는다. 단계(705)에서, 논리 회로(501)는 현재 필요로 되는 데이터 스루풋을 결정한다. 이는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이전 시간 기간(예를 들어, 이전 10초)에 걸쳐서 송신기(503)에 의해 송신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성취된다. 단계(707)에서 논리 회로(501)는 현재 데이터 부하가 제 1 문턱값 R1보다 큰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논리 흐름은 듀티 사이클이 최대값(DMAX=1)으로 설정되는 단계(709)로 계속된다. 현재 데이터 부하가 R1보다 크지 않다라고 결정되면, 논리 흐름은 현재 부하가 제 2 문턱값 R2보다 작은지를 논리 회로(501)가 결정하는 단계(711)로 계속된다. 단계(711)에서, 현재 부하가 R2보다 작다라고 결정되면, 논리 흐름은 듀티 사이클이 최소값(DMIN)으로 설정되고 논리 흐름이 단계(701)로 리턴되는 단계(713)로 계속된다.
데이터 부하가 R1보다 크지 않고 R2보다 적지 않다면, 논리 흐름은 듀티 사이클이 자신의 이웃하는 노드의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단계(715)로 계속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듀티 사이클은 이웃하는 노드의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특히 이웃하는 노드의 듀티 사이클로부터 감소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노드(SOneighbor)SO는 SO가 감소되지 않은 지점인 SO가 최소값에 도달될 때까지 SOneighbor-1로 설정된다.
상기 논리 흐름은 논리 회로(501)에서 업스트림 이웃(도 7)의 SO 값들에 기초하여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고 조정 노드(도 6)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특히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티 사이클이 SO를 변경시킴으로써 변경되지만, 업스트림 이웃하는 노드 또는 홉들에 기초하여 듀티 사이클을 PNC로 변경하는 다른 기술들이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된 동일한 원리들은 슈퍼프레임이 분할될 때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정된 슈퍼프레임이 활성 및 비활성 시간 기간들을 포함하는 서브-구조들로 분할될 때이다. 게다가, IEEE 802.15.4/Zigbee의 슈퍼프레임 구조는 네트워크(100)에 의해 사용되지만, 동일한 듀티-사이클 관리 방식은 다른 슈퍼프레임 구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들은 다음 청구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Claims (10)

  1.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내의 듀티 사이클(DC)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정 노드(coordinating node)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hop)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상기 홉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개인 에어리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personal area network coordinator; PNC)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단계는 슈퍼프레임 순서(superframe order; SO)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은 DC=SD/BI=2^(SO)/2^(BO)로 설정되고, BI는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이고, SD는 슈퍼프레임 길이이고, BO=0,1,2,...14이고, SD=2^(SO)이며, SO=1,2,...BO인,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단계는 커버리지 에어리어에서 주어진 총 노드들의 수에 대해 요구되는 데이터 스루풋(throughput)(R)에 기초하여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은 R이 중 부하 요구들(heavy load demands)을 위해 미리 결정된 제 1 문턱값(R1)보다 클 때 최대값으로 설정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은 R이 경 부하 요구들(light load demands)을 위해 미리 결정된 제 2 문턱값(R2)보다 작을 때 최소값으로 설정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방법.
  8.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듀티 사이클(DC)을 결정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노드로부터 상기 노드로의 홉들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노드는 개인 에어리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PNC)를 포함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기 위해 슈퍼프레임 순서(SO)를 변경하는,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장치.
KR1020087018211A 2006-01-24 2007-01-08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95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75,670 2006-01-24
US11/275,670 US7715352B2 (en) 2006-01-24 2006-01-24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de to determine a proper duty cycle within an ad-hoc network
PCT/US2007/060229 WO2007087466A2 (en) 2006-01-24 2007-01-08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de to determine a proper duty cycle within an ad-hoc network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391A Division KR20110052727A (ko) 2006-01-24 2007-01-08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868A KR20080087868A (ko) 2008-10-01
KR101195785B1 true KR101195785B1 (ko) 2012-11-05

Family

ID=38286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391A KR20110052727A (ko) 2006-01-24 2007-01-08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87018211A KR101195785B1 (ko) 2006-01-24 2007-01-08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391A KR20110052727A (ko) 2006-01-24 2007-01-08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5352B2 (ko)
KR (2) KR20110052727A (ko)
DE (1) DE112007000205B4 (ko)
WO (1) WO20070874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60B1 (ko) * 2004-12-14 2007-09-11 전자부품연구원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캐터넷 구현 방법
US20060198337A1 (en) * 2005-03-07 2006-09-07 Hoang Minh 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node in an ad-hoc communication system
US7715352B2 (en) 2006-01-24 2010-05-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de to determine a proper duty cycle within an ad-hoc network
TWI308013B (en) * 2006-04-10 2009-03-21 Inst Information Industry Power-saving wireless network, packet transmitting method for use in the wireless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7852761B2 (en) 2006-09-07 2010-12-14 Sap Ag Duty cycle control for networks of nodes
TWI326542B (en) * 2006-11-23 2010-06-21 Inst Information Industry Apparatus, method, applic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for dividing a beacon interval
US8819110B2 (en) * 2007-04-16 2014-08-2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data transmission using adaptive time compression
US8134924B2 (en) * 2007-11-27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shared air link resources for traffic
KR100952575B1 (ko) 2007-12-28 2010-04-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비콘 구간 크기 조절을 통한네트워크 성능 개선 방법 및 장치
US8340116B2 (en) * 2008-06-05 2012-12-25 Motorola Mobility Llc Node scheduling and address assignment within an ad-hoc communication system
US8073014B2 (en) * 2009-03-02 2011-12-0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nodes
KR101506041B1 (ko) * 2009-07-13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Wban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DE102009052573A1 (de) * 2009-11-10 2011-05-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acon für ein Sternnetz, Sensorknoten in einem Sternnetz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ternnetzes
KR101601775B1 (ko) * 2009-11-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34596B2 (en) * 2010-09-28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ynchronization of wireless devices in wireless networks
KR101255100B1 (ko) * 2011-06-20 2013-04-18 네스트필드(주) 무선 네트워크에서 경합 없이 시간 슬롯을 노드들에 할당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64209B1 (ko) 2011-07-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하 제어를 위한 상호 방송 구간 및 경쟁 구간 운용 시스템 및 방법
US9998945B2 (en) * 2011-11-30 2018-06-12 Shailesh Patil Methods and apparatus to change peer discovery transmission frequency based on congestion in peer-to-peer networks
US8873518B2 (en) * 2012-09-24 2014-10-28 Silver Spring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messages to nodes within a wireless mesh network
US9326239B2 (en) 2012-09-28 2016-04-26 Broadcom Corporation Managing connectivity between wireless devices
US9077528B2 (en) * 2013-02-20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50044B2 (en) * 2013-05-10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synchronization
CN103402262B (zh) * 2013-07-22 2016-01-13 西安电子科技大学 线型无线传感器网络汇聚方法
US10015720B2 (en) 2014-03-14 2018-07-03 GoTenna,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KR102239090B1 (ko) * 2014-06-05 2021-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GB2563809B (en) 2016-05-06 2021-06-1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0140A9 (en) 1997-02-06 2006-12-14 Mahany Ronald L LOWER POWER WIRELESS BEACONING NETWORK SUPPORTING PROXIMAL FORMATION, SEPARATION AND REFORM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AS TERMINALS MOVE IN AND OUT RANGE OF ONE ANOTHER
WO2002063806A2 (en) * 2001-02-07 2002-08-15 Xtremespectrum,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bandwidth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50171662A1 (en) 2001-06-13 2005-08-04 Strege Timothy A.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s in wheel alignment systems
CN100433673C (zh) 2001-11-28 2008-11-12 自由度半导体公司 在多点协同无线网络之间通信的系统和方法
US7392053B1 (en) * 2003-04-08 2008-06-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listening in a dynamically configured wireless network
US7388886B2 (en) 2003-04-16 2008-06-17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communication signals
US7715352B2 (en) 2006-01-24 2010-05-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de to determine a proper duty cycle within an ad-hoc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868A (ko) 2008-10-01
WO2007087466A3 (en) 2007-12-13
DE112007000205B4 (de) 2010-01-21
DE112007000205T5 (de) 2008-11-13
WO2007087466A2 (en) 2007-08-02
KR20110052727A (ko) 2011-05-18
US20070174465A1 (en) 2007-07-26
US7715352B2 (en)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785B1 (ko) 노드가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적절한 듀티 사이클을결정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Van Hoesel et al. A lightweight medium access protocol (LMAC)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ohvakka et al. Energy-efficient neighbor discovery protocol for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689550B1 (ko)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Yahya et al. Towards a classification of energy aware MAC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EP1608191B1 (en) Power saving system in distribut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coresponding method
Kredo II et al. Medium access contro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766039B1 (ko) 무선 통신망에서 전송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 상기슈퍼프레임의 전송 방법, 및 상기 슈퍼프레임을 통한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제어 방법
US7844308B2 (en) Communicating over a wireless network
KR101293378B1 (ko) 포스트 그룹캐스트 타임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US8189506B2 (en) Deep sleep mode for mesh points
US7298716B2 (en) Clustering based load adaptive sleeping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FI119712B (fi) Energiatehokas naapureiden havaitseminen liikkuvissa langattomissa sensoriverkoissa
Purohit et al. WiFlock: Collaborative group discovery and maintenance in mobile sensor networks
JP2009526439A (ja) 電力管理
EP2115965A1 (en) Low-power wireless multi-hop networks
EkbataniFard et al. A detailed review of multi-channel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Shah et al. Modeling and analysis of opportunistic routing in low traffic scenarios
Adhikari A meticulous study of various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Nam et al. Guaranteeing the network lifeti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MAC layer approach
Gragopoulos et al. FP-MAC: A distributed MAC algorithm for 802.15. 4-like wireless sensor networks
EkbataniFard Multi-channel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A survey
Suhonen et al. Communication protocols
Nazim et al. Bandwidth and energy consumption tradeoff for IEEE 802.15. 4 in multihop topologies
Babu et al. A MAC Protocols using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28

Effective date: 2012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