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550B1 -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550B1
KR100689550B1 KR1020040013763A KR20040013763A KR100689550B1 KR 100689550 B1 KR100689550 B1 KR 100689550B1 KR 1020040013763 A KR1020040013763 A KR 1020040013763A KR 20040013763 A KR20040013763 A KR 20040013763A KR 100689550 B1 KR100689550 B1 KR 10068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value
nodes
beacon frame
value
ma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980A (ko
Inventor
이재호
마중수
서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550B1/ko
Priority to US10/958,799 priority patent/US20050190759A1/en
Publication of KR2005008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6Route discovery pa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6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hybrid routing by combining proactive and reactiv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MANET)에서 복수 개의 노드가 헬로 패킷(hello packet)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소정의 카운터값을 동일하게 갖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상기 카운터값에 따라 소정의 BI(Beacon Interval)에서 동시에 깨어나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헬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MANET, BI, HI

Description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hello packet MANET}
도 1a 및 도 1b는 MANET에서의 AODV 라우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MANET에서의 PSM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NET의 이동 단말의 MAC 프로토콜 계층 모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NET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노드에서 웨이크업(Wake-up)할 BI를 알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노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노드가 동일한 BI에서 깨어나 Hello 패킷을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 단말(이하 스테이션이라 함)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Mobile Ad hoc NETwork(이하 MANET 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LAN에 대한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 이하 MAC 이라고 함) 프로토콜 계층 모듈 및 헬로 패킷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MANET은 고정 라우터나 호스트, 무선 기지국을 가지지 않는 비인프라구축망(infrastructless network)이다. MANET에서는 이동 노드 간의 연결은 피어-투-피어(peer-to-peer) 레벨의 멀티 호핑(multi-hopping)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것은 네트워크 구조(network topology)가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스스로 조직가능하고(self-forming), 자체치유(self-healing)가 가능하다. MANET은 고정된 기지국만이 이동 서비스를 지원하는 형태의 네트워크가 아니므로 노드 자신이 애드 혹(Ad-hoc) 형태로 네트워크 라우팅 인프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MANET을 구성하는 각 노드들은 자유 자재로 이동하는데 따른 제약 사항이 없으며, 이에 따라 노드의 빠른 이동에 따른 구조변화에 적응 가능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MANET(Mobile Ad hoc Network)을 구성하기 위해서 각 노드들은 인접된 노드와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목적지 노드까지 도달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 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이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현재 MANET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들 중의 하나가 AODV(Ad-Hoc on Demand Distance Vector)이다.
AODV(Ad-Hoc on Demand Distance Vector)는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노드의 라우팅 정보가 없는 경우에 RREQ를 hop-by-hop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목적지 노드에 도착을 하면, 그때 역으로 RREP를 유니캐스트(unicast)로 소스 노드에게 되돌려 주는 방법으로 경로를 찾는다. 그리고 MANET에서는 노드들의 자유로운 이동으로 인해, 또는 무선링크의 간섭, 페이딩과 같은 현상으로 인해서 라우팅 정보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AODV는 HELLO 패킷을 사용하여 자신과 인접한 노드들의 최신 정보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한다.
도 1a 및 도 1b는 MANET에서의 AODV 라우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각 노드 N1~N8(10~80)는 제한된 영역내에서만 통신가능하므로 인접한 노드들과만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노드 N1~N8(10~80)는 노드들 N1~N8(10~80)이 설정 간격(set intervals)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HELLO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이웃 노드들의 트랙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의의 한 노드는 Hello Interval(=default 1sec) 마다 주기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이웃한 노드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HELLO 패킷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어느 한 노드가 이웃한 노드들로부터 HELLO 패킷을 수신하면, 그들은 라우팅 테이블에서 HELLO 메시지를 송신한 노드와 관련된 정보, 특히 life time 항목을 갱신(update) 한다. 만약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entry가 없으면, 새로 생성하여 삽입한다. 만약 life time동안에 해당되는 node로부터 HELLO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되는 노드와 통신이 불가능 것으로 간주하여 그 entry를 라우팅 테이블로부터 삭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하나의 노드 예컨대, 노드 N1(10)이 이웃 노드가 아닌 다른 노드 예컨대, 노드 N8(80)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노드 N1(10)은 라우트 요청(Route Request: RREQ)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RREQ 메시지는 소스, 목적지, 메시지의 수명(lifespan), 고유한 ID로서 작용하는 시퀀스 넘버와 같은 몇 개의 정보를 포함한다. RREQ 패킷을 수신한 노드 N1(10)의 이웃 노드들은 RREQ 메시지를 그 이웃 노드들 N2(20), N3(30) 및 N4(40)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스 노드 N1(10)로부터 목적지 노드 N8(80)까지 RREQ 패킷이 전송되면, 목적지 노드 N8(8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트 응답(Route Reply: RREP) 패킷을 유니캐스트로 소스 노드 N1(10)에 전송한다.
한편 IEEE 802.11 무선 LAN 표준에서 MANET(Mobile Ad Hoc Network)을 지원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은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이며, 전력 절감을 위한 PSM(Power Saving Mode) 방식을 지정하고 있다. DCF-PSM으로 동작하는 노드들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나 '도즈 상태(doze state)' 중 하나의 상태에 있게 된다. 어웨이크 상태에 있는 노드들은 프레임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그 동작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도즈 상태에 있는 노드들은 통신을 할 수 없으나, 가장 적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도즈(doze) 상태에 있는 모든 노드들은 BI(Beacon Interval)마다 주기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어웨이크 상태로 깨어난다. 라우팅 프로토콜 패킷(RREQ, RREP, 또는 HELLO), 또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패킷과 같이 보낼 데이터가 있으면, ATIM(Announcement Traffic Indication Message)를 보내어 수신 노드를 BI 동안 깨어 있도록 한 후 해당 패킷을 전송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PSM시, 각 노드는 패킷의 송수신 중이 아니면 전원 공급을 줄이고, 주기적으로 즉 비콘 간격(Beacon Interval)으로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ATIM을 이용하여 자신이 패킷을 송신할 지를 알리거나 패킷을 수신할 지를 알게 되어 통신에 참여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인다.
도 2는 MANET에서의 PSM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드 A(110)는 ATIM 윈도우 구간에서 ATIM(Announcement Traffic Indication Message)을 노드 B(120)로 전송하여, 전송할 패킷이 있음을 알린다. 그에 따라 노드B(120)는 ATIM 윈도우 구간에서 ATIM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ACK 메시지를 노드 A(110)로 전송한다. 이어서, 노드 A(110)는 노드 B(120)로 패킷을 전송하고, 노드 B(120)는 패킷을 수신하면 그에 대한 ACK 메시지를 노드 A(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MANET에서 AODV와 IEEE 802.11 MAC의 DCF-PSM을 사용하면 소비전력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한계와 문제점을 갖는다. 임의의 한 노드가 전송할 상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패킷이 전혀 없고, MANET에 참여한 노드의 수가 선 형적(linear)으로 증가할 때, 이웃 노드 상태에 대한 HELLO 패킷을 서로 교환하기 위해서 깨어있어야 하는 시간은 지수 함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한다. 그러므로 한 노드의 전원을 켜 놓고, 사용자의 패킷 교환이 전혀 없는 경우에도 '라우팅 프로토콜의 이웃한 노드를 찾는 절차'로 인해서 배터리의 손실을 빠르게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가장 나쁜 경우는 MANET에 참여한 노드들이 전송할 HELLO 메시지의 HI가 서로 독립적인 BI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때 한 노드와 인접된 노드의 수가 (Hello Interval/Beacon Interval)-1보다 큰 경우에는 모든 노드들이 항상 깨어 있어서 PSM이 아무런 효과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만약 MANET에 참여한 노드들이 발생할 HI가 서로 독립적인 BI에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사용자의 패킷 교환이 없는 대기 상태에서 PSM의 동작을 생각해 보자. 현재 AODV가 제시하는 HI의 디폴트(default) 값은 1sec이다. 그리고 IEEE 802.11이 제시하는 BI의 디폴트(default) 값은 100msec이다. 만약 MANET의 노드 수가 1인 경우, HI동안에 1개의 어웨이크(awake) 상태와 9개의 도즈(doze) 상태를 갖는다. 노드 수가 2인 경우, HI동안에 4개의 어웨이크 상태와 16개의 도즈 상태를 갖는다. 노드 수가 9인 경우, HI동안에 81개의 어웨이크 상태와 9개의 도즈 상태를 갖는다. 노드 수가 10인 경우, HI동안에 100개의 어웨이크 상태와 0개의 도즈 상태를 갖는다. 즉, 디폴트(default) HI와 BI값을 사용하면 MANET에 10이상의 노드가 있으면, 모든 노드들이 항상 깨어 있는 것이 되어 PSM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것과 같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ODV와 IEEE 802.11 DCF-PSM을 사용하며 멀티-홉 애드 혹 네트워크(multi-hop ad hoc network)의 형성 시, 노드들의 수가 증가해도 일정한 소비 전력의 절감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 이하 MAC 이라고 함) 프로토콜 계층 모듈 및 헬로 패킷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MANET)에서 복수 개의 노드가 헬로 패킷(hello packet)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소정의 카운터값을 동일하게 갖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상기 카운터값에 따라 소정의 BI(Beacon Interval)에서 동시에 깨어나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헬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HI마다 MANET에 속한 모든 노드들이 한 BI에만 동시에 깨어 나도록 하고, 그 기간 동안에는 모든 노드들이 이미 깨어 있으므로 ATIM 프레임의 교환없이 오직 HELLO 패킷만 교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머지 BI 기간 동안에는 송신 또는 수신할 패킷이 없으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즈(doze)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MAC 프로토콜 계층 모듈 의 구성 및 비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NET의 이동 단말의 MAC 프로토콜 계층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NET에서의 비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의 MAC 프로토콜 계층 모듈(200)은 제어부(210), 송신부(220), 수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한다.
이 MAC 프로토콜 계층 모듈(200)을 가진 이동 단말이 MANET을 형성하는 경우에 제어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다른 노드로 전송한다. 비콘 프레임(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스탬프(time-stamp) 필드(510), 비콘 주기(beacon interval)(520), 자격 정보(capacity information) 필드(530), SSID(Service Set Identifier) 필드((540), 지원 레이트(Supported rates) 필드(550), ..., TIM(Traffic Indication Map) 필드(56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자격 정보 필드(530)는 ESS(extended service set) 필드(531), I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 필드(532), CF(contention-free) pollable 필드(533), DF(Directory Facilitator)-Poll Request 필드(534), Privacy 필드(53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자격 정보 필드(530)는 Network_AllWalkup 필드(536) 및 Current_Allwalkup 필드(53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Network_AllWalkup 필드(536) 및 Current_Allwalkup 필드(537)는 기존의 자격 정보 필드(530)에 할당되어 있는 예비(Reserved) 필드(538)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etwork_AllWakeUp 필드(536) 및 Current_AllWakeUp 필드(537)는 각각 카운터를 정의한다. Network_AllWakeUp 필드(536)의 값은 HI(hellow Interval)를 발생하는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BI(Beacon interval)의 배수가 되도록 한다.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은 HI중에서 현재의 BI가 어느 순서에 있는 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때마다 값이 변경된다.
이하, 이러한 Network_AllWakeUp 필드(536) 값과 Current_AllWakeUp 필드(537)를 이용하여 제어부(210)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한다.
최초로 MANET을 형성하는 노드인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비콘 프레임의 Network_AllWakeUp 필드(536)에 임의의 초기값을 선택하여 삽입하고, Current_AllWakeUp 필드(537)도 동일한 값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기존에 이미 형성된 MANET에 새로 가입하는 경우 수신한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Network_AllWalkup 필드(536)값 및 Current_Allwalkup 필드(537)값을 메모리(240)에 저장하여 둔다. 이때 메모리(240)에 저장되는 Network_AllWalkup 필드(536)값은 mynetwork로 저장되고, Current_Allwalkup 필드(537)값은 mycurrent로 저장된다.
한편, 비콘 프레임을 다른 노드로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메모리(240)에 저장되어 있는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 즉, mycurrent의 값이 0보다 크면 1을 감소시켜 이 mycurrent 값을 비콘 프레임(500)의 Current_AllWakeUp 필드(537)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메모리(240)에 저장되어 있는 mycurrent값이 0이면, 비콘 프레임(500)의 Current_AllWakeUp 필드(537)값을 메모리(240)에 저장 되어 있는 Network_AllWakeUp 값 즉, mynetwork값으로 초기화하여 전송한다.
제어부(210)는 수신한 비콘 프레임(500)의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이 0이면, HELLO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서 해당 BI동안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송신과 수신할 패킷의 존재 유무에 따라서 어웨이크 상태 또는 도즈 상태를 선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노드에서 웨이크업(Wake-up)할 BI를 알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10)는 단계 602에서 자신이 MANET 시작 노드인지를 판단한다. 노드는 MANET을 처음 형성하면 비콘 프레임을 다른 노드로 전송해야 한다. 제어부(210)는 자신이 MANET 시작 노드이면 단계 604로 진행한다. 제어부(210)는 단계 604에서 최초로 MANET을 형성하는 노드인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비콘 프레임의 Network_AllWakeUp 필드(536)에 임의의 초기값을 선택하여 삽입하고, Current_AllWakeUp 필드(537)도 동일한 값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단계 604에서 Network_AllWakeUp 필드(536)의 값을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단계 606에서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을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상기 단계 602에서 자신이 MANET 시작 노드가 아니면, 단계 610으로 진행하여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단계 620으로 진행하여 메모리(240)에 저장된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 즉, mycurrent의 값이 0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만약 메모리(240)에 저장된 mycurrent의 값이 0보다 크면, 제어부(210)는 단계 622로 진행하여 mycurrent의 값으로부터 1을 감소시키고, 그 mycurrent 값을 비콘 프레임의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mycurrent의 값이 0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 624로 진행하여 비콘 프레임의 Current_AllWakeUp 필드(537)를 메모리(240)에 저장된 mynetwork의 값으로 초기화한 후 단계 626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단계 626에서 전송할 비콘 프레임의 Network_AllWakeUp 필드(536)의 값을 메모리(240)에 mynetwork로서 저장한다. 이어서 제어부(210)는 단계 628에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한편,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10)는 단계 630에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지를 판단한다.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단계 632로 진행하여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을 메모리(240)에 myCurrent로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단계 634에서 수신된 비콘 프레임의 Network_AllWakeUp 필드(536)의 값을 메모리(240)에 myNetwork로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수신한 비콘 프레임(500)의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이 0이면, HELLO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서 해당 BI동안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노드는 비콘 프레임의 Network_AllWakeUp 필드(536) 및 Current_AllWakeUp 필드(537)를 이용하여 동일한 2개의 카운터를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 노드는 2개의 카운터에 따라 동일한 BI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각 노드에서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노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단계 702에서 ATIM(Ad hoc Traffic Indication Message) 윈도우가 도래하는 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ATIM 윈도우가 도래하였으면 단계 704에서 메모리(240)에 저장된 myCurrent 값이 0인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노드는 비콘 프레임의 Network_AllWakeUp 필드(536) 및 Current_AllWakeUp 필드(537)를 이용하여 동일한 2개의 카운터를 유지할 수 있다. Network_AllWakeUp 필드(536)값은 HI(hellow Interval)를 발생하는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BI(Beacon interval)의 배수가 된다. Current_AllWakeUp 필드(537)의 값은 HI중에서 현재의 BI가 어느 순서에 있는 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비콘 프레임의 Network_AllWakeUp 필드(536)값 및 Current_AllWakeUp 필드(537)값은 각 노드에서 mynetwork 및 myCurrent로 저장된다. BI의 경과, 즉 비콘 프레임의 송수신에 따라 myCurrent를 변경함으로써 각 노드는 동일한 카운터값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myCurrent값이 0인 경우에 모든 노드가 깨어나는 것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도 6의 흐름도에서 제어부(210)는 myCurrent값이 0이면 단계 708로 진행하여 Hello 패킷을 송신하고 단계 710으로 진행하여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른 노드들로부터의 Hello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myCurrent값이 0이 아니면 이웃 노드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이웃 노드들로 패킷을 송신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이웃 노드들에 대한 패킷 송수신이 행해져야 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단계 722로 진행하여 어웨이 크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웃 노드들에 대한 패킷의 송수신 동작이 없으면, 제어부(210)는 단계 724로 진행하여 도즈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각 노드는 동일한 BI에서 깨어나 Hello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도 7에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노드가 동일한 BI에서 깨어나 Hello 패킷을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각 노드(110,120,130,140)는 BI(402)의 배수로 되어 있는 HI(Hello Interval)과 hello 패킷을 전송해야 하는 BI를 알고 있다. 복수 개의 노드(110,120,130,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BI(402,404)에서 깨어나 hello 패킷(410,420)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ODV의 HELLO 패킷 전송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한 BI를 HELLO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시간으로 할당하여 사용함으로써, 소비전력 측면에서 HELLO 패킷이 DCF-PSM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과 프로토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에너지 절감 효과를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안된 방식을 사용하면 대기 중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패킷 교환 없이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MANET)에 속한 복수 개의 노드가 헬로 패킷(hello packet)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소정의 카운터값을 동일하게 갖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상기 카운터값이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 상기 헬로 패킷을 전송하는 주기인 HI(Hellow Interval) 내의 BI(Beacon Interval)들 중에 정해진 하나의 BI에서만 동시에 깨어나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헬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상기 HI(Hello Interval) 값을 동일하게 갖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카운터값은 상기 비콘 프레임의 송수신에 따라 변경되는 BI(Beacon Interval) 카운터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카운터값 및 HI값은 비콘 프레임의 예비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노드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각각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콘 프레임의 BI 카운터값으로 자신의 BI 카운터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드가 각각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 자신의 BI 카운터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BI 카운터값을 전송할 비콘 프레임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7.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MANET)에서 헬로 패킷(hello packet)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와 비콘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경우 소정의 카운터값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터값이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 상기 헬로 패킷을 전송하는 주기인 HI(Hellow Interval) 내의 BI(Beacon Interval)들 중에 정해진 하나의 BI에서만 상기 다른 노드들과 동시에 깨어나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헬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카운터값은 상기 비콘 프레임의 송수신에 따라 변경되는 BI(Beacon Interval) 카운터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카운터값을 변경하는 과정은,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 자신의 BI 카운터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BI 카운터값을 전송할 비콘 프레임의 예비 필드에 삽입하는 과정과,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콘 프레임의 BI 카운터값으로 자신의 BI 카운터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로 패킷 전송 방법.
KR1020040013763A 2004-02-28 2004-02-28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KR10068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763A KR100689550B1 (ko) 2004-02-28 2004-02-28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US10/958,799 US20050190759A1 (en) 2004-02-28 2004-10-05 Method for transmitting a hello packet and a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layer module of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ad hoc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763A KR100689550B1 (ko) 2004-02-28 2004-02-28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980A KR20050087980A (ko) 2005-09-01
KR100689550B1 true KR100689550B1 (ko) 2007-03-02

Family

ID=3488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763A KR100689550B1 (ko) 2004-02-28 2004-02-28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90759A1 (ko)
KR (1) KR100689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0345B2 (en) 2000-12-22 2012-10-02 Google Inc. LPRF device wake up using wireless tag
US7583769B2 (en) 2005-06-16 2009-09-01 Terahop Netowrks, Inc. Operating GPS receivers in GPS-adverse environment
WO2008103861A1 (en) * 2007-02-21 2008-08-28 Terahop Networks, Inc. Wake-up broadcasting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in common designation ad hoc wireless networking
US7733818B2 (en) * 2000-12-22 2010-06-08 Terahop Networks, Inc. Intelligent node communication using network formation messages in a mobile Ad hoc network
US7830850B2 (en) * 2000-12-22 2010-11-09 Terahop Networks, Inc. Class-switching in class-based data communcations network
US7783246B2 (en) 2005-06-16 2010-08-24 Terahop Networks, Inc. Tactical GPS denial and denial detection system
US7522568B2 (en) * 2000-12-22 2009-04-21 Terahop Networks, Inc. Propagating ad hoc wireless networks based on common designation and routine
US7742773B2 (en) 2005-10-31 2010-06-22 Terahop Networks, Inc. Using GPS and ranging to determine relative elevation of an asset
US20080303897A1 (en) 2000-12-22 2008-12-11 Terahop Networks, Inc. Visually capturing and monitoring contents and events of cargo container
US8315563B2 (en) 2000-12-22 2012-11-20 Google Inc. Wireless reader tags (WRTs) with sensor components in asset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s
US7720461B2 (en) * 2004-02-26 2010-05-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ity features
KR100770878B1 (ko) * 2004-05-1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US7142107B2 (en) 2004-05-27 2006-11-28 Lawrence Kates Wireless sensor unit
US7702352B2 (en) * 2005-05-13 2010-04-20 Intel Corporation Network node power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EP1905200A1 (en) * 2005-07-01 2008-04-02 Terahop Networks, Inc. Nondeterministic and deterministic network routing
US8576846B2 (en) * 2005-10-05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EP1972159A1 (en) * 2006-01-01 2008-09-24 Terahop Networks, Inc. Determining presence o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29306A1 (en) 2007-02-21 2009-05-21 Terahop Networks, Inc. Wake-up broadcast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in common designation ad hoc wireless networking
US10277519B2 (en) 2006-01-31 2019-04-30 Silicon Laboratories Inc. Response time for a gateway connecting a lower bandwidth network with a higher speed network
US10326537B2 (en) 2006-01-31 2019-06-18 Silicon Laboratories Inc. Environmental change condition detection through antenna-based sensing of environmental change
IL176331A (en) * 2006-06-15 2011-06-30 Rafael Advanced Defense Sys Ad hoc network used for multi-connection routing
US8223680B2 (en) 2007-02-21 2012-07-17 Google Inc. Mesh network control using common designation wake-up
KR101467844B1 (ko) * 2007-11-14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8462662B2 (en) 2008-05-16 2013-06-11 Google Inc. Updating node presence based on communication pathway
WO2009151877A2 (en) 2008-05-16 2009-12-17 Terahop Networks, Inc. System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container
US8391435B2 (en) 2008-12-25 2013-03-05 Google Inc. Receiver state estimation in a duty cycled radio
US8300551B2 (en) 2009-01-28 2012-10-30 Google Inc. Ascertaining presence in wireless networks
US8705523B2 (en) 2009-02-05 2014-04-22 Google Inc. Conjoined class-based networking
KR101294279B1 (ko) * 2009-12-21 2013-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웨이크업 모듈을 구비한 센서 노드, 웨이크업 시퀀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9112790B2 (en) 2013-06-25 2015-08-18 Google Inc. Fabric network
US9191894B2 (en) * 2013-07-23 2015-11-17 Disney Enterprises, Inc. Power saving for multi-hop communications
US10637681B2 (en) 2014-03-13 2020-04-28 Silicon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and remote control of controlling units
US10637673B2 (en) 2016-12-12 2020-04-28 Silicon Laboratories Inc. Energy harvesting nodes in a mesh network
US11082324B2 (en) 2018-07-27 2021-08-03 goTenna Inc. Vine: zero-control routing using data packet inspection for wireless mesh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7683B2 (en) * 2000-03-16 2008-02-05 Sri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eminating topology information and for discovering new neighboring nodes
US6845091B2 (en) * 2000-03-16 2005-01-18 Sri International Mobile ad hoc extensions for the internet
US7698463B2 (en) * 2000-09-12 2010-04-13 Sri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disseminating topology and link-state information to routing nodes in a mobile ad hoc network
EP1386432A4 (en) * 2001-03-21 2009-07-15 John A Stine PROTOCOL OF ACCESS AND ROUTING FOR AD HOC NETWORKS, IN WHICH THE COLLISION RESOLUTION AND THE DISSEMINATION OF NODE STATES ARE USED
KR100481514B1 (ko) * 2003-02-07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신호레벨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WO2004098975A2 (en) * 2003-04-30 2004-11-18 Union Switch & Signal, Inc. Method and system providing sleep and wake-up modes for railway track circuit unit
US6879567B2 (en) * 2003-06-17 2005-04-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life extension for nodes within beaconing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980A (ko) 2005-09-01
US20050190759A1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550B1 (ko)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헬로 패킷 전송 방법
Zheng et al. Asynchronous wakeup for ad hoc networks
US7298716B2 (en) Clustering based load adaptive sleeping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US9288754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power save for wireless access points and multi-hop relays
KR101158567B1 (ko) 메쉬 포인트들을 위한 딥 슬립 모드
CA2716353C (en) Wireless network including post groupcast time
US752254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ATIM in mobile ad hoc network and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layer module therefor
CN107743718B (zh) 经由nan代理服务器提供代理服务的方法和装置
US200701744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de to determine a proper duty cycle within an adhoc network
Tseng et al. Fully power-aware and location-aware protocols for wireless multi-hop ad hoc networks
Gao et al. Energy saving with node sleep and power control mechanism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EP2171929A1 (en) Path selection and power management in mesh networks
Nieberg et al. Collaborative algorithms for commun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Hwang et al. A novel efficient power‐saving MAC protocol for multi‐hop MANETs
Chao et al. Energy-conserving grid routing protocol in mobile ad hoc networks
US8355380B1 (en) Mesh power conservation
Hsieh et al. A hybrid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Qin et al. ZigBee-assisted power saving for more efficient and sustainable ad hoc networks
Balachandran et al. Adaptive sleeping and awakening protocol (ASAP) for energy efficient adhoc sensor networks
Youn et al. Routing algorithms for balanced energy consumption in ad hoc networks
Haw et al. A Performance Study on the Ad-hoc Routing Protocol Used in the Cross-Layer Design for Wireless Sensor Network
Lee et al. Wi-BLE: On cooperative operation of Wi-Fi and Bluetooth low energy under IPv6
KR100770878B1 (ko)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Ray et al. Energy conservation issues and challenges in MANETs
PRISKILLA et al. EFFICIENT SOURCE ROUTING SCHEME FOR MOBILE AD HOC NETWORKS TO MINIMIZE CONTENT DOWNLOAD TIME AND ENERGY CONSU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