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669B1 -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669B1
KR101195669B1 KR1020110025706A KR20110025706A KR101195669B1 KR 101195669 B1 KR101195669 B1 KR 101195669B1 KR 1020110025706 A KR1020110025706 A KR 1020110025706A KR 20110025706 A KR20110025706 A KR 20110025706A KR 101195669 B1 KR101195669 B1 KR 10119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plate
cake
connector
filt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131A (ko
Inventor
경윤현
Original Assignee
한국필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필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필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69B1/ko
Priority to PCT/KR2011/004787 priority patent/WO2012128425A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64Chamber-plate presses, i.e. th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s being clamped between two successive filter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21Plate and frame presses
    • B01D25/215Construction of the filter plates,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고, 필터프레스의 내부에 생성된 케이크가 원활하게 탈리되도록 하는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는 여과포와 결합된 연결구가 일정 행정거리 걸림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구가 배치되는 장공을 형성한 여과판의 제공으로, 여과포 전체가 걸림없이 원활하게 움직이면서 스트로크(stroke)될 수 있어 필터프레스로부터의 케이크 분리 효율이 극대화되고, 연결구 내부에 형성된 케이크의 탈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FILTER PRESS AVAILABLE OF REMOVING CAKE AND FILTER PLATE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여과공정이 완료된 후 여과포 전체가 걸림없이 일정 행정거리만큼 원활하게 스트로크(stroke)되어 여과판으로부터 케이크의 분리 효율이 극대화되는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프레스(filter press)는 압력여과기의 일종으로, 여과포가 각각 개재되는 다수개의 여과판이 일렬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액체 속에 어떠한 종류의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액상(液狀)의 여과대상 물질이 펌프 등으로 압입되어 필터프레스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여과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여과포를 통과하여 여액과 케이크(cake)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프레스는 여과판을 이송시켜서 열거나 닫기 위한 여과판 이송유니트를 구비하여 여과판을 닫은 상태에서 여과공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여과판을 연 상태에서 필터프레스의 내부에 생성된 케이크가 탈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필터프레스는 여과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여액과 케이크를 활용하는 식품, 제철, 염색, 섬유, 안료, 염료, 양조, 제유(製油), 제련 등의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거나, 유해물질의 여과를 위한 상하수도처리, 폐수처리 분야 등에 활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필터프레스를 이루는 각 여과판은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평판체의 양 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여과포는 연결구로 사용되는 중앙의 원통형 여과포 양측으로 여과포를 일체로 형성한 'H'형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여과포는 중앙의 원통형 여과포와 일체로 연결되는 일측 여과포를 말거나 오므려서 여과판의 관통공을 통해 반대측으로 밀어 넣은 뒤 반대측에서 잡아당겨 다시 펼치는 과정을 통해 여과판의 양측 표면 상에 배치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필터프레스는 여과판의 양측 표면으로 여과포를 배치시켜 여과기구를 이루도록 하는데 번거로움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여 기술로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97653호 "필터프레스용 여과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필터프레스용 여과기구"는 여과판의 각 일면에 결합되는 여과포를 구비하되, 여과판의 양 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이 이동하는 이동로로 사용되고, 이와 같은 관통공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여액이송구가 연결구로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여과포에 형성된 홀에 끼워지면서 실에 의해 여과포에 박음질되는 제1록킹부재와 제2록킹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여과판의 여액이송구에 형성된 원형 홈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제1록킹부재와 제2록킹부재의 고정에 의해 여액이송구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이 여액이 흐르는 공간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여과포가 여과판의 표면 상에 착탈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필터프레스용 여과기구"는 여과판에 여과포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어 여과판의 양측 표면으로 여과포를 배치시켜 여과기구를 이루도록 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필터프레스를 통해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이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될 시 액상(液狀)의 여액은 여과판과 여과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나, 필터프레스의 형성되는 각종 통로를 따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 고상(固狀)의 케이크는 각 여과판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포 사이에 끼여 여과포에 부착되고, 여과판의 연결구 내부에도 끼여지게 되므로, 여과공정 완료 후 케이크는 별도의 케이크 탈리공정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필터프레스는 여과판 이송유니트를 작동시켜 여과판을 일렬로 밀착되게 배열된 여과판을 열고, 작업자가 여과포를 털어서 필터프레스의 내부에 생성된 케이크가 탈리되도록 하였으나, 작업조건에 따라 열악한 환경 및 유해한 환경속에 작업자가 노출되는 안전상의 문제와 노동력 제공으로 작업 효율이 낮고, 케이크의 탈리 효율도 그리 높지 않아 여과포에 일정량의 케이크가 계속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여과포의 여과 공극이 막힘에 따라 여과포의 여과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여 케이크의 탈리 효율을 증대시키고, 케이크의 탈리공정을 자동화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는데,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36847호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등록번호 제10-0575494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등을 제안한 바 있다.
이때, 본 발명자가 제안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포가 결합되는 여과포 지지바, 여과포 지지바와 접속하게 되고 보조바가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바, 여과판에 고정되는 핸들, 여과판에 고정되어 여과포 지지바의 초기위치를 유지시키게 되는 세팅유니트 및, 슬라이딩바를 이동시켜 여과포의 움직임을 유도하게 되는 강제 이송유니트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공정 완료 후 강제 이송유니트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바가 강제 이송되어 여과포 지지바와 여과포가 일체로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여과포의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여과포의 움직임에 따라 여과포에 부착된 필터프레스 내부의 케이크가 탈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제안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H'형 여과포를 가진 종래의 필터프레스용 여과기구에 적용되어 여과판의 움직임이 유도될 경우, 'H'형 여과포 중앙의 연결구와 여과판의 관통공이 크기가 유사하여 'H'형 여과포 중앙의 연결구가 여과판의 관통공을 둘러싸는 여과판의 내주면에 걸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여과포는 거의 이동하지 않고 미세거리 범위에서 진동만 하게 되어 여과포가 급격하게 움직이거나 일정거리를 신속하게 행정운동하도록 하는 여과포에 대한 스트로크(stroke)가 제대로 수행될 수 없게 되고, 이로써 케이크의 탈리공정을 자동화시키는 이점은 있으나, 케이크의 탈리 효율을 높이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가 제안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97653호 "필터프레스의 여과기구"에 적용되어 여과판의 움직임이 유도될 경우에도, 여과판의 연결구로 구비되는 여액이송구에 여과판이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여과포는 여과포 지지바의 이동시 소재의 탄성에 의한 진동만 하게 되어 여과포가 급격하게 움직이거나 일정거리를 신속하게 행정운동하도록 하는 여과포에 대한 스트로크(stroke)가 제대로 수행될 수 없게 되고, 이로써 케이크의 탈리공정을 자동화시키는 이점은 있으나, 케이크의 탈리 효율을 높이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제안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 대한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케이크 탈리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필터프레스의 자동화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연결구가 위치되는 여과판의 관통공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케이크 탈리유니트에 의한 여과포의 움직임 유도시 여과포와 연결된 연결구도 장공을 따라 일정 행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제공으로 여과포가 전체부위에 걸쳐 걸림없이 움직이면서 원활하게 스트로크(stroke)되면서 연결구의 내부에 형성된 케이크의 탈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의 끝단부에서 여과판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여과판의 장공을 덮게 되는 커버편을 구비하는 구성의 제공으로 필터프레스로 공급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에 의해 여과포가 연결구 외측의 장공에 끼이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여과포의 여과 기능과 여과공정 완료 후의 케이크 탈리 기능이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과판의 장공에 관통 삽입되는 별도의 조립형 연결구가 구비되어 여과포가 결합되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장치의 설치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포가 배치되는 여과판이 요철 표면을 가지도록 하거나, 여과포가 배치되는 연결구의 커버편이 요철 표면이나 타공된 표면을 가지도록 하여 여과포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액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필터프레스에 있어서, 정해진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판의 관통공에 위치되고,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이동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여과포와 연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여과포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상기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로부터 생성된 케이크가 탈리되도록 하는 케이크 탈리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판은 상기 케이크 탈리유니트에 의해 상기 여과포의 움직임이 유도되는 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되는 장공이 상기 관통공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케이크 탈리유니트에 의한 상기 여과포의 움직임 유도시 상기 연결구가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행정(行程)거리가 증대되면서 상기 연결구와 연결된 상기 여과포에 대한 스트로크(stroke)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에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여과포와 연결되는 끝단부에 상기 여과판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을 덮게 되는 커버편을 더 구비하여, 이동하는 상기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포가 상기 연결구 외측의 장공에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 있어서, 정해진 위치에 장공이 정해진 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되어 양측 표면을 관통하도록 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장공에 위치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이동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여과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게 되는 여과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서 상기 연결구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판의 장공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형 몸체단와; 상기 관형 몸체단의 일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여과판의 일측 표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판의 일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일측 여과포와 결합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관형 몸체단의 타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여과판의 타측 표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판의 타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타측 여과포와 결합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판의 장공으로 삽입된 상기 관형 몸체단의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구가 상기 여과판의 장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로부터 상기 여과판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을 덮게 되는 강체(剛體) 소재의 커버편이 더 구비하여, 이동하는 상기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생성된 케익이 상기 여과포가 상기 연결구 외측의 장공에 압력을 받아 함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 의하면, 여과공정 완료 후 케이크 탈리유니트에 의한 여과포의 움직임 유도시 여과판의 장공을 따라 연결구가 걸림없이 일정 행정거리 이동하면서 연결구와 결합된 여과포의 스트로크(stroke)가 수행됨에 따라, 필터프레스로부터의 케이크 탈리 효율이 극대화되는 한편, 연결구 내부의 케이크 탈리도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케이크 분리공정이 자동화되는 구성의 제공으로 필터프레스를 통한 여과공정과 케이크의 분리공정의 전공정이 완전하여 자동화되어 필터프레스의 기능이 향상되고, 이로써 필터프레스를 통해 생성되는 여액과 케이크를 활용하는 식품, 제철, 염색, 섬유, 안료, 염료, 양조, 제련 등의 산업분야의 제조생산성이 증대되고, 필터프레스를 통해 여과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상하수도처리, 폐수처리 등의 처리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구에 구비되는 커버편에 의해 여과판의 장공이 덮힌 상태로 필터프레스로 공급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에 대한 여과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으로 여과포가 연결구 외측의 장공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어 케이크 탈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의 설계변경에도 여과포의 여과 기능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가 조립식으로 별도의 구비되어 여과포가 설치됨에 따라, 장치의 설치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써 유지보수작업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요철 표면을 가지는 여과판과, 요철 표면이나 타공된 표면을 가지는 커버편을 구비한 연결구에 여과포가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에 의해 여과포가 여과판이나 연결구의 커버편에 밀착되더라도 여과포와 여과판, 여과포와 커버편 사이에 형성되는 여액로나 커버편의 통공을 통과하여 여과된 여액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여액의 배출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서 연결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장치에서 여과판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장치에서 여과판의 적용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서 연결구의 커버편의 구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보인 커버편이 적용된 여과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에서 케이크 탈리유니트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여과판의 단면방향으로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여과판의 정면방향으로 주요 구성을 보여주면서 여과포의 스트로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1)는 여과판(120), 여과포(140), 연결구(160)로 이루어지는 여과판 장치(100)와,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게 된다. 여기서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은 통상 필터프레스를 이용한 여과공정에서 슬러리(slurry), 슬러리액, 슬러리 원액 등으로 지칭되는 것으로서, 액체 속에 어떠한 종류의 고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이거나, 미세한 고체입자가 액체 속에 현탁(懸濁)되어 있는 현탁액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1)는 일반적인 필터프레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관련된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필터프레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1)에서 여과판 장치(100)의 여과판(120)은 정해진 위치에 관통공(121)이 양측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여과판(120)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필터프레스(1)의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120)은 관통공(121)이 정해진 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되는 장공(121a)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결구(160)는 여과판(120)의 장공(121a)에 위치되는 것으로, 연결구(160)의 양단부에 여과판(120)의 양 표면으로 배치되는 여과포(1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구(160)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이동로(16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구(160)는 여과판(120)과 분리되어 여과판(120)의 장공(1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공(121a)이 길다랗게 형성된 방향으로 장공(121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구(160)는 원형 단면의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이 연결구(16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원형 이외의 삼각, 사각 등의 각형 단면의 중공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과판(120)의 장공(121a)보다 작은 크기의 타원 단면의 중공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과포(140)는 여과기능을 갖는 각종 재질의 시트(sheet)나 직조된 섬유 소재의 직물로 이루어져 여과판(120)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여과판(120)의 장공(121a)에 위치된 연결구(160)와 연결되는 것으로, 필터프레스의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여과판(120) 사이에 개재되면서 각 여과판(120)의 양 표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여과포(140)는 외부로부터 필터프레스 내부로 공급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게 된다. 즉, 외부에서 고압 상태로 압입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은 여과포(140)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액과 여과포(140)를 통과하지 못하고 고상으로 집적되는 케이크(cake)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여과포(140)는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97653호 "필터프레스용 여과기구"를 통해 제안한 바와 같이 여과판(120)의 양측에서 각각 분리결합되는 형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는 여과포(140)와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별도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여과포(140)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로부터 생성된 케이크가 여과포(140)로부터 효과적으로 탈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는 여과포(140)를 정해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36847호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등록번호 제10-0575494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등을 통해 제안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는 케이크 탈리유니트(200)에 의해 여과포(140)의 움직임이 유도되는 방향으로 여과판(120)의 관통홀(121)이 길다랗게 형성되어 장공(121a)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따라, 케이크 탈리유니트(200)에 의한 여과포(140)의 움직임 유도시 연결구(160)가 장공(121a)을 따라 일정한 행정(行程)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연결구(160)와 연결된 양측의 여과포(140)도 전체부위에 걸쳐 걸림없이 일정한 행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연결구(160)와 연결된 여과포(140)에 대한 스트로크(stroke)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여과포(140)를 움직이게 되는데, 여과포(140)는 여과판(120)의 양 표면 상에 배치되어 걸림없이 움직임일 수 있으나, 여과포(140)와 연결된 연결구(160)는 여과판(120)의 관통공(121)에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여과판(120)의 관통공(121)을 둘러싸는 여과판(120)의 내주면에 걸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여과포(140)는 연결구(160)와 연결된 부위가 걸려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미세 진동만을 수행할 여지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는 여과판(120)의 관통공(121)이 장공(121a)으로 형성되어 연결구(160)가 장공(121a)을 따라 일정 행정거리만큼 걸림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케이크 탈리유니트(200)에 의해 여과포(140)의 움직임 유도시 여과포(140)의 움직임 제한에 따른 여과포(140)의 미세 진동이 아닌 여과포(140)에 대한 원활한 스트로크가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케이크 탈리유니트(200)에 의한 여과포(140)의 움직임은 정해진 방향으로의 급격하고 순간적인 이동, 정해진 방향에 대한 반복적인 왕복 행정운동 등이 될 수 있고, 여과포(140)가 움직이는 방향이나 장공(121a)이 길다랗게 형성되는 방향은 필터프레스나 여과판 장치(100)의 설계조건이나 설치조건에 따라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포(140)에 대한 원활한 스트로크가 수행되고, 이와 더불어 여과포(140)와 연결된 연결구(160)도 원활하게 스트로크될 수 있음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여과포(140)에 부착된 케이크와 연결구(160) 내부에 집적된 케이크가 원활하게 탈리되어 여과판(120) 및 여과포(140)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필터프레스 및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기술의 구성 및 작용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하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에 구비되는 여과판 장치(100)는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을 압입받게 된다. 이에 따라, 여과판 장치(100)는 일정크기의 압력을 받게 되는 상태에 놓이게 되고, 여과판 장치(100)를 이루는 여과포(140)도 일정크기의 압력을 받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는 여과판(120)에 형성된 장공(121a)으로 삽입되는 연결구(160)에 여과포(140)가 연결되어 여과판(120)의 양 표면 상으로 배치되는 구성임에 따라, 연결구(160)에 위치되지 않은 장공(121a) 부위에서는 여과포(140)가 별도의 지지구조없이 공간 상에 떠있게 된다. 따라서, 여과포(140)에 작용하는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에 의한 압력이 일정크기 이상이 되면, 유연성을 가진 여과포(140)가 장공(121a)의 내부공간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여과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이루는 여과판 장치(100)는 커버편(180)을 구비하는 연결구(160)를 적용한다.
이와 같이 연결구(160)에 설치되는 커버편(180)은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커버편(180)은 여과포(140)가 연결되는 연결구(160)의 끝단부에서 여과판(120)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장공(121a)에 삽입된 연결구(160) 외측의 장공(121a) 부위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커버편(180)은 장공(121a)을 덮게 됨에 따라, 필터프레스(1) 내부로 이동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이 일정크기 이상이 되어도 여과포(140)가 커버편(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연결구(160) 외측의 장공(121a)에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커버편(180)은 바람직하게 필터프레스를 사용한 여과공정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소재나 수지소재로 이루어져 강체(剛體)의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의 여과판(120)은 연결구(160)의 커버편(180)에 대응하여 슬라이딩홈(126)을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슬라이딩홈(126)은 케이크 탈리유니트(200)에 의해 여과포(140)와 일체로 연결구(160)가 이동할 시 연결구(16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되는 커버편(180)이 여과판(120) 표면과 간섭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딩홈(126)은 커버편(18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연결구(160)의 커버편(180)이 슬라이딩될 시 여과판(120)의 표면과 커버편(180)의 표면이 수평면을 이루게 되고, 여과포(140)는 여과판(120)의 전체 표면에 걸쳐 여과판(120)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100)에서 커버편(180)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서 연결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97653호 "필터프레스용 여과기구"를 통해 제안한 바와 같이 여과판의 양측에서 각각 분리결합되는 형태의 여과포에 적용하기 위한 연결구의 적용예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a)는 연결구를 분리결합시키도록 하는 조립형 예를 보인 것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보인 연결구의 적용예와 달리 초기에 여과판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사용되는 고정형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연결구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판(120)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는 여과포(140)의 일측 여과포와 타측 여과포를 지지하면서 여과판(120)에 형성되는 장홀(121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는 서로 분리결합되는 관형 몸체단(162), 제1플랜지(163) 및 제2플랜지(164)로 이루어진다.
이때, 관형 몸체단(162)은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이동로(161)가 형성되는 것으로 여과판(120)의 장공(121a)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관형 몸체단(162)은 외주면으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제1플랜지(163)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는 관형 몸체단(162)에 의해 여과판의 양측에 위치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는 일정두께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플랜지(163)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는 체결단(163a)(164a)이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관형 몸체단(162)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플랜지(163)는 관형 몸체단(162)의 일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여과판의 일측 표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여과판의 일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일측 여과포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2플랜지(164)는 제1플랜지(163)와 반대측에서 관형 몸체단(162)의 타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위치되어 여과판의 타측 표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여과판(120)의 타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타측 여과포와 결합된다. 여기서, 조립형 연결구의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에 일측 여과포와 타측 여과포가 결합되도록 별도의 체결브래킷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체결브래킷은 일측 여과포와 타측 여과포의 외측 표면에 밀착되어 조립형 연결구의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와 체결되면서 일측 여과포와 타측 여과포를 조립형 연결구의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조립형 연결구의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 체결브래킷, 일측 여과포와 타측 여과포의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체결요소가 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형 연결구가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양측 여과포는 실에 의해 조립형 연결구의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에 박음질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과판의 양측에 배치되는 여과포가 조립형 연결구의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에 결합되는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연결구는 전술한 연결형 연결구와 동일하게 여과판(120)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는 여과포(140)의 일측 여과포와 타측 여과포를 지지하면서 여과판(120)에 형성되는 장홀(121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는 서로 용접결합되는 관형 몸체단(162), 제1플랜지(163) 및 제2플랜지(16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 관형 몸체단(162)와 제2플랜지(164)는 일체로 형성{물론, 이와 같은 관형 몸체단(162)과 제2플랜지(164)는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된다. 그리고, 제2플랜지(164)의 반대측에서 관형 몸체단(162)의 단부에 제1플랜지(163)가 삽입되면서 외측 표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한 후, 관형 몸체단(162)에 제1플랜지(163)를 용접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여과판(120)을 사이에 두고, 연결구(160)의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가 여과판(120)의 표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예와 같이 여과판(120)의 표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부분에 나사홀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추후 여과포(140)가 위치되도록 한 후, 별도의 체결브래킷를 결합시켜 여과포(140)와 연결구(16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100)의 연결구(160)는 제1플랜지(163)와 제2플랜지(164)로부터 여과판(140)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공(121a)을 덮게 되는 커버편(180)이 설치되어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에 의해 여과포(140)가 연결구 외측의 장공(121a)에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장치에서 여과판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를 이루는 여과판(120)은 표면 상에 보강 보스(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보스(122)는 여과판(120)의 표면이 일정부분 절개되어 장공(121a)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여과판(120)의 강도 약화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장공(121a) 둘레의 정해진 위치에 여과판(1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 보스(122)는 장공(121a)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프레스(1)는 내부에서 일렬로 배열되어 서로 이웃하게 되는 각 여과판(120)의 보강 보스(122)가 서로 밀착되면서 각 여과판(120)이 서로 지지되도록 하여 고압 상태에서 필터프레스(1)의 내부로 압입되는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의 압력에도 여과판(120)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과판(120)은 표면 상에 요철(凹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여과판(12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돌기(123)가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123)는 원통체 형상, 반구(半球) 형상, 각형 블록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판(120)이 요철 표면을 가짐에 따라, 여과판(120)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여과판(120)의 표면과 접하게 되는 여과포(140)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액이 여과판(120)의 요철 표면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이 여과포(140)에 의해 여액과 케이크를 분리될 시 여액이 여과판(120)의 표면을 따라 원활하게 흐르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장치에서 여과판의 적용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따른 여과장치에서 여과판(120)의 장공(121a)은 여과판(12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서와 같이, 여과판(120)의 상단 중앙에 돌출단(125)을 형성하여 돌출단(125)에 장공(121a)의 상부가 형성되고 여과판(120)의 상단부 중앙에 장공(121a)의 하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여과포(140)에 의한 여과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여과판(120)의 상단부 중앙에 장공(121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장공(121a)은, 도 6의 (c)에서와 같이, 여과판(120)의 중앙부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6의 (d)에서와 같이, 여과판(120)의 하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서 연결구의 커버편의 구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서 연결구의 커버편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연결구의 커버편 표면이 타공되어 통공이 배열형성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숙지한 상태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에서연결구(160)의 커버편(180)은 여과포(140)와 연결구(160)가 스토로크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구의 커버편(180) 표면에도 돌기(181)를 형성하여 요철(凹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구(16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에는 여과포(140)가 각각 결합되고, 연결구(160)의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편(180)에는 여과포(140)가 밀착되게 덮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커버편(180)에 밀착된 여과포(140)로는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이 통과하여 여과처리되기 어렵고, 여과포(140)를 통과하여 여과되어 여액을 생성시키더라도 여액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여액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커버편(180)이 요철 표면을 가지도록 하여 커버편(180)과 여과포(140) 사이에 여유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므로써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의 여과처리와 여과된 여액의 원활한 배출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커버편(180)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181)도 복수개가 배열되도록 하고, 원통체 형상, 반구(半球) 형상, 각형 블록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구의 커버편(180) 표면에 요철을 대신하여 통공(182)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통공(182)은 커버편(180) 표면에 다수개가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공(182)을 통해 여과포(140)가 커버편(180)에 밀착되더라도 여과포(140)를 통과한 여액이 통공을 통해 흘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7에서 보인 커버편이 적용된 여과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8의 (a)는 도 7의 (a)에서 보인 커버편이 적용되어 여과판과 연결구의 커버편 표면의 요철에 의해 여과포를 통과하여 생성된 여액이 배출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b)에서 보인 커버편이 적용되어 여과판 표면의 요철과 연결구의 커버편 표면의 통공에 의해 여과포를 통과하여 생성된 여액이 배출되는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의 압력에 의해 여과포(140)는 여과판(120)의 양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을 여과처리하게 되는데, 여과포(140)가 밀착되는 여과판(120) 표면과 연결구(160)의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편(180) 표면은 돌기(123, 181)를 형성하여 요철 표면을 가짐에 따라, 돌기(123, 181) 사이의 요부를 따라 여과포(140)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액이 흐르면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크 탈리유니트(200)에 의해 여과포(140)와 연결구(160)가 스토로크(stroke)되는 방향에서 장공(121a)를 둘러싸는 여과포(140)의 표면에는 표면보다 낮게 슬라이딩홈(126)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되는 연결구(160)가 표면의 돌기(123)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액상의 여과대상물질의 압력에 의해 여과포(140)가 밀착되는 여과판(120)은 요철 표면을 가지는 한편, 연결구(160)의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편(180) 표면에는 다수개의 통공(18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판(120)의 요철 표면에서는 여과포(140)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액이 요철 표면을 이루는 돌기(123) 사이의 요부를 따라 흐르면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커버편(180)의 표면에서는 여과포(140)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액이 커버편(180) 표면의 통공(182)을 통해 흐르면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커버편(180)의 표면에 형성된 통공(182)을 통해 흐르는 여액은 연결구(160)의 커버편(180)과 여과판(120)의 장공(121a)을 이루는 내주면 사이 공간에 모이게 됨에 따라, 여과판(120)의 장공(121a)을 이루는 내주면과 여과판(120)의 표면 사이에 경사지게 여액 배출채널(124)을 관통 형성하여 커버편(180)과 여과판(120)의 장공(121a)을 이루는 내주면 사이 공간에 모이는 여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에서 케이크 탈리유니트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9의 (a) 내지 (d)에서 예로 보인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들은 본 발명자에 의해 기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36847호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및 등록번호 제10-0575494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를 통해 제안된 기술을 적용한 경우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아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케이크 탈리유니트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1)는 여과판 장치(100)와 케이크 탈리유니트(200)와 사이드바(300) 및 여과판 이송유니트(400)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이드바(300)는 필터프레스(1)의 내부에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여과판(120)이 걸림고정되는 것이고, 여과판 이송유니트(400)는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여과판(120)을 여과공정 수행시에는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여과공정 완료 후에는 서로 이격시켜 후처리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여과판 장치(100)는 여과판(120), 여과포(140), 연결구(160)를 포함하고,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는 여과포 지지바(210), 슬라이딩바(220), 핸들(230), 세팅기구(240), 강제 이송기구(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의 여과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중앙부에 장공(121a)이 형성되고, 장공(121a)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보강 보스(122)가 형성되며, 장공(121a)과 보강 보스(122) 사이 표면에는 돌기(123)가 형성되어 요철 표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여과포(140)는 여과판(120) 양 표면 상에 분리 배치되어 연결구(160)를 통해 연결되어 여과판(120)의 양 표면을 덮게 된다. 물론, 여과포(140)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형 여과포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 장치(100)에서 연결구(160)는 여과판(120)에 형성된 장공(121a)에 삽입설치된다. 연결구(160)는 여과공정의 초기 세팅단계에서 장공(121a)의 상부에 위치된 후, 여과공정 완료 후 여과포(140)와 함께 여과판(120)의 하부방향으로 스트로크(stroke)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는 여과포 지지바(210), 슬라이딩바(220), 핸들(230), 세팅기구(240), 강제 이송기구(250), 사이드바(300)를 포함하는데, 여과포 지지바(210)는 수평하게 배치되어 여과포(140)의 상부가 고정되거나, 여과포(140)의 상하부가 동시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슬라이딩바(220)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여과포 지지바(210)와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슬라이딩바(220)에는 보조바(222)가 측방으로 돌출형성된다. 핸들(230)은 여과판(120)에 고정되어 보조바(222)가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슬라이딩바(220)의 이동시 보조바(222)가 일정높이에서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슬라이딩바(22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세팅기구(240)는 여과판(120)에 고정되어 여과포 지지바(210)의 초기위치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세팅기구(240)는 여과포 지지바(210)나 슬라이딩바(220)를 가이드하게 되는 세팅브라켓(241)과, 여과포 지지바(21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여과포 지지바(210)의 세팅된 초기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243)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팅기구(240)는 여과포(140)를 상측으로 당겨 연결구(160)가 장공(121a)의 상부에 밀착되어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강제 이송기구(250)는 슬라이딩바(220)를 이동시켜 여과포(140)의 움직임(스트로크)를 유도하게 되는것으로, 이와 같은 강제 이송기구(250)는 슬라이딩바(220)의 보조바(222)와 결합되는 고정블록(254)과, 고정블록(254)에 결합되어 보조바(222)와 슬라이딩바(220)를 이동시키게 되는 액추에이터(25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크 탈리유니트(200)는 여과공정 완료 후 강제 이송기구(25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바(220)가 강제 이송되어 여과포 지지바(210)와 여과포(140)가 일체로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되, 여과판(120)의 장공(121a)을 따라 연결구(160)가 일정 행정거리만큼 이동하면서 여과포(140)도 전체부위에 걸쳐 걸림없이 이동하여 스트로크(stroke)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여과포(140)에 부착된 케이크와 연결구(160) 내부에 집적된 케이크가 원활하게 탈리되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a)와 (b)는 세팅기구(240)가 케이크 자동 탈리유니트(200)의 여과포 지지바(210)를 지지하면서 여과포 지지바(210)와 여과포(140)가 스프링(243)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져 연결구(160) 장공(121a)의 상부에 정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9의 (a)는 여과포 지지바(210)가 여과포(140)의 상단에만 형성된 실시예이고, 도 9의 (b)는 여과포 지지바(210)가 여과포(140)의 상하단에 동시에 형성된 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9의 (c)는 슬라이딩바(220)에 형성되는 플랜지(242)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3)에 의해 세팅기구(240)가 케이크 자동 탈리유니트(200)의 슬라이딩바(220)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딩바(220)가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므로써, 슬라이딩바(220)와 접속되는 여과포 지지바(210)와 여과포(140)가 상측으로 당겨져 연결구(160) 장공(121a)의 상부에 정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의 (d)는 여과판(120) 양 표면의 배치되어 여과포 지지바(210)에 결합되는 양측 여과포(140)가 열림기구(26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므로써 케이크의 탈리효율이 더욱 증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필터프레스 100 : 여과판 장치
120 : 여과판 121 : 관통공
121a : 장공 122 : 보강 보스
123, 181 : 돌기 124 : 여액 배출채널
125 : 돌출단 126 : 슬라이딩홈
140 : 여과포 160 : 연결구
161 : 이동로 162 : 관형 몸체단
163 : 제1플랜지 163a, 164b : 체결단
164 : 제2플랜지 180 : 커버편
182 : 통공 200 : 케이크 탈리유니트

Claims (5)

  1. 필터프레스에 있어서,
    정해진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판의 관통공에 위치되고, 액상(液狀)의 여과대상 물질의 이동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여과포와 연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여과포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상기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로부터 생성된 케이크가 탈리되도록 하는 케이크 탈리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판은 상기 케이크 탈리유니트에 의해 상기 여과포의 움직임이 유도되는 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되는 장공이 상기 관통공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케이크 탈리유니트에 의한 상기 여과포의 움직임 유도시 상기 연결구가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행정(行程)거리가 증대되면서 상기 연결구와 연결된 상기 여과포에 대한 스트로크(stroke)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여과포와 연결되는 끝단부에 상기 여과판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을 덮게 되는 커버편을 더 구비하여,
    이동하는 상기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포가 상기 연결구 외측의 장공에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3.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에 있어서,
    정해진 위치에 장공이 정해진 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되어 양측 표면을 관통하도록 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장공에 위치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이동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여과판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게 되는 여과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판의 장공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형 몸체단와,
    상기 관형 몸체단의 일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여과판의 일측 표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판의 일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일측 여과포와 결합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관형 몸체단의 타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여과판의 타측 표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판의 타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타측 여과포와 결합되는 제2플랜지를 구비하되,
    상기 여과판의 장공으로 삽입된 상기 관형 몸체단의 단부에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구가 상기 여과판의 장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로부터 상기 여과판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공을 덮게 되는 커버편이 더 구비하여,
    이동하는 상기 액상의 여과대상 물질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포가 상기 연결구 외측의 장공에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판 장치.
KR1020110025706A 2011-03-23 2011-03-23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KR10119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06A KR101195669B1 (ko) 2011-03-23 2011-03-23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PCT/KR2011/004787 WO2012128425A1 (ko) 2011-03-23 2011-06-30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와,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및 여과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06A KR101195669B1 (ko) 2011-03-23 2011-03-23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31A KR20120108131A (ko) 2012-10-05
KR101195669B1 true KR101195669B1 (ko) 2012-10-30

Family

ID=4687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06A KR101195669B1 (ko) 2011-03-23 2011-03-23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5669B1 (ko)
WO (1) WO2012128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35500A (fi) * 2013-05-13 2014-11-14 Metso Fabrics Oy Suodatinelementti,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a käyttö
KR20190088195A (ko) 2018-01-18 2019-07-26 세일정기 (주) 필터 프레스
CN113082805B (zh) * 2021-05-20 2022-08-19 山东一诺生物质材料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的糠醇制备方法及其设备
CN116920508B (zh) * 2023-09-14 2023-11-28 山东科源化工有限公司 氯代苯酚溶液制备用废料回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47B1 (ko) 2003-11-15 2004-06-22 경윤현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16A (ja) * 1994-06-27 1996-01-16 Kurita Mach Mfg Co Ltd フイルタプレスの濾板及び該濾板を用いるフイルタプレス
KR100848860B1 (ko) * 2007-07-27 2008-07-29 김홍식 필터 프레스용 여과포 장착구조
KR20100001262A (ko) * 2008-06-26 2010-01-06 크라텍주식회사 필터프레스의 여과포 분리장치
KR20100099811A (ko) * 2009-03-04 2010-09-15 크라텍주식회사 필터프레스의 탈수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47B1 (ko) 2003-11-15 2004-06-22 경윤현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31A (ko) 2012-10-05
WO2012128425A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669B1 (ko) 케이크 탈리 기능을 갖는 필터프레스 및 이를 위한 여과판 장치
US20210260503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creening
US11707766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creening
US8113358B2 (en) Pre-tensioned sifter screen
US20140042078A1 (en) Inclined mesh panel type filtering apparatus
MX2007010356A (es) Filtro terciario.
AU2019355180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creening
US9278300B2 (en) Appliance for filtering liquids, in particular waste water, and method for filtering liquids
KR101226231B1 (ko) 여과포 상하구동형 케이크 탈리 필터프레스를 위한 여과포
WO2016097839A1 (en) Filter plate groups for filter press machines
KR200389236Y1 (ko)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JP5817991B2 (ja) フィルタプレス式脱水機用フィルタ
DE583317C (de) Doppelfilterplatte fuer Filterpressen
KR101257267B1 (ko) 지그재그식 섬유여과장치
US20230294022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creening
EA043711B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рамного фильтр-пресса, такого как башен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EA028119B1 (ru)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DE102016123337B3 (de) Filteranlage zum Reinigen von Gasen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iltertasche
KR20050075883A (ko)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RU2361645C2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жидкостей и фильт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такой элемент
NZ774862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creening
KR20100112465A (ko) 고체와 액체의 분리 배출기능을 갖는 여과장비 및 그를 위한 여과판
NZ760189A (en) A respiratory pressure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