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561B1 -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561B1
KR101194561B1 KR1020110116977A KR20110116977A KR101194561B1 KR 101194561 B1 KR101194561 B1 KR 101194561B1 KR 1020110116977 A KR1020110116977 A KR 1020110116977A KR 20110116977 A KR20110116977 A KR 20110116977A KR 101194561 B1 KR101194561 B1 KR 101194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ury
lamp
unit
wast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엽
Original Assignee
(주)에코리사이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리사이클링 filed Critical (주)에코리사이클링
Priority to KR102011011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68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up fluorescent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 시예는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폐램프를 파쇄할 수 있도록 한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폐램프 내에 함유된 수은을 포집하는 1차수은포집부와;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폐램프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폐램프를 전기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의해 증기화된 수은을 급냉시켜 포집하는 2차수은포집부를 포함하는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Waste Lamp Mercury Capturing And Recycling Machine}
본 발명은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 및 형광등을 파쇄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파쇄된 램프 및 형광등 내에 함유된 수은을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공장 및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대합실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에너지 효율이 높고 발열량이 적은 메탈수은 램프와 같은 조명램프가 사용된다.
상술한 조명램프는 통상 1년을 주기로 새로운 조명램프로 교체해 주고 있으며, 수거된 폐램프는 램프 내에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수은이 적어도 30cc이상 봉입되어 있고, 또한 수은 외에도 유기물질(유향, 텍스톨라이트, 오염물)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처리하고 있다.
즉, 상기 폐램프의 처리시 램프 내에 함유된 수은과 같은 유해가스가 대기중에 확산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거나, 물과 함께 대지로 스며들어 상수 및 지하수 등의 수질에 치명적인 오염을 일으키기 문제가 있어 램프만을 분리 수집하여 폐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형광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 제2001-0105676호에 도시된 폐형광등 분리 처리장치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폐형광등 처리장치는 폐형광등을 파쇄하여 수거하는 파쇄부와 이에 연통되어 수은가스를 수거하는 수거부로 구성된 폐형광등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형광등을 투입하는 폐형광등 투입부(12), 폐형광등 계수부(14), 폐형광등 파쇄부(16)로 이루어져서 폐형광등을 투입 파쇄 처리하는 폐형광등 파쇄장치부(10)와 파쇄된 유리 파편을 수거하는 폐형광등 수거부(20), 형광물질을 분리 수거하는 형광물질 수거부(30), 유해가스인 수은을 여과 흡착처리하는 수은 가스 수거부(40)로 구성되어 폐형광등을 순차적으로 유리, 형광물질, 수은가스로 분리 수거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폐형광등 처리장치는 단순히 수은가스만은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액체화된 수은을 포집하기란 불가능하며, 또한, 폐형광등에 점착되는 수은의 경우에는 처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폐형광등 처리장치의 경우 수은가스를 포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활성탄 및 필터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활성탄 및 필터교체에 따른 교체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필터를 교체시 필터에 흡착된 수은으로 인해 작업자의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폐형광등 처리장치는 수은 흡착을 위해 활성탄 및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2차적인 폐기물(활성탄 및 필터)이 발생하고, 이 또한 처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1-010567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폐램프(형광등)의 처리시 2차에 걸친 수은분리를 통해 폐램프에 점착된 수은까지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분리된 수은을 외부와 차단한 상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폐램프를 파쇄할 수 있도록 한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폐램프 내에 함유된 수은을 포집하는 1차수은포집부와;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폐램프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폐램프를 전기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의해 증기화된 수은을 급냉시켜 포집하는 2차수은포집부를 포함하는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폐램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안착판이 마련된 몸체와; 폐램프를 상기 안착판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안내수단; 및 안착판으로 이송된 폐램프를 가압하여 파쇄할 수 있도록 한 파쇄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은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폐램프 파쇄시 수은이 유동될 수 형성되되, 안착판의 하부에 상기 통공을 통해 유동되는 수은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 1차수은포집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수은포집부는 상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폐램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전기를 이용하여 폐램프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히팅수단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상기 가열부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수은포집부는 내부에 액화질소가 충진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을 감싸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은 배관에 의해 상기 가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하부 일측은 상기 가열부의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액화질소가 충진된 내부케이싱의 외벽과 접촉되어 응결된 수은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 포집용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수은포집부는 상기 가열부의 일측과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 바닥면은 중심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는 1차적으로 폐램프의 파쇄시 액상의 수은이 포집할 수 있도록 한 1차포집부와, 2차적으로 폐램프에 잔류하는 수은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 2차포집부를 구비함으로써, 폐램프에서 수은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는 포집된 수은인 외부와 밀폐된 용기 내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포집된 수은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수은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는 폐램프에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수은을 분리함으로써, 별도의 활성탄 및 필터가 필요치 않아 2차적인 폐기물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교체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형광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의 파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수은포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100)는 폐램프(L)에 함유된 수은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램프(L)를 파쇄할 수 있는 파쇄부(110)와, 폐램프(L) 내에 함유된 수은을 포집하는 1차수은포집부(120)와, 파쇄된 폐램프(L)를 이송하는 이송부(130)와, 이송된 폐램프(L)를 가열하는 가열부(140), 그리고, 가열부(140)에 의해 증기화된 수은을 포집하는 2차수은포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파쇄부(110)는 폐램프(L)를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 내로 폐램프(L)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안내수단(114)과, 이송된 폐램프(L)를 파쇄할 수 있도록 한 파쇄수단(116)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2)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파쇄대상인 폐램프(L)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안착판(1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113)은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상기 폐램프(L)를 지지하고, 후술하는 프레스(116a)의 압착을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또한, 폐램프(L)의 파쇄시 흘러나오는 수은이 후술하는 1차수은포집부(120)로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11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2)의 일측에는 안내수단(11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114)은 폐램프(L)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114a)와, 상기 지지부재(114a)의 하부에 위치되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14a)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부재(114b),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14b)에 의해 상방향으로 승강된 지지부재(114a)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이송부재(11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4a)는 폐램프(L)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가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14a) 상에는 상기 폐램프(L)가 안착되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속홈(11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14b)는 상기 지지부재(114a)의 연결판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부재(114a)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4a)와 상기 승강부재(114b) 사이에는 이송부재(114c)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114b)에 의해 상승된 지지부재(114a)를 몸체(112)의 안착판(113)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114b) 및 이송부재(114c)는 실린더(S)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14a)를 승하강시키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14a) 상에 폐램프(L)를 안착시킨 다음 승강부재(114b)의 실린더를 구동시켜 폐램프(L)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114a)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후 소정 높이만큼 지지부재(114a)가 상승되면 이송부재(114c)의 실린더(S)가 구동되어 상기 지지부재(114a)를 몸체(112)의 안착판(113)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폐램프(L)가 상기 안착판(11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승강부재(114b)의 실린더(S)를 구동시켜 지지부재(114a)가 안착판(113) 상부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폐램프(L)가 상기 안착판(11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파쇄수단(116)은 안착판(113)에 안착된 폐램프(L)를 파쇄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113)의 상측에 위치되는 프레스(116a)와, 상기 프레스(116a)에 의해 파쇄된 램프를 후술하는 이송부(13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부재(116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116a)는 상기 몸체(112) 내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안착판(113) 상에 안착된 폐램프(L)를 상방향에서 가압하여 파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몸체(112)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117)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방식으로 상기 폐램프(L)를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재(116b)는 상기 몸체(112)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116a)에 의해 파쇄된 폐램프(L)를 후술하는 이송부(13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이 실린더(S)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S)의 신장축소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쇄수단(116)은 상술한 안내수단(114)에 의해 안착판(113)에 안착된 폐램프(L)를 가압하여 파쇄시킨 다음, 파쇄된 폐램프(L)를 몸체(112)의 측면 일측에 마련된 배출부재(116b)를 통해 이송부(130)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폐램프(L)에 내장되어 있던 수은은 폐램프(L)의 파쇄시 안착판(113)에 형성된 통공(113a)을 통해 1차수은포집부(120)로 포집되게 된다.
상기 1차수은포집부(120)는 상기 몸체(112)의 하부에 위치되며 파쇄된 폐램프(L)에서 흘러나온 수은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은 이외의 폐램프(L) 조각이나 이물질이 1차수은포집부(120)로 포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의 일 부분에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한 메쉬망(M)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수은포집부(120)를 진공관 형태로 형성하되, 내부에 수은이 모여지는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쇄부(110)와 일측이 접촉되게 위치되어 상기 파쇄부(110)로부터 파쇄된 폐램프(L)를 가열부(14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송부(130)는 외부로 상기 폐램프(L)에 잔류하는 수은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케이스(131)에 의해 덮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보호케이스(131)와, 상기 보호케이스(131) 내에 위치되며 파쇄된 폐램프(L)를 일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운반부재(132)와, 상기 운반부재(132)와 결합되는 체인(133)과, 상기 체인(133)과 스프로킷(134)을 통해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케이스(131)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13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쇄부(110)의 배출부재(116b)에 의해 배출되는 폐램프(L)를 상기 운반부재(132)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모터(135)를 구동시켜 스프로킷(134)과 결합된 체인(133)이 이송되도록 함으로서 체인(133)과 결합된 운반부재(132)가 이송되도록 한다. 이후 운반부재(132)에 의해 이송된 폐램프(L)는 가열부(140) 내로 포집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100)는 보호케이스(131) 내에 폐램프(L)가 위치됨으로 수은이 공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가열부(140)는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 폐램프(L)를 진공상태에서 가열하여 파쇄된 폐램프(L)에서 잔류하는 수은을 증기화하는 것으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폐램프(L)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히팅수단(142)이 마련되며, 외측에는 상기 가열부(140)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수단은 부스터펌프(144) 및 진공보조펌프(146)로서, 상기 가열부(140)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파쇄된 폐램프(L)가 상기 가열부(140) 내측에 포집되면 부스터펌프 및 진공보조펌프가 구동되어 상기 가열부(140)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히팅수단이 구동되어 파쇄된 폐램프(L)를 가열함으로써, 폐램프(L)에서 잔류하는 수은을 증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40)와 진공수단인 부스터펌프(144) 및 진공보조펌프(146)는 배관(141) 및 복수개의 밸브(141a)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141) 상에는 가열부(140) 내의 압력 및 온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 압력게이지(147) 및 온도게이지(148)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141) 상에는 2차수은포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수은포집부(150)는 상기 히팅수단(142)에 의해 증기화된 수은을 급냉시켜 응결되도록 함으로서, 증기에서 수은을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액화질소가 충진되는 내부케이싱(152)과, 상기 내부케이싱(152)를 감싸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케이싱(154) 및 상기 내부케이싱(152)과 외부케이싱(154)을 보호하며 상기 가열부(14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하우징(158)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수은포집부(150)의 외부케이싱(15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이 배관(141)을 통해 상기 가열부(140)와 연결되며, 하부 일측이 배관(141)을 통해 상기 진공수단인 부스터펌프(144) 및 진공보조펌프(146)와 연결되되, 하부가 중심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중심부에는 관통공(154a)이 될 수 있다. 또한, 중심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외부케이싱(154)의 하부에는 액화질소에 의해 급냉된 수은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한 포집용기(156)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진공보조펌프(146) 및 부스터펌프(144)가 구동되면서 상기 가열부(140) 내의 증기를 펌핑하고, 펌핑된 증기는 상기 2차수은포집부(150)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증기 속에 포함된 수은이 상기 액화질소가 충진된 2차수은포집부(150)의 내부케이싱(152) 외벽과 접촉되면서 응결되고, 응결된 수은은 외부케이싱(154)의 내부 바닥면으로 낙하되게 된다. 이후 낙하된 수은은 중앙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어 관통공(154a)을 통해 포집용기(156) 내로 포집되고, 수은이 분리된 증기는 외부케이싱(154)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배관(141)을 통해 상기 진공수단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100)는 수은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수은을 포집한 후, 폐램프(L)에 잔류하는 수은을 가열하여 증기화한 후 2차수은포집부(150)를 이용하여 재차 수은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폐램프(L)를 파쇄하는 과정, 이송하는 과정, 그리고 가열하는 과정에서 수은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100)는 수은을 분리하기 위해 활성탄 및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존 수은 분리장치와 비교하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분리시 사용되는 활성탄 및 필터로 인해 발생되었던 2차 폐기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수은 분리장치 110 : 파쇄부
112 : 몸체 113 : 안착판
113a : 통공 114 : 안내수단
114a : 지지부재 114b : 승강부재
114c : 이송부재 116 : 파쇄수단
116a : 프레스 116b : 배출부재
117 : 모터 120 : 1차수은포집부
130 : 이송부 131 : 보호케이스
132 : 운반부재 133 : 체인
134 : 스프로킷 135 : 모터
140 : 가열부 141 : 배관
141a : 밸브 142 : 히팅수단
144 : 부스터펌프 146 : 진공보조펌프
147 : 압력게이지 148 : 온도게이지
150 : 2차수은포집부 152 : 내부케이싱
154 : 외부케이싱 156 : 포집용기
L : 폐램프 S : 실린더
M : 메쉬망

Claims (8)

  1. 프레스(116a)를 이용하여 폐램프를 파쇄할 수 있도록 한 파쇄부(110)와;
    상기 파쇄부(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폐램프 내에 함유된 액상의 수은을 포집하는 1차수은포집부(120)와;
    상기 파쇄부(110)에 의해 파쇄된 폐램프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이송부(130)와;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 폐램프를 전기 가열하는 가열부(140); 및
    상기 가열부(140)에 의해 증기화된 수은을 급냉시켜 포집하는 2차수은포집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110)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폐램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안착판(113)이 마련된 몸체(112)와;
    폐램프를 상기 안착판(113)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안내수단(114); 및
    상기 안착판(113)으로 이송된 폐램프를 가압하여 파쇄할 수 있도록 한 파쇄수단(116);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판(113)은 복수개의 통공(113a)이 형성되어 상기 폐램프 파쇄시 액상의 수은이 유동될 수 형성하되, 상기 안착판(113)의 하부에 상기 통공(113a)을 통해 유동되는 액상의 수은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1차수은포집부(120)의 상부를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폐램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전기를 이용하여 폐램프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히팅수단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상기 가열부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수단이 구비되는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수은포집부는
    내부에 액화질소가 충진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을 감싸며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은 배관에 의해 상기 가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하부 일측은 상기 가열부의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액화질소가 충진된 내부케이싱의 외벽과 접촉되어 응결된 수은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 포집용기로 구성되는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차수은포집부는
    상기 가열부의 일측과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는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 바닥면은 중심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KR1020110116977A 2011-11-10 2011-11-10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KR101194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77A KR101194561B1 (ko) 2011-11-10 2011-11-10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77A KR101194561B1 (ko) 2011-11-10 2011-11-10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561B1 true KR101194561B1 (ko) 2012-10-26

Family

ID=4728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977A KR101194561B1 (ko) 2011-11-10 2011-11-10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470A (ko) 2014-03-05 2015-09-1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형광등 처리 시스템
KR101724297B1 (ko) * 2016-12-07 2017-04-07 김대동 폐수은 램프의 텅스텐 전극 회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91Y1 (ko) 1997-06-02 2000-06-01 설정철 수은 열탈취 장치
JP2002177935A (ja) 2000-12-13 2002-06-25 Nk Kankyo Corp 廃蛍光管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91Y1 (ko) 1997-06-02 2000-06-01 설정철 수은 열탈취 장치
JP2002177935A (ja) 2000-12-13 2002-06-25 Nk Kankyo Corp 廃蛍光管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470A (ko) 2014-03-05 2015-09-1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형광등 처리 시스템
KR101724297B1 (ko) * 2016-12-07 2017-04-07 김대동 폐수은 램프의 텅스텐 전극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3265B1 (en) Apparatus and processes suitable for tire degradation
KR101194561B1 (ko) 폐램프 수은 분리장치
US20100006415A1 (en) Thermal Decomposition Treatment System of Flammable Waste and Method for Treating the Waste Using the System
CN107350274A (zh) 一种自动化废料处理设备
KR100919863B1 (ko) 드럼 회전방식의 냉각선별유닛을 구비하는 폐형광등 처리장치
CN212587568U (zh) 一种废旧锂电池电解液回收处理装置
EP0952394A2 (en) Waste incinerator
JP2013022490A (ja) 汚染土壌浄化装置
KR20130116634A (ko)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KR100931621B1 (ko) 자동회전 방식의 수거함 승강기가 구비된 폐형광등 처리장치
KR101692216B1 (ko) 폐수은 램프의 텅스텐 전극 회수방법 및 이를 위한 회수장치
US200402043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phase separation
RU134452U1 (ru) Передвиж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 утилизации ртутьсодержащих изделий
KR101724297B1 (ko) 폐수은 램프의 텅스텐 전극 회수장치
CN205341485U (zh) 一种车载集成式土壤热脱附修复装置
KR20090113464A (ko) 오일이 함유된 토양을 처리하기 위한 이동식 오일분리장치
CN212855958U (zh) 一种危险废物存储箱
CN110026426B (zh) 有机污染场地土壤修复方法
CN208952114U (zh) 一种节能型垃圾气化处理后燃烧发电设备
KR101300203B1 (ko)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JP3841908B2 (ja) コンベア式廃蛍光管破砕処理保管装置
JP7066090B2 (ja) 廃棄物処理方法
CN210373467U (zh) 一种具有异味处理功能的危险废料处理装置
JP2010201311A (ja) 廃棄物減容装置および廃棄物減容方法
KR20190137030A (ko) 전자파 에너지를 이용한 석탄 연소 부산물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