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309B1 -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309B1
KR101194309B1 KR1020110146342A KR20110146342A KR101194309B1 KR 101194309 B1 KR101194309 B1 KR 101194309B1 KR 1020110146342 A KR1020110146342 A KR 1020110146342A KR 20110146342 A KR20110146342 A KR 20110146342A KR 101194309 B1 KR101194309 B1 KR 10119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einforcement
steel wire
wi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이승만
손명기
최기영
최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14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2With diagonal warps or wef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05Composite ropes, i.e. 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and 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06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 D07B1/062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 D07B1/064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cords being twisted and with at least one wire exchanging place with another wi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including a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4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 구조물이나 지반의 보강에 쓰이는 지오그리드, 펜스 또는 차광막 등에 사용되는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 강선과 열가소성 수지 보조선이 서로 꼬여 이루어진 보강재가 압출노즐로 인입되는 단계; 고온 겔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압출노즐에 유입돼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며 커버로 경화되는 단계; 상기 보조선이 용융되는 단계; 및 코일 형태의 상기 강선과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이 상기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되는 단계;이다.

Description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Strip, Matrix structure and strip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흙 구조물이나 지반의 보강에 쓰이는 지오그리드, 펜스 또는 차광막 등에 사용되는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격자형 구조체는 토목공사시 옹벽보강, 사면보강, 지반보강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외에, 펜스, 차광막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격자형 구조체는 통상적으로 높은 인장력, 낮은 인장 변형률과 크리프 변형 특성 외에 내시공성, 마찰특성 및 형태안정성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격자형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하거나 또는 압출한 후 소정 간격으로 구멍을 뚫은 다음 일축 또는 이축으로 연신해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사출된 합성수지를 이용한 격자형 구조체는 인장력이 떨어지고 연속공정으로 제조하기 어려우며, 그 크기나 모양에 있어 형태의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압출된 합성수지를 이용한 격자형 구조체로서 강성 지오그리드를 제조하는 기술(GB2266540, USP4374798, EP0374365A, GB2256164A 참조)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압출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한 다음, 일축 또는 이축의 연신 과정과 함께 기계의 횡방향으로 연신된 합성수지를 겹쳐 접합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강성 합성수지 지오그리드는 마찰, 인발, 화학저항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나, 10톤 이상의 하중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경사방향의 높은 신장률 때문에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구조체의 위사와 경사를 이루는 스트립에 섬유보강재를 내설하여 부족한 안정성을 보완하도록 했다.
WO 99/28563호에는 섬유 보강 고분자 스트립을 경방향 스트립으로 하고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스트립을 위방향 스트립으로 하여 격자 형태로 접착시킨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에 있어서, 지오그리드는 경방향 섬유 보강 고분자 스트립이 이동되는 중에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를 압출, 삽입하여 위방향 스트립을 형성하면서 접착시키며, 위방향 스트립에는 섬유 보강 고분자 스트립을 삽입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섬유보강 고분자 스트립을 접착시킬 경우에 고분자 내에 존재하는 보강섬유가 손상을 받아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경방향 고분자 스트립과 위방향 고분자 스트립이 모두 용용상태가 아니므로 스트립 사이에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스트립을 보강하기 위한 상기 섬유보강재(보강섬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의 몸체를 이루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와의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구조적으로도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직접적인 장력을 받게 되므로, 결국에는 상기 섬유보강재가 스트립의 몸체와 분리돼 보강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극단적인 상황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구조체의 인장력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 및 강성 등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재가 스트립 몸체와 일체로 결합돼 안정성을 보장하는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 형태의 금속 강선을 갖춘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는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선형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 형태의 금속 강선을 갖춘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는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선형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된 격자형 구조체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 강선과 열가소성 수지 보조선이 서로 꼬여 이루어진 보강재가 압출노즐로 인입되는 단계;
고온 겔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압출노즐에 유입돼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며 커버로 경화되는 단계;
상기 보조선이 용융되는 단계; 및
코일 형태의 상기 강선과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이 상기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립 제작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금속보강재가 코일형태로 구조체를 구성하는 스트립 몸체에 내설되면서 상기 스트립과의 안정된 일체화를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금속보강재가 받는 인장력에 대한 충분한 내성을 갖춤과 더불어 신도가 거의 없는 복합 스트립 지오그리드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크리프감소계수(creep rupture)의 변형률이 우수한 스트립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도 높은 경제성을 갖는 양질의 격자형 복합 구조체인 토목용 보강재 지오그리드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 제작을 위한 보강재 생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스트립 제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트립을 이용해 제작된 구조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4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5,6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트립을 이용해 제작된 구조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8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 제작을 위한 보강재 생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스트립 제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B; 도 4 참조)는 스트립(S)의 제직(편직) 또는 사출성형 등을 통해 제작되고, 이러한 스트립(S)은 보강재(100)와 커버(200)로 구성된다.
보강재(100)는 스트립(S)의 뼈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구조체(B)의 형상 보존성과 인장력 등을 발생시킨다.
한편, 커버(200)는 마찰, 인발, 화학저항성 및 내후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분자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고, 보강재(100)를 선형으로 커버링하면서 보존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재질이 커버(200)의 재질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서는 보강재(100)와 커버(200)로 이루어지는 스트립(S)이 보다 향상된 물리적 특성을 갖도록, 보강재(100)에 금속재질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조체(B)의 고유한 기능발현을 위해 커버(200)에 대한 고분자 합성수지 적용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커버(200)와 보강재(100) 간의 원할한 일체 구조 구현을 위해 보강재(100)의 재질이 커버(200) 재질과 동일한 합성수지로 한정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커버(200)와는 이형 재질인 금속을 보강재(100)에 포함시켜서 스트립(S)의 물리적 특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조체(B) 또한 진일보한 특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0)는 금속재질의 강선(110)과 합성수지 재질의 보조선(120)으로 구성된다. 강선(110)은 연성을 갖는 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외에도 우수한 연성을 가지면서 강도를 갖는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조선(120)은 커버(200)와의 융합이 용이하도록 커버(200)와 동일한 재질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가소성 수지 재질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0)의 강선(110)은 재질적으로 이형인 커버(200)와의 결속을 위해 코일 형태로 커버(200)에 내설되므로, 커버(200)와 강선(110) 간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커버(200)와의 구조적인 걸림 상태를 도모한다. 결국, 강선(110)이 커버(200)와는 독립된 장력을 받을 경우 전술한 접촉면적과 걸림 상태로 인한 상호 결속으로, 커버(200)와 강선(110)은 서로 단단히 결합돼 고정되고, 이를 통해 커버(200)와 강선(110)은 완전한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강선(110)을 일정한 속도로 인출하는 강선인출부(10)와, 보조선(120)을 일정한 속도로 인출하는 보조선인출부(2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선(110)과 보조선(120)을 꼬아 고정하고, 이렇게 꼬여 이루어진 보강재(100)는 권치부(30)에 권취해 보관한다. 강선(110)은 가요성은 있으나 탄성은 없으므로 꼬인 상태인 코일 형태를 유지하고, 보조선(120)은 코일 형태의 강선(110)을 따라 꼬여 코일 형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0)는 구조체(B) 구성을 위한 스트립(S) 형성을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노즐(40)에 유도돼 인입된다.
압출노즐(40)은 열가소성 수지를 겔(gel) 상태로 보관하는 탱크(50)로부터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공급받아서 권취부(30)로부터 인출되는 보강재(100)를 압출방식으로 커버링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결국, 보강재(100)가 압출노즐(40) 안쪽으로 인입돼 이동하면, 탱크(50)로부터 공급된 겔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는 보강재(100)를 감싸면서 경화되고, 최종적으로 보강재(100)를 커버링해 경화된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커버(200)와 보강재(100)로 구성된 스트립(S)이 압출노즐(40)로부터 선형으로 압출된다. 여기서, 압출노즐(40)로부터 인출되는 커버(200)는 외면이 단순한 민자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스크류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일정한 규칙의 턱 형상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나, 전체적인 형상은 압출노즐(40)로부터 강제 압출에 의한 선형이 될 것이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커버(200)가 보강재(100)를 커버링하기 직전 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압출노즐(40)에 유입된 열가소성 수지가 보강재(100)를 커버링하는 동안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출노즐(40)은 내부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4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가열수단(41)은 도시한 바와 같이 화염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전열선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압출노즐(40)로 인입된 보강재(100)는 고온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의 접촉을 통해 직접적인 가열이 이루어지고, 가열수단(4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간접적인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열을 통해 보강재(100)에 구성된 강선(110)과 보조선(120)은 모두 고열로 가열되는데, 이때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보조선(120)은 상기 가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커버(200)의 재질과 융합된다. 결국, 보강재(100)는 압출노즐(40)을 통과하면서 보조선(120)이 소실되고, 최종적으로 압출노즐(40)로부터 압출되는 스트립(S)은 커버(200)와 보강재(100)의 강선(110)만 잔존한다. 물론, 강선(110)은 코일 형태를 유지하므로 커버(200)와의 긴밀한 결속을 이루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S)은 우수한 물적 특성을 갖는 구조체(B)의 자재로 완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트립을 이용해 제작된 구조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S)에 구성된 보강재(100, 10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강선(110)과 하나의 보조선(120)이 꼬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강선(110)과 두 개의 보조선(120)이 꼬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두 개의 강선(110)과 하나의 보조선(120)이 꼬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이루어진 보강재(100, 100')는 전술한 압출노즐(40)을 통과하면서 보조선(120)이 소실되고, 결국에는 보강재(100, 100')의 강선(110)만이 남아 스트립(S)의 안정화를 달성한다.
다양한 개수와 위치에 강선(110)이 배치된 스트립(S)은 통상적인 제직 및 편직을 통해 도 4(a) 또는 도 4(b)와 같은 격자형 구조체(B, B')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a)의 구조체(B)는 하나의 스트립(S)이 위사와 경사를 각각 이루면서 제직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의 구조체(B')는 다수의 스트립(S)이 위사와 경사를 각각 이루면서 제직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4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5,6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트립을 이용해 제작된 구조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S1, S1')에 구성된 강선(110)과 보조선(120)은 스트립(S1, S1')의 자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강선(110)과 보조선(120)이 한 세트를 이루는 다수 개의 세트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5(a)는 하나의 강선(110)과 하나의 보조선(120)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스트립(S1)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하나의 강선(110)과 두 개의 보조선(120)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스트립(S1')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6(a)(b)는 각각 상기 세트 사이에 연장부(t)가 형성된 스트립(S2, S2')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연장부(t)는 도 7에 도시한 사출성형 전용 구조체(B")를 고려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구조체 제작자는 도 6(a)(b)에 도시한 스트립(S2, S2')을 우선 제작한 후 연장부(t)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세트의 강선(110)이 이격되도록 장력을 가하며, 이렇게 이격된 상기 세트의 강선(110) 사이를 천공해서 홀(h)을 완성한다. 결국, 해당 구조체(B")는 외형적으로 격자형태를 이루면서 제직돼 이루어진 구조체(B, B')와 유사한 모습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8 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0a)에 구성된 강선(110')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복(111)은 고열 상태의 커버(200)인 겔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와 접촉시 용융돼 융합될 수 있도록 커버(20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강선(110')은 커버(200)와의 접촉면적이 넓을수록, 그리고 구조적인 걸림 상태가 클수록, 커버(200)와의 일체화에 유리하다. 따라서 강선(110')이 이루는 코일 형태의 반경이 클수록 상기 일체화에 유리할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강선과 보조선 간의 꼬임 방식으로 상기 강선의 코일 반경을 키우려면,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보조선을 해당 강선의 짝으로 구성해야 한다. 하지만 보조선의 반경이 커질수록 가열에 의한 완전용융의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보강재와 강선의 완전한 일체화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강선(110')에 피복(111)을 보강시켜서, 피복(111) 용융시 잔존하는 강선(110')의 반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앞서 언급한 커버(200)와의 결속력이 향상되면서 스트립(S3)으로부터 물리적으로 최상의 성질 발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0b)의 보조선(120')에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심(12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0b)는 압출노즐(40)에 인입돼 고열 상태의 커버(200)인 겔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와 접촉시 용융돼 융합되고, 심(121)은 잔존하면서 강선(110')과 서로 나란한 코일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것이다. 여기서, 심(121)은 둘레를 감싸고 있던 보조선(120') 재질에 의해 강선(110')과는 서로 이격되므로, 보조선(120')을 이루는 상기 재질이 용융되더라도 심(121)과 강선(110')과의 상호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 강선(110')과 심(121)은 서로 꼬인 형태이면서도 강선(110')과 심(121)은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커버(200)에 내설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S3')은 하나 이상의 금속성 강선(110')과 심(121)의 지지를 받아 지탱하면서 완전한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물리적으로 최상의 성질 발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심(121)이 구성된 보조선(120')의 짝으로 피복(111)이 형성된 강선(110')을 구성하였으나, 피복(111)이 없는 강선(110)이 상기 보조선(120')에 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 예의 스트립 제작 직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00c)는 강선(120) 및 보조선(120)과 더불어 보강선(130)을 더 포함한다. 보강선(130)은 보조선(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융점의 수지 재질로 제작되어서, 겔 상태의 커버(200)와 접하더라도 용융됨 없이 강선(120)에 꼬여 제 형태를 유지하도록 된다.
결국, 보강재(100c)가 삽입된 압출노즐(40)에 겔 상태의 커버(200)가 주입되면 보조선(120)은 고온의 겔에 의해 용융되고, 보조선(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융점을 갖는 수지 재질의 보강선(130)은 강선(120)과 더불어 잔존한다. 따라서, 보강선(130)은 강선(120) 둘레에 돌기가 형성된 모습으로 되고, 이를 통해 강선(120)과 커버(200) 간의 결속률을 증가시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S4)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강선(130)은 고온 겔 상태의 커버(200)와 접하더라도 용융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고융점을 갖는 재질이 적용되고,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PET), 폴리아미드 수지, 탄소 수지, 면방적 수지, 유리 섬유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강선인출부 20; 보조선인출부
30; 권취부 40; 압출노즐
50; 탱크 100, 100', 100"; 보강재
110, 110'; 강선 120, 120'; 보조선
200; 커버 B, B', B"; 구조체
h; 홀
S, S', S1, S1', S2, S2', S3, S3'; 스트립

Claims (12)

  1. 삭제
  2. 코일 형태의 금속 강선을 갖춘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는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선형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강선과 꼬인 형태로 상호 이격된 심이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3. 코일 형태의 금속 강선을 갖춘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는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선형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강선과 꼬인 형태를 이루는 수지 재질의 보강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4. 코일 형태의 금속 강선을 갖춘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는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선형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각각 위사와 경사로 제직돼 상기 격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구조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이웃하는 상기 보강재 사이가 천공돼 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격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구조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과 꼬인 형태로 상호 이격된 심이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구조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강선과 꼬인 형태를 이루는 수지 재질의 보강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구조체.
  9. 금속 강선과 열가소성 수지 보조선이 서로 꼬여 이루어진 보강재가 압출노즐로 인입되는 단계;
    고온 겔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압출노즐에 유입돼 상기 보강재를 커버링하며 커버로 경화되는 단계;
    상기 보조선이 용융되는 단계; 및
    코일 형태의 상기 강선과 커버로 구성된 스트립이 상기 압출노즐로부터 압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제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은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피복이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제작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은 금속 재질의 심이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제작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보조선의 융점보다 상대적으로 고융점의 수지 재질로 된 보강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제작방법.


KR1020110146342A 2011-12-29 2011-12-29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 KR10119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42A KR101194309B1 (ko) 2011-12-29 2011-12-29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42A KR101194309B1 (ko) 2011-12-29 2011-12-29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309B1 true KR101194309B1 (ko) 2012-10-24

Family

ID=4728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342A KR101194309B1 (ko) 2011-12-29 2011-12-29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3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54A (ko) * 2018-01-19 2019-07-29 수부건설 주식회사 소일 시멘트와 강성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시공법
KR102032513B1 (ko) * 2018-08-09 2019-10-15 강현재 보강토옹벽용 스트립형 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4133A1 (en) * 2019-12-17 2021-06-24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lic reinforcing cord for tyres for vehicle whee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62A (ja) 2000-08-10 2002-02-26 Toshiba Elevator Co Ltd ロープ式エレベータの主索用ロー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62A (ja) 2000-08-10 2002-02-26 Toshiba Elevator Co Ltd ロープ式エレベータの主索用ロー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54A (ko) * 2018-01-19 2019-07-29 수부건설 주식회사 소일 시멘트와 강성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시공법
KR102112508B1 (ko) * 2018-01-19 2020-06-04 수부건설 주식회사 소일 시멘트와 강성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시공법
KR102032513B1 (ko) * 2018-08-09 2019-10-15 강현재 보강토옹벽용 스트립형 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4133A1 (en) * 2019-12-17 2021-06-24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lic reinforcing cord for tyres for vehicle wheels
CN114787435A (zh) * 2019-12-17 2022-07-22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制造车辆车轮的轮胎的金属增强帘线的方法和设备
CN114787435B (zh) * 2019-12-17 2023-09-01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制造车辆车轮的轮胎的金属增强帘线的方法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4591B2 (ja) 連続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製造用の強化繊維/樹脂繊維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05138B2 (ja) 伸縮性シート部材
FI106805B (fi) Menetelmä muotoillun tuotteen valmistamiseksi
US20140045400A1 (en) Steel fiber reinforced composites
JP2009036371A5 (ko)
CA2948711A1 (en) Tank manufacturing method and tank
KR101194309B1 (ko) 스트립과 격자형 구조체 및 스트립 제작방법
US20160311152A1 (en) Heat curable composite textile
WO2020002462A1 (en) Composite pressure vessel with reinforced inner lin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7206710A (zh) 用于增强抗冲击或结构复合部件的增强织物
JP2702783B2 (ja) 長尺の成形ストランド
KR100778076B1 (ko) 토사 보강재 및 토사 보강재 제조방법
JP2005120547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製補強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522021A (zh) 複合物模之製造方法、複合物模、三明治組件、轉子葉片元件及風力發電設備
US20150246653A1 (en) Organosheet as a distance keeper in impact beam
CN102482815A (zh) 包括平行的玻璃线股的粗纱的加强件
JP5431286B2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655386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CN103826928A (zh) 防撞梁中的非钢质距离保持物
CN110769995A (zh) 通过编织产生的干燥预成型坯的制造方法、由使用所述预成型坯的复合材料制成的产品的制备方法
JP2012250452A (ja) 管路補修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管路ならびに管路補修部材の製造方法
CN110513546A (zh) 双塑或多塑加肋螺旋缠绕管
JP6993653B1 (ja) 筋金棒体の製造方法
JP2011179197A (ja) 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用ネットの固定具
US20240052635A1 (en) Tubular Reinforcing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a Reinforcing Element, Global Reinforcement, Use of a Reinforcing Element, Concrete Structural Part and Program 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