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253B1 -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253B1
KR101194253B1 KR1020110059936A KR20110059936A KR101194253B1 KR 101194253 B1 KR101194253 B1 KR 101194253B1 KR 1020110059936 A KR1020110059936 A KR 1020110059936A KR 20110059936 A KR20110059936 A KR 20110059936A KR 101194253 B1 KR101194253 B1 KR 101194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trol device
tension control
electronic type
type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은
Original Assignee
영일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일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영일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1005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55/171Toothed belt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8Power assistance, e.g. servo-motors
    • B60Y2400/4187Servo-motors, e.g. electric or fluidic with feedback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제어 타입으로 운용되는 조향장치를 구축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필수 부품들을 일괄적으로 순차 조립하는 공정의 일부로서, 벨트의 텐션 상태를 측정하고 또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션 조절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벨트 텐션 조절장치는 랙바(20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몸체(220);와 통공이 천공된 부싱(230);을 팔레트(300) 상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며, 부싱(230)과 맞춤 수용되는 볼베어링(240); 동력 몸체(260)가 배치되는 수용 프레임(250); 제1,2삽지공(271,272)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70);을 순차 결합시켜 회전체(280);가 상하 관통 배치되고, 제1,2삽지공(271,272)과 대응되는 제1,2풀리(291,292);를 형성하여 구동벨트(210)에 의해 상호 구속되게 하되, 상기 회전체(280)는 제1풀리(291)와 고정 결속되고, 가이드 레일부(110)에 안내되어 상하 왕복 구동되는 승강 프레임(120)에는 센서부재(130);를 더 장착하여, 상기 센서부재(130)가 승강 프레임(120)에 의해 구동벨트(210)로부터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Contactless Belt Tens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Power Steering}
본 발명은 전자 제어식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벨트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에 대해 신속 정확하게 조향휠이 조작될 수 있도록 벨트의 장력을 미세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일련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심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자동조립라인 상에서 벨트의 장력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은 물론, 상하 왕복 구동되는 승강 프레임을 구축하여 이러한 승강 프레임에 소정의 센서를 더 장착함으로써 비접촉식으로 벨트의 적정 장력을 정밀 정확하게 측정하고 또 조절할 수 있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핸들의 조향력은 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벼워지며, 예컨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핸들을 돌릴 때보다는 주행할 때 쉽게 돌아가게 되고, 속도를 올릴 경우 더욱 쉽게 핸들조작이 이루어져 조향력을 잃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의 고속 주행시 구동력 증가에 대한 반발력이 발생하거나 항력에 의한 조향축 하중의 감소 등으로 인해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접지 저항이 작아짐에 따라 안정성이 결여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즉, 고속 주행시 핸들이 너무 가벼우면 오히려 약간의 핸들 조작에도 운전자의 안전이 위협받게 되므로 차량의 속도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의 특성을 변화시켜 고속 주행시에도 안정감 있게 조향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정차시나 차량의 속도가 낮을 때는 가벼워지고 고속 주행시에는 무거워지게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는바, 이를 통상 EPS(Electronic Power Steering)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조향 구동 모터를 전자 제어를 통해 주행속도의 상승에 조향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EPS 컴퓨터가 차량 속도에 따라 조향 구동 모터를 제어해 조향력이 변화되는 원리이다.
이러한 원리의 조향장치는 현재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벨트 타입으로 운용되고 있는 조향장치에서는 차량의 핸들 조작시 즉각적인 조향휠의 반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적정 텐션이 유지되는 벨트가 필수불가결하게 장착되는바, 상기 벨트의 적정 텐션을 측정하고 또 조절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벨트 텐션 조절장치가 요구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에서 벨트가 비교적 느슨한 상태에 놓여있게 되면 핸들 조작시 조향휠의 반응 속도가 느려져 바퀴의 회전이 더디게 되는 반면, 이와는 반대로 상기 벨트가 비교적 빡빡하게 꽉 낀 상태에 놓여있게 되면 기계, 즉 모터나 벨트, 베어링 등에 과부하가 걸려 기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으로써 벨트의 텐션 상태를 파악하여 적정 수준의 텐션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종래의 벨트장력을 조절하고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정밀도가 현저히 떨어져 자동조립설비 구성시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세밀하고 정확한 텐션 조절을 구현할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짐에 따라, 보다 정밀하면서 간편한 방식으로 벨트의 텐션을 조절 및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향 조작에 보다 완벽을 기할 수 있도록 벨트의 장력을 미세 조절하기 위한 자동측정장치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벨트 텐션 조절장치를 자동조립라인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벨트 텐션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텐션 조절장치는 랙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몸체;와 통공이 천공된 부싱;을 팔레트 상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며, 부싱과 맞춤 수용되는 볼베어링; 동력 몸체가 배치되는 수용 프레임; 제1,2삽지공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을 순차 결합시켜 회전체;가 상하 관통 배치되고, 제1,2삽지공과 대응되는 제1,2풀리;를 형성하여 구동벨트에 의해 상호 구속되게 하되, 상기 회전체는 제1풀리와 고정 결속되고, 가이드 레일부에 안내되어 상하 왕복 구동되는 승강 프레임에는 센서부재;를 더 장착하여, 상기 센서부재가 승강 프레임에 의해 구동벨트로부터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 몸체 및 고정 몸체의 상방에는 고정 브래킷이 위치되고, 제1삽지공과 동력 몸체, 제2삽지공과 고정 몸체가 각각 중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 프레임은 상면을 단턱진 공간으로 형성하여 동력 몸체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는 하부 서보모터에 구속되는 결속부재;와, 결속부재를 기점으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구동바;와, 구동바에 결착되어 동일한 방향에 대해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타원블록;과, 타원블록에 구속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타원블록은 동력 몸체에 고정되고, 센서부재를 통해 감지된 벨트의 텐션 상태에 따라 하부 서보모터가 작동되며, 상기 하부 서보모터에 의한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체가 회전 구동되면서 수용 프레임 및 동력 몸체가 동일하게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끼움돌부는 제1풀리와 맞물려 고정 결합되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제1풀리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이에 권취된 구동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재는 음파센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벨트에 솔레노이드 해머로 임펄스를 가하여 텐션 주파수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재는 구동벨트 측면에 배치되게 하고, 센서부재와 구동벨트는 서로 4.5~5.5mm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재는 측 방향에 대해 15~20°절곡된 지지대에 고정 결속되어 구동벨트와 평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래킷과 동력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더 형성하여 수용 프레임 및 동력 몸체의 위치조절 완료 후 상기 결합홀에 고정부재를 끼워 고정 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벨트 텐션 조절장치에 의하면, 벨트의 텐션을 더욱 정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자동조립라인에서 적정 수준의 설정 값에 일치되도록 벨트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벨트 텐션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5는 보정 전 벨트의 이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벨트의 텐션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전자 제어 타입으로 운용되는 조향장치를 구축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필수 부품들을 일괄적으로 순차 조립하는 공정의 일부로서, 벨트의 텐션 상태를 측정하고 또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션 조절장치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벨트 텐션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 텐션 조절장치(1)는 크게 측정부(100);와 작동부(200);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00)는 도 2에서와 같이 가이드 레일부(110)에 안내되어 상하 왕복 구동되는 승강 프레임(120)과, 상기 승강 프레임(120)에 고정 장착되어 벨트의 텐션을 측정하는 센서부재(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120)으로부터 센서부재(130)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14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재(130)는 음파센서인 것이 바람직하고, 솔레노이드 해머(미도시함)를 내장하여 텐션조절 대상이 되는 구동벨트(210)를 지속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이에 따른 구동벨트의 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벨트의 텐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이러한 센서부재(130)는 구동벨트(210) 측면에서 이와 평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적정 거리를 두고 배치하되, 여기서 적정 거리(센서부재와 구동벨트의 중앙 영역 사이 거리)는 4.5~5.5mm인 것이 바람직하며(도 4 참조), 구동벨트(210)로부터 센서부재(130)가 평행한 상태로 위치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140)를 측 방향에 대해 15~20°비스듬하게 형성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발명의 센서부재(130)를 통해 벨트의 장력 상태를 파악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최적의 위치에서 임펄스를 가함과 동시에 이에 의해 파생되는 음파를 정확하게 감지하게 되는 것은 물론, 어떠한 간섭성 없이 일련의 측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부(200)는 이러한 측정부(100)의 센서부재(130)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 데이터를 근거로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구동벨트(210)의 텐션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작동부(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랙바(20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몸체(220);와 통공이 천공된 부싱(230);을 팔레트(300) 상에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부싱(230)과 맞춤 수용되는 볼베어링(240); 동력 몸체(260)가 배치되는 수용 프레임(250); 제1,2삽지공(271,272)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70);을 순차 결합시키되, 이들의 공간으로 소정의 회전체(280);를 상하 관통 배치하는 한편, 제1,2삽지공(271,272)과 대응되는 제1,2풀리(291,292);를 형성하여 구동벨트(210)에 의해 상호 구속되게 하며, 상기 회전체(280)는 제1풀리(291)와 고정 결속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팔레트(300)는 컨베이어(310))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순차 이동되면서 텐션 측정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부싱(230)과 고정 몸체(2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230)에는 중앙에 통공을 천공하여 이후 상세 기술할 회전체(28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와 대응된 크기 및 형상의 볼베어링(240)과 고정결합된다.
상기 볼베어링(240)의 상방에는 수용 프레임(250)이 위치되어 상호 결속되는바, 상기 수용 프레임(250)은 상면을 일정 깊이가 형성되도록 단턱진 공간으로 마련하여 동력 몸체(260)가 이의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동력 몸체(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 프레임(250)에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수용 프레임과 동일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회전체(280)의 상측을 인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통공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브래킷(270)에는 동력 몸체(260)의 통공에 대응되는 제1삽지공(271)이 형성되고, 고정 몸체(220)와 대응되는 또 다른 제2삽지공(272) 또한 형성된다. 즉, 제1삽지공(271)과 동력 몸체(260), 제2삽지공(272)과 고정 몸체(220)가 각각 중첩되도록 고정 브래킷(270)을 동력 몸체(260) 및 고정 몸체(220)의 상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고정 브래킷(270)과 동력 몸체(26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273,263)을 더 형성하여 수용 프레임(250) 및 동력 몸체(260)의 위치조절 완료 후 상기 결합홀(273,263)에 고정부재(290)를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본 발명의 고정 브래킷(270); 동력 몸체(260); 수용 프레임(250); 볼 베어링(240); 팔레트(300) 및 부싱(230);에는 회전체(280)를 입설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280)는 하부 서보모터(10)에 구속되는 결속부재(281);와, 결속부재를 기점으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구동바(282);와, 구동바에 결착되어 동일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타원블록(283);과, 타원블록에 구속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284);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재(281)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부 서보모터(10)의 단부에 장착되는 회전유도구(320)에 맞춤 수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체(280)에 전달하여 줌으로써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수용 프레임(250) 및 동력 몸체(260)가 구동될 수 있게 하였다. 예컨대, 이러한 결속부재(281)는 육각 너트일 수 있으며, 회전유도구(320)는 이에 대응되는 복스일 수 있다.
상기 구동바(282)는 동력 몸체(260)를 기점으로 팔레트(300)를 관통하여 하부 서보모터(10)의 회전유도구(320)에 다다를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의 상단에는 끼움돌부(284) 및 타원블록(28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부(284)가 고정 브래킷(270)의 제1삽지공(271)을 벗어나 돌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타원블록(283)은 동력 몸체(260)에 고정되어 편심 회전을 유도하는바, 편심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 형상을 타원체로 구성하였으며, 원형과 달리 한쪽으로 치우쳐 회전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위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284)는 제1풀리(291)의 중앙 영역으로 삽입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 결속되고, 상기 제1풀리(291)는 랙바(201)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풀리(292)와 구동벨트(210)에 의해 구속되며, 이러한 제2풀리(292)는 고정 브래킷(270)의 제2삽지공(272)에 안착되어 구동벨트(210)를 적정한 수준에서 권취함으로써, 구동벨트에 일정 강도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이로 인해 파생되는 효과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조향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조립공정 중에서 벨트의 텐션을 측정 및 조절하기 위하여 수반되는 필수 공정이다.
상세하게는, 외부하우징에 잠금부재가 고정 장착되는 제1단계; 외부하우징에 인슐레이터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단계; 랙바에 풀리를 삽입시켜 랙바의 볼너트와 상기 풀리가 상호 결부되는 제3단계; 랙바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제4단계; 스패너 너트를 체결하는 제5단계; 피니언하우징에 실링을 고정 장착하는 제6단계; 니들베어링과 볼베어링을 압입 조립하는 제7단계; 피니언하우징과 인슐레이터를 조립하는 제8단계; 외부하우징과 벨트 및 벨트 텐션 조절장치를 조립하는 제9단계; 피니언하우징을 조립하는 제10단계; 피니언하우징과 센서케이블을 상호 연결 조립하는 제11단계; 조향센서를 조립하는 제12단계; 피니언하우징에 커버캡을 조립하는 제13단계; 커버캡 및 오링을 조립하는 제14단계; 피니언하우징에 너트를 체결하는 제15단계; 요크를 체결하는 제16단계; 내측 볼조인트를 조립 체결하는 제17단계; 주름부재를 조립하는 제18단계; 외측 볼조인트를 조립하는 제19단계; 및 팔레트로부터 분리시켜 완제품을 배출하는 제20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체 공정 중에서, 외부하우징과 벨트 및 벨트 텐션 조절장치를 조립하는 제9단계;에 관련된다.
상기의 제9단계에서는 텐션 주파수로 벨트의 장력을 측정 및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고, 작동부(200)가 구비된 팔레트(300)의 진입이 이루어지면 센서부재(130)가 장착된 측정부(100)를 하강시켜 원하는 값의 텐션을 얻을 수 있도록 구동벨트(210)를 이완시키거나 혹은 수축되게 한다.
도 5는 보정 전 벨트의 이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벨트의 텐션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팔레트(300)가 공급되면 하부 서보모터(10)의 회전유도구(320)가 회전체(280)의 결속부재(281)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팔레트(300)는 상승되고, 랙바(201)를 중심축에 맞춘 다음, 측정부(100)가 하강하여 구동벨트(210)의 근접 지점에 정지된다. 이때, 상기 측정부(100)에 장착된 센서부재(130)의 위치는 구동벨트(210)와 평행할 수 있으면서 4.5~5.5mm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벨트 텐션의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재(130)에 내장된 솔레노이드 해머가 구동벨트에 임펄스를 가하여 즉각적으로 텐션 주파수를 측정하게 되고, 이러한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하는 텐션 값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 구동벨트(210)의 텐션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하부 서보모터(10)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솔레노이드 해머가 구동벨트를 가압함으로써 제공되는 주파수를 파악하여 벨트의 텐션 상태가 임의 기준치보다 부족하거나 혹은 지나칠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서보모터(10)의 회전 방향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텐션 설정 값을 300Hz로 가정하고 센서부재(130)를 통해 감지한 결과 이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벨트(210)가 느슨하게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기준 설정 값에 일치되게 하기 위하여 하부 서보모터(10)를 왼 방향(도 6 참조)으로 소폭 회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하부 서보모터(10)와 결속부재(281)로 연결 구성된 회전체(280)가 동일하게 왼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타원블록(283)에 고정 체결된 동력 몸체(260) 또한 수용 프레임(250)과 함께 위치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들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제1풀리(291)는 제2풀리(292)와 멀어지게 되고, 이러한 작동은 제1,2풀리에 권취된 구동벨트(210)를 결과적으로 이완되게 하여 텐션 값을 상향 조정하는 방식으로 기준 설정 값에 일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기준 설정 값에 일치가 이루어지면 별도의 램프를 통해 외부에 인식시키고, 이후 고정 브래킷(250)과 동력 몸체(260)에 형성된 결합홀(273,263)로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끼워 넣어 더 이상 유동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측정부(100) 및 작동부(200)의 상호 작용으로 구동벨트(210)의 텐션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작동부의 수용 프레임(250)과 동력 몸체(260)를 어느 한 방향에 대해 소폭 회전시켜 구동벨트(210)의 장력이 적정 수준에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벨트 텐션 조절장치임을 주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벨트 텐션 조절장치 10: 하부 서보모터
100: 측정부 110: 가이드 레일부
120: 승강 프레임 130: 센서부재
140: 지지대 200: 작동부
201: 랙바 210: 구동벨트
220: 고정 몸체 230: 부싱
240: 볼베어링 250: 수용 프레임
260: 동력 몸체 263: 결합홀
270: 고정 브래킷 271: 제1삽지공
272: 제2삽지공 273: 결합홀
280: 회전체 281: 결속부재
282: 구동바 283: 타원블록
284: 끼움돌부 290: 고정부재
291: 제1풀리 292: 제2풀리
300: 팔레트 310: 컨베이어
320: 회전유도구
d: 센서부재와 구동벨트의 간격(중앙 영역)

Claims (10)

  1. 벨트 텐션 조절장치에 있어서,
    랙바(20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몸체(220);와 통공이 천공된 부싱(230);을 팔레트(300) 상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며,
    부싱(230)과 맞춤 수용되는 볼베어링(240); 동력 몸체(260)가 배치되는 수용 프레임(250); 제1,2삽지공(271,272)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래킷(270);을 순차 결합시켜 회전체(280);가 상하 관통 배치되고, 제1,2삽지공(271,272)과 대응되는 제1,2풀리(291,292);를 형성하여 구동벨트(210)에 의해 상호 구속되게 하되,
    상기 회전체(280)는 제1풀리(291)와 고정 결속되고,
    가이드 레일부(110)에 안내되어 상하 왕복 구동되는 승강 프레임(120)에는 센서부재(130);를 더 장착하여, 상기 센서부재(130)가 승강 프레임(120)에 의해 구동벨트(210)로부터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몸체(260) 및 고정 몸체(220)의 상방에는 고정 브래킷(270)이 위치되고,
    제1삽지공(271)과 동력 몸체(260), 제2삽지공(272)과 고정 몸체(220)가 각각 중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250)은 상면을 단턱진 공간으로 형성하여 동력 몸체(260)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80)는 하부 서보모터(10)에 구속되는 결속부재(281);와, 결속부재를 기점으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구동바(282);와, 구동바에 결착되어 동일한 방향에 대해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타원블록(283);과, 타원블록에 구속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284);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80)의 타원블록(283)은 동력 몸체(260)에 고정되고, 센서부재(130)를 통해 감지된 구동벨트(210)의 텐션 상태에 따라 하부 서보모터(10)가 작동되며, 상기 하부 서보모터(10)에 의한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체(280)가 회전 구동되면서 수용 프레임(250) 및 동력 몸체(260)가 동일하게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80)의 끼움돌부(284)는 제1풀리(291)와 맞물려 고정 결합되며, 회전체(280)의 회전에 의한 제1풀리(29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이에 권취된 구동벨트(21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130)는 음파센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벨트(210)에 솔레노이드 해머로 임펄스를 가하여 텐션 주파수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130)는 구동벨트(210) 측면에 배치되게 하고, 센서부재(130)와 구동벨트(210)는 서로 4.5~5.5mm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130)는 측 방향에 대해 15~20°절곡된 지지대(140)에 고정 결속되어 구동벨트(210)와 평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270)과 동력 몸체(26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273,263)을 더 형성하여 수용 프레임(250) 및 동력 몸체(260)의 위치조절 완료 후 상기 결합홀(273,263)에 고정부재(290)를 끼워 고정 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KR1020110059936A 2011-06-21 2011-06-21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KR101194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36A KR101194253B1 (ko) 2011-06-21 2011-06-21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936A KR101194253B1 (ko) 2011-06-21 2011-06-21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253B1 true KR101194253B1 (ko) 2012-10-29

Family

ID=4728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936A KR101194253B1 (ko) 2011-06-21 2011-06-21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2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489A (ja) 2004-07-20 2006-02-02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950695B2 (ja) 2002-01-29 2007-08-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51397A (ja) 2007-08-28 2009-03-12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184599A (ja) 2009-02-12 2010-08-26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0695B2 (ja) 2002-01-29 2007-08-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027489A (ja) 2004-07-20 2006-02-02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051397A (ja) 2007-08-28 2009-03-12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184599A (ja) 2009-02-12 2010-08-26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2763A (zh) 用于校准转矩测量装置的方法和设备
US7765858B2 (en) Method of measuring torsional dynamics of a steering column at small dynamic amplitudes
CN206496899U (zh) 磁流变减振器性能测试装置
KR102099587B1 (ko) 트랜스미션의 샤프트, 특히 풍력 발전소의 방위각 트랜스미션의 출력 샤프트의 토크,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의 측정 장치
KR101194253B1 (ko) 전자 타입형 조향장치의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
CN103563222B (zh) 手动力矩调节器
CN110823594A (zh) 一种动力总成测试台架
KR101273341B1 (ko) 비접촉식 벨트 텐션 조절장치를 이용한 텐션 조절방법
KR20070112929A (ko)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CN113432788A (zh) 一种转子动平衡测试补偿设备
KR20110024372A (ko) 자동 벨트 장력 조절타입 랙 어시스트식 전동 조향장치
US8553213B2 (en) Self-aligning laser guide for a wheel balancer
CN110044745B (zh) 可施加复杂耦合作用力的疲劳试验机及其控制电路
CN203560374U (zh) 皮带张紧机构
CN203959703U (zh) 一种用于垂直放置轴类零件的吊具
KR101632802B1 (ko) 오토텐셔너의 내구성 시험장치
CN110861053A (zh) 一种工程机械电气设备检验台
CN204095128U (zh) 扭矩检测装置及包括其的振动摩擦焊接机
CN202267595U (zh) 张紧轮扭矩测试装置
CN102288403A (zh) 张紧轮扭矩测试装置
CN104568372A (zh) 风洞实验缩比模型支撑台架
CN108928386A (zh) 应用于重载移动机器人的驱动装置
CN201575851U (zh) 一种车用油位传感器耐久试验系统
CN107588749A (zh) 一种燃油调节器角位移调零装置及其调零方法
CN209157637U (zh) 一种紧固件可调节扭力拧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