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061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061B1
KR101194061B1 KR1020120016579A KR20120016579A KR101194061B1 KR 101194061 B1 KR101194061 B1 KR 101194061B1 KR 1020120016579 A KR1020120016579 A KR 1020120016579A KR 20120016579 A KR20120016579 A KR 20120016579A KR 101194061 B1 KR101194061 B1 KR 101194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llar
air
drying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12001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6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the gas supply or exhaust being effected through hollow spaces or cores in the materials or objects, e.g. tubes, pipes, bottles
    • F26B21/008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the gas supply or exhaust being effected through hollow spaces or cores in the materials or objects, e.g. tubes, pipes, bottles the objects being flexible articles, which may be blown up by the drying gas, e.g. tubes, sausag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장갑 등 물에 젖은 주방 용품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부로 솟은 기둥부와, 기둥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와이어가 내부가 빈 봉우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의 최대 직경은 상기 기둥부의 외경보다 큰 건조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machine}
본 발명은 고무장갑 등 물에 젖은 주방 용품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품은 요리나 설거지 과정 중에 물과 접하기 때문에 항시 젖게 마련이다. 또한 음식물과 항시 접촉하기 때문에 위생에 취약하다. 음식물이 담기는 식기는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적층하여 보관하는 등 위생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빌트인 하우스에는 붙박이식으로 아예 식기 살균 및 건조기가 기본 사향으로 제공되고 있는 수준이다.
반면에 고무장갑이나 수세미, 행주 등의 주방용품은 식기와 달리 별도의 살균이나 건조 관리가 이루어고 있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 등 주방용품의 위생 관리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식기보다 불결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식기를 위한 건조기에 주방용품을 건조시키지 아니하고 실내에 방치하는 수준이다.
고무장갑만으로 국한하여 살펴보면, 사용한 고무장갑을 말리기 위한 건조기구가 종래의 기술에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상부로 솟은 긴 건조대에 고무장감을 끼워 세우거나 고무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집게로 집어 세우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장갑 건조대는 고무장갑의 내부에 스며든 물기에 의하여 고무장갑의 내면이 서로 들러붙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기술적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은 고무장갑의 내부에 스며든 물을 신속하게 제거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고무장갑의 내부를 적정히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1578호 (2010.10.1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08627호 (2010.10.08)
고무장갑, 수세미, 행주 등 각종 주방용품을 건조시킬 수 있게 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공기를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며, 특히 고무장갑의 내부에 물이 스며든 경우에도 신속한 물 빠짐과 건조가 가능케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부로 솟은 기둥부와, 기둥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와이어가 내부가 빈 봉우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건조대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의 최대 직경은 상기 기둥부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한편,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세워지는 건조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워지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와이어가 내부가 빈 봉우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공기홀은 상기 경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들은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둥부의 상단 중앙에는 중앙 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중앙 공기홀에서 불어 나오는 공기가 충돌하는 바람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들이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바람막이 부재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무게추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는 드레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홀로 모인 오수를 모아 배출하는 드레인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망으로 짜인 거치함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걸려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걸이봉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장갑을 비롯하여 행주, 수세미 등 각종 주방용품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살균을 통하여 주방용품에 서식하는 세균 등을 박멸할 수 있다. 이로써 위생적인 주방용품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건조대는 봉우리 형상의 끼움부를 구비하여 내부의 물기에 의하여 고무장갑이 서로 달라붙지 않게 된다. 이로써 고무장갑 내부의 물 빠짐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며, 젖은 내부가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끼움부는 가느다란 와이어로 구성되므로 고무장갑의 내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다. 따라서 끼움부와 고무장갑 내면과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접촉면에 머무는 물기에 의한 건조 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끼움부의 직경이 기둥부의 외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끼움부에 씌워진 고무장갑의 삽입단까지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되고, 고무장갑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보다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송풍기가 구비된 하우징을 채택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로 고무장갑의 내부를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
더하여 건조대의 공기홀들은 경사면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공급된 공기가 고무장갑의 손가락 끝단부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되어 건조 효율을 상승시킨다.
중앙 공기홀은 수직 상방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막힌 고무장갑의 끝단에까지 공기가 원활하게 도달하게 하고, 이로써 건조 효율은 더욱 상승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송풍기의 출력을 높여 사용하더라도 고무장갑이 건조대에서 쉽게 이탈하지 아니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대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바람막이 부재와 작동부는 끼움부의 체적 변화가 송풍기의 작동과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무장갑의 파지 효과를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건조대에 고무장갑을 쉽게 씌우거나 벗기도록 돕는다.
드레인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모이는 오수를 모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건조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조대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건조대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0)는 하우징(1)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건조대(200)를 포함한다. 나아가 추가적인 구성으로 하우징(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1)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송풍기(2)는 상온의 바람 또는 가열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기과 함께 전기 히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열풍을 생성하는 송풍기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의 전면에는 개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11)가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어들(11)은 좌우 한 쌍의 여닫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도어(11)는 투명한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 내부 공간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게 하였다.
하우징(1)의 전면 하부에는 전원스위치(12)와 드레인부(3)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스위치(12)는 도시를 생략한 타이머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스위치(12)의 조작에 따른 작동 신호가 인가되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송풍기(2)가 작동된다.
추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에 살균용 자외선 램프(7)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 전술된 바와 같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 램프(7)가 작동된다.
한편, 드레인부(3)는 하우징의 바닥에 모이는 오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드레인부(3)는 하우징의 전면으로 인출되어 하우징(1)과 분리되는 서랍형 드레인통(32)을 포함한다. 도 2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홀(3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내부에 놓인 고무장갑, 수세미 등 각종 주방용품에서 유출되는 오수는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드레인홀(31)로 유출된다. 드레인통(32)에는 드레인홀(31)에서 낙하는 물이 임시로 모여, 추후에 사용자가 이를 배출할 수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고무장갑을 세워 걸 수 있는 건조대(200)가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건조대(20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우징(1)의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 수단이 구비된다. 도면에서 자외선 살균 수단은 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7)이다. 이때 자외선 램프(7)는 방출광이 가능한 하우징 내부 곳곳에 닿도록 하우징(1) 내벽 상단부에 설치된다.
또 하우징(1) 내부에는 망으로 짜인 거치함(4)이 구비된다. 거치함(4)은 하우징 내벽면에 흡착고무(P) 등으로 고정되어 하우징(1) 바닥면과 이격되어 있다. 거치함(4)에는 물을 머금은 수세미 등이 놓이고, 물은 자중에 의하여 하우징의 바닥으로 낙하한 후 드레인홀을 거쳐 드레인통으로 유출된다.
또 하우징(1)의 내벽에는 행주 등을 걸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봉(5)이 구비된다. 제시된 도면에서 하우징의 내벽에는 연장된 길이가 서로 다른 3개의 걸이봉(5)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이봉(5)의 수와 각 길이는 실시예 별로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걸이봉(5)은 하우징(1)의 개방된 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경첩(51)을 장착하고, 걸이봉(5)의 일단부는 이 경첩(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걸이봉(5)은 도어(11)가 장착된 방향, 즉 하우징(1)의 개방된 전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여 사용자가 행주 등을 쉽게 걸수 있게 구성된다.
또 하우징(1)의 내벽에는 걸이구(6)가 흡착고무 등 공지된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흡착고무(P)를 통하여 고리형상의 걸이구(6)가 하우징(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걸이구(6)에는 공지된 구성의 집게(도시 생략)가 걸려 수세미나 행주 등을 매달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200)가 도시되어 있다. 건조대(200)는 기둥부(81)와 끼움부(9)를 포함한다.
기둥부(81)의 하단부에는 지면이나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정되게 세우기 위한 플랜지부(81)가 구비된다. 이 플랜지부(81)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하우징(1)의 바닥에는 플랜지부(81)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고, 플랜지부(81)를 홈에 끼움 결합하여 하우징(1)의 내부에 건조대(200)를 세울 수 있다. 한편, 건조대(200)는 하우징(1)과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기둥부(81)의 내부는 비어 있고, 상단부에는 복수의 와이어(91)로 이루어진 끼움부(9)가 결합된다. 기둥부(81)는 길게 형성되어 끼움부(9)에 고무장갑(G)을 끼웠을 때에 고무장갑(G)의 삽입단(G1)이 하우징(1)의 내부 바닥이나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끼움부(9)는 복수의 와이어(91)를 곡면으로 구부려 꽃 봉우리 형상으로 만든 것이다. 이때 복수의 와이어(91)는 기둥부(81)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어, 끼움부(9)는 대략 원통체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끼움부는 단일의 와이어를 연속되게 구부려 형성할 수도 있다.
끼움부(9)의 최대 직경은 기둥부(8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끼움부(9)에 고무장갑을 씌웠을 때에 고무장갑(G)의 손가락 부분이 끼움부(9)의 상단에 걸리게 된다. 또한 방사상으로 벌어진 와이어들(91)에 의해 고무장갑(G)의 내부는 원형으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고 고무장갑(G)의 내면이 서로 떨어지게 된다. 끼움부의 체적에 의해 건조대에 씌워진 고무장갑은 원통 형상이 되며 기둥부에 이르기까지 고무장갑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끼움부(9)가 복수의 와이어(91)로 이루어지므로 끼움부가 고무장갑(G)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고무장갑의 내부에 물이 스며든 경우에도 와이어와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 고무장갑 내부의 물기가 쉽게 증발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지게 된다.
더하여 기둥부(81)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홀(86)이 형성된다. 공기홀(86)은 기둥부(81)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플랜지부(81)와 결합되는 하우징(1)의 바닥면 홈에도 공기구멍(13)이 형성되어 있어, 송풍기(2)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기둥부(81)의 내부를 거쳐 공기홀(86)로 배출된다.
나아가 송풍기가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 열풍에 의한 열기에 의하여 고무장갑 등은 더욱 신속하게 건조된다.
공기홀(86)로 배출된 공기가 건조대(200)에 씌워진 고무장갑(G)의 내면에 불어져 고무장갑 내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건조대에 씌워진 고무장갑은 삽입단만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고무장갑(G)의 삽입단(G1)으로만 빠져나간다. 고무장갑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고무장갑 내부의 물방울를 쓸어내는 효과가 발생되어 고무장갑의 내부를 보다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기둥부(81)의 상단부에는 경사면(82)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홀(86)은 경사면(82) 둘레를 따라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82)에 형성된 공기홀들(86)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비스듬히 상부를 향하게 되어, 공기홀에서 배출된 공기는 고무장갑의 손가락을 향하게 된다. 공기홀에서 빠져나온 공기가 고무장갑의 내벽을 타고 손가락 부분을 부풀리므로 손가락이 삽입되는 고무장갑의 끝단부까지 쉽게 공기가 유통된다. 이로써 고무장갑의 좁은 손가락부분까지 공급된 공기에 의한 건조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끼움부를 구성하는 와이어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공기의 유동 저항이 크지 아니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와이어(91)가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기둥부(81)의 상단 중심에는 중앙 공기홀(83)이 형성된다. 중앙 공기홀(8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수직 상승하여 고무장갑(G)의 내부에 상승력을 갖는 공기를 강하게 주입하는 것이다. 중앙 공기홀(83)을 통과하여 상승한 공기에 의하여 고무장갑(G)의 손가락 부분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쉽게 마르지 아니하는 손가락 부분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2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200)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고무장갑(G)을 거치하거나,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200)는 기둥부(81)와 끼움부(9)를 포함한다. 또한 기둥부(81)의 하단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건조대(200)와 마찬가지로 플랜지부(81)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기둥부(81)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복수의 공기홀(86) 및 중앙 공기홀(83)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대가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기둥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공기홀로 배출되는 점은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끼움부(9)는 복수의 만곡된 와이어(91)가 기둥부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봉오리 형상을 이룬다. 더하여 개별 와이어(91)는 하단부가 기둥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와이어들의 상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와이어(91)가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91)의 하단부에는 힌지핀(911)이 돌출되어 있다. 기둥부(81)에는 와이어의 하단부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있고, 구멍의 내주면에는 힌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힌지홈(84)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의 구멍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와이어가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힌지핀(911)을 힌지홈(84)에 안착한 후 끼움턱이 형성된 캡(85)을 기둥부(81)의 상단에 결합함으로써 와이어들을 기둥부에 고정할 수 있다.
캡(85)에는 와이어(91)가 통과하는 구멍이 와이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91)는 제한된 각도에서 힌지핀(9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6에서 와이어들(91)이 서로 가깝게 모인 상태를 점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와이어들(91)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멀어진 상태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와이어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끼움부(9)의 봉오리 형상이 커지게 된다.
한편, 각 와이어(91)는 기둥부의 중앙 공기홀(83)에서 불어나오는 공기가 충돌하는 바람막이 부재(91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바람막이 부재(912)는 대략 삼각형상의 판재이다. 도 4에는 와이어(91)가 중앙으로 모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각 바람막이 부재(912)는 대략 원형판을 형성하고 있다. 바람막이 부재의 형상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람막이 부재(912)는 중앙 공기홀에서 상승하는 공기에 의하여 밀려나 와이어들(9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도 5의 블록 화살표 참고)으로 회전시킨다.
더하여, 와이어(91)에는 와이어들이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부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작동부는 송풍기의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 와이어가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모이도록 회전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5에서 작동부는 바람막이 부재(912)의 끝단부에 결합된 무게추(913)이다. 무게추(913)는 와이어의 무게 중심을 바람막이 부재(912)의 끝단으로 편중되게 함으로써 와이어(9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아니할 때 자중에 의해 와이어들(91)이 모이게 하는 것이다. 일례로 와이어와 바람막이 부재는 가벼운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무게추는 비중이 큰 금속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작동부는 힌지축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와이어가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일정한 회전 토크를 부여하여, 외력이 작용하니 아니할 때에 와이어들이 모여 끼움부가 작아지도록 구성한다. 이때, 중앙 공기홀에서 상승되는 공기의 압력이 코일 스프링의 회전 토크를 상회하도록 하여 송풍기가 작동 중일 때에는 와이어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건조대(200)의 플랜지부(81)는 하우징(1)의 바닥에 끼움 결합되어 있어 하우징(1)에서 분리 가능하다. 하우징(1)에서 분리된 건조대(200)에 젖은 고무장갑을 씌운 후 하우징(1)에 장착한다. 추가로 젖은 수세미나 행주 등 다른 주방용품을 거치함(4)이나 걸이봉(5) 등에 적당히 담거나 걸어둔다.
도어(11)를 닫고 전원스위치(12)를 켜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송풍기(2)와 자외선 램프(7)가 작동된다. 자외선 램프(7)의 빛에 의하여 주방용품의 살균이 수행된다.
송풍기(2)의 작동으로 하우징(1)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다. 송풍기를 거치는 과정 중에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가열되어 열풍이 공급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의 바닥 및 기둥부(81)의 내부로 유동되며, 기둥부(8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홀(86)과 중앙 공기홀(83)을 통하여 유출된다. 고무장갑(G)의 내부에 골고루 전달된 가열된 공기는 고무장갑(G) 내부의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키면서 물방울이 아래로 낙하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대(200)가 건조장치(100)에 사용되는 경우, 중앙 공기홀에서 상승한 공기는 바람막이 부재(912)를 밀어 올려 와이어(91)를 회전시킨다. 와이어들(9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끼움부(9)의 외형이 커지고, 그에 따라 커진 끼움부(9)가 고무장갑(G)의 내부를 보다 넓게 벌리게 된다. 더하여 와이어(91)가 고무장갑(G)을 밀어내는 작용으로 송풍기(2)에 의한 공기 유출량이 많더라도 고무장갑(G)이 쉽게 건조대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송풍기(2)의 작동이 종료되면 무게추에 의해 와이어(91)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즉, 끼움부(9)의 체적이 원래의 상태로 줄어들게 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고무장갑(G)을 건조대(200)에서 벗겨낼 수 있게 된다.
100 : 건조장치
1 : 하우징 11 : 도어 12 : 전원스위치 13 : 공기구멍
2 : 송풍기
3 : 드레인부 31 : 드레인홀 32 : 드레인통
4 : 거치함
5 : 걸이봉 51 : 경첩 6 : 걸이구 7 : 램프 P : 흡착고무
200 : 건조대
8 : 기둥부 81 : 플랜지부 82 : 경사면 83 : 중앙 공기홀 84 : 힌지홈 85 : 캡 86 : 공기홀
9 : 끼움부 91 : 와이어 911 : 힌지핀 912 : 바람막이 부재 913 : 무게추
G : 고무장갑 G1 : 삽입단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세워지는 건조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워지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와이어가 내부가 빈 봉우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들은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둥부의 상단 중앙에는 중앙 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공기홀은 상기 경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건조장치.
  5. 삭제
  6. 제3항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중앙 공기홀에서 불어 나오는 공기가 충돌하는 바람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들이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부가 결합되어 있는 건조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바람막이 부재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무게추인 건조장치.
  9. 제3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는 드레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홀로 모인 오수를 모아 배출하는 드레인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건조장치.
  10. 제3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 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건조장치.
  11. 제3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망으로 짜인 거치함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걸려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걸이봉이 구비되어 있는 건조장치.
KR1020120016579A 2012-02-17 2012-02-17 건조장치 KR101194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579A KR101194061B1 (ko) 2012-02-17 2012-02-17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579A KR101194061B1 (ko) 2012-02-17 2012-02-17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061B1 true KR101194061B1 (ko) 2012-10-24

Family

ID=4728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579A KR101194061B1 (ko) 2012-02-17 2012-02-17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CN115024651A (zh) * 2022-07-02 2022-09-09 东莞市利人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洗手烘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089Y1 (ko) * 2001-07-31 2001-11-2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고무장갑의 살균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089Y1 (ko) * 2001-07-31 2001-11-2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고무장갑의 살균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55B1 (ko) * 2018-07-31 2019-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멸균장갑 공급 장치
CN115024651A (zh) * 2022-07-02 2022-09-09 东莞市利人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洗手烘干机
CN115024651B (zh) * 2022-07-02 2023-10-27 东莞市利人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洗手烘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80364A1 (en) Drying apparatus
JP2009523224A (ja) 乾燥装置
KR101245801B1 (ko) 살균겸용 컵 세척기
KR101194061B1 (ko) 건조장치
KR102373718B1 (ko) 도마 살균 장치
KR20170069459A (ko) 살균건조기 겸용 식품건조기
KR101516235B1 (ko) 가정용 식품건조기
KR101246952B1 (ko) 의류 청결 장치
KR101188177B1 (ko) 몹 보관장치
KR200252089Y1 (ko) 고무장갑의 살균건조기
CN106725000B (zh) 一种多功能卫浴柜
KR100542153B1 (ko) 주방용구 살균 건조기
CN109805859A (zh) 一种智能化深紫外杀菌的洗碗机及工作方法
KR200381578Y1 (ko) 행주 살균 및 건조용 걸이기구
KR101362128B1 (ko) 행주 세탁기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13496Y1 (ko) 행주 및 주방용품 살균건조기
KR20090008889A (ko) 젖병소독기
KR20110029251A (ko) 식기 건조 및 살균기
KR200331592Y1 (ko) 수세미/행주 전용 살균 건조기
CN213687542U (zh) 一种杀菌烘干筷子机
WO2016186411A1 (ko) 수세미 세척 장치
JP2006238984A (ja) 調理・食卓用品の洗浄機
US20100180462A1 (en) Hold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110009441U (ko) 가정용 주부 습진 방지용 손 건조기 및 행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